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3795Y1 - 구조물 설치용 각도 조절연결구 - Google Patents

구조물 설치용 각도 조절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3795Y1
KR200233795Y1 KR2020010006375U KR20010006375U KR200233795Y1 KR 200233795 Y1 KR200233795 Y1 KR 200233795Y1 KR 2020010006375 U KR2020010006375 U KR 2020010006375U KR 20010006375 U KR20010006375 U KR 20010006375U KR 200233795 Y1 KR200233795 Y1 KR 2002337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late
angle
angle adjustment
hole
connecting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63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익우
Original Assignee
이익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익우 filed Critical 이익우
Priority to KR20200100063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37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37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3795Y1/ko

Links

Landscapes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로 일정높이에서 매달림 형태로 설치되는 간판,표지판,조명등, 조형물등과 같은 각종 구조물의 설치각도를 상하좌우로 가변 조절하여 연결할수 있도록한 구성으로 구조물 설치를 편리하게 할수 있는 구조물 설치용 각도 조절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즉, 반구형의 고정판(10)에 형성된 결합단부(11)에 구조물(20)을 고정할수 있게 하고 고정판(10)의 중심부에서 결합단부 방향으로 편심된 각도조절구멍(13)을 크게 형성하며 각도조절구멍(13)의 주연부(13a)에 맞닿는 곡형의 내·외부 밀착판 (15)(15')을 구성하고 고정판(10)내·외측에 밀착되는 내·외부 밀착판(15)(15')에 볼트결합구멍(16)을 편심되게 형성하여 관통되게 끼운 연결볼트(17)에 너트(18)를 결합하고 연결볼트(17)의 나사단부(17a)는 시설물의 지지대에 결합하는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설치용 각도조절연결구이다.

Description

구조물 설치용 각도 조절연결구{Angularly adjustable connecting unit for establishment of structure}
본 고안은 주로 일정높이에서 매달림 형태로 설치되는 간판,표지판,조명등, 조형물등과 같은 각종 구조물의 설치각도를 상하좌우로 가변 조절하여 연결할수 있도록한 구성으로 구조물 설치를 편리하게 할수 있는 구조물 설치용 각도 조절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매달림상태로 설치되는 각종 구조물의 설치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벽체, 지주등과 같은 시설물과 장착판등의 구조물 사이에 각도조절간을 연결하여 각도조절을 할수 있게 되었으나 각도조절간은 일방향으로만 절첩작용을 하게 되므로 상하좌우로 가변하여 다양한 각도조절을 할수 없었다.
그래서 구조물의 설치각도를 조절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물이 설치되는 시설물이 벽체와 같이 가변되지 않을때는 시설물에 각도조절간이 연결되는 지지대를 정확한 위치에 설치해야되고 다수의 각도조절을 사용하여 구조물의 설치각도를 조절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반구형의 고정판에 편심된 각도조절구멍을 형성하여 고정판의 내·외측에서 각도조절구멍의 주연부에 곡형으로된 내·외부 밀착판을 각각 맞닿게 하고 그 내·외부 밀착판의 볼트 결합구멍에 시설물 지지대와 결합되는 연결볼트를 끼워 각도 조절구멍에 의해 고정판의 설치 각도를 상하좌우로 조절하여 고정한다음 고정판의 연결단부에 구조물을 설치하여서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사시도
도 3의 (가)(나)는 고정판의 전면도 및 단면도
도 4의 (가)(나)는 내·외부 밀착판의 전면도 및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6는 본 고안의 상하각도 조절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좌우각도 조절을 예시한 평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연결구에 구조물이 부착된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예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또다른 설치상태 예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연결구를 2조로 사용하여 조절각도를 크게 가변시킬수 있게한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판 11 : 결합단부
12 : 결합구멍 13 : 각도조절구멍
13a : 주연부 15,15' : 밀착판
16 : 볼트결합구멍 17 : 연결볼트
17a : 나사단부 18 : 너트
19 : 와셔 20 : 구조물
21 : 지지대
반구형으로 구성한 고정판(10)에 절곡된 결합단부(11)를 형성하여 구조물(20)을 고정할수 있게 하고 고정판(10)의 중심부에서 결합단부 방향으로 편심된 각도조절구멍(13)을 크게 형성하여 연결볼트(17)에 지지되는 고정판(10)의 결합위치를 임의적으로 가변할수 있게 하며 고정판(10)의 내·외측에서 각도조절구멍(13)의 주연부(13a)에 곡형으로 된 내·외부 밀착판(15)(15')을 맞닿게 구성하고 내·외부 밀착판(15)(15')은 일측으로 편심된 볼트결합구멍(16)을 형성하여 연결볼트(17)를 관통되게 끼워 각도조절구멍(13)에 의해 고정판(10)의 설치각도를 임의조절한 다음 고정판(10)에 내·외부 밀착판(15)(15')이 밀착되도록하고 연결볼트(17)에 와셔(19)를 끼워 너트(18)를 결합한다.
상기 고정판(10)의 결합단부(11)는 간판, 표지판, 조명등, 조형물과 같이 일정높이에서 매달림 상태로 설치되는 각종 구조물(20)을 용접으로 부착하거나 결합단부(11)에 결합구멍(12)을 형성하여 볼트 결합으로 부착할수 있게 한다.
내·외부밀착판(15)(15')은 볼트결합구멍(16)을 편심되게 형성함으로서 각도조절구멍(13)에 지지되는 연결볼트(17)위치에 따라 내·외부 밀착판(15)(15')을 움직여서 각도조절구멍(13)의 주연부(13a)에 맞닿을 수 있게 된다.
연결볼트(17)의 나사단부(17a)는 벽체나 지주등과 같은 시설물의 지지대(21)에 결합하여 각도조절되는 구조물(20)을 연결하게 된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간판,표지판,조명등,조형물등과 같은 각종구조물(20)을 설치할때 고정판(10)과 고정판(10)의 내·외측에 위치한 내·외부 밀착판(15)(15')에 관통되게 연결볼트(17)를 끼우고 너트(18)로 가결합한다음 연결볼트(17)의 나사단부(17a)는 벽체, 지주등의 시설물에 고정된 지지대(21)에 결합하여 고정시킨다.
이어서 연결볼트(17)에 지지되어 있는 고정판(10)은 각도조절구멍(13)에 의해 구조물(20)의 설치각도에 따라 상하좌우로 임의조절하고 그 각도조절구멍(13)의 내·외측 주연부(13a)에 맞닿을 수 있도록 내·외부 밀착판(15)(15')을 움직여 밀착시킨 상태에서 너트(18)를 결합하여 고정함으로서 고정판(10)은 구조물(20)의 설치각도로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고정판(10)의 결합단부(11)에 구조물(20)을 결착함으로서 구조물(20)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그리고 고정판(10)에 형성된 각도조절구멍(13)의 주연부(13a)에 내·외부 밀착판(15)(15')이 맞닿은 상태로 고정판(10)이 고정되므로 고정판(10)은 임의의 설치각도에서 긴밀한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 고정판(10)에 형성되는 각도조절구멍(13)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고정판(10)의 가변각도가 달라지게 되므로 설치되는 구조물(2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하여 사용한다.
즉, 본 고안은 시설물의 지지대(21)등에 연결볼트(17)를 고정하고 연결볼트(17)에 지지된 고정판(10)은 각도조절구멍(13)을 따라 상하좌우로 움직여서 각도조절한 다음 내·외부밀착판(15)(15')으로 연결볼트(17)에 고정판(10)이 긴밀하게 고정상태를 유지하는 수단으로 고정판(10)에 부착되는 구조물(20)의 설치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의 구조물 설치용 각도조절 연결구는 일정높이에서 매달림 형태로 설치되는 간판,표지판,조명등,조형물등과 같은 각종 구조물을 벽체, 지주등과 같은 시설물에서 설치각도를 상하좌우로 가변조절하여 다양한 각도로 구조물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설치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반구형의 고정판(10)에 형성된 결합단부(11)에 구조물(20)을 고정할수 있게 하고 고정판(10)의 중심부에서 결합단부 방향으로 편심된 각도조절구멍(13)을 크게 형성하며 각도조절구멍(13)의 주연부(13a)에 맞닿는 곡형의 내·외부 밀착판 (15)(15')을 구성하고 고정판(10)내·외측에 밀착되는 내·외부 밀착판(15)(15')에 볼트 결합구멍(16)을 편심되게 형성하여 관통되게 끼운 연결볼트(17)에 너트(18)를 결합하고 연결볼트(17)의 나사단부(17a)는 시설물의 지지대에 결합하는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설치용 각도조절연결구
KR2020010006375U 2001-03-09 2001-03-09 구조물 설치용 각도 조절연결구 KR2002337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375U KR200233795Y1 (ko) 2001-03-09 2001-03-09 구조물 설치용 각도 조절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375U KR200233795Y1 (ko) 2001-03-09 2001-03-09 구조물 설치용 각도 조절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3795Y1 true KR200233795Y1 (ko) 2001-10-06

Family

ID=73097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6375U KR200233795Y1 (ko) 2001-03-09 2001-03-09 구조물 설치용 각도 조절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379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6807A (ko) * 2015-03-02 2016-09-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조향장치
KR101849094B1 (ko) * 2016-08-25 2018-05-31 김대성 건축물 외장재 고정용 앵커볼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6807A (ko) * 2015-03-02 2016-09-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조향장치
KR102216191B1 (ko) 2015-03-02 2021-02-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조향장치
KR101849094B1 (ko) * 2016-08-25 2018-05-31 김대성 건축물 외장재 고정용 앵커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0648B1 (ko) 가로등의 연결구
KR101797911B1 (ko) 도로표지판 및 신호등 설치용 회전식 지주
KR200233795Y1 (ko) 구조물 설치용 각도 조절연결구
JP4488919B2 (ja) 信号灯器取付金具
JP3807701B2 (ja) 接続用継手およびそれを用いた接続構造
JP2000248700A (ja) 樋取付け具
KR200384355Y1 (ko) 거푸집 지지장치
CN210511361U (zh) 一种模块化户外灯杆
JP2004301187A (ja) 天井被吊下げ物の吊下げ装置
KR20020077788A (ko) 트러스 구조물
KR101811302B1 (ko)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교통시설물 설치용 지주 구조물
KR200264410Y1 (ko) 표시판 부착용 횡봉의 체결장치
KR200400497Y1 (ko) 펜스의 연결구조
KR19980081546A (ko) 파이프행거
KR19990013079U (ko) 메쉬 휀스용 기둥
JP2008020985A (ja) 信号灯器の腕金用取付金具
KR200373224Y1 (ko) 가로등 지주의 결합 구조
JP2018137045A (ja) 照明器具
KR200171839Y1 (ko) 범용 브래킷 구조
KR200311721Y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트러스 구조물용 연결부재
KR200233192Y1 (ko) Lcd 프로젝터 고정유니트
KR101743606B1 (ko)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도로표지판용 지주조립체
KR20170129550A (ko) 등기구 암 멀티고정수단
KR200262377Y1 (ko) 지주에 부착되는 표시판의 체결장치
KR100616314B1 (ko) 조명부를 가진 건축용 천정 달대 조립체 및 사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