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4984Y1 - 도어 개폐 완충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개폐 완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4984Y1
KR200384984Y1 KR20-2005-0004420U KR20050004420U KR200384984Y1 KR 200384984 Y1 KR200384984 Y1 KR 200384984Y1 KR 20050004420 U KR20050004420 U KR 20050004420U KR 200384984 Y1 KR200384984 Y1 KR 2003849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holder
rectangular
piston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44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텍
Priority to KR20-2005-00044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49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49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49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05F1/1207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 E05F1/1223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with a compression or traction sp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05F3/12Special devices controlling the circulation of the liquid, e.g. valve arrang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10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piston brake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와 도어 프레임간에 설치되어 도어의 자동 개폐 및 개폐 속도를 조절하는 도어 개폐 완충 장치에 있어서, 상하를 관통하는 각형홀을 가진 조절판; 상기 각형홀에 삽입되는 각형키와, 상기 각형키의 하단에 형성한 원통형 홀더 바디와, 상기 각형키와 홀더 바디를 관통하는 나사홀을 가진 상부 홀더; 상기 각형홀 및 상부 홀더를 관통하는 조절 볼트; 상기 상부 홀더가 통과하는 상부홀더홀을 가지며, 상기 도어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판; 상면이 상기 고정판과 밀착되는 원판부, 상기 원판부에서 하향으로 연장 형성한 각형 바디 및 상기 원판부와 각형 바디를 관통하는 하부홀더홀을 가진 하부 홀더; 상기 하부 홀더의 각형 바디가 관통하는 하부홀더홀을 가지며, 상기 도어에 고정되는 회전판; 상면에 상기 하부 홀더의 각형 바디가 삽입되는 각형홈을 형성하고, 하부 외주면에 나사부를 형성한 상부링; 내주면 상단에 형성한 링 나사홈과, 상기 링 나사홈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하향 형성한 가이드 레일 및 내주면 하단에 형성한 캡 나사홈을 가지며, 상기 회전판의 회전시 연동하는 하우징; 상면에 상기 조절 볼트의 단부와 결합되는 탭핑홈을 가진 각형 로드와, 상기 각형 로드의 하단에 형성한 칼라와, 상기 칼라의 하단에 형성한 원형 로드와, 상기 원형 로드의 하단에 연장 형성한 나사 로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샤프트; 상기 칼라 하부에 설치되어 샤프트와 하우징간의 마찰을 감쇠시키는 볼 베어링; 상기 볼 베어링을 지지하며, 상기 하우징의 나사홈에 결합되는 하부 링; 상기 하우징의 하부 링 아래에 삽입된 스프링; 상기 스프링의 하단을 지지하며, 상기 하우징의 가이드 레일에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형성한 외부 가이드 돌기와, 내주면에 형성한 내부 가이드 돌기를 가진 링형 부재인 피스톤 홀더; 상기 슬라이더의 내부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슬라이더 가이드홈이 외주면에 형성된 피스톤 바디와, 상기 피스톤 바디의 중앙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의 나사 로드가 결합되는 샤프트 결합부를 가진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하단에 결합된 밸브 바디와, 상기 밸브 바디의 일측에 상하로 관통하게 형성한 수직홀과, 상기 수직홀에 삽입된 볼로 이루어진 피스톤 밸브; 상기 피스톤 밸브의 밸브 바디 내에 삽입된 밸브 부싱과;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하우징의 내주면과 접하며, 일측면에 유로홀을 형성한 실린더; 상기 피스톤 및 실린더를 지지하며, 상기 하우징 하단의 캡 나사홈에 결합되고, 중앙에 형성한 1단 홀과, 상기 1단 홀의 일측에 형성한 2단 홀을 가진 캡과; 하단이 상기 캡의 1단 홀에 결합되고, 하단 일측에 유로홀을 가진 슬리브와; 단부 일측이 경사지게 형성하며, 상기 1단 홀에 결합된 1단 조절 나사와; 단부 일측이 경사지게 형성하며, 상기 2단 홀에 결합된 2단 조절 나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 완충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어 개폐 완충 장치{OPEN & CLOSE DAMPING DEVICE OF DOOR}
본 고안은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어의 개폐 속도를 완만히 조절하기 위한 도어 개폐 완충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출입구 등에 설치된 도어는 개폐 완충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개폐 완충 수단은 도어 개폐시 적절한 개폐 속도를 유지시킴으로써 급작스런 도어 개폐로 인한 안전 사고를 방지할 뿐 아니라, 도어 열림 후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게 하는 기능을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완충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본원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대한민국 특허 제403366호 "도어 개폐 완충 장치"로 등록된 바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완충 장치는 "상하를 관통하는 각형홀을 가진 조절판(11); 상기 각형홀에 삽입되는 각형키와, 상기 각형키의 하단에 형성한 원통형 홀더 바디와, 상기 각형키와 홀더 바디를 관통하는 나사홀을 가진 상부 홀더(12); 상기 각형홀 및 상부 홀더(12)를 관통하는 조절 볼트(13); 상기 상부 홀더가 통과하는 상부홀더홀을 가지며, 상기 도어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판(14); 상면이 상기 고정판과 밀착되는 원판부, 상기 원판부에서 하향으로 연장 형성한 각형 바디 및 상기 원판부와 각형 바디를 관통하는 하부홀더홀을 가진 하부 홀더(15); 상기 하부 홀더의 각형 바디가 관통하는 하부홀더홀을 가지며, 상기 도어에 고정되는 회전판(16); 상면에 상기 하부 홀더(15)의 각형 바디가 삽입되는 각형홈을 형성하고, 하부 외주면에 나사부를 형성한 상부링(17); 내주면 상단에 형성한 링 나사홈과, 상기 링 나사홈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하향 형성한 가이드 레일 및 내주면 하단에 형성한 캡 나사홈을 가지며, 상기 회전판의 회전시 연동하는 하우징(21); 상면에 상기 조절 볼트(13)의 단부와 결합되는 탭핑홈을 가진 각형 로드와, 상기 각형 로드의 하단에 형성한 칼라와, 상기 칼라의 하단에 형성한 원형 로드와, 상기 원형 로드의 하단에 연장 형성한 나사 로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샤프트(22); 상기 칼라 하부에 설치되어 샤프트와 하우징간의 마찰을 감쇠시키는 볼 베어링(24); 상기 볼 베어링을 지지하며, 상기 하우징의 나사홈에 결합되는 하부 링(25); 상기 하우징의 하부 링 아래에 삽입된 스프링(26); 상기 스프링의 하단을 지지하며, 상기 하우징의 가이드 레일에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형성한 외부 가이드 돌기와, 내주면에 형성한 내부 가이드 돌기를 가진 링형 부재이며, 상기 하우징 회전시 연동하는 슬라이더(31); 상기 슬라이더의 내부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슬라이더 가이드홈이 외주면에 형성된 소경부와, 상기 소경부의 하단에 연장 형성한 대경부와, 상기 소경부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샤프트의 나사 로드가 결합되는 샤프트 결합부를 가진 피스톤(32); 상기 피스톤의 내부에 설치되어, 작동유의 역류를 차단하는 체크 밸브(33);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하우징의 내주면과 접하는 실린더(34); 상기 피스톤 및 실린더를 지지하며, 상기 하우징 하단의 캡 나사홈에 결합되는 캡(35)"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도어 개폐 완충 장치는 도어가 문틀의 둔턱이나 자물쇠의 뭉치 등에 걸리거나, 도어가 닫히는 순간 손으로 제어한 후 놓게 되면 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않고 열린 상태가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도어가 닫히는 상태에서 장애물이나 방해 동작에 의해서도 멈추지 않고 도어가 완전히 닫힐 수 있게 하는 도어 개폐 완충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도어와 도어 프레임간에 설치되어 도어의 자동 개폐 및 개폐 속도를 조절하는 도어 개폐 완충 장치에 있어서, 상하를 관통하는 각형홀을 가진 조절판; 상기 각형홀에 삽입되는 각형키와, 상기 각형키의 하단에 형성한 원통형 홀더 바디와, 상기 각형키와 홀더 바디를 관통하는 나사홀을 가진 상부 홀더; 상기 각형홀 및 상부 홀더를 관통하는 조절 볼트; 상기 상부 홀더가 통과하는 상부홀더홀을 가지며, 상기 도어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판; 상면이 상기 고정판과 밀착되는 원판부, 상기 원판부에서 하향으로 연장 형성한 각형 바디 및 상기 원판부와 각형 바디를 관통하는 하부홀더홀을 가진 하부 홀더; 상기 하부 홀더의 각형 바디가 관통하는 하부홀더홀을 가지며, 상기 도어에 고정되는 회전판; 상면에 상기 하부 홀더의 각형 바디가 삽입되는 각형홈을 형성하고, 하부 외주면에 나사부를 형성한 상부링; 내주면 상단에 형성한 링 나사홈과, 상기 링 나사홈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하향 형성한 가이드 레일 및 내주면 하단에 형성한 캡 나사홈을 가지며, 상기 회전판의 회전시 연동하는 하우징; 상면에 상기 조절 볼트의 단부와 결합되는 탭핑홈을 가진 각형 로드와, 상기 각형 로드의 하단에 형성한 칼라와, 상기 칼라의 하단에 형성한 원형 로드와, 상기 원형 로드의 하단에 연장 형성한 나사 로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샤프트; 상기 칼라 하부에 설치되어 샤프트와 하우징간의 마찰을 감쇠시키는 볼 베어링; 상기 볼 베어링을 지지하며, 상기 하우징의 나사홈에 결합되는 하부 링; 상기 하우징의 하부 링 아래에 삽입된 스프링; 상기 스프링의 하단을 지지하며, 상기 하우징의 가이드 레일에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형성한 외부 가이드 돌기와, 내주면에 형성한 내부 가이드 돌기를 가진 링형 부재인 피스톤 홀더; 상기 슬라이더의 내부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슬라이더 가이드홈이 외주면에 형성된 피스톤 바디와, 상기 피스톤 바디의 중앙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의 나사 로드가 결합되는 샤프트 결합부를 가진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하단에 결합된 밸브 바디와, 상기 밸브 바디의 일측에 상하로 관통하게 형성한 수직홀과, 상기 수직홀에 삽입된 볼로 이루어진 피스톤 밸브; 상기 피스톤 밸브의 밸브 바디 내에 삽입된 밸브 부싱과;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하우징의 내주면과 접하며, 일측면에 유로홀을 형성한 실린더; 상기 피스톤 및 실린더를 지지하며, 상기 하우징 하단의 캡 나사홈에 결합되고, 중앙에 형성한 1단 홀과, 상기 1단 홀의 일측에 형성한 2단 홀을 가진 캡과; 하단이 상기 캡의 1단 홀에 결합되고, 하단 일측에 유로홀을 가진 슬리브와; 단부 일측이 경사지게 형성하며, 상기 1단 홀에 결합된 1단 조절 나사와; 단부 일측이 경사지게 형성하며, 상기 2단 홀에 결합된 2단 조절 나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 완충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완충 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완충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일점 쇄선 부분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완충 장치는 조절판(110), 상부 홀더(120), 조절 볼트(130), 고정판(140), 하부 홀더(150), 회전판(160), 상부 링(170), 하우징(180), 샤프트(190), 볼 베어링(200), 하부 링(210), 스프링(220), 피스톤 홀더(230), 피스톤(240), 피스톤 밸브(250), 밸브 부싱(260), 실린더(270), 캡(280), 슬리브(290), 1단 조절 나사(300) 및 2단 조절 나사(310)를 포함하고, 부싱(320), 스프링 캡(330), 필터(340) 및 완충 링(350)을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조절판(110)은 상부 홀더(120)와 고정판(140)을 연결하는 수단이다. 상기 조절판(110)은 상하를 관통하는 각형홀(112)과, 상기 각형홀(112)의 양측에 형성한 체결홀(114)을 가진다. 상기 조절판(110)은 별도의 체결품에 의해 고정판(140) 상면에 결합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조절판(110) 위에는 별도의 커버를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홀더(120)는 고정판(140)과 하부 홀더(150)를 연결하는 수단이다. 상기 상부 홀더(120)는 상기 조절판(110)의 각형홀(112)에 삽입되는 각형키(122)와, 상기 각형키(122)의 하단에 형성한 원통형 홀더 바디(124)와, 상기 각형키(122)와 홀더 바디(124)를 관통하는 나사홀(126)을 가진다.
상기 조절 볼트(130)는 도어 장치마다 도어와 도어 프레임의 규격이 상이함으로 인해 고정판(140)과 회전판(160) 사이에 간극 변동이 생길 경우, 상기 간극의 변동량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조절 볼트(130)는 상기 각형홀(112), 나사홀(126)을 통해 샤프트(220)의 탭핑홈(221)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조절 볼트(130)를 회전시키면, 상기 샤프트(220)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여 하우징(210) 내에서의 상하 위치가 달라진다.
상기 고정판(140)은 도어 프레임에 고정되는 수단이다. 상기 고정판(140)은 상부 홀더(120)가 통과하는 상부홀더홀(142)을 가지며, 도어 프레임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품이 결합되는 다수개의 체결홀(144) 및 상기 조절판(110) 결합을 위한 체결홀(146)을 가진다.
상기 하부 홀더(150)는 상부 홀더(120), 회전판(160) 및 상부 링(170)을 연결하는 수단이다. 상기 하부 홀더(150)는 상면이 상기 고정판(140)과 밀착되는 원판부(152), 상기 원판부(152)에서 하향으로 연장 형성한 각형 바디(154) 및 상기 원판부(152)와 각형 바디(154)를 관통하는 하부홀더홀(156)을 가진다.
상기 회전판(160)은 도어에 고정되는 수단으로서, 하부 홀더(150) 및 상부 링(170)에 의해 하우징(210)과 결합된다. 상기 회전판(160)은 하부 홀더(150)의 각형 바디(154)가 관통하도록 각형 모양으로 형성한 하부홀더홀(162) 및 다수개의 체결홀(164)을 가진다.
상기 상부 링(170)은 하부 홀더(150)와 하우징(210)을 연결하는 수단이다. 상기 상부 링(170)은 상면에 상기 하부 홀더(150)의 각형 바디(154) 단부가 삽입되는 각형홈(172)을 형성하고, 하부 외주면에는 하우징(210)의 링 나사홈(212)에 결합되는 나사부(174)를 형성한다. 상기 상부 링(170)은 상부 외주면에 나사홀(176)을 구비한다. 상기 상부 링(170)의 나사부 상측에는 오-링(176)을 장착한다.
상기 하우징(180)은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른 도어 개폐 완충 장치의 몸체가 되는 부분이다. 상기 하우징(180)은 내주면 상단에 형성한 링 나사홈(182)과, 상기 링 나사홈(182)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하향 형성한 가이드 레일(184) 및 내주면 하단에 형성한 캡 나사홈(186)을 가진다. 상기 하우징(180)은 가이드 레일(184)이 형성된 내주면 상단과, 가이드 레일이 없는 내주면 하단 부분이 상호 단차지게 형성되며, 이와 같은 단차 부분으로 인해 도어 회전시 피스톤 홀더(230)의 상승이 구속된다. 상기 하우징(180)은 회전판(160)의 회전시 연동되어 회전한다.
상기 샤프트(190)는 하우징(180)에 내장되어 도어 개폐시 피스톤 홀더(230)와 피스톤(240)을 승하강시킨다. 상기 샤프트(190)는 상면에 상기 조절 볼트(110)의 단부와 결합되는 탭핑홈(191)을 가진 각형 로드(192)와, 상기 각형 로드(192)의 하단에 형성한 칼라(194)와, 상기 칼라(194)의 하단에 형성한 원형 로드(196)와, 상기 원형 로드(196)의 하단에 연장 형성한 나사 로드(198)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190)는 회전판(160) 및 하우징(180)과 연동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조절 볼트(110)의 회전에 의해서만 상하 이동한다.
상기 볼 베어링(200)은 샤프트(190)와 하우징(180) 내부의 하부 링(210)간의 마찰을 줄이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볼 베어링(200)은 하부링(210) 안에 끼워진 상태로 샤프트(190)의 칼라(194) 하측에 설치된다. 상기 볼 베어링(200)은 도어 열림시 스프링(220)과 피스톤(240)의 비틀림 작용에 의해 가장 큰 마찰력이 발생하는 부분인 샤프트(190)와 하부링(180) 사이에 설치되어 마찰 요소간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해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부 링(210)은 볼 베어링(200)을 지지하며, 상기 하우징(180)의 링 나사홈(182)에 결합된다. 상기 하부 링(210)은 상면이 상부 링(170)의 밑면과 접한다.
상기 스프링(220)은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수단이다. 상기 스프링(220)은 하우징(180)의 하부 링(210) 아래에 삽입된다. 상기 스프링(220)은 도어 열림시 피스톤(240)에 의해 압축됨으로써 탄성 에너지를 축적하고 있다가, 도어를 여는 힘이 제거되고나면 자동으로 도어가 닫힐 수 있도록 축적된 탄성 에너지를 제공한다.
상기 피스톤 홀더(230)는 피스톤(240) 승하강시 피스톤(240)의 회전을 방지하는 수단이다. 상기 피스톤 홀더(230)는 상기 하우징(180)의 가이드 레일(184)에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형성한 외부 가이드 돌기(232)와, 내주면에 형성한 내부 가이드 돌기(234)를 가진 링형 부재이다.
상기 피스톤(240)은 하우징(180)과 연동하여 하우징(180) 내에서 승하강하는 수단이다. 상기 피스톤(240)은 피스톤 홀더(230)의 내부 가이드 돌기(234)가 삽입되는 피스톤 홀더 가이드홈(241)이 외주면에 형성된 피스톤 바디(242)와, 상기 피스톤 바디(242)의 중앙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190)의 나사 로드(198)가 결합되는 샤프트 결합부(244)를 가진다. 상기 피스톤(240)은 스프링(220)의 하단을 지지한다.
상기 피스톤 밸브(250)는 피스톤(240)과 함께 하우징(180) 내에서 승하강하는 수단이다. 상기 피스톤 밸브(250)는 피스톤(240)의 하단에 결합된 밸브 바디(252)와, 상기 밸브 바디(252)의 일측에 상하로 관통하게 형성한 수직홀(254)과, 상기 수직홀(254)에 삽입된 볼(256)로 이루어진다. 상기 피스톤 밸브(250)는 피스톤(240)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가공상 별도 형성후 결합하는 방식을 적용한다.
상기 밸브 부싱(260)은 피스톤 밸브(250)의 밸브 바디(252) 내에 삽입된 원통형 부재이다. 상기 밸브 부싱(260)은 내주면은 슬리브(290)의 외주면과 접하게 된다.
상기 실린더(270)는 피스톤(24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피스톤(240) 및 피스톤 밸브(250)의 상하 이동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180)의 내주면과 접한다. 상기 실린더(270)는 피스톤(24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하우징(180)의 내주면과 접하며, 일측면에 유로홀(272)을 형성한다. 상기 실린더(270)는 외주면 하단이 단차지게 형성된다.
상기 캡(280)은 하우징(180)의 하단을 밀봉하는 수단이다. 상기 캡(280)은 피스톤(240) 및 실린더(270)를 지지하며, 상기 하우징(180) 하단의 캡 나사홈(186)에 결합된다. 상기 캡(280)은 중앙에 형성한 1단 홀(282)과, 상기 1단 홀(282)의 일측에 형성한 2단 홀(284)을 가진다. 또한, 상기 캡(280)은 2단 홀(284)과 수직 방향으로 유로홀(286)을 가진다.
상기 슬리브(290)는 캡(280)의 1단 홀(282)을 통한 유로를 형성하는 원통형 부재이다. 상기 슬리브(290)는 하단이 상기 캡(280)의 1단 홀(282)에 결합되고, 하단 일측에 유로홀(292)을 가진다.
상기 1단 조절 나사(300)는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캡(280)의 1단 홀(282)의 단면적을 변경함으로써 작동유에 의한 내부 유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1단 조절 나사(300)는 단부 일측이 경사지게 형성하며, 상기 캡(280)의 1단 홀(282)에 결합된다.
상기 2단 조절 나사(310)는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캡(280)의 2단 홀(284)의 단면적을 변경함으로써 작동유에 의한 내부 유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2단 조절 나사(310)는 단부 일측이 경사지게 형성하며, 상기 캡(280)의 2단 홀(284)에 결합된다.
상기 부싱(320)은 상부 링(170)과 샤프트(190) 사이의 직접적인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부싱(320)은 샤프트(190)의 칼라(194) 상부와 상부 링(170) 사이에 삽입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 캡(330)은 스프링(220)의 상단과 하단에 결합된다. 상기 스프링캡(330)은 스프링(220)과 그 상단에 위치한 구성 부품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막는다.
상기 필터(340)는 캡(280)과 슬리브(290)가 접촉하는 부위에 설치된다. 상기 필터(340)는 피스톤 밸브(250)를 통과하여 캡(280)으로 이송되는 작동유의 불순물을 걸러냄으로써 작동유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상기 완충 링(350)은 피스톤 밸브(250)와 캡(280) 사이의 완충 역할을 하는 부재이다. 상기 완충 링(350)은 캡(280)의 1단 홀(282) 상단에 설치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완충 장치의 작동 과정을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과 같이 도어가 열려있는 초기 상태에서 힘이 가해져 도어가 닫히게 되면, 1차적으로 캡(280)의 1단 홀(282) 상단, 필터(340), 슬리브(290)의 유로홀(292) 및 슬리브(290) 내부를 통해 1차 유로가 형성되어 작동유가 빠져 나가면서 도어의 닫힘 동작이 이루어진다.
이어, 도 4 및 도 5와 같이 피스톤 밸브(250)가 하강하여 실린더(270)의 유로홀(272)이 개방되면, 캡(280)의 2단 홀(284) 상단, 캡(280)의 유로홀(286), 실린더(270) 외주면 및 실린더(270)의 유로홀(272)을 통해 2차 유로가 형성되어 작동유가 빠져 나가면서 도어의 완전한 닫힘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완충 장치는 도어 닫힘시 1차와 2차에 걸쳐 단계적인 유압 조절이 이루어져, 도어 닫힘시 장애물에 의해 도어 닫힘이 방해를 받더라도 도어가 완전히 닫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완충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완충 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완충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3의 일점 쇄선 부분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조절판 120 : 상부 홀더
130 : 조절 볼트 140 : 고정판
150 : 하부 홀더 160 : 회전판
170 : 상부 링 180 : 하우징
190 : 샤프트 200 : 볼 베어링
210 : 하부 링 220 : 스프링
230 : 피스톤 홀더 240 : 피스톤
250 : 피스톤 밸브 260 : 밸브 부싱
270 : 실린더 280 : 캡
290 : 슬리브 300 : 1단 조절 나사
310 : 2단 조절 나사 320 : 부싱
330 : 스프링 캡 340 : 필터
350 : 완충 링

Claims (4)

  1. 도어와 도어 프레임간에 설치되어 도어의 자동 개폐 및 개폐 속도를 조절하는 도어 개폐 완충 장치에 있어서,
    상하를 관통하는 각형홀을 가진 조절판;
    상기 각형홀에 삽입되는 각형키와, 상기 각형키의 하단에 형성한 원통형 홀더 바디와, 상기 각형키와 홀더 바디를 관통하는 나사홀을 가진 상부 홀더;
    상기 각형홀 및 상부 홀더를 관통하는 조절 볼트;
    상기 상부 홀더가 통과하는 상부홀더홀을 가지며, 상기 도어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판;
    상면이 상기 고정판과 밀착되는 원판부, 상기 원판부에서 하향으로 연장 형성한 각형 바디 및 상기 원판부와 각형 바디를 관통하는 하부홀더홀을 가진 하부 홀더;
    상기 하부 홀더의 각형 바디가 관통하는 하부홀더홀을 가지며, 상기 도어에 고정되는 회전판;
    상면에 상기 하부 홀더의 각형 바디가 삽입되는 각형홈을 형성하고, 하부 외주면에 나사부를 형성한 상부링;
    내주면 상단에 형성한 링 나사홈과, 상기 링 나사홈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하향 형성한 가이드 레일 및 내주면 하단에 형성한 캡 나사홈을 가지며, 상기 회전판의 회전시 연동하는 하우징;
    상면에 상기 조절 볼트의 단부와 결합되는 탭핑홈을 가진 각형 로드와, 상기 각형 로드의 하단에 형성한 칼라와, 상기 칼라의 하단에 형성한 원형 로드와, 상기 원형 로드의 하단에 연장 형성한 나사 로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샤프트;
    상기 칼라 하부에 설치되어 샤프트와 하우징간의 마찰을 감쇠시키는 볼 베어링;
    상기 볼 베어링을 지지하며, 상기 하우징의 나사홈에 결합되는 하부 링;
    상기 하우징의 하부 링 아래에 삽입된 스프링;
    상기 하우징의 가이드 레일에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형성한 외부 가이드 돌기와, 내주면에 형성한 내부 가이드 돌기를 가진 링형 부재인 피스톤 홀더;
    상기 슬라이더의 내부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슬라이더 가이드홈이 외주면에 형성된 피스톤 바디와, 상기 피스톤 바디의 중앙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의 나사 로드가 결합되는 샤프트 결합부를 가진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하단에 결합된 밸브 바디와, 상기 밸브 바디의 일측에 상하로 관통하게 형성한 수직홀과, 상기 수직홀에 삽입된 볼로 이루어진 피스톤 밸브;
    상기 피스톤 밸브의 밸브 바디 내에 삽입된 밸브 부싱과;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하우징의 내주면과 접하며, 일측면에 유로홀을 형성한 실린더;
    상기 피스톤 및 실린더를 지지하며, 상기 하우징 하단의 캡 나사홈에 결합되고, 중앙에 형성한 1단 홀과, 상기 1단 홀의 일측에 형성한 2단 홀을 가진 캡과;
    하단이 상기 캡의 1단 홀에 결합되고, 하단 일측에 유로홀을 가진 슬리브와;
    단부 일측이 경사지게 형성하며, 상기 1단 홀에 결합된 1단 조절 나사와;
    단부 일측이 경사지게 형성하며, 상기 2단 홀에 결합된 2단 조절 나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 완충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칼라 상부와 상부 링 사이에는 부싱을 추가로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 완충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과 슬리브가 접촉하는 부위에는 필터를 추가로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 완충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1단 홀 상단에는 완충 링을 추가로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 완충 장치.
KR20-2005-0004420U 2005-02-18 2005-02-18 도어 개폐 완충 장치 KR2003849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420U KR200384984Y1 (ko) 2005-02-18 2005-02-18 도어 개폐 완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420U KR200384984Y1 (ko) 2005-02-18 2005-02-18 도어 개폐 완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4984Y1 true KR200384984Y1 (ko) 2005-05-24

Family

ID=43686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4420U KR200384984Y1 (ko) 2005-02-18 2005-02-18 도어 개폐 완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498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51684B2 (ja) 両開用自動閉扉蝶番及び両開扉構造
US8863356B2 (en) Piston device for the controlled rotatable movement of doors, shutters or like members
EP2233672A1 (en) Automatic door closing hinge and double swing door structure
US20110302743A1 (en) Hinge apparatus for a door
KR20020061687A (ko) 도어 개폐 완충 장치
KR101137522B1 (ko) 완충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받침부를 갖는 도어 스토퍼
JP4045294B1 (ja) 自動閉扉蝶番及び両開扉構造
KR200384984Y1 (ko) 도어 개폐 완충 장치
KR101071909B1 (ko) 유압식 완충경첩
KR200384985Y1 (ko) 도어 개폐 완충 장치
KR100813876B1 (ko) 스프링 복원력과 유압 완충력을 갖는 내장형 도어 힌지
KR20040106024A (ko) 다용도 힌지장치
KR100504944B1 (ko)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
KR101552218B1 (ko) 열림각도 조절이 가능한 도어용 경첩
KR200243185Y1 (ko) 내장형 도어 개폐 완충기
KR100509725B1 (ko) 다용도 힌지장치가 설치된 도어 연결구조
KR20040025290A (ko) 유압식 경첩
KR20050058540A (ko) 유압식 완충경첩
KR200234535Y1 (ko) 슬라이드식 도어 개폐 완충기
KR200368537Y1 (ko) 연결아암을 이용한 내장형 도어 개폐 완충장치
KR100754295B1 (ko) 도어용 유압 경첩
KR100511563B1 (ko) 도어 경첩의 저속 개폐장치
KR200324663Y1 (ko) 다용도 힌지장치
JP3113961U (ja) ドアクローザ
KR100778899B1 (ko) 도어용 오토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1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