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3860Y1 - 합성수지시이트주머니 - Google Patents

합성수지시이트주머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3860Y1
KR200233860Y1 KR2019960019627U KR19960019627U KR200233860Y1 KR 200233860 Y1 KR200233860 Y1 KR 200233860Y1 KR 2019960019627 U KR2019960019627 U KR 2019960019627U KR 19960019627 U KR19960019627 U KR 19960019627U KR 200233860 Y1 KR200233860 Y1 KR 2002338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sheet
welded
parallel
synthe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96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5677U (ko
Inventor
쇼오이찌 히라이데
시로오 이이모리
Original Assignee
와타리 아키라
니치멘 가부시키가이샤
히라이데 쇼오이치
유겐가이샤 미츠와
하야시 키쿠오
도호쥬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타리 아키라, 니치멘 가부시키가이샤, 히라이데 쇼오이치, 유겐가이샤 미츠와, 하야시 키쿠오, 도호쥬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와타리 아키라
Publication of KR9700056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6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38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38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05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side strip parallel and next to the edge, e.g. by means of a line of wea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18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using adhesive applied to integral parts, e.g. to flaps
    • B65D33/20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using adhesive applied to integral parts, e.g. to flaps 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정해진 변의 근방 위치에서 그 변에 평행하게 손으로 간단히 개봉할 수 있고, 더우기 필요에 따라서 일단 개봉후에 재차 밀봉과 개봉을 반복하여 실시할 수 있도록 한 합성수지 시이트 주머니를 제공한다.
수지시이트를 중합하여 제작된 합성수지 시이트 주머니로서, 하변의 개구부(1)는 물품을 채워넣은 후, 열용착등에 의하여 밀봉된다. 좌변, 우변, 상변에는 각기 띠 형상으로 용착부(2,3,4)가 형성되어 있다. 용착부(4)의 용착된 끝 가장자리를 따라서, 열용착으로 형성되고, 하방으로 구부러져 있는 띠 한쪽부(5)가 설치되어 있다. 띠 한쪽부(5)의 양단이 붙어있는 부분의 위치에는 벤 자리(6,7)가 형성되어 있다. 왼손으로 벤자리(6)의 아래쪽을 유지하고, 오른손으로 띠 한쪽부(5)의 왼쪽끝을 잘라내어 오른쪽 위로 향하도록 하여 잡아당기면, 띠 한쪽부(5)의 붙어있는 부분에 따라서 일직선으로 갈라놓을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 시이트재를 중합하여 만드는 주머니본체의 상변에 연접형성 되어 열융착된 띠 형상인 연설부(18)의 하변을 따라서, 주머니본체의 한쪽면으로 열융착된 혀 형상인 띠 한쪽(17)을 하나로 형성하고, 그 혀 형상인 띠 한 쪽(17)과 동일측의 주머니본체의 외면에는 전기한 연설부(18)에 근접하여 평행하는, 그 띠 한쪽(17)보다 좁은폭의 점착제층(19)을 설치하고, 전기한 띠 형상인 연설부(18) 및 혀 형상인 띠 한쪽(17)은 전기한 점착제층(19)으로 향해서 반복됐을 때에 적어도 그 점착제층(19)과 대면하는 측을 거칠은 면에 형성하고, 미리 혀 형상인 띠 한쪽(17)은 휘어서 가까이 하여 그 점착제층(19)으로 붙여두고, 혀 형상인 띠 한쪽(17)을 잘라내어 개봉한 후에는 이번에는 띠 형상 인 연설부(18)를 반복하여 점착제층(19)으로 붙이므로써 재차 밀봉할 수 있고, 이 띠 형상인 연설부(18)를 사용하여 주머니 개구부의 밀봉과 개봉을 반복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합성수지 시이트주머니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표시한 것으로서,
제1(a)도는 정면도이고, 제1(b)도는 중앙종단면도.
제2도는 제1실시예의 제작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제2(a)∼(d)도는 제작공정순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관한 제2실시예의 설명도.
제4도는 본 고안에 관한 제3실시예의 설명도.
제5도는 본 고안에 관한 제4실시예의 설명도.
제6도는 본 고안에 관한 제5실시예의 설명도로서, 제6(a)도는 정면도이고, 제6(b)도는 중앙종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에 관한 제6실시예의 설명도.
제8도는 본 고안에 관한 제7실시예의 정면도로서, 띠가 찢어지기 시작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제9도는 본 고안에 관한 실시예 7의 정면도이고, 띠를 절취한 후 띠형 연결부를 접어서 개구부를 밀봉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제10도는 본 고안에 관한 실시예 7의 합성수지 시이트주머니의 제작과정을 표시하는 측단면도로서, 제10(a)도는 제작도중의 상태를 표시하고, 제10(b)도는 완성된 상태의 주머니를 표시하고 있다.
제11도는 종래예의 설명도.
제12도는 다른 종래예의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3,4,9,13,14,15 : 용착부 5,17 : 띠
6,7 : 노치 8,11 : 절곡부
10 : 개구부 12 : 절첩부
16 : 척 18 : 연결부
19 : 점착제 층
본 고안은, 한쪽 가장자리를 따라 손으로 간단히 그 가장자리에 평행하게 개봉되고, 개봉 후에도 재밀봉과 재개봉을 쉽게 반복할 수 있는 합성수지 시이트 주머니에 관한 것이다.
식품이나 약품, 전기부품, 문방구, 소형 일용품등의 물품을 포장하는 주머니중에는, 포장시에는 밀봉상태이지만, 최초 손으로 절취하여 개봉한 후에도 주머니 기능을 구비한 것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주머니에서는, 최초에 개봉할 때, 주머니의 일변을 따라서 손으로 개봉하기 쉽도록 한 구성을 갖추고 있는 것이 많다. 한편, 이와 같은 주머니의 재질로서는, 주로 열용착이 쉬우면서도 값이 싸고 제작의 자동화가 용이한 점에서,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종이, 화섬지, 셀로판, 금속박 등의 합성시이트가 물품의 종류나 포장목적 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주머니의 종래예를 제11도 내지 제12도에 의해서 설명한다.
우선, 제11도에 표시된 주머니는, 1장의 합성수지시이트를 하변(30)에서 접고, 좌우 양변(31,32)을 열용착한 다음 노치(33,34)를 형성하고, 상변(35)을 통해 물품을 넣은 후, 상변(35)을 열용착하여 밀봉한 것이다. 이 주머니를 최초로 개봉할 경우에는, 좌우 어느 한쪽의 노치(33,34)로부터 노치(34,33)를 향해 상변부(35)를 손으로 찢게 된다. 도면에는, 노치(33)에서 노치(34)를 향해 찢는 경우를 일점쇄선 화살표로 표시하고 있다. 이렇게 한번 꺼낸 물품을 다시 넣었다가 꺼내거나, 물품을 조금씩 몇 회로 나누어서 꺼낼 수 있고, 개봉 후에도 주머니로서의 기능을 보유하도록 하고 있다.
제12도에 표시된 주머니는, 1장의 합성시이트에 가이드용 커트테이프로 불리우는 다른 재질의 가는 테이프(36)를 접합해 두고, 이 합성시이트를 제11도의 종래 예와 마찬가지로 하변(30)에서 접어 좌우 양변(31,32)을 열용착한 다음 노치(33,34)를 형성하고, 상변(35)에서 물품을 채워넣은 후 상변(35)을 열용착으로 밀봉한다. 이 주머니의 개봉조작은 상기 종래 예와 동일하며, 그에 따라 개봉 후에도 주머니로서의 기능을 보유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2개의 종래 예는, 어느 것도 한번 개봉된 후에도 주머니로서의 최소한의 기능은 보유하고 있지만, 개봉부를 다시 밀봉하는 기능은 없다.
그래서, 그 점까지도 만족시키는 것으로는, 상기 양쪽 노치(33,34)의 연결선에 평행하게 그 연결선 하방부에 요철 형태로 맞물리는 수지 제척을 열용착으로 부착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제11도에 표시한 종래예의 경우에는, 고가이고 특수한 시이트재를 사용할 경우 이외에는, 손으로 찢어도 상변(35)에 평행하게 직선으로 절단하기가 극히 어렵고, 그 후에도 주머니로서 사용할 수 없거나, 임시로 사용할 수 있다고 해도 외관상 보기 좋지 않은 경우가 많다. 이런 점에서, 제12도의 종래예의 경우, 절단할 때에 상변부의 절개 방향으로도 주의를 기울이면 테이프(36)를 따라 절단할 수는 있지만, 이 경우에는 다른 재질의 테이프를 별도로 준비하고, 이 테이프를 맞붙여야만 하므로, 생산 단가 측면에서 불리하다.
본 고안의 합성수지 시이트 주머니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소정의 가장자리에 평행하게 간단히 개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며, 다른 목적은 재밀봉과 재개봉을 간단히 반복하면서도 외관을 훌륭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며, 또 다른 목적은 이들 시이트 주머니를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시이트재를 겹쳐 한쌍의 대향하는 제1변과 제2변을 각각 용착하고, 다른 한 쌍의 대항하는 제3변과 제4변중 제3변을 물품삽입후 밀봉하는 합성수지 시이트주머니에 있어서, 상기 제4변의 근방에 제4변과 평행하면서 양단위치까지 상기 시이트재를 겹쳐 용착한 절개용 띠를 형성하며, 상기 띠의 양단중 한쪽에 노치를 형성한다.
또, 본 고안은 시이트재를 겹쳐 한쌍의 대향하는 제1변과 제2변을 각각 용착하고, 다른 한쌍의 대향하는 제3변과 제4변중에서 제3변을 물품삽입후 밀봉하는 합성 시이트 주머니에 있어서, 상기 제4변이 용착되어있고, 그 용착 단부를 따라 양 단위치까지 상기 시이트재를 겹쳐 형성한 절개용 띠를 형성하며, 상기 때의 양단 중 적어도 한쪽에 노치를 형성한다.
또, 본 고안은 시이트재를 겹쳐 한쌍의 대향하는 제1변과 제2변을 각각 용착 하고, 다른 한쌍의 대향하는 제3변과 제4변중 제3변을 물품삽입후 밀봉하는 합성 시이트 주머니에 있어서, 상기 제4변을 상기 시이트재의 절곡변으로 하고, 그 제4변의 근방에 제4변과 평행하면서 양단위치까지 상기 시이트재를 겹쳐 용착한 절개 용 띠를 형성하며, 상기 띠의 양단중 적어도 한쪽에 노치를 형성한다.
또, 본 고안은 시이트재를 겹쳐 한쌍의 대향하는 제1변과 제2변을 각각 용착 하고 다른 한쌍의 대향하는 제3변과 제4변중 제3변을 물품삽입후 밀봉하는 합성시이트 주머니에 있어서, 상기 제4변이 용착되어있고, 상기 제3변의 근방에 제3변과 평행하면서 양단위치까지 상기 시이트재를 겹쳐 용착한 절개용 띠를 형성하며, 상기 띠의 양단중 적어도 한쪽에 노치를 형성한다.
또, 본 고안은 시이트재를 겹쳐 한쌍의 대향하는 제1변과 제2변을 각각 용착하고, 다른 한쌍의 대향하는 제3변과 제4변중 제3변을 물품삽입후 밀봉하는 합성 시이트주머니에 있어서, 상기 제4변을 상기 시이트재의 절곡변으로 하고, 상기 제3변의 근방에 제3변에 평행하면서 양단위치까지 상기 시이트재를 겹쳐 용착한 절개용 띠를 형성하며, 상기 띠의 양단중 적어도 한쪽에 노치를 형성한다.
또, 본 고안은 시이트재를 겹쳐 한쌍의 대향하는 제1변과 제2변을 각각 용착하고, 다른 한쌍의 대향하는 제3변과 제4변중 제3변을 물품삽입후 밀봉하는 합성 시이트주머니에 있어서, 상기 제4변 근방에 제4변과 평행한 4중의 절첩부를 형성하되 인접한 2장씩을 상기 제4변에서 용착하고, 상기 제3변 근방에 제3변과 평행하면서 양단위치까지 상기 시이트재를 겹쳐 용착한 절개용 띠를 형성하며, 상기 띠의 양단중 적어도 한쪽에 노치를 형성한다.
또, 본 고안의 합성수지 시이트 주머니는, 상기 띠의 근방의 상기 띠가 형성된 변의 대향변쪽에 상기 띠와 평행하게 수지제 척이 용착된다.
또, 본 고안은 시이트재를 겹쳐 형성된 주머니본체의 상변에 연접 형성된 열용착된 띠형 연결부의 밑변을 따라 주머니본체의 한쪽면에 열용착된 띠를 일체로 형성하고, 이 띠와 동일한 쪽의 주머니본체 외면에는 상기 연결부에 근접하여 평행 한 상기 띠보다 좁은폭의 점착제층이 형성되며, 상기 띠형 연결부 및 띠는 상기 점착제층을 향해 접혔을 때 접착제층과 대면하는 측이 거친 면으로 형성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시이트 주머니에서, 상기 점착제층의 접착제가 감압(감압(減壓))형 또는 고온용융형 점착제이고, 상기 띠를 접어 접착제층에 접착한다.
다음,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고안의 실시예 1을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실시예의 구성을 표시한 것으로서, 제1(a)도는 정면도이며, 제1(b)도는 제1(a)도의 중앙종단면도이다. 제2(a)도 내지 제2(d)도는 본 실시예의 제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도에 표시된 본 실시예의 합성시이트 주머니는 수지시이트로 제작되는 것으로서, 하변을 개구부(1)로 한다. 좌변, 우변, 상변에는 각각 겹쳐진 수지 시이트가 띠 형태로 열용착된 용착부(2, 3, 4)가 형성되어 있고, 용착부(4)의 용착단부를 따라 수지시이트를 겹친 상태로 열용착하여 주머니 표면과 평행하게 하방으로 구부린 띠(5)가 부착되어 있다.
이 띠(5)의 좌우양단부에는 V형 또는 U형의 노치(6,7)가 형성되어 있다. 이 노치(6,7)은 금형에서 인발 형성되므로, 좌우의 용착부(2,3)에도 형성된다.
이런 구성의 합성시이트 주머니에서는, 개구부(1)에서 물품을 채워 넣은 뒤, 열용착이나 접착 등으로 밀봉된다. 이렇게 밀봉된 주머니를 노치(6)에서 개봉할 경우, 왼손으로 노치(6) 밑을 쥔채 오른손으로 띠(5) 좌단부를 잡아 우상방으로 잡아당기면, 노치(6)에서 노치(7)까지 띠의 접착부를 따라 일직선으로 절개할 수 있다. 이로부터 알 수 있듯이, 노치(6,7)는 양쪽에 형성하는 것이 좋지만, 어느 한 쪽에만 형성해도 지장 없으며, 또 주머니의 재질이나 두께에 따라서는 양쪽에 둘 다 형성하지 않고, 띠(5)의 접착부를 따라 일직선으로 흠을 형성할 수도 있다.
다음, 본 실시예의 합성시이트 주머니를 저렴하고 용이하게 생산하는 방법에 대해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a)도는 좌우방향으로 긴 1장의 수지시이트(S)를 도시하는바, 이 수지시이트(S)는 합성시이트이고, 한쪽면에 열용융성 필름(예컨대, 폴리에틸렌)층을 보유하고 있다. 우선, 이 수지시이트(S)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하단(S1,S2)을 절단하고, 상기 열용융성 필름층을 맞대어 열용착으로 용착부(A)를 형성한다. 이 상태의 단면이 제2(b)도에 도시되어 있다. 그 후, 수지시이트(S)를 더 이동시키면서, 제2(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착부를 구부리고, 열용착으로 우단부에 용착부(B)를 형성함과 아울러 좌단부를 얇은 칼날(c)로 분리한다.
그 후, 제2(d)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시이트(S)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용착부(D)를 형성한다. 다음, 용착부(A,B)에 인접하고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용착부(D)의 중심선상에 소정 크기 및 형상의 구멍(E)을 뚫는다. 마지막으로, 용착부(D)의 중심선을 절단하여 제1도에 도시된 합성시이트 주머니를 완성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용착부(A)가 띠(5)로 되고, 용착부(B)가 용착부(4)로 되고, 용착부(D)가 용착부(2,3)으로 되며, 구멍(E)이 노치(6,7)로 된다. 이와같이, 본 실시예는 한장의 시이트로를 이용해 자동 양산이 가능하다.
[실시예 2]
본 고안의 실시예 2를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도면에서,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병기한다.
하변에 개구부(1)가 형성되고, 좌우변에 용착부(2,3)가 형성되며, 상변 부근에 상변과 평행한 띠(5)(이해의 편의상 비스듬하게 도시됨)가 열용착으로 형성되고, 띠(5) 양단의 접착부에 노치(6,7)가 형성된 점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단, 상변에 용착부를 형성하지 않고, 절곡부(8)만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경우에도,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손으로 띠(5)의 접착부를 따라 일직선으로 절개할 수 있다. 단, 실시예 1과 비교하면 확실성은 약간 떨어진다. 또, 이와 같은 구성이라도 한장의 시이트를 이용해 극히 쉽게 제작할 수 있음은 말할 나위도 없으며, 오히려 실시예 1의 경우보다 간단하다.
[실시예 3]
본 고안의 실시예 3에 대해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도면에서도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병기한다. 좌우변에 용착부(2,3)를 형성하고, 상변 부근에 상변과 평행하게 띠(5)(이해의 편의상 비스듬하게 도시됨)가 열용착으로 형성되며, 띠(5) 양단의 접착부에 노치(6,7)가 형성된 접은, 실시예 1의 경 우와 동일하다.
단, 하변에 용착부(9)가 형성되고, 상변이 물품을 채워 넣기 위한 개구부(10)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물품을 채워넣은 후, 상변으로부터 띠(5)의 접착부 까지를 열용착하면, 그 밀봉상태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이런 밀봉 구성의 경우에는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한 개봉효과를 얻을 수 있고, 임시 밀봉시 띠(5)의 접착부까지 밀봉하지 않은 경우에는 실시예 2의 경우와 동일한 개봉효과를 얻는다. 또, 본 실시예와 같은 구성도 한장의 시이트로부터 극히 쉽게 제작할 수 있음은 말할나위도 없고, 예컨대 제2(c)도에서 좌단을 융착하고 우단을 칼날로 분리하면 된다.
[실시예 4]
본 고안의 실시예 4에 대해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도면에서도, 상기 각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부호를 병기한다. 좌우변에 용착부(2, 3)를 형성하고, 상변 부근에 상변과 평행하게 띠(5)(이해의 편의상 비스듬히 도시됨)가 열용착으로 형성되며, 띠(5) 양단의 접착부에 노치(6,7)를 형성하고, 상변이 물품을 채워넣기 위한 개구부(10)로 되어 있는 점은, 실시예 3의 경우와 동일하다. 단, 하변이 절곡부(11)로 되어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물품을 채워넣은 후, 상변을 밀봉하지만, 개봉시에는 상기 각 실시예와 동일하며, 개구부(10)의 밀봉 방법에 따라 근소하기는 하지만 개봉효과에 차이가 생기는 접은 실시예 3의 경우와 동일하다. 또, 본 실시예의 구성의 경우에도 한장의 시이트로부터 극히 쉽게 제작할 수있는 것은 말할나위도 없고, 오히려 실시예 3의 경우보다 간단할 수 있다.
[실시예 5]
본 고안의 실시예 5를 제6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6(a)도는 본 실시예의 정면도이고, 제6(b)도는 종단면도이다.
또, 이 도면에서도, 상기 각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 부호를 병기한다. 좌우변에 용착부(2,3)를 형성하고, 상변 부근에 상변과 평행하게 띠(5)(이해의 편의상 비스듬하게 도시됨) 양단의 접착부에 노치(6,7)가 형성되고, 상변이 물품을 채워넣기 위한 개구부(10)로 되어 있는 점은, 실시예 3, 4의 경우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의 구성이 실시예 3, 4와 다른 점은, 하변 부근에 하변과 평행한 절첩부(12)를 형성하여 하부를 4중으로 구성하고, 인접한 2장씩 하변 위치에서 오목한 곡면 형태로 열용착하여 2개의 용착부(13,14)를 형성하되, 도면상에 검게 표시된 장소(15)에서 용착하여 양쪽 용착부(13,14)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와 같은 구성의 주머니는, 스탠드팩이라 하여, 물품을 채워넣은 상태에서 절첩부(12)의 펼쳐 세워놓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개봉시의 조작 및 개봉효과는 실시예 3, 4의 경우와 동일하다.
또, 본 실시예의 구성의 경우에도 한 장의 시이트로 극히 쉽게 제작할 수 있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지만, 자동화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하방부를 4장 포개서 접는 것이 불편하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절첩부(12)를 보유하는 안쪽 2장을 별도의 시이트로 제작하고, 도면과 같이 용착해도 된다.
[실시예 6]
본 고안의 실시예 6을 제7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 부호를 병기하고 있다. 또, 띠(5)는 이해의 편의상 일부러 비스듬하게 그려져 있다.
본 실시예의 구성이 실시예(1)의 경우와 다른 점은, 띠(5)와 평행하게 띠(5)의 밑에 요철 결합되는 수지제 척(16)이 용착되어 있을 뿐이고, 그 외의 구성은 동일하다.
이와 같이 수지제 척(16)을 용착하는 기술은 합성 시이트 주머니의 제작분야에서 잘 알려겨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 이와 같이 척(16)을 용착해도, 개봉순서 및 개봉효과가 실시예 1의 경우와 완전히 동일하다. 또한, 이 척(16)은 실시예 1 뿐만 아니라 상기 실시예 전부에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7]
본 고안의 실시예 7을 제8도 내지 제10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8도는 본 실시예의 정면도이고, 상기 띠(5)와 동일 형상의 띠(17)의 절취를 개시한 상태를 표시하고 있고, 제9도는 띠를 잘라낸 후, 상측의 띠형 연결부(18)를 접어 개구부를 밀봉하는 상태를 표시하는 설명도이다.
F는 합성수지 필름으로 된 주머니본체인 바, 예컨대 외층으로서의 연신된 폴리에스테르필름과 내층으로서의 미연신 폴리프로필렌필름을 2층으로 맞붙인 것이나, 외층으로서 연신된 폴리프로필렌필름과 내층으로서 저밀도 폴리에틸렌필름을 2층으로 맞붙인 것이 사용된다.
17은 주머니본체(F)의 상변에 일체로 연접되어 열용착된 띠형 연결부(18)의 하변을 따라 주머니본체(F)의 한쪽면에 일체로 형성된 띠로서 상기 실시예 1∼6의 띠(5)에 대응하는 것이다. 이 띠(17)는, 예컨대 제10(a)도에 도시하듯이, 한 장의 합성시이트로 주머니본체(F)를 제작할 때 합성시이트의 상하양단부를 겹쳐 열용착 하여 형성되거나, 주머니본체(F)의 합성시이트 상하 양단부가 상기 띠형 연결부(18)의 한쪽면 하변으로부터 접혀진 부분을 열용착하여 형성된다.
19는 주머니본체(F) 외면에 상기 연결부(18)에 평행하도록 설치된 띠(17)보다 좁은폭의 점착제층이고, 점착제로서는 감압(減壓) 접착제나 고온용융 점착제를 사용한다.
20, 21은 주머니본체(F)의 열용착된 좌우 양변이고, 6,7은 상기 띠형 연결부(18)와 띠(17)에 접하는 좌우 양단부의 노치로서 띠(17)를 찢어내기 쉽게 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띠(17) 및 연결부(18)를 열용착으로 형성할 때, 주머니본체(F)의 상기 점착제층(19)을 향해 접었을 때 점착제층(19)에 마주하는 면을 거친면으로 형성하도록, 열용착기의 융착판은 그 표면이 거친 미세 요철면인 것을 사용한다.
따라서, 제10(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띠(17)를 미리 접어 점착제층(19)에 접착하고, 주머니본체(F)의 내용물을 꺼낼때는, 띠(17)의 좌우 한쪽 끝을 손가락으로 잡아 연결부(18)의 밑변을 따라서 찢는다.
이때, 띠(17)의 접착제층(19)과의 접촉면은 거친 면으로 되어, 띠(17)를 점착제층에서 쉽게 벗겨낼 수 있다. 띠(17)를 본체(F)로부터 잘라내면, 연결부(18)의 밑변에는 주머니본체(F)의 개구부(10)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10)로부터 내용물을 꺼낸다.
또한, 주머니본체(1)에 내용물을 넣는 방법으로는, 예컨대 주머니본체(F)의 좌우 양변(20,21)을 용착하기 전에 넣거나, 주머니본체(F)의 밑변을 칼날 등으로 찢어 내용물을 넣은 후 밑변을 열용착으로 밀봉하는 방법 등, 여러 방법이 있다.
다음, 주머니본체(F)의 내용물을 소정량 꺼내고, 본체(F)내에 아직 내용물이 잔존하고 있을 때에는, 제9도에 도시한 대로 주머니본체(F)상측의 띠형 연결부(18)를 접어 점착제층(19)에 접착하면 주머니본체(F)의 개구부(10)를 간단히 밀봉할 수 있다. 또, 연결부(18)의 점착제층(19)과의 접촉면도 상기 띠(17)와 마찬가지로 거친 면으로 되어 있어, 재개봉할 때에도 연결부(18)를 간단히 벗겨낼 수 있고, 주머니본체(F)의 개폐를 몇 번이라도 반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합성수지 시이트주머니에 의하면, 수동 개봉조작이 극히 간단하면서도, 소기의 위치에서 직선으로 절개할 수 있고, 개봉 후에도 주머니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양산성에 우수하고, 1장의 합성수지 시이트로 쉽게 제작할 수 있으며, 단가를 낮추는데 효과적이다.
또, 이 합성수지 시이트주머니를 상기 실시예 7과 같이 구성하면, 주머니를 일단 개봉한 후에도, 상변부에 형성된 띠형 연결부를 반복하여 점착제층에 접착함으로써, 간단히 재밀봉할 수 있고, 또 띠형 연결부의 표면이 거친면으로 되어 있으므로 점착체층에서 쉽게 분리됨은 물론, 주머니의 개구부의 밀봉 개봉을 몇 번이 라도 반복할 수 있다.

Claims (14)

  1. 시이트를 겹쳐 한쌍의 대향하는 제1변과 제2변을 용착하고, 다른 한쌍의 대향하는 제3변과 제4변중에서 제3변을 물품삽입후의 밀봉하는 합성시이트 주머니에 있어서: 상기 제4변의 근방에는, 제4변과 평행하게 양단위치까지 상기 시이트재를 겹친채 용착하여 형성된 절개용 띠를 형성하고, 상기 띠의 양단중 적어도 한쪽에 노치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시이트주머니.
  2. 시이트재를 겹쳐 한쌍의 대향하는 제1변과 제2변을 각각 용착하고, 다른 한쌍의 대향하는 제3변과 제4변중에서 제3변을 물품삽입후 밀봉하는 합성 시이트 주머니에 있어서: 상기 제4변이 용착되어있고, 그 용착 단부를 따라 양단위치까지 상기 시이트재를 겹쳐 형성한 절개용 띠를 형성하며, 상기 띠의 양단중 적어도 한쪽에 노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시이트주머니.
  3. 시이트재를 겹쳐 한쌍의 대향하는 제1변과 제2변을 각각 용착하고, 다른 한쌍의 대향하는 제3변과 제4변중 제3변을 물품삽입후 밀봉하는 합성시이트 주머니에 있어서: 상기 제4변을 상기 시이트재의 절곡변으로 하고, 그 제4변의 근방에 제4변과 평행하면서 양단위치까지 상기 시이트재를 겹쳐 용착한 절개용 띠를 형성하며, 상기 띠의 양단중 적어도 한쪽에 노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시이트주머니.
  4. 시이트를 겹쳐 한쌍의 대향하는 제1변과 제2변을 각각 용착하고 다른 한쌍의 대향하는 제3변과 제4변중 제3변을 물품삽입후 밀봉하는 합성시이트주머니에 있어서: 상기 제4변이 용착되어있고, 상기 제3변의 근방에 제3변과 평행하면서 양단위 치까지 상기 시이트재를 겹쳐 용착한 절개용 띠를 형성하며, 상기 띠의 양단중 적어도 한쪽에 노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시이트주머니.
  5. 시이트재를 겹쳐 한쌍의 대향하는 제1변과 제2변을 각각 용착하고, 다른 한쌍의 대향하는 제3변과 제4변중 제3변을 물품삽입후 밀봉하는 합성시이트주머니에 있어서: 상기 제4변을 상기 시이트재의 절곡변으로 하고, 상기 제3변의 근방에 제3변에 평행하면서 양단위치까지 상기 시이트재를 겹쳐 용착한 절개용 띠를 형성하며, 상기 띠의 양단중 적어도 한쪽메 노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시이트주머니.
  6. 시이트재를 겹쳐 한쌍의 대향하는 제1변과 제2변을 각각 용착하고, 다른 한쌍의 대향하는 제3변과 제4변중 제3변을 물품삽입후 밀봉하는 합성시이트주머니에 있어서 : 상기 제4변 근방에 제4변과 평행한 4중의 절첩부를 형성하되 인접한 2장씩을 상기 제4변에서 용착하고, 상기 제3변 근방에 제3변과 평행하면서 양단위치까지 상기 시이트재를 겹쳐 용착한 절개용 띠를 형성하며, 상기 띠의 양단중 적어도 한 쪽에 노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시이트주머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띠의 근방의 상기 띠가 형성된 변의 대향변쪽에 상기 띠와 평행하게 수지제 척이 용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시이트주머니.
  8. 시이트재를 겹쳐 형성된 주머니본체의 상변에 연접 형성된 열용착된 띠형 연결부의 밑변을 따라 주머니본체의 한쪽면에 열용착된 띠를 일체로 형성하고, 이 띠와 동일한 쪽의 주머니본체 외면에는 상기 연결부에 근접하여 평행한 상기 띠보다 좁은폭의 점착제층이 형성되며, 상기 띠형 연결부 및 띠는 상기 점착제층을 향해 접혔을 때 점착제층과 대면하는 측이 거친 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시이트주머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점착제가 감압(減壓)형 또는 고온용융형 점착제이고, 상기 띠를 접어 점착제층에 접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시이트주머니.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띠의 근방의 상기 띠가 형성된 변의 대향변쪽에 상기 띠와 평행하게 수지제 척이 용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시이트주머니.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띠의 근방의 상기 띠가 형성된 변의 대향변쪽에 상기 띠와 평행하게 수지제 척이 용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시이트주머니.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띠의 근방의 상기 띠가 형성된 변의 대향변쪽에 상기 띠와 평행하게 수지제 척이 용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시이트주머니.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띠의 근방의 상기 띠가 형성된 변의 대향변쪽에 상기 띠와 평행하게 수지제 척이 용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시이트주머니.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띠의 근방의 상기 띠가 형성된 변의 대향변쪽에 상기 띠와 평행하게 수지제 척이 용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시이트주머니.
KR2019960019627U 1995-07-03 1996-07-02 합성수지시이트주머니 KR20023386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5006671U JP3020281U (ja) 1995-07-03 1995-07-03 合成シート袋
JP95-6671 1995-07-03
JP95-14640 1995-1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5677U KR970005677U (ko) 1997-02-19
KR200233860Y1 true KR200233860Y1 (ko) 2001-11-22

Family

ID=60873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9627U KR200233860Y1 (ko) 1995-07-03 1996-07-02 합성수지시이트주머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020281U (ko)
KR (1) KR20023386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5677U (ko) 1997-02-19
JP3020281U (ja) 1996-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89793B1 (en) Packaging member with easy-opening means
KR101175960B1 (ko) 척 테이프가 부착된 주머니
EP1616806B1 (en) Bag
EP2077946B1 (en) Method of making bag with interrupted side gussets
US4252269A (en) Plastic bag with carrying handle
EP1621473A1 (en) Tamper evident slider-actuated string-zippered bag with hood and related method of manufacture
US4778283A (en) Draw band bag
US20080044110A1 (en) Paper or Plastic Bag
GB2204016A (en) Reclosable contain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MXPA04007451A (es) Empaques flexibles que tienen cierres de corredera y aparatos para su manufactura.
EP1749652A1 (en) Method for installing closure in mouth of pre-made bag
WO2010111135A2 (en) Package having resealable closur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070116388A1 (en) Fastener bag and fastening device
US7163338B2 (en) Reclosable package having offset pull tab feature and related method of manufacture
JPH0455943B2 (ko)
EP1325872B1 (en) Fastener bag and fastener device
JPH01167053A (ja) 軟質材料の容器
JPH09207948A (ja) 包装袋
AU712139B2 (en) Blank for a container, and a container having a closing and opening system
KR200233860Y1 (ko) 합성수지시이트주머니
JP2006213368A (ja) ピロー包装体
JPS6013792Y2 (ja) 包装用袋
JP3365075B2 (ja) 包装体の易開封構造
JP3033226U (ja) ガゼット袋及び包装体
JPS61127462A (ja) 可撓材製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