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4738Y1 - 전동식백밀러 - Google Patents

전동식백밀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4738Y1
KR200234738Y1 KR2019980016504U KR19980016504U KR200234738Y1 KR 200234738 Y1 KR200234738 Y1 KR 200234738Y1 KR 2019980016504 U KR2019980016504 U KR 2019980016504U KR 19980016504 U KR19980016504 U KR 19980016504U KR 200234738 Y1 KR200234738 Y1 KR 2002347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 mirror
cam portion
gear groove
mirror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65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5692U (ko
Inventor
윤완중
Original Assignee
윤완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완중 filed Critical 윤완중
Priority to KR20199800165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4738Y1/ko
Publication of KR200000056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56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47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4738Y1/ko

Links

Landscapes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동식 백밀러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하나의 구동수단을 사용하여 백밀러를 용이하고 조절할수 있도록 한 백밀러를 제공하는 것이며, 내부에 삽입부(2)가 형성되어 중심측 일단에는 고정편(3)아 마련된 백밀러본체(1)와, 상기 삽입부(2)의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일측의 선던에는 경사진 캠부(7)가 형성되고 외주 측면에는 랙형상의 기어홈(8)이 마련된 회동구(6)와, 상기 기어홈(8)과 맞물리는 피니언(5)을 회동시킬수 있도록 상기 삽입부(2)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4)와 상기 캠부(7)와 맞물려 기울어져 설치되는 조절구(11)에 연결 형성된백밀러(12)와, 상기 조절구(11)의 내부에 삽입되어 회동되는 회전볼(10)과 상기 고정편(3)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조절구(11)와 캠부를 밀찯시킬수 있도록 스프링(9)이 구비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전동식 백밀러
본 고안은 차량의 후방을 확인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백밀러에 관한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구동수단으로서 백밀러를 조절할수 있도록 한 전동식 백밀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백밀러는 차량의 실내외에 설치하여 차량의 주행이나 후진시에 차량의 후방상태를 쉽게 확인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서, 운전자의 신체조건등에 맞추어 조정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백밀러는 수동적으로 조절하는 것과 구동수단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있는데, 수동식은 백밀러를 조절하기 위해서 조절자와 확인자가 필요하고, 차량의 주행시에는 쉽게 조절하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구동수단에 의해 동작되는 자동식은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을 각각 별도로 조절하도록 2개의 구동부를 구성함으로 인해 백밀러의 구성이 복잡하게 되어 이를 제작하는 제조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하나의 구동수단을 사용하여 백밀러를 용이하고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전동식 전동식 백밀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백밀러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도식 백밀러의 동작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설명>
1 : 백밀러 본체 2 : 삽입부
3 : 고정편 4 : 구동모터
5 : 피니언 6 : 회동구
7 : 캠부 8 : 기어홈
9 : 스프링 10 : 회전볼
11 : 조절구 12 : 백밀러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전동식 백밀러는, 내부에 삽입부가 형성되며 중심측 일단에는 고정편이 마련된 백밀러 본체와 상기 삽입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일측 선단에는 경사진 캠부가 형성되고 외주 측면에는 랙형상 기어홈이 마련된 회동구와, 상기 기어홈과 맞물리는 피니언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삽입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캠부와 맞물려 기울어져 설치되는 조절구에 연결 형성된 백밀러와 상기 조절구의 내부에 삽입되어 회동되는 회전볼과 상기 고정편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조절구와 캠부를 밀착시킬 수 있도록 스프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백밀러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동식 백밀러의 동작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측으로 개구 형성된 백밀러 본체(1)의 내부에는 상측의 지름이 하측에 비해 크게 형성되어 그 사이에 단자가 형성된 삽입부(2)가 마련되고, 이 삽입부(2)의 하측 중앙에는 고정편(3)이 설치된다. 그리고, 삽입부(2)의 내부에는 그 끝단에 피니언(5)이 마련된 구동모터(4)가 설치되는데, 이때 구동모터(4)는 삽입부(2)의 중심측에서 약간 비켜난 위치에 마련되며 삽입부(2)의 개구형성된 방향과 그 내부의 축이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또,삽입부(2)의 중심에는 단차와 맞물릴수 있도록 하부면에 단차가 형성되어 회전 가능하게 회동구(6)가 마련되는데, 이 회동구(6)는 중공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외주 측면에는 구동모터(4)의 피니언(5)과 맞물릴수 있도록 랙형상의 기어홈(8)이 반원형으로 함몰형성된다. 한편, 회동구(6)의 상부에는 경사진 캠부(7)가 마련되고, 이 캠프(7)의 상측으로는 캠부(7)와 밀착될수 있도록 조절구(11)가 마련되는데, 이 조절구(11)는 그 상측부에 백밀러(12)가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외부형상이 좌,우대칭으로 마련되어 캠부(7)와 밀착됨으로 인해 기울어져 설치되고, 이로 인해 백밀러(12)는 기울어지게 된다. 이때 백밀러(12)는 백밀러 본체(1)의 미도시된 부분에 이해 반경방향으로 는 회전되지 못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조절구(11)의 내부는 상측이 라운딩형성되고, 하측이 원통형으로 연결 형성되는데, 그 내부에는 이에 대응되도록 회전볼(10)이 설치된다. 이때 회전볼(10)은 상부가 조절구(11)의 내부에서 회동되도록 이와 유사하게 마련되고, 하측은 조정구(11)와의 사이에 유격이 형성되도록 이보다 작은 지름으로 마련된다. 아울러, 회전볼(10)과 고정편(3)의 사이에는 스프링(9)이 설치되는데, 이로인해 그 사이의 조절구(11)와 회동구(6)는 항상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회동구(6)는 삽입부(2)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전동식 백밀러는, 백밀러(12)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백밀러 본체(1)의 삽입부(2)에 설치된 구동모터(4)를 구동시키게 되는데, 이때 피니언(5)이 회전되면서 랙형상으로 마련된 기어홈(8)과 맞물려 회동구(6)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로써 회동구(6)의 상측에 형성된 캠부(7)가 스프링(9)의 탄력을 받으면서 캠부(7)에 밀착된 조절구(11)를 승하강 시키게 되는데, 이로인해 조절구(11)에 연결된 백미러(12)가 조절되는 것이다. 즉,경사진 캠부(7)의 높은 축과 마주하는 조절부(11)의 일측부분은 승강하고, 낮은측과 마주하는 타측부분은 하강하여 백미러(12)의 위치를 조절시키게 되는것이다. 그리고 백밀러(12)가 원하는 위치로 조절되면 구동모터(4)를 정지시켜 회동구(6)와 조절구(11)와 백밀러(12)를 정지시킴으로써 백밀러(12)의 조절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백밀러는, 하나의 구동수단인 구동모터를 동작시킴으로써, 이에 연결된 회동구와, 조절구를 통해 백밀러가 조절되므로, 그 구성이 간단해져, 이를 조립하는 공정이 용이해지고, 제조하는 비용이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내부에 삽입부(2)가 형성되며 중심측 일단에는 고정편(3)이 마련된 백밀러본체(1)와, 상기 삽입부(2)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일측 선단에는 경사진 캠부(7)가 형성되고 외주 측면에는 랙형상의 기어홈(8)이 마련된 회동구(6)와, 상기 기어홈(8)과 맞물리는 피니언(5)을 회동시킬수 있도록 상기 삽입부(2)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4)와, 상기 캠부(7)와 맞물려 기울어져 설치되는 조절구(11)에 연결형성된 백밀러(12)와, 상기 조절구(11)의 내부에 삽입되어 회동되는 회전볼(10)과 상기 고정편(3)의 사이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조절구(11)와 캠부를 밀착시킬수 있도록 스프링(9)이 구비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백밀러.
KR2019980016504U 1998-09-01 1998-09-01 전동식백밀러 KR2002347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6504U KR200234738Y1 (ko) 1998-09-01 1998-09-01 전동식백밀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6504U KR200234738Y1 (ko) 1998-09-01 1998-09-01 전동식백밀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692U KR20000005692U (ko) 2000-04-06
KR200234738Y1 true KR200234738Y1 (ko) 2001-10-25

Family

ID=69520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6504U KR200234738Y1 (ko) 1998-09-01 1998-09-01 전동식백밀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473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692U (ko) 2000-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28572B2 (ko)
US20020130241A1 (en) Mirror device for vehicle
GB2589190A (en) Combined actuator for mirror folding and lifting, rear view device and vehicle
JPH03503040A (ja) 自動車用の前照灯
US6490942B1 (en) Spindle drive having encased spindle nut with break-free moment reducing opposite end collars
KR200234738Y1 (ko) 전동식백밀러
JP3592508B2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光軸調整装置及び移動範囲設定方法
EP0269081B1 (en) Supporting device of a mirror element for a rearview mirror
US4916589A (en) Mounting structure for automobile lamp
US4824232A (en) Drive system with resilient yieldable biased actuator shaft for electric rear view mirror
US20050152053A1 (en) Vehicle mirror apparatus
KR960003459Y1 (ko) 차량용 아웃사이드 백밀러(Out Side Back Mirror)의 경사각 조정장치
JPS62134348A (ja) 自動車用電動式ドア−ミラ−
CN217503792U (zh) 一种球形出风口翻转机构
KR200301926Y1 (ko) 자동차 조향축의 전동식 틸팅기구용 틸트스크류의 볼시트 구조
JP3988716B2 (ja) 車両用電動格納装置
JP4420550B2 (ja) 小型モータ
KR200223461Y1 (ko) 차량용 도어록 액츄에이터
JP2004523416A (ja) 特に自動車ミラーを取り付けるための支持体板のためのモータ駆動式の旋回装置
KR0149351B1 (ko) 자동차의 파워 도어미러
JPH057077Y2 (ko)
KR20070058872A (ko) 리어와이퍼 구동장치
KR100380364B1 (ko) 자동차의 선바이저 회전력 조절장치
JPH0523413Y2 (ko)
JP4002650B2 (ja) 前照灯の照射角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