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4959Y1 - 이축 나선식 죔쇠 - Google Patents

이축 나선식 죔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4959Y1
KR200234959Y1 KR2020010008941U KR20010008941U KR200234959Y1 KR 200234959 Y1 KR200234959 Y1 KR 200234959Y1 KR 2020010008941 U KR2020010008941 U KR 2020010008941U KR 20010008941 U KR20010008941 U KR 20010008941U KR 200234959 Y1 KR200234959 Y1 KR 2002349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fixing
horizontal connector
lon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89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원
이영호
정의승
박정주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20200100089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49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49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4959Y1/ko

Links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부 고정부가 불안한 대형 가건물 혹은 전시물의 안전을 위해 추가로 안전 케이블로 보강 고정할 때 사용되는 케이블 조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 케이블의 꼬임이 없이 죔 이동거리가 길고 장기 고정으로 인한 나사의 풀림 현상이 없어 대형 구조물의 고정에 적합한 이축 나선식 죔쇠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지면(4)에 설치된 기초 골조부(5)의 하부 힌지부(6)에 연결되는 힌지 연결구(7)와 연결축(7')으로 연결되며 수평 연결구(9)와 조립너트(8')로 길이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단 나선봉(8)과, 상기 수평 연결구(9)의 상측에 위치한 수평 연결구(11)와 고정너트(9', 11')로 연결되는 중앙 나선봉(10)과, 상기 수평 연결구(11)의 중앙에서 조립너트(12')로 연결되며, 안전 케이블(3)이 연결되는 케이블 고정구(13)와 상부 힌지축(13')으로 연결된 상단 나선봉(8)으로 이루어진 이축 나선식 연결장치(1)로 구성시켜 죔 이동거리가 길고 장기간 고정으로 인한 나사부 풀림 현상이 적으며 케이블 발생 장력 조절과 확인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대형 구조물 고정에 적합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축 나선식 죔쇠{Double Axis Screw Turnbuckle}
본 고안은 하부 고정부가 불안한 대형 가건물 혹은 전시물의 안전을 위해 추가로 안전 케이블로 보강 고정할 때 사용되는 케이블 조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 케이블의 꼬임이 없이 죔 이동거리가 길고 장기 고정으로 인한 나사의 풀림 현상이 없어 대형 구조물의 고정에 적합한 이축 나선식 죔쇠에 관한 것이다.
하부 고정부가 불안한 대형 가건물 혹은 전시물의 안전을 위해서 외측으로 여러 개의 금속 와이어 케이블을 연결하고 지면에서 케이블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장치를 설치하여 케이블을 연결하게 된다.
그러나 설치 케이블에 대한 장기간의 하중 부과는 케이블의 길이를 변형(증가)시키거나 케이블 기초부와 피고정물간의 상대 위치 변화로 인한 안전 케이블의 고정력이 떨어진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상대 위치를 유지시켜 주기 위하여 케이블의 적정 고정력으로 조절시키게 된다.
케이블의 적정 고정력으로 조절시키는 경우에는 안전 케이블이 꼬이게 되고, 수축거리가 짧아서 장기 고정시 나사부 풀림 현상이 발생되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중앙 나선봉의 길이를 최대한 길게 하여 수축 거리가 최대한 길게 형성되어 케이블 기초부와 피고정물간의 상대 위치변화로 인한 안전 케이블의 고정 장력이 저하됨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중앙 나선봉과 상, 하부 나선봉이 연결되는 수평연결구에서 이중으로 너트와 고정되도록 하여 장기간 고정으로 인한 나사부의 풀림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너트의 체결 토크 값으로 항상 정확한 케이블 장력을 발생할 수 있으며, 장착력의 수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지면에 설치된 기초 골조부의 하부 힌지부에 연결되는 힌지 연결구와 연결축으로 연결되며 수평 연결구와 조립너트로 길이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단 나선봉과, 상기 수평 연결구의 상측에 위치한 수평 연결구와 고정너트로 연결되는 중앙 나선봉과, 상기 수평 연결구의 중앙에서 조립너트로 연결되며, 안전 케이블이 연결되는 케이블 고정구와 상부 힌지축으로 연결된 상단 나선봉으로 이루어진 이축 나선식 연결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을 피고정물(전시물)에 적용시킨 설치상태도
도 2 는 본 고안을 피고정물(가건물)에 적용시킨 설치상태도
도 3 은 본 고안의 도 2 에 대한 평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측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구성도
도 7 은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8 은 본 고안의 다른 작동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축 나사식 연결장치 2 : 피고정물
3 : 안전 케이블 5 : 기초 골조부
6 : 하부 힌지부 6' : 하부 힌지축
7 : 힌지 연결구 7' ; 연결축
8 : 하단 나선봉 8', 12' : 조립너트
9, 11 : 수평연결구 9', 11': 고정너트
12 : 상단 나선봉 13 : 케이블 고정구
13' : 상부 힌지축
본 고안은 지면(4)의 기초 골조부(5)를 통하여 안정되고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며, 기초 골조부(5)의 상측으로 하부 힌지부(6)가 설치되어 힌지 연결구(7)와 하부 힌지축(6')을 통하여 연결된다.
상기 힌지 연결구(7)의 상측에는 연결축(7')을 축으로 하여 하단 나선봉(8)이 수평연결구(9)의 양측에서 조립너트(8')를 통하여 길이가 조정되도록 연결된다.
상기 수평연결구(9)의 양측에는 중앙 나선봉(10)이 각각 양측에서 고정너트(9')를 통하여 길이가 조정되도록 연결되며, 중앙 나선봉(10)의 상측에는 각각 양측에서 고정너트(11')를 통하여 길이가 조정되도록 수평연결구(11)에 연결된다.
상기 수평연결구(11)의 중앙에는 상단 나선봉(12)의 하측이 조립너트(12')를 통하여 길이가 조정되도록 연결된다.
상기 상단 나선봉(12)의 상측은 케이블 고정구(13)의 상부 힌지축(1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이축 나선식 연결장치(1)를 통하여 안전 케이블(3)이 설치된다.
안전 케이블(3)은 가건물과 같은 피고정물(2)의 상측이나 전시물과 같은 피고정물(2)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피고정물(2)의 상부에 고정되는 안전 케이블(3)이 연결되는 이축 나선식 연결장치(1)를 지면(4)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여 안전 케이블(3)에 적정 장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다.
안전 케이블(3)에 적정 장력이 발생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하단 나선봉(8)을 고정하는 조립너트(8') 또는 상단 나선봉(12)을 고정하는 조립너트(12')를 풀어서 하단 나선봉(8) 또는 상단 나선봉(12)을 회전시키면 수평 연결구(9, 11)에서 회전되면서 도 7 과 같이 거리가 수축되면서 안전 케이블(3)의 적정 장력이 발생되도록 한다.
안전 케이블(3)의 적정 장력이 발생되면 수평 연결구(9, 11)의 양쪽에서 하단 나선봉(8)과 상단 나선봉(12)을 고정시키는 조립너트(8', 11')를 완전 조립하여 풀림이 방지되도록 한다.
또한 안전 케이블(3)의 장력을 조절하는 경우에는 조립너트(8', 12')를 풀어서 하단 나선봉(8) 또는 상단 나선봉(12)을 이동시켜 적정 장력으로 재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하단 나선봉(8)과 상단 나선봉(12)을 이용하여 도 7 과 같이 안전 케이블(3)의 적정 장력을 유지할 수 없는 경우에는 중앙 나선봉(10)이 고정된 수평 연결구(9, 11)의 양측에 설치된 고정너트(9', 11')중 안쪽너트를 풀어 주고 외측너트를 조여가면서 안전 케이블(3)에 장력이 발생될 때까지 도 8 과 같이 중앙 나선봉(10)의 길이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중앙 나선봉(10)의 길이를 제어하여 안전 케이블(3)의 적정 장력이 유지되는 경우에는 양쪽의 고정너트(9', 11')를 완전하게 조립하여 나사부의 풀림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축 나선식 연결장치(1)를 이용하여 이중으로 안전 케이블(3)의 장력을 조절하는 이유는 죔 과정에서 안전 케이블(3)의 꼬임을 방지하여 안전 케이블(3)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이축 나사식 연결장치(1)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에 설명한 안전 케이블(3)의 장력을 조절하는 순서의 역순으로 진행하면 된다.
하단 나선봉(8)과 상단 나선봉(12) 및 중앙 나선봉(10)에 의해서 안전 케이블(3)을 조이는 이동거리 즉, 수축 거리가 매우 길고, 장기 고정으로 인한 나사부의 풀림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 6 의 최대 장착거리와 도 8 의 최소 장착거리의 차이가 최대 수축 행정 거리가 된다.
본 고안은 중앙 나선봉의 길이를 최대한 길게 하여 수축 거리가 최대한 길게 형성되어 케이블 기초부와 피고정물간의 상대 위치변화로 인한 안전 케이블의 고정 장력이 저하됨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중앙 나선봉과 상,하부 나선봉이 연결되는 수평연결구에서 이중으로 너트와 고정되도록 하여 장기간 고정으로 인한 나사부의 풀림 현상을 방지하여 케이블의 장력을 장기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너트의 체결 토크 값으로 항상 정확한 케이블 장력을 발생할 수 있으며, 장착력의 수시 확인이 가능하여 안정되고 정확한 설치상태를 유지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용의 단축 죔쇠의 사용이 어려운 부피가 큰 가건물이나 대형 전시물 고정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며, 피고정물 고정 용량에 맞게끔 설계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2)

  1. 안전 케이블(3)을 통하여 피고정물(2)을 안전하게 고정함에 있어서,
    지면(4)에 설치된 기초 골조부(5)의 하부 힌지부(6)에 연결되는 힌지 연결구(7)와 연결축(7')으로 연결되며 수평 연결구(9)와 조립너트(8')로 길이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단 나선봉(8)과,
    상기 수평 연결구(9)의 상측에 위치한 수평 연결구(11)와 고정너트(9', 11')로 연결되는 중앙 나선봉(10)과,
    상기 수평 연결구(11)의 중앙에서 조립너트(12')로 연결되며, 안전 케이블(3)이 연결되는 케이블 고정구(13)와 상부 힌지축(13')으로 연결된 상단 나선봉(8)으로 이루어진 이축 나선식 연결장치(1)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 나선식 죔쇠.
  2. 제1항에 있어서, 수평 연결구(9, 11)와 연결되는 중앙 나선봉(10)이 양측 2곳에서 고정너트(9', 11')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 나선식 죔쇠.
KR2020010008941U 2001-03-30 2001-03-30 이축 나선식 죔쇠 KR2002349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8941U KR200234959Y1 (ko) 2001-03-30 2001-03-30 이축 나선식 죔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8941U KR200234959Y1 (ko) 2001-03-30 2001-03-30 이축 나선식 죔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4959Y1 true KR200234959Y1 (ko) 2001-10-10

Family

ID=73098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8941U KR200234959Y1 (ko) 2001-03-30 2001-03-30 이축 나선식 죔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495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3425B1 (en) Mounting bracket
SK144995A3 (en) Arrangement of joint
KR200234959Y1 (ko) 이축 나선식 죔쇠
KR101414219B1 (ko) 케이블 교량용 고정밀 케이블 고정장치
JP2002227421A (ja) ターンバックル型のワイヤ緊張装置
KR200216404Y1 (ko) 상품진열용 폴
CN214996580U (zh) 一种可调节的电子围栏安装架
JP2002070226A (ja) 束 体
CN218347033U (zh) 一种用于安装的拉线杆
GB2185283A (en) Tension clamp
JPH10115350A (ja) ロープ張設金具及びロープ張設方法
JPH08100520A (ja) 足場つなぎ構造
KR200318395Y1 (ko) 교각의 우각부를 이용한 구조물 설치용 클램프
KR200351538Y1 (ko) 인장케이블 턴버클 유니트
CN109555768B (zh) 一种医用连接轴的辅助紧固装置
JPH07298465A (ja) 電線の固定方法
JPH0411064Y2 (ko)
KR100537909B1 (ko) 교각의 우각부를 이용한 구조물 설치용 클램프
JPH0312009Y2 (ko)
US10358839B1 (en) Cross-bracing arrangement for structures
JP2516285Y2 (ja) ジャンパ装置
JPH0624331U (ja) 立上がり管の電柱への留め金物
JPH0237226Y2 (ko)
GB2289906A (en) Connecting posts (e.g.windposts) to walls
KR19980068522U (ko) 철근연결금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