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5196Y1 - 윤활유 자동주유기의 재생형 가스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윤활유 자동주유기의 재생형 가스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5196Y1
KR200235196Y1 KR2019980023322U KR19980023322U KR200235196Y1 KR 200235196 Y1 KR200235196 Y1 KR 200235196Y1 KR 2019980023322 U KR2019980023322 U KR 2019980023322U KR 19980023322 U KR19980023322 U KR 19980023322U KR 200235196 Y1 KR200235196 Y1 KR 2002351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lubricating oil
piston
ring
rubber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33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0877U (ko
Inventor
김기봉
Original Assignee
송유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유철 filed Critical 송유철
Priority to KR20199800233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5196Y1/ko
Publication of KR200000108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08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51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5196Y1/ko

Links

Landscapes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윤활유 주입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피스톤(20)의 내면에 삽입되어 접촉부분에 반구형상으로 두꺼운 가압부(36)를 형성하고, 양측 모서리에 상,하로 돌출된 걸림돌기(32)를 형성하는 팽창고무막(30)과; 상기 몸체(10)내에 삽입되어 팽창고무막(30)의 걸림돌기(32)가 걸림턱부(56)에 걸려지고 하부 외주면에 하측커버오링(52)이 설치되고 상부 요홈(54)에는 상측커버오링(59)이 설치되는 커버(50)와; 상기 커버(50)의 하측 입구부에 삽입홈(42)에 의하여 삽입 고정되는 커버고무마개(40)와; 상기 커버(50)의 암나사부(58)에 수나사부(84)가 체결되어 상,하로 이동하고 끝단부분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86)이 형성되며 중심저면으로 가압돌기(88)가 형성된 나사부재(80)와; 상기 나사부재(80)의 가이드홈(86)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72)가 형성되고, 상기 팽창고무막(30)의 전해액저장부(34)에 저장된 전해액과 반응하여 기체를 발생하는 금속반응물질(60)이 중심부분에 삽입 고정하는 케이스(70)로 구성된 윤활유 자동주유기의 재생형 가스발생장치인 바, 폐기물의 발생을 줄여주어 환경오염을 예방하도록 하고, 기체의 발생량이 일정하므로 피스톤에 가하는 압력이 균일하여 윤활유의 주유량이 지속적으로 동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고안이다.

Description

윤활유 자동주유기의 재생형 가스발생장치
본 고안은 윤활유를 자동으로 주입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새로운 금속반응물질을 케이스내에 장입하여 분리된 부분을 조립하면 재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기체발생량을 일정하게 하여 윤활유의 공급을 균일하도록 하는 윤활유 자동주유기의 재생형 가스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정의 링크운동을 하는 기구물은 회전운동 혹은 슬라이딩운동등을 하면서 지속적으로 서로 다른 부재 사이에 마찰이 발생되어지며, 이러한 마찰부분에 일정한 윤활재를 공급하지 않은 경우 마찰부분에 열이 발생하고 금속간에 파손이 발생되어진다.
이러한 기구물간에 마찰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점성을 갖는 윤활유가 사용되고 있으며, 액체에 가까운 윤활유 및 고체에 가까운 윤활유인 그리스 등이 식물 및 광물에서 추출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
특히, 사람이 윤활유를 쉽게 공급할 수 없으나 지속적으로 윤활이 필요한 기구물, 예를 들면 놀이동산의 롤러코스트 등과 같이 장기간에 걸쳐 일정한 량의 윤활유의 공급이 장기간에 걸쳐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에는 기체를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예를 들면 한달 정도의 기간동안 일정량씩 소정량의 윤활유를 공급하는 윤활유공급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윤활유 자동주유기(특허공개번호 96-23991)의 결합 상태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윤활유 자동주유기의 가스 발생용 투입장치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종래장치의 구성을 살펴 보면, 상부가 개방되고 하방으로 주유구(101)가 개통되어 있는 원통형하우징(102)과, 상기 원통형하우징(102)의 바닥면과 측벽에 밀착되도록 원통형하우징(102)의 내부에 내입되어 있는 피스톤(103)과, 내부의 가스팽창공간(105)에는 전해액이 충진되고 원통형하우징(102)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는 팽창용기(104)와, 상기 원통형하우징(102)의 상부에 나합되며 중앙에 투입장치(107)가 결합되는 투입구(108)와, 막(109)을 갖는 두껑(106)과, 상기 두껑(106)의 투입구(108)에 나합되면서 가스발생용 금속반응물질(110)을 팽창용기(104)의 전해액에 투여하는 투입장치(107)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윤활유 자동주유기의 작동을 살펴 보도록 한다.
먼저, 투입구(108)에 투입장치(107)을 대고서 회전시키면, 투입구(108)의 나사부와 투입장치(107)의 나사부가 나사 결합되어 투입장치(107)가 투입구(108)와 결합되면서 투입장치(107)가 투입구(108)의 하부로 내려가게 된다.
이어서, 투입구(108)의 내벽이 투입장치(107)의 돌출부(112)를 가압하게 되면, 회동축(113)을 중심으로 돌출부(112)가 투입장치(107)의 내부로 유입되어짐과동시에 압압부(114)가 회동축(113)을 중심으로 벌어지게 된다.
또한, 투입장치(107)의 하단부에 형성된 절취용돌기가 막(109)과 맞닿아 회전하면서 막(109)을 절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압압부(114)에 의해서 투입장치(107)에 고정되어 있던 가스발생용 금속반응물질(110)이 절취된 막(109)을 통하여 팽창용기(104)에 충전된 전해액에 투입되어 가스가 발생되면서 가스팽창공간(105)이 늘어난다.
이어서 상기 피스톤(103)이 가스의 압력에 의하여 하우징(102)의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윤활유를 주유구(101)로 밀어내면서 하강되어 주유하고자 하는 부분에 윤활유를 소정량씩 지속적으로 주유할 수 있는 장치이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장치는 팽창고무가 팽창할 때 하우징에 걸려져 있던 팽창고무의 걸림부분이 하측으로 만 걸려지는 관계로 팽창압력에 의하여 걸림부위가 이탈되는 경우가 있으며, 가스발생용 금속물질의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이 금속물질이 팽창고무막에 놓여지는 위치에 따라 가스 발생량에 차이가 발생하므로 윤활유의 공급량이 일정하지 못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상기 장치는 한 번 사용한 후에는 재사용이 불가능하므로 산업폐기물의 발생량이 많아질 뿐만 아니라 처리비용이 많이 들게 되며, 적절한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금속반응 물질을 전해액에 공급하는 데 있어, 커버에 결합되는 나사부재를 돌리면 커버에 고정되어 있던 커버고무마개가 나사부재의 가압돌기에 의하여 개방되면서 케이스에 보관된 금속반응물질이 팽창고무막에 저장된 전해액과 반응하여 가스가 발생되어 소모되므로 새로운 금속반응물질을 케이스내에 장입하여 분리된 부분을 조립하기만 하면 본 장치를 재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팽창고무막에 가하여지는 기체압력을 균일하게 하여 윤활유의 공급량을 균일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윤활유 자동주유기의 결합 상태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윤활유 자동주유기의 금속반응물질 투입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윤활유 자동주유기의 분해 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금속반응물질 투입장치 부분을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윤활유 자동주유기의 결합 상태 단면도.
도 6a는 본 고안에 따른 고무마개가 빠지기 전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b는 본 고안에 의해 가스가 발생되어 윤활유가 주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a 및 도 7b는 종래와 본 고안에 따른 금속반응물질이 전해액에 의해 가스를 발생하는 상태를 각각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20 : 피스톤
22 : 피스톤오링 30 : 팽창고무막
32 : 걸림돌기 36 : 가압부
40 : 커버고무마개 50 : 커버
52 : 하측커버오링 56 : 걸림턱부
59 : 상측커버오링 60 : 금속반응물질
62 : 전극 70 : 케이스
72 : 가이드돌기 80 : 나사부재
82 : 작동나사오링 86 : 가이드홈
88 : 가압돌기
이러한 목적은 중심 내부에 저장된 윤활유를 공급하는 토출구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삽입되어 외주면의 피스톤오링으로 윤활유를 가압하도록 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내면에 삽입되어 접촉부분에 반구형상으로 두꺼운 가압부를 형성하고, 양측 모서리에 상,하로 돌출된 걸림돌기를 형성하는 팽창고무막과; 상기 몸체내에 삽입되어 팽창고무막의 걸림돌기가 걸림턱부에 걸려지고 하부 외주면에 하측커버오링이 설치되고 상부 요홈에는 상측커버오링이 설치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하측 입구부 삽입홈에 의하여 삽입 고정되는 커버고무마개와; 상기 커버의 암나사부에 수나사부가 체결되어 상,하로 이동하고 끝단부분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중심저면으로 가압돌기가 형성된 나사부재와; 상기 나사부재의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팽창고무막의 전해액저장부에 저장된 전해액과 반응하여 기체를 발생하는 금속반응물질이 중심부분에 삽입 고정되는케이스로 구성된 윤활유 자동주유기의 재생형 가스발생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윤활유 자동주유기의 분해 상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금속반응물질 투입장치 부분을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윤활유 자동주유기의 결합 상태 단면도이고, 도 6a는 본 고안에 따른 고무마개가 빠지기 전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6b는 본 고안에 의해 가스가 발생되어 윤활유가 주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구성을 살펴 보면, 중심 내부에 저장된 윤활유를 공급하는 토출구(12)가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에 삽입되어 외주면의 피스톤오링(22)으로 윤활유를 가압하도록 하는 피스톤(20)으로 이루어진 윤활유자동주유기에서, 상기 피스톤(20)의 내면에 삽입되어 접촉부분에 반구형상으로 두꺼운 가압부(36)를 형성하고, 양측 모서리에 상,하로 돌출된 걸림돌기(32)를 형성하는 팽창고무막(30)과; 상기 몸체(10)내에 삽입되어 팽창고무막(30)의 걸림돌기(32)가 걸림턱부(56)에 걸려지고 하부 외주면에 하측커버오링(52)이 설치되고 상부 요홈(54)에는 상측커버오링(59)이 설치되는 커버(50)와; 상기 커버(50)의 하측 입구부에 삽입홈(42)에 의하여 삽입 고정되는 커버고무마개(40)와; 상기 커버(50)의 암나사부(58)에 수나사부(84)가 체결되어 상,하로 이동하고 끝단부분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86)이 형성되며 중심저면으로 가압돌기(88)가 형성되고 수나사부(84)의 상부둘레에 작동나사오링(82)이 형성된 나사부재(80)와; 상기 나사부재(80)의 가이드홈(86)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72)가 형성되고, 상기 팽창고무막(30)의 전해액저장부(34)에 저장된 전해액과 반응하여 기체를 발생하는 금속반응물질(60)이 중심부분에 삽입 고정되는 케이스(7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70)에 삽입 고정되는 금속반응물질(60)은 중심부 일측으로 일정길이 인출되는 전극(62)을 형성하도록 하여 금속반응물질(60)이 전해액과 반응할 때 일정하고 균일하게 기포를 발생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팽창고무막(30)의 가압부(36)는 중심부분이 가장 두껍고 양측으로 갈수록 약간 얇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팽창고무막(30)이 기체에 의하여 팽창될 때 피스톤(20)과의 접촉면적이 넓어져서 피스톤(20)을 가압하는 압력이 균일하여 피스톤(20)이 기울어지지 않고 이동하도록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본 고안의 조립 상태를 살펴 보면, 몸체(10)내부에 점성이 아주 강한 윤활유를 주입시키도록 하고, 피스톤오링(22)이 외주면에 설치된 피스톤(20)을 몸체(10)에 삽입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20)상에 팽창고무막(30)을 밀착 고정시키면, 하측의 걸림돌기(32)가 몸체(10)의 하부걸림홈(14)에 걸려지게 된다. 팽창고무막(30)의 전해액저장부(34)에는 전해액이 저장되어진다.
한편, 상기 커버(50)를 팽창고무막(30)에 삽입하게 되면, 팽창고무막(30)의 상측 걸림돌기(32)가 커버(50)의 걸림턱부(56)에 걸려진 상태로 고정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금속반응물질(60)이 삽입되어 있는 케이스(70)를 나사부재(80)의 가이드홈(86)에 삽입 고정시킨 후 수나사부(84)를 커버(50)의 암나사부(58)에 체결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살펴 보면, 몸체(10)의 토출구(12)에 일정하고 균일하게 윤활유가 주유되도록 하기 위하여 나사부재(80)를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여 조여주게 되면, 수나사부(84)가 커버(50)의 암나사부(58)에 체결되면서 하측으로 진입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케이스(70)의 가이드돌기(72)가 커버(50)의 중심 턱부에 걸리면서 하측이동이 저지되면서 케이스(70)의 가이드(72)가 나사부재(80)의 가이드홈(86)을 따라서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나사부재(80)의 가압돌기(88)는 케이스(70)내에 고정된 금속반응물질(60)을 하측으로 밀어주게 되고, 하측으로 밀려지는 금속반응물질(60)이 하부면에 접촉되는 커버고무마개(40)를 하측으로 밀어주면서 커버(40)에서 분리하여 팽창고무막(30)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부재(80)가 커버(50)에 완전하게 결합되어지면, 금속반응물질(60) 역시 팽창고무막(30)의 전해액저장부(34)로 이동됨과 동시에 전해액과 반응하면서 서서히 기포를 발생하게 된다. 이런 금속반응물질(60)의 중심부분에는 전극이 인출되어져 있어서, 전극(62)의 길이에 따라 기체발생량을 조절하도록 한다. 즉, 전극(62)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기포발생량이 적고, 전극(62)의 길이가 길면 기체발생량이 많아지게 하는 등의 조절이 가능하다.
한편, 기체의 발생에 의하여 팽창고무막(30)이 하측으로 팽창하면서, 피스톤(20)을 하측으로 밀어주게 되고, 피스톤(20)이 몸체(10)내의 윤활유를 가압하여 토출구(12)로 서서히 균일하게 기구물의 적소에 윤활유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팽창고무막(30)의 가압부(36)의 중심부의 두께가 더 두꺼우므로 팽창시 피스톤(20)을 눌러주는 압력이 균일하며, 걸림돌기(32)가 상,하측으로 돌출되어 몸체(10)의 하부걸림홈(14)과 커버(50)의 걸림턱부(56)에 동시에 걸려지므로 팽창고무막(30)의 심한 팽창에도 불구하고 고정부위의 이탈이 방지되어진다.
한편, 본 고안은 윤활유의 공급이 모두 이루어진 후에 상기 주요 부분을 분해하여 몸체(10)에 윤활유를 저장하고 팽창고무막(30)에 전해액을 저장하며, 커버(50)에 커버고무마개(40)를 끼워 고정하며, 케이스(70)내에 새로운 금속반응물질(60)을 설치하여서 재조립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a 및 도 7b는 종래 고안과 본 고안에 따른 금속반응물질이 전해액에 의해 가스를 발생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으로서, 종래의 경우에는 도 7a와 같이, 금속반응물질(110)의 중심부분에 전극이 형성되는 경우(독일특허등록 4414672 참조) 또는, 다른 실시예로서, 금속반응물질(110')의 전체부분에 전극이 형성되도록 하여 전해액에 접촉되는 전체 면에서 기체가 발생되도록 하는 경우(일본 특개평 8-81207 참조)의 구성을 갖으므로 금속반응물질(110)(110')이 놓인 위치에 따라 기체발생량이 달라져서 피스톤(103)의 이동량이 일정하지 못하여 윤활유의 공급이 균일하지 못한 반면에, 본 고안의 경우에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반응물질(60)에서 인출되는 전극(62)은 팽창고무막(30)의 바닥면에 놓여지는 위치에 관계 없이 전해액에 모두 노출되므로 기체의 발생량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어 윤활유의 공급이 일정하게 된다.
이때, 본 고안의 금속반응물질(60)에서 인출되는 전극(62)은 끝단부분이 구부려진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직선형으로 형성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윤활유 자동주유기의 재생형 가스발생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커버에 결합되는 나사부재를 돌리면 커버에 고정되어 있던 커버고무마개가 나사부재의 가압돌기에 의하여 개방되면서 케이스에 보관된 금속반응물질이 팽창고무막에 저장된 전해액과 반응하여 가스가 발생되므로 새로운 금속반응물질을 케이스내에 장입하여 분리된 부분을 조립하면 재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폐기물의 발생을 줄여주어 환경오염을 예방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고안인 것이다.
또한, 팽창고무막에 형성된 걸림돌기의 걸림작용이 향상되고, 두께를 다르게 형성한 가압부로 인하여 피스톤의 작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져서 윤활유의 공급이 원활할 뿐 만아니라 금속반응물질이 팽창고무막에 놓여진 방향과 관계 없이 전극으로 인하여 기체의 발생량이 일정하므로 피스톤에 가하는 압력이 균일하여 윤활유의 주유량이 지속적으로 동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점을 지닌다.

Claims (2)

  1. 중심 내부에 저장된 윤활유를 공급하는 토출구(12)가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에 삽입되어 외주면의 피스톤오링(22)으로 윤활유를 가압하도록 하는 피스톤(20)으로 이루어진 윤활유자동주유기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20)의 내면에 삽입되어 접촉부분에 반구형상으로 두꺼운 가압부(36)를 형성하고, 양측 모서리에 상,하로 돌출된 걸림돌기(32)를 형성하는 팽창고무막(30)과;
    상기 몸체(10)내에 삽입되어 팽창고무막(30)의 걸림돌기(32)가 걸림턱부(56)에 걸려지고 하부 외주면에 하측커버오링(52)이 설치되고 상부 요홈(54)에는 상측커버오링(59)이 설치되는 커버(50)와;
    상기 커버(50)의 하측 입구부에 삽입홈(42)에 의하여 삽입 고정되는 커버고무마개(40)와;
    상기 커버(50)의 암나사부(58)에 수나사부(84)가 체결되어 상,하로 이동하고끝단부분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86)이 형성되며 중심저면으로 가압돌기(88)가 형성된 나사부재(80)와;
    상기 나사부재(80)의 가이드홈(86)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72)가 형성되고, 상기 팽창고무막(30)의 전해액저장부(34)에 저장된 전해액과 반응하여 기체를 발생하는 금속반응물질(60)이 중심부분에 삽입 고정되는 케이스(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유 자동주유기의 재생형 가스발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70)에 삽입 고정되는 금속반응물질(60)은 중심부 일측으로 일정길이 인출되는 전극(62)을 형성하고, 이 전극(62)이 인출되는 길이로 기체발생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유 자동주유기의 재생형 가스발생장치.
KR2019980023322U 1998-11-27 1998-11-27 윤활유 자동주유기의 재생형 가스발생장치 KR2002351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3322U KR200235196Y1 (ko) 1998-11-27 1998-11-27 윤활유 자동주유기의 재생형 가스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3322U KR200235196Y1 (ko) 1998-11-27 1998-11-27 윤활유 자동주유기의 재생형 가스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877U KR20000010877U (ko) 2000-06-26
KR200235196Y1 true KR200235196Y1 (ko) 2001-09-25

Family

ID=69504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3322U KR200235196Y1 (ko) 1998-11-27 1998-11-27 윤활유 자동주유기의 재생형 가스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519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877U (ko) 2000-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30731A (en) Lubricator
US3842939A (en) Grease box for dispensing lubricant
FI104400B (fi) Jälkitäytettävä säiliö siveltävän massan, erityisesti liimamassan annostelemiseksi
KR101458248B1 (ko) 윤활제용 카트리지 탱크
US5012897A (en) Device for the continuous supply of liquid or viscous mediums, in particular lubricants
KR200235196Y1 (ko) 윤활유 자동주유기의 재생형 가스발생장치
KR102382012B1 (ko) 플라스틱 스프링이 구비된 펌프형 용기
US5460242A (en) Lubricant dispenser with gas-controlled feed of lubricant to a machine
KR100576192B1 (ko) 스텐실 인쇄 잉크 용기, 스텐실 인쇄 잉크 카트리지, 잉크카트리지 제조 방법 및 잉크 용기용 내부 플러그
JP4693503B2 (ja) グリス用カートリッジタンク及びグリスポンプ装置
PL112487B1 (en) Hand-operated device for applying a fluid lubricant onto the surface of a pipe end
AU736954B2 (en) Double seal system for pressurized writing device
CH614114A5 (en) Refill bottle for liquid soap
KR200217646Y1 (ko) 재충전용 부탄가스통
KR200304569Y1 (ko) 알람기능을 갖는 용기 및 이 용기를 이용한액체손실방지용 용기세트
WO1990004724A1 (en) External lubricant reservoir for joints and bearings
KR200154997Y1 (ko) 윤활유 자동 주유기의 가스발생용 엘레먼트 투입장치
KR950002276Y1 (ko) 재충전이 가능한 1회용 가스용기
KR200201377Y1 (ko) 그리스 주입기
CN214659962U (zh) 牙轮掌自动供油装置
JPH0611856U (ja) 携帯用吐出容器
KR20040025385A (ko) 리필가능한 마카팬
CN112203949B (zh) 涂布容器
KR940004303Y1 (ko) 액체충전기용 급액노즐
JPS5850106Y2 (ja) 十字自在継手の潤滑剤保持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