KR200235934Y1 - 진열용상자로사용할수있는포장상자 - Google Patents

진열용상자로사용할수있는포장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5934Y1
KR200235934Y1 KR2019980011170U KR19980011170U KR200235934Y1 KR 200235934 Y1 KR200235934 Y1 KR 200235934Y1 KR 2019980011170 U KR2019980011170 U KR 2019980011170U KR 19980011170 U KR19980011170 U KR 19980011170U KR 200235934 Y1 KR200235934 Y1 KR 2002359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box
outer side
plate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11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6001U (ko
Inventor
강창흠
Original Assignee
강창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창흠 filed Critical 강창흠
Priority to KR20199800111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5934Y1/ko
Publication of KR199800560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60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59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5934Y1/ko

Links

Landscapes

  • Cartons (AREA)

Abstract

물품을 담아서 진열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포장 상자가 개시된다. 상기 진열용 상자로 사용할 수 있는 포장 상자는 내부에 저장된 물품을 외부로 노출시켜서 전시하고자 할 경우에는, 물품을 꺼낸 후, 상부판에 표시된 접이 표시선을 따라 상부판을 상자의 내측으로 접고 다시 물품을 넣어서 진열용 상자로 이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 통기공을 통하여 상자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물품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열용 상자로 사용할 수 있는 포장 상자{PACKING BOX CAPABLE OF USING A DISPLAY BOX}
본 고안은 물품을 담아서 진열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포장 상자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포장 상자를 설명한다. 도 1a는 일반적인 포장 상자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일반적인 포장 상자의 상부판이 개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하듯이, 상자(10)는 사면체를 이루는 4개의 측판(11)을 가진다. 상기 측판(11)의 상단에는 대향하는 한쌍의 제1플래프(Flap)(13a,13b)와 대향하는 한쌍의 제2플래프(14a,14b)가 연장된다. 상기 플래프(13,14)들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상기 측판(11)의 내측으로 접혀서 상자의 상부판을 이룬다. 상기 측판(11)의 하단에도 상단과 동일한 형태로 플래프(미도시)들이 마련되어서 상기 상자(10)의 저판을 이룬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포장 상자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첫째, 판매를 위하여 상자에 저장된 물품을 장시간 외부로 노출시켜야 할 경우에는, 측판의 상단에서 연장된 플래프들을 측판의 외측 하단으로 접어야 한다. 이 경우에는, 상기 플래프가 측판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미관상 흉하다. 그리고 상기 플래프를 상자의 내측으로 접어서 넣을려고 할 경우에는, 상기 플래프와 측판의 크기가 상이하므로 인하여 상기 플래프의 어느 부분을 눌러서 접어서 하는 불편함이 있다.
둘째, 상자의 내부에 물품을 넣고, 플래프를 접어서 상자를 밀폐시키면, 상자의 내부로는 공기가 유입되지 못한다. 즉, 냉기나 열기의 공급을 필요로 하는 물품이 상자에 저장된 경우에는, 냉기나 열기를 상자의 내부로 공급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그 내부에 물품이 저장되는 포장 박스를 그 내부에 저장된 물품을 외부로 노출시켜서 전시할 수 있는 진열용 상자로 용이하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는 진열 상자로 사용할 수 있는 포장 상자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자의 일면을 개방하지 않고도 상자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진열 상자로 사용할 수 있는 포장 상자를 제공함에 있다.
도 1a는 일반적인 포장 상자의 사시도,
도 1b는 일반적인 포장 상자의 상부판이 개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상자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상자를 진열용 상자로 사용하는 것을 보인 사시도,
도 4 내지 도 1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상자가 접혀서 완성되는 과정을 보인 도,
도 1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판을 뜯어내어서 사용하는 상태를 보인 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하부판, 121,122,123,124:제1,2,3,4외부측벽,
131,132,133:제1,2,3내부측벽,
141,142,143,144:제1,2,3,4연결판,
150:상부판.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물품을 보관하는 상자에 있어서, 하부판; 상기 하부판에서 연장되며 접혀서 상자의 측면 외부를 이루는 제1외부측벽과 상기 제1외부측벽에서 연장된 제1연결판과 상기 제1연결판에서 연장되며 접혀서 상기 상자의 측면 내부를 이루는 제1내부측벽; 상기 제1외부측벽과 제1연결판과 제1내부측벽와 각각 대향되게 상기 하부판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외부측벽과 제1연결판과 제1내부측벽과 각각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자의 측면 외부를 이루는 제2외부측벽과 제2연결판과 상자의 측면 내부를 이루는 제2내부측벽; 상기 제1,2내부측벽에서 연장되며 상호 결합되어 상기 내부측벽이 상기 하부판에 수직으로 서 있도록 지지하는 제1,2결합판; 상기 제1,2외부측벽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2결합판과 일정거리 이격되는 제1,2이격판; 상기 하부판에서 연장되며 접혀서 상자의 측면 외부를 이루도록 상기 제1,2이격판과 접촉되는 제3외부측벽과 상기 제3외부측벽에서 연장된 제3연결판과 상기 제1연결판에서 연장되며 접혀서 상기 상자의 측면 내부를 이루도록 상기 제1,2결합판과 접촉되는 제3내부측벽; 그리고 상기 제3외부측벽과 대향되도록 상기 하부판에서 연장되며 접혀서 상자의 측면 외부를 이루도록 상기 제1,2이격판과 접촉되는 제4외부측벽과 상기 제4부측벽에서 연장된 제4연결판과 상기 제1연결판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2,3,4외부측벽의 상단이 이루는 공간을 덮는 상부판을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진열용 상자로 사용할 수 있는 포장 상자는 내부에 저장된 물품을 외부로 노출시켜서 전시하고자 할 경우에는, 물품을 꺼낸 후, 상부판에 표시된 접이 표시선을 따라 상부판을 상자의 내측으로 접고 다시 물품을 넣어서 진열용 상자로 이용할 수 있다. 또, 통기공을 통하여 상자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물품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진열용 상자로 사용할 수 있는 포장 상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상자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상자를 진열용 상자로 사용하는 것을 보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하듯이, 본고안에 따른 상자(100)는 도 2와 같이, 상자(100)의 내부에 물품을 넣어서 보관하다가, 물품(200)을 외부로 노출시켜서 전시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3과 같이 상자(100)의 상부판(150)을 상자의 내부로 접어 넣어서 사용할 수 가 있다. 그리고, 상자(100)에는 다수의 통기공(162,163,164)을 형성하여 냉기나 열기를 상자의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 상자를 접어서 만드는 과정을 도 4내지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1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상자가 접혀서 완성되는 과정을 보인 도이다.
도 4에 도시하듯이, 사각형상의 하부판(110)에 사각형상의 다수의 통기공(161)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판(110)의 가장자리에서 측벽들이 연장되는데, 상기 측벽들은 내부와 외부를 가지는 두겹으로 마련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하부판(110)의 가장자리에서 제1외부측벽(121)과 제1연결판(141)과 제1내부측벽(131)이 순차적으로 연장된다. 이때,상기 제1외부측벽(121)과 제1내부측벽(131)의 높이는 동일하게, 그 폭은 제1외부측벽(121)이 조금 넓게 마련된다. 상기 제1연결판(141)은 상기 제1외부측벽(121)과 제1내부측벽(131)을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제1외부측벽(121)과 제1내부측벽(131)이 일정한 간격을 가지게 한다. 상기 제1외부측벽(121)과 제1내부측벽(131) 사이의 간격으로 인하여 단열의 효과가 발생되는 것이다.
상기 제1외부측벽(121)과 제1내부측벽(131)에는 버섯모양의 통기공(162,163)이 각각 형성되는데, 상기 제1내부측벽(131)과 제1외부측벽(121)을 도 5 및 도 6과 같이 하부판(110)의 내측으로 순차적으로 접어면, 상기 통기공(163,162)은 동일한 형상을 이루면서 연통된다.
상기 제1연결판(141)의 중앙부는 상기 제1외부측벽(121)에서 일체로 연장된 지지편(165)에 의하여 공간이 되고(도 5참조), 상기 제1연결판(141)에는 결합공(166)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편(165)은 상자들이 적층될 때, 상자가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결합공(166)에는 제1,2결합돌기(167a,167b)가 결합되는데, 이는 후술한다.
상기 제1외부측벽(121)과 제1내부측벽(131) 및 제1연결판(141)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제2외부측벽(122)과 제2내부측벽(132) 및 제2연결판(142)이 상기 하부판(110)에서 연장된다. 상기 제1외부측벽(121)과 제1내부측벽(131)과 제1연결판(141)은 상기 제2외부측벽(122)과 제2내부측벽(132) 및 제2연결판(142)과 대향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판(110)과 제1외부측벽(121)과 제1내부측벽(131)과 연결판(141)의 경계부 및 상기 하부판(110)과 제2외부측벽(122)과 제2내부측벽(132) 및 제2연결판(142)의 경계부는 긁힌선(168)에 의하여 표시된다. 상기 긁힌선(168)들은 상기 하부판(110)과 제1,2외부측벽(121,122)과 제1,2내부측벽(131,132)과 제1,2연결판(141,142)를 상호 용이하게 접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그 경계를 표시해준다.
도 5 내지 도 8을 설명한다.
상기 제1,2내부측벽(131,132)과 제1,2외부측벽(121,122)을 상기 하부판(110)의 내측으로 순차적으로 접어서 상기 하부판(110)에 수직이 되게 세운다. 그리고 상기 제1,2내부측벽(131,132)의 외측으로 각각 연장된 제1,2결합판(171,172)을 긁힌선(168)을 따라 접어서 상호 결합한다. 상기 제1,2결합판(171,172)을 상호 끼워서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2결합판(171,172)에는 대응되는 제1,2결합홈(171a,172a)이 형성된다. 그후, 상기 제1,2외부측벽(121,122)의 외측으로 각각 장된 제1,2이격판(175,176)을 긁힌선(168)을 따라 접어면, 상기 제1,2결합판(171,172)과 제1,2이격판(175,176)은 상기 제1,2연결판(141,142)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면서 설치된다.
그 다음, 상기 하부판(110)의 외측으로 연장된 제3외부측벽(123)과 제3연결판(143)과 제3내부벽(133)을 긁힌선(168)을 따라 접는다. 상기 제3외부측벽(123)과 제3내부측벽(133)의 높이는 동일하고, 그 폭은 제3외부측벽(123)이 제3내부측벽(133) 보다 조금 넓다. 상기 제3외부측벽(123)과 제3내부측벽(133)의 높이는 상기 제1,2외부측벽(121,122)과 제1,2내부측벽(131,132)의 높이와 동일하다. 이때,상기 제3외부측벽(123)은 제1,2이격판(175,176)과 접촉되어 지지되고, 상기 제3내부측벽(133)은 상기 제1,2결합판(171,172)에 접촉되어 지지된다. 또, 상기 제3연결판(143)은 상기 제1,2결합판(171,172)과 제1,2이격판(175,176)의 상단이 이루는 공간을 덮는다. 그리고 상기 제3내부측벽(133)의 외측으로 연장된 제1결합돌기(167a)를 상기 제1,2연결판(141,142)에 형성된 결합공(166)에 끼우면, 도 9와 같이 된다. 상기 제3외부측벽(123)과 제3연결판(143)의 경계부위는 잠금공(169)이 형성되는데, 이는 후술한다.
도 9 내지 도 11을 설명한다.
상기 하부판(110)의 외측으로 연장된 제4외부측벽(124)과 제4연결판(144)을 긁힌선(168)을 따라 접으면, 상기 제4외부측벽(124)은 제1,2이격판(175,176)과 접촉되고, 상기 제4연결판(144)은 상기 제1,2이격판(175,176)와 제1,2결합판(171,172)의 상단 간격 사이에 위치된다. 그러면 상기 제4연결판(144)에서 연장된 상부판(150)이 상기 제1,2,3,4외부측벽(121,122,123,124)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공간을 덮게된다. 상기 제4외부측벽(124)과 제3외부측벽(123)은 동일한 크기로, 상기 제4연결판(124)과 제3연결판(123)은 동일한 크기로 마련된다. 상기 상부판(150)은 제1,2외부측벽(121,122)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지지편(165)의 안내를 받으면서 덮힌다.
그리고,상기 상부판(150)의 외측으로 연장된 제2결합돌기(167b)를 제1,2연결판(141,142)의 결합공(166)에 결합하고, 상기 상부판(150)에서 연장된 잠금돌기(151)를 긁힌선(168)을 따라 접어서 상기 제3외부측벽(123)과 제3연결판(143)의 경계부위에 형성된 잠금공(169)에 끼우면 본 실시예에 따른 상자(100)가 완성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판(150)에는 버섯모양의 다수의 통기공(164)이 형성되고, 접이 표시선(155)이 마련된다. 상기 제4연결판(144)과 접이 표시선(155)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2결합판(171,172)의 높이와 동일하게 마련된다. 그러므로 상기 접이 표시선(155)을 따라서 상기 상부판(150)을 상자(100)의 내측으로 접어면, 상부판(150)의 내측은 제1,2결합판(171,172)과 접촉되고, 상부판(150)의 외측은 하부판(110)과 접촉된다(도 4참조).
즉,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작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상자(100)에 물품을 보관하다가, 물품을 외부로 노출시켜 진열하고자 할 경우에는, 물품을 꺼낸 후, 상부판(150)을 상자의 내측으로 접어 넣고, 물품을 다시 넣으면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 상자는 도 12와 같이 상부판(150)을 뜯어내어서 사용할 수 가 있는데, 이를 설명한다. 도 1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판을 뜯어내어서 사용하는 상태를 보인 도이다.
이에 도시하듯이,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작된 상자(100)에 저장된 물품(200)을 외부로 노출시켜 저장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부판(150)을 뜯어내고 사용하면 된다. 즉, 상자(100)에 저장된 물품(200)을 꺼내지 않고 상부판(150)을 뜯어내기만 하는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하듯이, 본 고안에 따른 진열용 상자로 사용할 수 있는 포장 상자는 내부에 저장된 물품을 외부로 노출시켜서 전시하고자 할 경우에는, 물품을 꺼낸 후, 상부판에 표시된 접이 표시선을 따라 상부판을 상자의 내측으로 접고 다시 물품을 넣어서 진열용 상자로 이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 통기공을 통하여 상자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물품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개량이나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3)

  1. 물품을 보관하는 상자에 있어서,
    하부판(110);
    상기 하부판에서 연장되며 접혀서 상자의 측면 외부를 이루는 제1외부측벽 (121)과 상기 제1외부측벽에서 연장된 제1연결판(141)과 상기 제1연결판에서 연장되며 접혀서 상기 상자의 측면 내부를 이루는 제1내부측벽(131);
    상기 제1외부측벽과 제1연결판과 제1내부측벽과 각각 대향되게 상기 하부판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외부측벽과 제1연결판과 제1내부측벽과 각각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자의 측면 외부를 이루는 제2외부측벽(122)과 제2연결판(142)과 상자의 측면 내부를 이루는 제2내부측벽(132);
    상기 제1,2내부측벽에서 연장되며 상호 결합되어 상기 내부측벽이 상기 하부판에 수직으로 서 있도록 지지하는 제1,2결합판(171, 172);
    상기 제1,2외부측벽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2결합판과 일정거리 이격되는 제1,2이격판(175, 176);
    상기 하부판에서 연장되며 접혀서 상자의 측면 외부를 이루도록 상기 제1,2이격판과 접촉되는 제3외부측벽(123)과 상기 제3외부측벽에서 연장된 제3연결판 (143)과 상기 제3연결판에서 연장되며 접혀서 상기 상자의 측면 내부를 이루도록 상기 제1,2결합판과 접촉되는 제3내부측벽(133); 그리고
    상기 제3외부측벽과 대향되도록 상기 하부판에서 연장되며 접혀서 상자의 측면 외부를 이루도록 상기 제1,2이격판과 접촉되는 제4외부측벽(124)과 상기 제4외부측벽에서 연장된 제4연결판(144)과 상기 제1연결판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2,3,4외부측벽의 상단이 이루는 공간을 덮는 상부판(150)을 구비하며,
    특히 상기 제3외부측벽과 제3연결판의 경계부위에는 잠금공(169)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판에는 상기 잠금공에 잠기는 잠금돌기(151)가 연장되며, 상기 제4연결판과 상부판의 경계면에서 상기 제1,2결합판의 높이와 동일한 거리에 해당되는 상부판에는 상기 상부판을 상자의 내측으로 접기 위한 접이표시선(15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용 상자로 사용할 수 있는 포장 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과 상부판과 제1,2내부측벽에는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되되, 상기 제1,2연결판의 중앙부는 공간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1, 2 외부측벽의 상단에는 상기 제1, 2 연결판의 중앙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상자들이 적층될 때, 상자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편이 각각 마련되고,
    상기 제3내부측벽과 상기 상부판에는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는 제1, 2 결합돌기가 가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용 상자로 사용할 수 있는 포장 상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과 상부판과 제1, 2 외부측벽과 제1, 2 내부측벽에는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2외부측벽에 형성된 통기공과 상기 제1, 2 내부측에 형성된 통기공은 제1, 2 외부측벽과, 제1, 2 내부측벽이 접혔을 때,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용 상자로 사용할 수 있는 포장 상자.
KR2019980011170U 1998-06-25 1998-06-25 진열용상자로사용할수있는포장상자 KR2002359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170U KR200235934Y1 (ko) 1998-06-25 1998-06-25 진열용상자로사용할수있는포장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170U KR200235934Y1 (ko) 1998-06-25 1998-06-25 진열용상자로사용할수있는포장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6001U KR19980056001U (ko) 1998-10-07
KR200235934Y1 true KR200235934Y1 (ko) 2001-12-01

Family

ID=69509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1170U KR200235934Y1 (ko) 1998-06-25 1998-06-25 진열용상자로사용할수있는포장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593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913Y1 (ko) * 2012-10-05 2014-06-03 씨제이제일제당 (주) 상자 결속체 및 이를 이용한 상자 묶음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6001U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39105A (en) Hinge-lid pack
US6354487B1 (en) Stackable covered tray
US6557723B2 (en) Hangable storing box for a stack of plastic bags
US5786580A (en) Packaging holder for positioning and protecting microwave oven internal elements such as a glass tray and a rotating ring within an oven cavity for handling and shipping
US4971242A (en) Multiple container assembly
KR200235934Y1 (ko) 진열용상자로사용할수있는포장상자
JPH0420749Y2 (ko)
JP2002002667A (ja) 段ボール製トレー
JPH0634272Y2 (ja) 包装箱
JP3779742B2 (ja) 缶状物品収納ケース
GB2487128A (en) Carton with sloping walls
JP2569590Y2 (ja) 梱包用箱
JP4142864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ー
JPH0516103Y2 (ko)
JP2005324808A (ja) 把手付き包装箱のポケット構造
JP3328717B2 (ja) 組立式箱体
JPS5931536Y2 (ja) 展示兼用蓋箱
KR200240523Y1 (ko) 적층식 수납 박스
JP3861024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ー
JPS593931Y2 (ja) 梱包箱
JPH10218185A (ja) 段ボール箱
KR200237289Y1 (ko) 일회용 투명 용기
KR200244503Y1 (ko) 피자포장상자
JPH0221367Y2 (ko)
JP3929395B2 (ja) 吊り下げ可能な横型梱包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