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4345Y1 - 디스크환자용 침대 상판 - Google Patents

디스크환자용 침대 상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4345Y1
KR200234345Y1 KR2020010005976U KR20010005976U KR200234345Y1 KR 200234345 Y1 KR200234345 Y1 KR 200234345Y1 KR 2020010005976 U KR2020010005976 U KR 2020010005976U KR 20010005976 U KR20010005976 U KR 20010005976U KR 200234345 Y1 KR200234345 Y1 KR 2002343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mold
plate
human body
top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59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직원
Original Assignee
강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직원 filed Critical 강직원
Priority to KR20200100059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43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43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4345Y1/ko

Links

Landscapes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형틀과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침대상판을 회동시킴으로써, 허리디스크 환자가 침대상판에 누운 상태에서 운동가능한 디스크환자용 침대상판에 관한 것으로, 지지다리에 의하여 지지되는 침대상판에 있어서, 상기 침대상판(110)을 지지하며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수단(200)과; 상부는 개방되고, 그 하부에는 인체의 후반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성형되며, 그 내부 중앙부에는 등의 협세부(狹細部)가 접하는 위치에 돌기(11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형틀(110)과; 상기 형틀(110)의 내부에 인체가 들어가 밀착되어 누우면 그 인체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고정수단(120); 으로 구성되어 허리디스크 환자가 척추에 무리를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운동할 수 있는 등의 여러 효과를 갖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디스크환자용 침대 상판{Bedstead for Patient}
본 고안은 침대상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형틀과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침대상판을 회동시킴으로써, 허리디스크 환자가 침대상판에 누운 상태에서 운동가능한 디스크환자용 침대상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크는 척추의 목뼈에서부터 허리뼈까지 척추마디 사이에 끼어있는 원반모양의 일종의 관절이다. 디스크의 위 아래로는 척추뼈와 접해있는 연골판으로 되어있고, 둥그런 외곽 주위로는 탄력있는 환상섬유로 겹겹이 둘러싸여 있으며, 디스크의 내부 중심부에는 말랑말랑한 수핵이 들어있다.
이 수핵이 디스크의 중심역활을 하는 부위로서, 환상섬유를 자동차 타이어의 고무바퀴에 비유한다면, 수핵은 공기가 들어있는 튜우브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수핵은 대부분 점액성의 단백질로서 수분을 많이 포함하고 있어, 척추에 가해진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역활을 하며 또한 척추의 운동을 원활하게 하는 관절역활도 하고 있다.
인체 체위변화에 따라 허리디스크에 가해지는 체중에 의한 하중을 측정한 것을 보면, 반듯이 누워 있으면 충격이 가장 작아 자기 몸무게의 약 1/3정도의 하중이 가해지며, 옆으로 누우면 자기 몸무게와 비슷한 정도이고, 서 있으면 체중의 약 한배반 정도이고, 의자에 기대지 않고 앉아 있으면 자기 체중의 약 2배의 충격이허리 디스크에 가해진다.
따라서, 허리디스크 환자의 경우에는 척추의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고통을 줄이기 위해 장시간 누워서 요양하게 된다. 그러나, 인체가 장시간 누워 있는 경우에는 인체의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못해 합병증의 위험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허리디스크 환자가 장시간 누워 있을 경우에도 척추에 무리를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용이하게 운동가능한 디스크환자용 침대상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지지다리에 의하여 지지되는 침대상판에 있어서, 상기 침대상판을 지지하며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수단과; 상부는 개방되고, 그 하부에는 인체의 후반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성형되며, 그 내부 중앙부에는 등의 협세부가 접하는 위치에 돌기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형틀과; 상기 형틀의 내부에 인체가 들어가 밀착되게 누운 상태에서 인체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 구성된 침대상판을 제공한다.
도1은 본 고안 침대상판이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고안 침대상판의 측단면도
도3a는 본 고안 침대상판의 형틀이 함몰된 상태의 정단면도
도3b는 본 고안 침대상판의 형틀이 돌출된 상태의 정단면도
도4는 본 고안 침대상판의 회동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의 고정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침대상판 110:형틀 111:돌기
112:지지대 120:고정수단 121:벨트
121a:벨크로파스너 122:고리 200:회동수단
210:주축 220:래치장치 221:래치휠
222:작동간 222a:스토퍼 223:힌지
230:받침대
이하, 본 고안의 기술구성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 침대상판이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고안 침대상판의 측단면도, 도3a는 형틀이 함몰된 침대상판의 정단면도, 도3b는 형틀이 돌출된 침대상판의 정단면도, 도4는 본 고안 침대상판의 회동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의 고정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부호 100은 침대상판이다. 이 침대상판(100)은 회동수단(200)에 의해 회동된다.
상기 회동수단(200)은 상기 침대상판(100)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주축(210)이 구비되고, 상기 주축(210)의 일단에는 베어링이 구비되며, 타단에는 래치장치(220)가 구비되어 받침대(230)가 체결되어 회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래치장치(22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측(210)의 타단에 래치휠(221)이 구비되고, 이 래치휠(221)에 물려 주축(210)의 회동을 제어하는 작동간(222)으로 구성되며, 이 작동간(222)은 힌지(223)에 의해 회동하며 일측에 스토퍼(222a)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받침대(230)는 상기 침대상판(100)이 회동가능하게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이 침대상판(100)이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삼각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침대상판(100)에는 상부는 개방되고, 그 하부에는 인체의 후반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성형되며, 그 내부 중앙부에는 등의 협세부가 접하는 위치에 돌기(11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형틀(11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형틀(110)은 상기 침대상판(100)의 상면에서 돌출되거나, 함몰되어 형성되며, 인체 겨드랑이 부분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112)가 구비된다.
본 고안은 상기 형틀(110)의 내부에 인체가 들어가 누우면 인체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고정수단(120)이 구비된다.
이 고정수단(120)은 그 일측이 형틀(110)의 일측 상단에 고정되며, 타측에는 벨크로 파스너(121a)가 형성된 벨트(121)를 구비하고, 상기 벨트(121)의 벨크로 파스너(121a)와 체결되며, 상기 침대상판의 상면 형틀(110) 타측에 구비되는 고리 (12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120)을 본 고안에는 벨트(121)와 고리(122)를 적용하여 인체의 유동을 방지하고 있으나, 인체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어떠한 구성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인체가 침대상판(100)에 형성된 형틀(110)에 들어가 밀착하여 누우면, 고정수단(120)으로 인체를 형틀(110)에서 유동 및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그리고, 작동간(222)을 하측으로 누르면 힌지(223)에 의해 스토퍼(222a)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래치휠(221)을 회동가능하게 한다.
또한, 침대상판(100)은 주축(210)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하여 작동간(222)에 가해진 압력을 해제하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작동간(222)이 원위치로 복귀하면, 다시 스토퍼(222a)가 래치휠(221)에 물려 침대상판(100)은 더이상 회동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형틀(110)에 들어가 밀착된 인체는 고정수단(120)에 의해 형틀 (110)에서 이탈되지 않으며, 그 하중은 형틀(110)에 형성된 지지대(112)에 의해 척추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작용하는 본 고안의 디스크환자용 침대상판에 의하면, 형틀과 고정수단 및 회동수단이 구비되는 침대상판을 회동시킴으로써, 허리디스크 환자가 침대상판에 누운 상태에도 척추에 무리를 가하지 않고 운동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허리디스크 환자가 척추에 무리를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운동할 수 있는 등의 여러 효과를 갖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5)

  1. 지지다리에 의하여 지지되는 침대상판에 있어서,
    상기 침대상판(110)을 지지하며 회동하기 위한 회동수단(200)과;
    상부는 개방되고, 그 하부에는 인체의 후반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성형되며, 그 내부 중앙부에는 등의 협세부(狹細部)가 접하는 위치에 돌기(11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형틀(110)과;
    상기 형틀(110)의 내부에 인체가 들어가 밀착되어 누우면 그 인체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고정수단(120);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환자용 침대상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틀(110)에는 인체의 겨드랑이 부분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112)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환자용 침대상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틀(110)은 상기 침대상판(100)의 상부 표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환자용 침대상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틀(110)은 상기 침대상판(100)의 상부 표면에서 소정간격 함몰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환자용 침대상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120)은 일측이 침대상판(100)의 상면 형틀 (110) 일측에 고정되며, 타측에는 벨크로 파스너(121a)가 형성된 벨트(121)와; 상기 벨트(121)의 벨크로 파스너(121a)와 체결되며, 상기 침대상판(100)의 상면 형틀 (110) 타측에 구비되는 고리(12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환자용 침대상판.
KR2020010005976U 2001-03-06 2001-03-06 디스크환자용 침대 상판 KR2002343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976U KR200234345Y1 (ko) 2001-03-06 2001-03-06 디스크환자용 침대 상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976U KR200234345Y1 (ko) 2001-03-06 2001-03-06 디스크환자용 침대 상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5270A Division KR100468095B1 (ko) 2002-05-08 2002-05-08 디스크환자용 침대 상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4345Y1 true KR200234345Y1 (ko) 2001-09-26

Family

ID=73097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5976U KR200234345Y1 (ko) 2001-03-06 2001-03-06 디스크환자용 침대 상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434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1734A (en) Head support apparatus
US5740571A (en) Foot support apparatus
JPH07503392A (ja) 能動型動的シート装置
KR200438341Y1 (ko) 운동기능을 갖춘 발받침대
JPH11235A (ja) バースツール
JPH07506502A (ja) 能動型動的シート装置
US5149033A (en) Extremity support apparatus
US4030487A (en) Foldable vibration massage device
KR100468095B1 (ko) 디스크환자용 침대 상판
KR200234345Y1 (ko) 디스크환자용 침대 상판
JP3970956B2 (ja) マッサージ装置
KR200172039Y1 (ko) 자세교정용 의자
US20040129275A1 (en) Treatment bed, treatment apparatus and treatment device
KR100435846B1 (ko) 척추 교정용 의자
WO2000013553A1 (en) Neck support, in particular for improving sleep in a prone position, and anatomical mattress featuring such a support
KR20120091907A (ko) 좌판의 탄성을 이용한 뇌활성화 기능성 의자
KR200275684Y1 (ko) 척추교정패드.
KR200373301Y1 (ko) 목 맛사지 기능을 갖는 베개
CN211355127U (zh) 老年人护理沐浴装置
JPH0315910B2 (ko)
KR100687186B1 (ko) 머리 받침대
KR200292475Y1 (ko) 회전식 지압구와 전/후 조절식 머리 받침대가 구비된 의자
KR20180128258A (ko) 운동 기능의 방석
KR200232665Y1 (ko) 척추 교정용 의자
KR200361362Y1 (ko) 의자용 발받침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