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4535Y1 - 슬라이드식 도어 개폐 완충기 - Google Patents

슬라이드식 도어 개폐 완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4535Y1
KR200234535Y1 KR2020010004808U KR20010004808U KR200234535Y1 KR 200234535 Y1 KR200234535 Y1 KR 200234535Y1 KR 2020010004808 U KR2020010004808 U KR 2020010004808U KR 20010004808 U KR20010004808 U KR 20010004808U KR 200234535 Y1 KR200234535 Y1 KR 2002345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oor
shaft
pist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48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텍
Priority to KR20200100048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45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45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4535Y1/ko

Link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슬라이드식 도어 개폐 완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도어와 도어 프레임간에 설치되며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 축방향을 따라 삽입되며 외면에 나사부를 갖는 샤프트와 상기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피스톤과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따른 피스톤 이동시 탄성 복원력을 발생하는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되어 도어의 자동 개폐를 이루도록 하는 도어 개폐 완충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고정되어 도어틀에 고정될 수 있도록 절곡된 고정브래킷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내에서 상기 고정브래킷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샤프트의 상단에, 상기 하우징내의 완충수단에 의해 탄발력을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도어에 슬라이드 지지되도록 회전로울러를 갖는 회동아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같은 본 고안은, 도어의 개폐시 도어에 슬라이드 접촉되는 회동아암에 의해 도어가 탄발력 및 완충력을 제공받아 자동으로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유압 완충력이 제공되지 않는 종래의 도어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슬라이드식 도어 개폐 완충기{SLIDE TYPE DOOR OPEN & CLOSE DAMPER}
본 고안은 슬라이드식 도어 개폐 완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 몸체가 도어틀에 고정되고 회동아암이 도어에 슬라이드 접촉되어 도어의 개폐시 탄발력 및 유압력을 제공하여 도어의 자동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슬라이드식 도어 개폐 완충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출입구 등에 설치된 도어는 개폐 완충 수단을 구비하며, 이는 도어 개폐시 적절한 개폐 속도를 유지시킴으로써 급작스런 도어 개폐로 인한 안전 사고를 방지할 뿐 아니라, 도어 열림 후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게 하는 기능을 가진다.
종래 도어 개폐 완충 수단의 실시예로서 국내에 공개된 바 있는 특허공개번호 제99-81808호 '도어용 힌지'에는, '한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유압조절바디를 형성하고 중앙에 힌지축을 축설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상부에 끼워지는 캡형상의 연결구와, 도어의 상단면에 체결되면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도어 취부판과, 연결구에 나사 결합되면서 너트로 체결 고정되고 도어프레임에 고정되는 도어프레임 취부판과, 하우징에 축설되면서 연결구에 끼워져 도어프레임에 고정되고 피스톤을 승하강시키는 힌지축과, 힌지축을 따라 승하강되면서 하우징의 회동에 의하여 유체가 충진된 실린더실에서 승하강되고 첵크밸브기능을 갖는 피스톤과, 피스톤의 하방에 스프링을 개재하여 탄력성을 가하도록 하고, 하단에는 캡을 체결함과, 유압조절바디에 설치되어 통로 및 유로를 통해 순환되는 유체를 제어하는 조절밸브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힌지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도어 개폐 완충 수단은 도어와 도어 프레임간의 규격 차이에 의해 고정판과 회전판 사이에 간극이 발생할 경우 이를 보정할 수단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샤프트와 하우징 내부 요소간의 큰 마찰력 발생으로 인해 일정 탄성계수 이상의 스프링만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어와 도어 프레임간의 규격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고정판과 회전판 사이의 간극 조절이 가능하며, 내부 구성 요소간의 마찰력을 해소하여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킴과 동시에 고유 탄성계수에 구애됨이 없이 다양한 스프링을 적용할 수 있는 도어 개폐 완충 장치가 본원 출원인에 의해 특허 출원번호 제2001-2593호로 출원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한 도어 개폐 완충장치도 반듯이 도어와 도어틀에 고정된 상태에서 도어 회전시 탄발력 및 유압력을 제공하여 도어의 개폐가 용이하도록 한 것으로 통상 사용되고 있는 도어에 설치시에는 반듯이 종래의 도어 완충기 또는 경첩등을 해체시킨 후 새롭게 설치하여야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몸체가 도어틀에 고정되고 회동 아암이 도어에 슬라이드 접촉되어 도어의 개폐시 도어에 슬라이드 접촉되는 아암에 의해 도어가 탄발력 및 완충력을 제공받아 자동으로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드식 도어 개폐 완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1의 평면 사용상태도,
도 4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0 : 고정 홀더 140 : 회동아암
150 : 하부 홀더 160 : 고정브래킷
170 : 상부링 220 : 샤프트
240 : 볼 베어링 250 : 하부링
260 : 스프링 310 : 슬라이더
320 : 피스톤 350 : 캡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도어와 도어 프레임간에 설치되며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 축방향을 따라 삽입되며 외면에 나사부를 갖는 샤프트와 상기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피스톤과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따른 피스톤 이동시 탄성 복원력을 발생하는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되어 도어의 자동 개폐를 이루도록 하는 도어 개폐 완충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고정되어 도어틀에 고정될 수 있도록 절곡된 고정브래킷과; 상기 하우징내에서 상기 고정브래킷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샤프트의 상단에, 상기 하우징내의 완충수단에 의해 탄발력을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도어에 슬라이드 지지되도록 회전로울러를 갖는 회동아암;을 포함하여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면에 따라, 상기 고정브래킷의 상면에 핀삽입홈을 형성하고, 이에 슬라이드 접하는 상기 회동아암의 일측에 외측으로 개방된 핀삽입홈을 형성하여 상기 핀홀에 핀 고정시 핀삽입홈이 밀착되어 회동아암의 회전력이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더욱 포함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완충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완충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를 평면으로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질한 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은, 도어틀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160)과, 일단부가 상기 고정브래킷(160)의 상면에 슬라이드 접촉되고 타단부가 도어에 슬라이드 지지되는 회동아암(140)과, 상기 고정브래킷(160)의 저부에 고정되어 상기 회동아암(140)의 회전시 유압 완충력을 제공하는 완충수단(100)을 포함한다.
상기 완충수단(100)은, 고정 홀더(120), 하부 홀더(150), 상부링(170), 하우징(210), 샤프트(220), 부싱(230), 볼 베어링(240), 하부링(250), 스프링(260), 상부 스프링캡(270), 하부 스프링캡(280), 슬라이더(310), 피스톤(320), 체크 밸브(330), 실린더(340), 캡(350), 유압 조절나사(360) 및 필터(37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브래킷(160)은, 절곡형상을 취하며 일단부는 도어틀에 고정될 수 있도록 보올트홀(162)이 복수개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하부 홀더(150)가 삽입되어 회전이 방지되며 안착되도록 각형홀(164)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 홀더(150)는 상기 샤프트(220)의 회전을 안내함과 동시에 하우징(210)을 고정브래킷(160)에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이며, 이는 상면이 상기 회동아암(140)의 일면과 밀착되는 원판부(152)와, 상기 원판부(152)에서 하향으로 연장 형성한 각형 바디(154) 및 상기 원판부(152)와 각형 바디(154)를 관통하는 하부홀더홀(156)을 가진다. 상기 하부 홀더(150)의 외주면 양측에는 각각 결합홀(158)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원판부(152)의 상면에는 핀(400)이 소정폭 끼움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향으로 개방된 핀삽입홀(153)이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 회동아암(140)은, 일단 저부에 상기 샤프트(220)의 상단에 제공되는 각형로드(222)가 소정폭 삽입되어 회전이 방지되도록 각형홈(142)이 형성되고, 상기 각형홈(142)의 상측벽에는 상기 고정 홀더(120)가 삽입되어 상기 샤프트(220)의 상단을 체결하도록 관통홀(144)이 형성된다. 그리고 타단부에는 회전로울러(146)가 록킹볼트(148)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도어의 표면에 밀착시 슬라이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동아암(140)의 일단부 외측에는 각각 양쪽으로 외향 개방된 반원의 핀삽입홈(145)이 형성된다. 이는 상기 하부 홀더(150)의 원판부(152)에 형성된 핀삽입홀(153)에 핀(400) 고정시 핀(400)에 의해 완충 복원력을 갖는 상기 회동아암(140)의 회전이 억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 부호 149는 상기 회전로울러(146)의 마찰력 방지를 위해 제공되는 슬립링이다.
상기 고정 홀더(120)는 상기 회동아암(140)의 관통홀(144)을 통과하여 상기 샤프트(220)의 상단에 형성된 탭핑홈(221)에 고정되어 상기 샤프트(220)와 회동아암(140)를 일체형으로 연결하는 수단이며, 통상의 보올트 형상을 취한다.
상기 상부링(170)은 하부 홀더(150)와 하우징(210)을 연결하는 수단이다. 상기 상부링(170)은 상면에 상기 하부 홀더(150)의 각형 바디(154) 단부가 삽입되는 각형홈(172)을 형성하고, 하부 외주면에는 하우징(210)의 링 나사홈(212)에 결합되는 나사부(174)를 형성한다. 상기 상부링(170)은 상부 외주면에 나사홀(176)을 구비한다. 상기 상부링(170)의 나사부 상측에는 오-링을 장착한다.
상기 하우징(210)은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른 도어 개폐 완충 장치의 몸체가 되는 부분이다. 상기 하우징(210)은 내주면 상단에 형성한 링 나사홈(212)과, 상기 링 나사홈(212)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하향 형성한 가이드 레일(214) 및 내주면 하단에 형성한 캡 나사홈(216)을 가진다. 또한, 상기 하우징(210)은 외주면 상단에 상호 대향된 방향에 한 쌍의 체결홀(218)을 가진다. 상기 하우징(210)은 가이드 레일(214)이 형성된 내주면 상단과, 가이드 레일이 없는 내주면 하단 부분이 상호 단차지게 형성되며, 이와 같은 단차 부분으로 인해 도어 회전시 슬라이더(310)의 상승이 구속된다. 상기 하우징(210)은 고정브래킷(160)과 고정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샤프트(220)는 하우징(210)에 내장되어 회동아암(140)의 회전시 슬라이더(310)와 피스톤(320)을 승하강시킨다. 상기 샤프트(220)는 상면에 상기 고정홀더(120)의 단부와 결합되는 탭핑홈(221)을 가진 각형 로드(222)와, 상기 각형 로드(222)의 하단에 형성한 칼라(224)와, 상기 칼라(224)의 하단에 형성한 원형 로드(226)와, 상기 원형 로드(226)의 하단에 연장 형성한 나사 로드(228)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220)는 상기 하우징(210)과 연동되지 않고 상기 회동아암(140)의 회전에 의해서만 회전하게 된다.
상기 부싱(230)은 상부링(170)과 샤프트(220) 사이의 직접적인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부싱(230)은 샤프트(220)의 칼라(224) 상부와 상부링(170) 사이에 삽입 설치된다.
상기 볼 베어링(240)은 샤프트(220)와 하우징(210) 내부의 하부링(250)간의 마찰을 줄이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고안의 주요 특징부이다. 상기 볼 베어링(240)은 하부링(250) 안에 끼워진 상태로 샤프트(220)의 칼라(224) 하측에 설치된다. 상기 볼 베어링(240)은 도어 열림시 스프링(260)과 피스톤(320)의 비틀림 작용에 의해 가장 큰 마찰력이 발생하는 부분인 샤프트(220)와 하부링(250) 사이에 설치되어 마찰 요소간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해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종래 도어 완충기에 사용되던 스프링은 하우징 회전시 발생하는 하우징의 하부링과 샤프트간의 마찰력으로 인해 일정 값 이상의 탄성계수를 가진 것만 사용할 수 있었으나, 본 고안의 도어 개폐 완충 장치에서는 상기 볼 베어링(240)이 하우징(210)의 하부링(250)과 샤프트(220)간의 마찰력을 줄여줌으로 인해 탄성계수에 구애됨이 없이 다양한 스프링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하부링(250)은 볼 베어링(240)을 지지하며, 상기 하우징(210)의 링 나사홈(212)에 결합된다. 상기 하부링(250)은 상면이 상부링(170)의 밑면과 접한다.
상기 스프링(260)은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수단이다. 상기 스프링(260)은 하우징(210)의 하부링(250) 아래에 삽입된다. 상기스프링(260)은 도어 열림시 피스톤(320)에 의해 압축됨으로써 탄성 에너지를 축적하고 있다가, 도어를 여는 힘이 제거되고나면 자동으로 도어가 닫힐 수 있도록 축적된 탄성 에너지를 제공한다.
상기 상부 스프링캡(270) 및 하부 스프링캡(280)은 각각 스프링(260)의 상단과 하단에 결합된다. 상기 상부 스프링캡(270) 및 하부 스프링캡(280)은 스프링(26)과 스프링(26) 상하단에 위치한 구성 부품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막는다.
상기 슬라이더(310)는 하우징(210)의 가이드 레일(214)을 타고 하우징(210)의 내주면을 상하 이동하는 수단이다. 상기 슬라이더(310)는 하우징(210)의 가이드 레일(214)에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형성한 외부 가이드 돌기(312)와, 내주면에 형성하여 피스톤(320)의 슬라이더 가이드홈(321)에 삽입되는 내부 가이드 돌기(314)를 가진 링형 부재이다. 상기 슬라이더(310)는 샤프트(220)의 회전시 피스톤(320)의 이동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상기 피스톤(320)은 샤프트(220)의 회전시 연동하여 하우징(210) 내에서 승하강하는 수단이다. 상기 피스톤(320)은 상기 슬라이더(310)의 내부 가이드 돌기(314)가 삽입되는 슬라이더 가이드홈(321)이 외주면에 형성된 소경부(322)와, 상기 소경부(322)의 하단에 연장 형성한 대경부(324)와, 상기 소경부(322)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샤프트(220)의 나사 로드(228)가 결합되는 샤프트 결합부(326)를 가진다. 상기 대경부(324)의 일측 외주면에는 작동유홈(325)이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 결합부(326)는 대경부(324)와 일체로 제작하기가 곤란할 경우, 별도로 제작한 후 결합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상기 피스톤(320)은 도어를 개방함에따른 샤프트(220) 회전시 상승하여 스프링(260)을 압축시키고, 도어가 닫힐 때 하강하여 스프링(260)의 압축을 해제한다.
상기 체크 밸브(330)는 상기 피스톤(3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작동유의 역류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체크 밸브(330)는 작동유의 역류를 차단하기 위한 볼(332)을 구비하며, 도어가 닫힐 때 상기 볼(332)이 체크 밸브(330)를 통해 작동유가 역류하는 것을 막음으로써 댐핑 작용이 일어나게 한다.
상기 실린더(340)는 상기 피스톤(32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피스톤(320)의 상하 이동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210)의 내주면과 접한다. 상기 실린더(340)의 내벽은 압축, 인발, 코팅 과정을 거쳐 제조함으로써, 별도의 패킹없이도 피스톤(320)과의 기밀이 유지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340)는 상측내경보다 하측내경이 소정폭 크게 형성시켜 상기 피스톤(320)의 하강시 일정위치에서 즉, 도어의 닫힘위치에서 오일이 작동유홈(325)을 통해 빠르게 통과되어 도어의 닫힘력을 가속시킴은 물론 유압력이 도어의 닫힘시까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캡(350)은 하우징(210)의 하단을 밀봉하는 수단이다. 상기 캡(350)은 실린더(340)의 하단을 지지하며, 상기 하우징(210) 하단의 캡 나사홈(216)에 결합된다. 상기 캡(350)은 내부에 유압 조절홀(352) 및 작동유 배출홀(354)을 가진다. 상기 캡(350)은 작동유의 누설을 막기 위해 상하 적소에 오-링(356)을 구비한다. 응용예에 따라서는 상기 캡(350)을 회전시킴으로써 도어의 개폐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유압 조절나사(360)는 캡(350)의 유압 조절홀(352)에 결합된다. 상기 유압 조절나사(360)는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의해 작동유로의 단면적을 변경함으로써 작동유에 의한 내부 유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작동유는 하우징(210) 내부의 스프링(260) 설치 부분, 피스톤(320) 내부, 캡(350)의 유압 조절홀(352) 및 작동유 배출홀(354), 피스톤(320) 외벽을 통해 순환된다.
상기 필터(370)는 상기 유압 조절홀(352)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필터(370)는 체크 밸브(330)를 통과하여 캡(350)으로 이송되는 작동유의 불순물을 걸러냄으로써 작동유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식 도어 개폐 완충기의 조립 과정 및 작동상태를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립시에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샤프트(220)에 상부링(170), 부싱(230), 볼 베어링(240), 하부링(250), 상부 스프링캡(270), 스프링(260) 및 하부 스프링캡(280)을 삽입하고, 이를 상기 하우징(210) 내에 장착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310), 체크 밸브가 장착된 피스톤(320), 실린더(340)를 상호 결합한 후 하우징(210) 내에 장착하고, 상기 캡(350)을 하우징(210)의 캡 나사홈(216)에 결합한다. 이어 상기 하부 홀더(150)를 상기 고정브래킷(160)의 각형홈(164)에 삽입하고, 상기 하우징(210)을 상기 하부 홀더(150)와 결합시킨 후, 상기 하부 홀더(150)의 결합홀(158), 상부링(170)의 나사홀(176), 하우징(210)의 체결홀(218)을 통해 볼트를 체결한다. 연속해서 상기 샤프트(220)의 상단과 회동아암(140)의 단부를 결합시킨 후 고정 홀더(120)로 상기 회동아암(140)과 샤프트(220)를 일체형으로 결합시킨다.
이후, 하우징(210)에 대해 회동아암(140)를 억지 회전시킨 후 핀(400)을 하부 홀더(150)의 핀삽입홀(153)에 고정시키게 되면 조립이 완료된다.
사용시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고정브래킷(150)을 도어틀에 결합시킨 후 핀(400)을 제거한다. 그러면 회동아암(140)이 완충수단(110)에 의해 탄발력을 가지며 도어의 표면에 밀착되며, 이때 도어를 개폐시키게 되면 회동아암(140)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동아암(140)은 완충수단(110)에 의해 유압 완충력을 가지며 도어를 자동 개폐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식 도어 개폐 완충기는 하우징이 결합된 고정브래킷이 도어틀에 고정되고 회전로울러에 의해 도어에 슬라이드 밀착 지지되는 회동아암의 일단이 하우징내의 샤프트에 고정되어 도어의 개폐시 도어에 슬라이드 접촉되는 회동아암에 의해 도어가 탄발력 및 완충력을 제공받아 자동으로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유압 완충력이 제공되지 않는 종래의 도어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도어와 도어 프레임간에 설치되며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 축방향을 따라 삽입되며 외면에 나사부를 갖는 샤프트와 상기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피스톤과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따른 피스톤 이동시 탄성 복원력을 발생하는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되어 도어의 자동 개폐를 이루도록 하는 도어 개폐 완충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고정되어 도어틀에 고정될 수 있도록 절곡된 고정브래킷과;
    상기 하우징내에서 상기 고정브래킷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샤프트의 상단에, 상기 하우징내의 완충수단에 의해 탄발력을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도어에 슬라이드 지지되도록 회전로울러를 갖는 회동아암;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도어 개폐 완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래킷의 상면에 핀삽입홀을 형성하고, 이에 슬라이드 접하는 상기 회동아암의 일측에 외측으로 개방된 핀삽입홈을 형성하여 상기 핀삽입홀에 핀 고정시 회동아암의 핀삽입홈이 밀착되어 회동아암의 회전력이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도어 개폐 완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회동아암의 일측 저부에 회전 불가능하게 끼워진 상기 샤프트의 단부와 회동아암의 단부를 일체형으로 고정시키는 고정 홀더와; 상면이 상기 고정브래킷과 밀착되는 원판부, 상기 원판부에서 하향으로 연장 형성한 각형 바디 및 상기 원판부와 각형 바디를 관통하는 하부홀더홀을 가진 하부 홀더; 상면에 상기 하부 홀더의 각형 바디가 삽입되는 각형홈을 형성하고, 하부 외주면에 나사부를 형성한 상부링; 내주면 상단에 형성한 링 나사홈과, 상기 링 나사홈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하향 형성한 가이드 레일 및 내주면 하단에 형성한 캡 나사홈을 가지며, 상기 회전판의 회전시 연동하는 하우징; 상면에 상기 조절 볼트의 단부와 결합되는 탭핑홈을 가진 각형 로드와, 상기 각형 로드의 하단에 형성한 칼라와, 상기 칼라의 하단에 형성한 원형 로드와, 상기 원형 로드의 하단에 연장 형성한 나사 로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샤프트; 상기 칼라 하부에 설치되어 샤프트와 하우징간의 마찰을 감쇠시키는 볼 베어링; 상기 볼 베어링을 지지하며, 상기 하우징의 나사홈에 결합되는 하부 링; 상기 하우징의 하부 링 아래에 삽입된 스프링; 상기 스프링의 하단을 지지하며, 상기 하우징의 가이드 레일에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형성한 외부 가이드 돌기와, 내주면에 형성한 내부 가이드 돌기를 가진 링형 부재이며, 상기 하우징 회전시 연동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내부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슬라이더 가이드홈이 외주면에 형성된 소경부와, 상기 소경부의 하단에 연장 형성한 대경부와, 상기 소경부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샤프트의나사 로드가 결합되는 샤프트 결합부와, 상기 대경부의 외주면에 상하방향으로 소정구간 형성된 작동유홈을 가진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내부에 설치되어, 작동유의 역류를 차단하는 체크 밸브;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하우징의 내주면과 접하며 상기 피스톤의 하강시 작동유홈을 통해 작동유의 흐름을 증가시키도록 상측부 내경보다 하측부 내경이 크게 형성되는 실린더; 상기 피스톤 및 실린더를 지지하며, 상기 하우징 하단의 캡 나사홈에 결합되는 캡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도어 개폐 완충기.
KR2020010004808U 2001-02-23 2001-02-23 슬라이드식 도어 개폐 완충기 KR2002345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808U KR200234535Y1 (ko) 2001-02-23 2001-02-23 슬라이드식 도어 개폐 완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808U KR200234535Y1 (ko) 2001-02-23 2001-02-23 슬라이드식 도어 개폐 완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4535Y1 true KR200234535Y1 (ko) 2001-09-28

Family

ID=73096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4808U KR200234535Y1 (ko) 2001-02-23 2001-02-23 슬라이드식 도어 개폐 완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453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3366B1 (ko) 도어 개폐 완충 장치
US8510911B2 (en) Automatic door closing hinge and double swing door structure
KR100263251B1 (ko) 도어용 힌지
DK2233672T3 (en) Automatic door closing hinge and double swing door construction
US20110302743A1 (en) Hinge apparatus for a door
US20200263471A1 (en) Pivot hinge apparatus for door
KR200234535Y1 (ko) 슬라이드식 도어 개폐 완충기
JP5604093B2 (ja) エアダンパー蝶番及び自動閉扉機構
KR20060093868A (ko) 유압식 힌지가 장착된 자동닫힘 도어
KR200243185Y1 (ko) 내장형 도어 개폐 완충기
JP2006214190A (ja) ドアヒンジニット
KR20040106024A (ko) 다용도 힌지장치
EP0577570A1 (en) Hinge provided with adjustable friction
KR100509725B1 (ko) 다용도 힌지장치가 설치된 도어 연결구조
WO2000061903A1 (en) Vertical type door closer
KR100853768B1 (ko) 댐퍼도어의 댐퍼구조
KR102117779B1 (ko) 도어의 클로저 속도 조절 허용 구조
KR200213553Y1 (ko) 유압식/스프링식 도어클로저를 구비한 도어
KR200198717Y1 (ko) 도어클로저
KR100443623B1 (ko) 분리형 유압식 및 압축스프링식 오토 도어 클로져
KR200384984Y1 (ko) 도어 개폐 완충 장치
KR200384985Y1 (ko) 도어 개폐 완충 장치
KR200388916Y1 (ko) 도어 개폐 완충 장치
KR100511563B1 (ko) 도어 경첩의 저속 개폐장치
KR200338166Y1 (ko) 자동닫힘 도어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