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3469Y1 - 자동차 소음기 - Google Patents

자동차 소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3469Y1
KR200233469Y1 KR2020010002786U KR20010002786U KR200233469Y1 KR 200233469 Y1 KR200233469 Y1 KR 200233469Y1 KR 2020010002786 U KR2020010002786 U KR 2020010002786U KR 20010002786 U KR20010002786 U KR 20010002786U KR 200233469 Y1 KR200233469 Y1 KR 2002334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pipe
diaphragm
primary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27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병학
Original Assignee
임병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병학 filed Critical 임병학
Priority to KR20200100027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34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34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3469Y1/ko

Links

Landscapes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소음기의 새로운 구성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인 것은소음통 내부에 음압상쇄용 구멍이 뚫린 소음 안내관을 다중으로 장치하여 음압이 소음통내부를 통과하는 동안에 자연스러운 소음이 이루어지게 구성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소음통(1)의 투입부측 중심공(1a)에 다수의 음압상쇄용 구멍(2a)이 뚫어지고 길이가 소음통의 3분지 1정도 되는 1차 소음관(2)을 삽입하여 그 내측단에 중심에 구멍(3a)이 뚫어진 격판(3)을 설치하고 격판 내측에 1차 소음관(2)과 직경이 같은 다공체(4a)의 소음부(4)가 있고 그 외측이 나팔형으로 확대된 배출관(5)을 일직선이 되게 장치하여 배출구(5a) 내측에 반구형 가림구(6)를 장치하고 1차 소음관과 나팔형 배출관(5) 둘레에 다공체로 된 2차 소음관(7)을 설치하고 2차 소음관 내측에 위치하면서 격판(3) 내측에세 나팔형 배출관(5) 외측둘레로 씌워지게 파형 소음관(8)을 장치하여 파형배출관 외측과 내측에 간격이 유지되게하고 소음통(1)과 2차 소음관(7) 사이에 소음제(9)를 층진하여서 된 자동차 소음기로서 이를 통해 보다 자연스러운 소음이 달성되게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소음기{Silencer for automobile}
본 고안은 자동차용 소음기의 새로운 구성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인 것은소음통 내부에 음압상쇄용 구멍이 뚫린 소음 안내관을 다중으로 장치하여 음압이 소음통내부를 통과하는 동안에 자연스럽게 소음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종래의 소음기는 소음통 내부에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이 되게 다수의 격판을 지그제그로 설치하여 소음이 격판을 차례차례통과하면서 소음이 이루어지게 만들었기 때문에 강한 진동이 격판을 자극하여 진동과 이음이 발생하기 때문에 부드러운 소음을 달성할 수 없는 불편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개발한 것으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소음통 1a : 중심공
2,4,7 : 소음관 2a,3a : 구멍
3 : 격판 4a : 다공체
5 : 배출관 5a : 배출구
6 : 가림구 8 : 파형소음관
9 : 소음제
본 고안은 소음통(1)의 투입부측 중심공(1a)에 다수의 음압상쇄용 구멍(2a)이 뚫어지고 길이가 소음통의 3분지 1정도 되는 1차 소음관(2)을 삽입하여 그 내측단에 중심에 구멍(3a)이 뚫어진 격판(3)을 설치하고 격판 내측에 1차 소음관(2)과 직경이 같은 다공체(4a)의 소음부(4)가 있고 그 외측이 나팔형으로 확대된 배출관(5)을 일직선이 되게 장치하여 배출구(5a) 내측에 반구형 가림구(6)를 장치하고 1차 소음관과 나팔형 배출관(5) 둘레에 다공체로 된 2차 소음관(7)을 설치하고 2차 소음관 내측에 위치하면서 격판(3) 내측에서 나팔형 배출관(5) 외측둘레로 씌워지게 파형 소음관(8)을 장치하여 파형배출관 외측과 내측에 간격이 유지되게하고 소음통(1)과 2차 소음관(7) 사이에 소음제(9)를 층진하여서 된 구조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소음통(1)의 중심부 1차 소음관(2)으로 소음이 유입되면, 내측에 설치된 격판(3)에 음이 부딪쳐 일부는 중심구멍을 통해 배출관으로 배출되고 일부는 1차 소음관 주벽에 뚫어진 음입상쇄용 구멍(2a)으로 외출되어 2차 소음관(7) 내측으로 회유하여 파형 소음관(8)을 돌아 다공체의 소음관(4)을 거쳐 나팔형으로 된 배출관(5)을 따라 배기되면서 다단계의 소음이 이루어지고 배출관 끝에 설치된 반구형 가림구(6)에 의하여 반사되어 최종적인 소음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의 소음기는 진동을 완화시키면서 소음이 달성되므로 소음기의 수명을 내구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되고 다공체의 소음관(2)(7)(4)과 파형의 소음관(8) 사이를 음이 굴절 우회하여 통과되기 때문에 자연적인 소음효과를 낼 수 있어 이음(異音) 발생을 최대로 저하시키는 소음작용이 이루어지므로 부드러운 소음을 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소음통(1)의 투입부측 중심공(1a)에 다수의 음압상쇄용 구멍(2a)이 뚫어지고 길이가 소음통의 3분지 1정도 되는 1차 소음관(2)을 삽입하여 그 내측단에 중심에 구멍(3a)이 뚫어진 격판(3)을 설치하고 격판 내측에 1차 소음관(2)과 직경이 같은 다공체(4a)의 소음부(4)가 있고 그 외측이 나팔형으로 된 배출관(5)을 일직선이 되게 장치하여 배출구(5a) 내측에 반구형 가림구(6)를 장치하고 1차 소음관과 나팔형 배출관(5) 둘레에 다공체로 된 2차 소음관(7)을 설치하고 2차 소음관 내측에 위치하면서 격판(3) 내측에서 나팔형 배출관(5) 외측 둘레로 씌워지게 파형 소음관(8)을 장치하여 파형배출관 외측과 내측에 간격이 유지되게하고 소음통(1)과 2차 소음관(7) 사이에 소음제(9)를 층진하여서 된 자동차 소음기.
KR2020010002786U 2001-02-06 2001-02-06 자동차 소음기 KR2002334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786U KR200233469Y1 (ko) 2001-02-06 2001-02-06 자동차 소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786U KR200233469Y1 (ko) 2001-02-06 2001-02-06 자동차 소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3469Y1 true KR200233469Y1 (ko) 2001-09-25

Family

ID=73062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2786U KR200233469Y1 (ko) 2001-02-06 2001-02-06 자동차 소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346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1938B1 (ko) 2009-09-23 2011-12-09 한국기계연구원 제트소음 저감수단을 구비한 엔진 배기가스용 소음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1938B1 (ko) 2009-09-23 2011-12-09 한국기계연구원 제트소음 저감수단을 구비한 엔진 배기가스용 소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8546A (en) Straight through muffler with conically-ended output passage
CN102606269B (zh) 阻抗复合式消声器
JPH02112913U (ko)
JP2006207378A (ja) 排気系用の騒音低減デバイス、および、それを備える排気系
KR200233469Y1 (ko) 자동차 소음기
JP2000110544A (ja) 消音器
KR100835709B1 (ko) 엔진 배기가스용 소음기
KR200340730Y1 (ko) 자동차 머플러
JPH0240243Y2 (ko)
JP2515905Y2 (ja) 消音器
KR200371655Y1 (ko) 자동차용 소음기
KR200307952Y1 (ko) 자동차용 소음기
JP2824962B2 (ja) マフラー
JP4460995B2 (ja) エンジンの排気マフラ
JP2007064020A (ja) マフラー
KR100482517B1 (ko) 자동차용 소음 저감형 머플러 구조
CN215292623U (zh) 一种柴油静音型发电机消声器
JP2001214726A (ja) 内燃機関用消音器
CN210686158U (zh) 一种空滤器进气软管
CN218676459U (zh) 一种能够消除真空发生器噪音的装置
JP4340365B2 (ja) 触媒マフラ
KR200233543Y1 (ko) 차량의 배기가스 저감용 머플러
AU2007250465A1 (en) Exhaust muffler
KR20030008064A (ko) 저소음 튜닝머플러
KR19980024029U (ko) 소음 저감형 배기 소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