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5027Y1 - 교각 - Google Patents

교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5027Y1
KR200235027Y1 KR2020000027881U KR20000027881U KR200235027Y1 KR 200235027 Y1 KR200235027 Y1 KR 200235027Y1 KR 2020000027881 U KR2020000027881 U KR 2020000027881U KR 20000027881 U KR20000027881 U KR 20000027881U KR 200235027 Y1 KR200235027 Y1 KR 2002350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r
tendon
repair
pier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78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영엔지니어링
(주)아름드리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영엔지니어링, (주)아름드리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영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000278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50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50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5027Y1/ko

Links

Landscapes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각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텐던(TENDON) 설치를 위한 쉬스(SHEATH)관 구조를 갖춘 교각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교각 시공 후 캔티레버부에 부득이하게 균열이 발생한 경우, 효과적이며 능동적인 보수용 텐던(tendon)을 용이하게 설치,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춘 교각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직립 상태인 교각부(51)의 상면에 거푸집등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지부(50)를 형성하는 교각에 있어서,
상기한 지지부(50) 내부에 수평 설치됨과 아울러 캔틸레버부(A)의 균열 시 이를 보수할 수 있도록 교각보수용 텐던을 설치/삽입할 수 있는 쉬스관(1)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각{A PIER}
본 고안은 교각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텐던(TENDON) 설치를 위한 쉬스(SHEATH)관 구조를 갖춘 교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악지역에 도로를 만들 때에는 터널 공사나 절토, 성토 등의 방식으로 도로를 형성하기보다는 교량을 건설함으로써, 자연환경의 훼손을 최대한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교통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도심 및 도심 주변의 도로망 확충을 위한 여러 가지 방안이 강구되는데, 대표적인 것은 교량 형식의 고가도로를 건설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건설된 교량의 대부분은, 하부구조를 T 형 단면의 교각으로 구성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T 형 교각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의 상판(미 도시)을 받치는 지지부(50)와, 상기한 지지부(50)에서 직립 연장된 교각부(51)와, 상기한 교각부(51)의 저면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받침부(52)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한 지지부(50)를 형성할 때는 교각부(51)에 나무 또는 철제의 거푸집을 형성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킴으로써, 제작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교각의 시공 시 수화열 등에 대한 관리를 철저히 하더라도, 복잡한 철근 배치 등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곤란으로 캔티레버(cantilever)(A)부에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한 균열이 발생하면 외부에서 콘크리트등으로 균열 부분을 보수 보강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T 형 교각을 외부에서 보수 보강하게 되면, 외부 미관이 불량해지며, 도시 고가도로의 경우 상부교통 통제에 의한 불편 및 보수공사기간이 길어지고 외부 보수 보강에 따른 교량 이용자의 심리적 불안감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교각 시공 후 캔티레버부에 부득이하게 균열이 발생한 경우, 효과적이며 능동적인 보수용 텐던(tendon)을 용이하게 설치,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춘 교각을 제공함에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직립 상태인 교각부의 상면에 거푸집등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지부를 형성하는 교각에 있어서,
상기한 지지부에 수평 설치됨과 아울러 캔틸레버부의 균열 시 이를 보수할 수 있도록 교각보수용 텐던을 설치/삽입할 수 있는 쉬스관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쉬스관 구조를 갖춘 교각의 부분 단면도,
도2는 일반적인 교각에서 균열 발생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쉬스관 50: 지지부
51: 교각부 52: 받침부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교각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로서, 교각의 상부를 이루고 있는 지지부(50)에 설치됨과 아울러 수평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쉬스(Sheath)관(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쉬스관(1)은 교각 보수용으로 사용되는 텐던(Tendon)(미 도시)이 삽입되어 지지부(50)를 팽창시킴으로써, 긴장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게 된다.
즉, 상기한 캔틸레버부(A)에 균열이 발생되면, 상기한 쉬스관(1)을 통해 텐던을 삽입함과 동시에 텐던을 팽창시켜 지지부(50)를 긴장시키도록 함으로써, 상기한 균열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쉬스관(1)을 지지부(50)에 관통시키지 않고, 일단에서부터 최대 굽힙응력이 작용하는 즉 교각부(51)와의 연결 부분을 약간 지난 부분까지만 형성하여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는 타단 측에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쉬스관(1)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바, 상기한 쉬스관(1)의 직경은 50mm 내외가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한 교각에는 교량의 상부구조를 지지하는 지지부(50)와, 상기 지지부(50)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교각부(51)와, 상기 교각부(51) 하단에 마련 받침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50)와 상기 교각부(51)는 T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받침부(52)는 지중에 매설되거나 지상에 노출되는 등의 방법으로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교각 시공 시 교각부(51)에 거푸집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한 거푸집 내부에 철근등을 배치하고, 상기한 쉬스관(1)을 수평 방향으로 배치하게 된다.
쉬스(SHEATH)관(1)이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면,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지부(50)를 형성하게 된다.
지지부(50)가 형성되면 교각의 위에 상판을 얹어서 다리를 형성하게 되는 바, 이때 과다한 하중 인가 또는 콘크리트 타설 불량등에 의해 캔틸레버부(A)에 균열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한 쉬스관(1)으로 탠던을 삽입시키게 된다.
탠던을 삽입한 후, 상기한 탠던으로 쉬스관(1) 및 지지부(50)를 긴장(팽창)시켜서 균열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즉, 교각 시공시에 쉬스(SHEATH)관(1)을 설치하면, 균열이 발생할 경우 이미 설치된 쉬스관(1)에 텐던을 삽입함으로써, 균열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신속한 대처로 교량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미리 교각의 지지부에 삽입 설치되어 있는 쉬스관에텐던을 삽입하여 긴장시킴으로써, 교각의 균열 발생 시 보수 작업이 용이하게 됨과 아울러 간단한 작업에 의해 더 이상의 균열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보수 보강 작업을 수행하면 외부 미관의 손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고 상부 교통 통제에 따른 불편을 해소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보수 공사기간이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직립 상태인 교각부의 상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교각에 있어서,
    상기한 지지부 내부에 수평 설치되어 캔틸레버부의 균열 시 이를 보수할 수 있는 교각 보수용 텐던을 설치 및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쉬스관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각.
KR2020000027881U 2000-10-06 2000-10-06 교각 KR2002350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881U KR200235027Y1 (ko) 2000-10-06 2000-10-06 교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881U KR200235027Y1 (ko) 2000-10-06 2000-10-06 교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5027Y1 true KR200235027Y1 (ko) 2001-09-26

Family

ID=73089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7881U KR200235027Y1 (ko) 2000-10-06 2000-10-06 교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502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1464B1 (ko) * 2002-12-03 2005-08-31 노윤근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플리플렉션 h빔 및 이를 이용한t형 교각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1464B1 (ko) * 2002-12-03 2005-08-31 노윤근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플리플렉션 h빔 및 이를 이용한t형 교각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7608B1 (ko) 교각 코핑상면에 블럭아웃을 실시하여 매립한 중공형 철제파이프와 일체로 형성하여 지지력을 갖는 고장력 강봉과조립식 철제 브라켓을 이용한 교량 슬라브 인상공법
KR100892137B1 (ko) 보강이 가능한 횡방향 피에스씨 빔을 이용한 라멘식 지하차도 시공방법
KR100991262B1 (ko) 교량보강 및 경관 증진 방법
KR100840191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강합성 콘크리트 강관을 이용한 교량단면 증설공법
KR100988074B1 (ko) 교대 벽체와 일체화 시공되는 피에스씨 거더교 및 그 시공방법
KR20090098180A (ko) 가도없이 기존교량을 확폭하는 공법
CN108547209B (zh) 一种单孔预制空心板无伸缩缝桥梁及其施工方法
KR100892751B1 (ko) 교량상부구조물 인상 및 회전식 가교 시공에 의한 교량 개보수방법
JPH1060817A (ja) 添設構造体の構築方法
KR200235027Y1 (ko) 교각
KR100500143B1 (ko) 통수단면 확보를 위한 교각의 중공 단면확대 시공방법 및그 구조
CN105863135A (zh) 一种外墙板安装节点
KR101641837B1 (ko) 교량 하부구조물의 단면 증설시 자중 경감을 위한 단면 형성 방법
JP2018178588A (ja) 橋梁の施工方法
CN105971152A (zh) 一种外墙板安装节点
KR20020010175A (ko) 강제 연결장치를 이용한 피에스씨 빔 연속화공법 및 그 장치
KR200329996Y1 (ko) 낙석방지책의 지주 정착구
JP2003138517A (ja) 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多径間連続桁構造物の分割施工により構成された桁部の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KR101027921B1 (ko) 지하 슬래브 콘크리트 및 거더 콘크리트의 균열 방지를 위한 지하구조물 구축방법
KR100466017B1 (ko) 교량의 강상자형 주형보 보강공법 및 그 구조
KR100458046B1 (ko) 합성형 거더교의 중간지점부 연속화 구조
KR20200056827A (ko) 가철탑의 하중 분산장치
KR200217006Y1 (ko) 교량의 접속 슬래브 구조
KR200290739Y1 (ko) 교량 보수를 위한 인상용 잭 받침대
KR102613254B1 (ko) 자립 정착형 엄지 말뚝 및 이를 포함하는 흙막이 가시설의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