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5889Y1 - 휴대폰 및 CD Player 동시사용 헤드폰 - Google Patents

휴대폰 및 CD Player 동시사용 헤드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5889Y1
KR200235889Y1 KR2020010009260U KR20010009260U KR200235889Y1 KR 200235889 Y1 KR200235889 Y1 KR 200235889Y1 KR 2020010009260 U KR2020010009260 U KR 2020010009260U KR 20010009260 U KR20010009260 U KR 20010009260U KR 200235889 Y1 KR200235889 Y1 KR 2002358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uar
player
mobile phone
pcs phone
player comb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92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만
Original Assignee
정용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만 filed Critical 정용만
Priority to KR20200100092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58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58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5889Y1/ko

Links

Landscapes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 및 CD Player 겸용 헤드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평소 음악을 듣고있다가 전화벨이 울리면 원터치스위치 하나로 바로 휴대 전화로 연결 시킬수 있도록 하기위해 연결부위를 두 개를 부착한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휴대폰 및 CD Player 동시사용 헤드폰{Celluar & PCS phone and CD player combination headphone}
본 고안은 CD Player로 음악이나 라디오를 듣다가 휴대폰 벨 신호음이 들리면 스의치를 전환하여 전화를 받고 다시 스위치를 전환하여 음악을 들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연결 부위를 두 개를 부착하였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CD Player 헤드폰이나 휴대폰의 이어폰은 한가지를 사용할 시에는 다른 신호나 음악을 들을 수 없어서 불편하였다. 또한 음악을 들을 때에는 휴대폰 벨이 울려도 들리지 않기 때문에 공공장소에서 여러사람에게 불편함을 주었으며 휴대폰이 진동으로 되어 있다하더라도 헤드폰을 빼고 전화를 받고 나서 다시 헤드폰을 끼고 음악을 듣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음악을 듣다가 휴대전화 벨 신호음이 들리면 원터치 스위치만 전환하면 즉시 전화를 받을 수 있어 편리하다.
도1은 종래의 CD Player용 헤드폰
도2는 휴대폰용 이어폰
도3은 휴대폰 및 CD Player 동시사용 헤드폰
[도면의 주용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스위치
2. 휴대폰 및 CD Player 연결부분
3. 스피커
4. 마이크
본 고안은 휴대폰의 이어폰과 CD Player 헤드폰을 겸하며 두종류를 하나로 결합시킨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CD Player 헤드폰과 휴대전화용 이어폰 등 2가지를 가지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음악을 들을 때는 전화벨이 울려도 모르고 있어 공공장소에서 여러사람에게 소음공해의 불편함을 주었으나 위와 같은 불편함을 모두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휴대폰의 이어폰과 CD Player나 라디오용 헤드폰을 하나로 결합하여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헤드폰.
KR2020010009260U 2001-04-02 2001-04-02 휴대폰 및 CD Player 동시사용 헤드폰 KR2002358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260U KR200235889Y1 (ko) 2001-04-02 2001-04-02 휴대폰 및 CD Player 동시사용 헤드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260U KR200235889Y1 (ko) 2001-04-02 2001-04-02 휴대폰 및 CD Player 동시사용 헤드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5889Y1 true KR200235889Y1 (ko) 2001-10-10

Family

ID=73064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9260U KR200235889Y1 (ko) 2001-04-02 2001-04-02 휴대폰 및 CD Player 동시사용 헤드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588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62727B2 (ja) イヤホン
JP2006217321A (ja) ヘッドセット、および通信システム
US20030076952A1 (en) Earphone capable of automatically receiving telephone calls
KR100423705B1 (ko) 보청기 기능을 구비한 휴대폰
KR200235889Y1 (ko) 휴대폰 및 CD Player 동시사용 헤드폰
JP2007036908A (ja) 音声出力装置
KR200245014Y1 (ko) 휴대폰 및 CD Player 동시사용 이어폰
KR200341662Y1 (ko) 모노 스테레오 겸용 무선 헤드셋
JP3112619U (ja) 携帯機器用のイヤホン装置
JP2002084347A (ja) 携帯電話機用イヤホーンマイク
JPH10290274A (ja) 補聴機能付き携帯電話機
KR200355379Y1 (ko) 음악감상 하면서 휴대폰을 수신할 수 있는 스테레오 핸즈프리 장치
KR200252624Y1 (ko) 휴대폰의 이어마이크로폰과 음향기기의 리모콘에연결하여 동시 또는 각각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착탈분리형 만능 제어장치
KR200255401Y1 (ko) 휴대폰및 음향기기에 동시사용할수 있는 착탈 분리형이어마이크로폰 만능제어장치
JP3157404U (ja) 無線イヤホン装置
KR200274628Y1 (ko) 휴대용 음향 기기 및 무선 전화기 공용 헤드폰
KR200287668Y1 (ko) 스테레오 벨소리 구현 휴대폰
JPH04200045A (ja) 携帯電話装置
JP2009232431A (ja) 「音声拡張器付携帯電話(助聴力携帯)」
JP3035800U (ja) 携帯ステレオと携帯電話機との接続切換装置
KR20030076498A (ko) 휴대용전화기와일반음향기기를함께사용하도록음향장치연결용플러그를갖는음향기기 겸용 스테레오 핸즈프리
JP2003125496A (ja) 補聴装置及び音声再生装置
KR200175374Y1 (ko) 스테레오기능이 구비된 핸드폰용 이어폰장치
KR200305260Y1 (ko) 이어폰형 핸즈프리나 음향기기용 이어셋/헤드셋과 함께사용 가능한 발광모듈
JP3070878U (ja) 音源切り換え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