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3123Y1 - 유압 크람쉘 크레인 - Google Patents

유압 크람쉘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3123Y1
KR200233123Y1 KR2019990005346U KR19990005346U KR200233123Y1 KR 200233123 Y1 KR200233123 Y1 KR 200233123Y1 KR 2019990005346 U KR2019990005346 U KR 2019990005346U KR 19990005346 U KR19990005346 U KR 19990005346U KR 200233123 Y1 KR200233123 Y1 KR 2002331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stage
hydraulic
stage boom
p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53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9079U (ko
Inventor
김인식
Original Assignee
김인식
우신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식, 우신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인식
Priority to KR20199900053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3123Y1/ko
Publication of KR200000190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90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31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3123Y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속도로 제설작업용 모래 보관창고에 설치되어 제설용 모래 및 염화물을 제설차량 또는 제설장비에 상차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유압 크람쉘 크레인(HYDRAULIC CLAM CRANE)에 관한 것으로, 보관창고의 양측 벽면 상단에 고정설치된 주행레일에 전,후 왕복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횡단거더와, 상기 횡단거더에 설치된 이동레일에 좌,우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대차 및 상기 대차에 유압유니트와 전기제어 패널로 구성되는 천정크레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대차의 중심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수직으로 설치된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 내측에 개재된 채 부착핀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사각 고정틀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사각 고정틀을 부착시키는 부착핀과는 직교하는 방향에서 상기 사각 고정틀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현수용 핀축과, 상기 현수용 핀축에 피스톤 로드의 선단을 연결시킨 승강용 유압실린더와, 상기 사각 고정틀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승강용 유압실린더의 몸체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상단이 부착되는 1단 붐과, 상기 1단 붐 내부에 점차로 작아지는 직경을 가지는 2단 붐, 3단 붐, 4단 붐들이 상호간에 연계하여 다단으로 출몰작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붐 어셈블리와, 상기 붐 어셈블리의 1단 붐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수평상으로 연결되는 지지용 브라켓과, 상기 지지용 브라켓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힌지핀으로 부착되는 고정링크의 일단에 고정 연결되어 개폐작동을 하는 한쌍의 크람쉘과, 상기 지지용 브라켓 내부에 수평상으로 내설되며 실린더몸체의 후단과 피스톤 로드의 선단이 양측 고정링크 각각의 자유단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한쌍의 크람쉘을 계폐작동시키는 개폐용 유압실린더 및 상기 대차 위에 정·역으로 구동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개폐용 유압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호스가 상기 크람쉘의 승강작동에 따라 감고 풀어주는 호스릴을 구성하여 제설용 모래 또는 염화물을 신속하게 상차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압 크람쉘 크레인{HYDRAULIC CLAM CRANE}
본 고안은 고속도로 제설작업용 모래 보관창고에 설치되어 제설용 모래 및 염화물을 제설차량 또는 제설장비에 상차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유압 크람쉘 크레인(HYDRAULIC CLAM CRANE)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도로에 눈이 쌓였을 경우에는 모래나 염화물을 뿌려서 차량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차량의 눈길사고를 예방하는데 노력하고 있다.
종래에는 고속도로 주변에 제설용 모래를 쌓아두는 작은 규모의 모래보관소를 일정간격으로 다수 설치하여 눈이 왔을 때 상기 모래보관소에 쌓아둔 모래를 도로에 뿌려주는 수단으로 제설작업을 수행해 왔었으나, 이러한 제설작업은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관계로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으며, 또한 상기한 모래보관소는 개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쌓아둔 모래를 관리하기 어렵고 또 하절기에는 모래가 우천에 의해 유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최근에 와서는 고속도로 주변에 비교적 큰 시설의 보관창고를 설치하고 이에 많은 량의 제설용 모래 및 염화물을 보관한 다음 페로이더 또는 포크레인을 이용하여 보관된 모래 및 염화물을 덤프트럭이나 제설차량에 상차하여 제설작업을 시행하고 있는데, 보관창고의 내부면적은 한정되어 있어 페로이더 또는 포크레인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기 때문에 상차작업이 더디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는 상기한 페로이더 또는 포크레인의 자유로운 운행을 위해 보관창고를 대규모시설로 건축할 경우에는 보관창고의 부지확보에 많은 비용이 소요될 뿐 아니라 건축비가 많이드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고속도로의 주변에 건축되는 보관창고에 천정크레인을 설치한 다음 상기 천정크레인의 횡단거더(GIRDER)상에 좌,우로 왕복가능하게 설치되는 대차에 유압실린더의 작동으로 다단으로 출몰되는 붐 어셈블리와 상기 붐 어셈블리의 최하단에 크람쉘을 설치하는 수단으로 보관창고에 쌓아둔 모래 및 염화물을 덤프트럭이나 제설차량에 상차하는 작업을 빠르게 진행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제설작업을 보다 신속하게 시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고안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보관창고의 양측 벽면 상단에 고정설치된 주행레일에 전,후 왕복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횡단거더와, 상기 횡단거더에 설치된 이동레일에 좌,우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대차 및 상기 대차에 유압유니트와 전기제어 패널로 구성되는 천정크레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대차의 중심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수직으로 설치된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 내측에 개재된 채 부착핀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사각 고정틀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사각 고정틀을 부착시키는 부착핀과는 직교하는 방향에서 상기 사각 고정틀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현수용 핀축과;
상기 현수용 핀축에 피스톤 로드의 선단을 연결시킨 승강용 유압실린더와;
상기 사각 고정틀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승강용 유압실린더의 몸체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상단이 부착되는 1단 붐과, 상기 1단 붐 내부에 점차로 작아지는 직경을 가지는 2단 붐, 3단 붐, 4단 붐들이 상호간에 연계하여 다단으로 출몰작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붐 어셈블리와;
상기 붐 어셈블리의 1단 붐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수평상으로 연결되는 지지용 브라켓과;
상기 지지용 브라켓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힌지핀으로 부착되는 고정링크의 일단에 고정 연결되어 개폐작동을 하는 한쌍의 크람쉘과;
상기 지지용 브라켓 내부에 수평상으로 내설되며 실린더몸체의 후단과 피스톤 로드의 선단이 양측 고정링크 각각의 자유단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한쌍의 크람쉘을 계폐작동시키는 개폐용 유압실린더와; 및
상기 대차 위에 정·역으로 구동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개폐용 유압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호스가 상기 크람쉘의 승강작동에 따라 감고 풀어주는 호스릴;
을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붐 어셈블리는 2단 붐과 3단 붐의 상,하단 각각에 설치되는 상,하부 인입용 및 인출용 체인기어와, 상기 인입용 및 인출용 체인기어 각각에 연설되며 양단은 1단 붐과 3단 붐에 연결되는 외측 인입용 및 인출용 체인 그리고 2단 붐과 4단 붐에 연결되는 내측 인입용 및 인출용 체인으로 구성되어 상기 승강용 유압실린더의 승강작동시 상기한 체인기어들과 체인에 의하여 상기 2,3,4단 붐들이 상호간에 연계적으로 출몰작동하도록 구성한 것과; 상기 개폐용 유압실린더의 피스톤 로드 출몰작동과 연계하여 한쌍의 크람쉘의 개폐작동을 보조하도록 상기한 양측 고정링크를 보조연결바로 연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평면 구성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일요부인 붐 어셈블리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도 3의 A-A선 및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천정크레인 시스템 2 : 고정브라켓
3 : 붐 어셈블리 4 : 사각 고정틀
5 : 승강용 유압실린더 6 : 지지용 브라켓
7 : 한쌍의 크람쉘 8 : 개폐용 유압실린더
9 : 호스릴 11 : 주행레일
12 : 횡단거더 13 : 이동레일
14 : 대차 16 : 이탈방지장치
21 : 부착핀 22 : 현수용 핀축
31 : 1단 붐 32 : 2단 붐
33 : 3단 붐 34 : 4단 붐
321,331 : 상,하부 인입용 체인기어
323,333 : 상,하부 인출용 체인기어
51,81 : 실린더 몸체 52,82 : 피스톤 로드
61,62 : 힌지핀 71,72 : 고정링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평면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일요부인 붐 어셈블리의 작동상태 단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도 3의 A-A선 및 B-B선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부호 1은 천정크레인 시스템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천정크레인 시스템(1)은 보관창고의 양측 벽면 상단에 설치된 주행레일(11)을 타고 전,후로 이동하는 횡단거더(12) 및 상기 횡단거더(12)상에 설치된 이동레일(13)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대차(1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대차(14)에는 유압유니트(141)와 전기제어 패널(142)이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한 횡단거더(12)와 대차(14)의 작동 및 유압유니트(141)의 유압계통 등을 제어하는 리모트콘트롤 스위치(14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대차(14)의 중간 양측에 수직상으로 돌출되는 고정브라켓(2)에는 붐 어셈블리(BOOM ASSEMBLY : 3)가 설치된다.
상기 붐 어셈블리(3)는 상기의 고정브라켓(2) 및 횡단거더(12)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하향을 향해 수직으로 현수식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붐 어셈블리(3)는 상기 고정브라켓(2)에 부착핀(21)으로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사각 고정틀(4)과 상기 부착핀(21)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상기 사각 고정틀(4)을 관통하는 현수용 핀축(22)에 매달려 있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붐 어셈블리(3)는 현수용 핀축(22)에 의하여 사각 고정틀(4)에 연결되는 1단 붐(31)과, 상기 1단 붐(31) 내부에 출몰가능하게 설치되며 점차로 작아지는 직경으로 형성된 2단 붐(32), 3단 붐(33), 4단 붐(34)이 상호 연계하여 다단상으로 출몰작동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붐 어셈블리(3)는 그를 구성하는 1단 붐(31)의 상단에는 보강틀(35)에 의하여 보강되어 있으므로 고정브라켓(2)에 견고하게 매달려 있게 되며, 상기 붐 어셈블리(3)의 1단 붐(31)은 부착핀(21)과 현수용 핀축(22)에 의하여 고정브라켓(2)과 사각 고정틀(4)에 '+'자형으로 부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붐 어셈블리(3) 자체가 전,후 및 좌,우 방향에 대하여 5°내외의 각도 범위안에서 기울어짐이 허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붐 어셈블리(3)의 내부 즉, 가장 작은 직경으로 구성된 4단 붐(34) 내부에는 승강용 유압실린더(5)가 장착되는데, 상기 승강용 유압실린더(5)의 실린더몸체(51) 상단은 2단 붐(32) 상단 양측에 핀축(53)으로 고정되며, 피스톤 로드(52)의 선단은 상기한 현수용 핀축(2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구조로 구성하므로서 상기 승강용 유압실린더(5)의 작동은 실린더몸체(51)가 승강작동하면서 붐 어셈블리(3)를 다단으로 승강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승강용 유압실린더(5)가 작동함에 따라 붐 어셈블리(3)가 다단으로 출몰작동되는 구조는 체인기어와 체인에 의하여 각단의 붐들이 상호 연계적으로 출몰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들이 연계적으로 출몰작동되는 구조는 다음과 같다.
상기 2단 붐(32)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부 인입용 체인기어(321)에 연설되는 외측 인입용 체인(322)의 일단은 3단 붐(33) 상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1단 붐(31) 하단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3단 붐(33)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하부 인입용 체인기어(331)에 연설되는 내측 인입용 체인(332)의 일단은 4단 붐(34) 상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2단 붐(32) 하단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2단 붐(32)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부 인출용 체인기어(323)에 연설되는 외측 인출용 체인(324)의 일단은 1단 붐(31) 하단에 고정되며 타단은 3단 붐(33) 상단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3단 붐(33)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하부 인출용 체인기어(333)에 연설되는 내측 인출용 체인(334)의 일단은 2단 붐(32) 하단에 고정되며 타단은 4단 붐(34)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로 설치된 체인기어 및 체인들은 상기 승강용 유압실린더(5)의 작동으로 실린더몸체(51)가 하강할 때에는 1단 붐(31)은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2∼4단 붐(32)(33)(34)들이 상호 연계하여 똑같이 하향으로 출현작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이와 반대로 상기 승강용 유압실린더의 실린더몸체(51)가 상승할 때에는 2∼4단 붐들이 상호 연계하여 똑같이 몰입작동을 하도록 구성되는것이다.
다음, 상기 붐 어셈블리(3)의 4단 붐(34) 하단에 부착된 지지용 브라켓(6) 양단에는 한쌍의 크람쉘(7)이 개폐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한쌍의 크람쉘(7)은 지지용 브라켓(6) 양단의 힌지핀(61)(62)에 의해 부착된 고정링크(71)(72)에 의해 상기 지지용 브라켓(6)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링크(71)(72) 각각의 자유단은 개폐용 유압실린더(8)의 실린더몸체(81)의 끝단과 피스톤 로드(82) 선단을 연결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개폐용 유압실린더(8)는 그 실린더몸체(81)와 피스톤 로드(82)가 함께 움직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개폐용 유압실린더(8)의 피스톤 로드(82)를 출현작동시킬 때에는 피스톤 로드(82)와 실린더몸체(81)가 함께 작동하여 양측 고정링크(71)(72)를 외측으로 밀어 한쌍의 크람쉘(7)이 폐쇄작동되게 하며, 이와 반대로 피스톤 로드(82)를 몰입작동시킬 때에는 피스톤 로드(82)와 실린더몸체(81)가 양측 고정링크(71)(72)를 잡아당겨 한쌍의 크람쉘(7)이 개방작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양측 고정링크(71)(72)는 보조연결바(73)로 연결하여 상기 개폐용 유압실린더(8)의 개폐작동을 도와서 한쌍의 크람쉘(7)의 개폐작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보조연결바(73)의 일단은 일측 고정링크(71)의 하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타측 고정링크(72)의 상측에 연결되는 구조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대차(14)에는 붐 어셈블리(3) 내부에 장착된 승강용 유압실린더(5)에 유압을 공급 및 회수하는 호스(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승강작동하는 한쌍의 크람쉘(7)을 개폐작동시키는 개폐용 유압실린더(8)에 유압을 공급 및 회수하기 위한 유압호스(91)를 감고 풀어주는 호스릴(9)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한 호스릴(9)은 크람쉘이 하강할 때에는 유압호스(91)를 풀어주고 크람쉘이 상승할 때에는 유압호스(91)를 감아주는 작동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천정크레인 시스템(1)의 횡단거더(12)가 주행레일(1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횡단거더(12)의 양단에는 H형 빔(15)의 날개 저면에 접촉하면서 구르는 롤러를 구비하고 있는 이탈방지장치(16)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고속도로 등의 제설작업을 위하여 모래 또는 염화물을 덤프트럭이나 제설차량에 실어주는데 따른 작용을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보관창고에 설치된 천정크레인 시스템(1)의 횡단거더(12)와 대차(14)는 기존의 천정크레인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리모트콘트롤 스위치(143)의 조작에 의하여 주행레일(11)과 이동레일(13)을 타고 각각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보관창고의 입구에 제설차량을 대기시킨 상태에서 상기 천정크레인 시스템(1)을 작동시켜 모래 또는 염화물을 상차하는데, 먼저 작업자는 리모트콘트롤 스위치(143)를 조작하여 횡단거더(12)를 모래 또는 염화물이 쌓여진 위치로 이동시킨 다음 대차(14)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한쌍의 크람쉘(7)을 하강시키는 수단으로 모래 또는 염화물을 퍼올리게 된다.
이하 상기 한쌍의 크람쉘(7)을 이용하여 모래 또는 염화물을 퍼올려 상차하는 작동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대차(14)를 원하는 위치에 정지시킨 다음 붐 어셈블리(3) 내부에 장착시킨 승간용 유압실린더(5)의 피스톤 로드(52)가 출현작동하도록 유압을 공급하게 되면 상기 피스톤 로드(52)가 출현작동을 개시하게 되는데, 상기 피스톤 로드(52)는 현수용 핀축(22)에 고정되어 있는 반면에 실린더몸체(51)는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실린더몸체(51)의 일측(도면상 상단)과 2단 붐(32) 상단은 핀축(53)으로 연결된 상태이므로 상기 실린더몸체(51)가 하향을 향해 이동할 때 상기 2단 붐(32)도 함께 하강하는 상태가 된다.
상기 2단 붐(32)이 하강작동을 개시하게 될 때에는 그 하단측에 부착된 상부 인출용 체인기어(323)도 하강하면서 외측 인출용 체인(324)을 밑으로 내려주게 되는데, 이때 상기한 외측 인출용 체인(324)의 일단(도면상 우측부분)은 1단 붐(31) 하단에 고정되어 있는 반면 타단(도면상 좌측부분)은 3단 붐(33) 상단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상부 인출용 체인기어(323)가 하강할 때에는 외측 인출용 체인(324)이 연결된 3단 붐(33)도 하강하는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3단 붐(33)이 하강하게 될 때에는 그 하단에 설치된 하부 인출용 체인기어(333)도 같이 하강하면서 내측 인출용 체인(334)를 밑으로 내려주게 되는데, 상기 내측 인출용 체인(334) 역시 일단(도면상 우측부분)은 2단 붐(32) 하단에 연결되고 타단(도면상 좌측부분)은 4단 붐(34) 상단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3단 붐(33)의 하부 인출용 체인기어(333)가 하강할 때에는 4단 붐(34)도 하강하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승강용 유압실린더(5)의 실린더몸체(51)가 하강작동을 개시하게 될 때에는 2단 붐(32)과 3단 붐(33) 각각의 하단에 설치된 상,하부 인출용 체인기어(323)(333)도 연계하여 똑같이 하강작동을 개시하게 되며, 이에 따라서 2단 붐(32)과 3단 붐(33) 및 4단 붐(34)이 상호 연계적으로 똑같이 하강하게 되므로 상기 4단 붐(34) 하단에 연결된 한쌍의 크람쉘(7)을 모래 또는 염화물을 향해 하강시키게 되는 것이다.(도 4 참조)
한편, 상기에서 붐 어셈블리(3)의 2단 내지 4단 붐들을 하강작동시킬 때 상기한 2단 붐(32)과 3단 붐(33) 각각의 상단이 설치된 상,하부 인입용 체인기어(321)(331)도 함께 하강작동을 하게 되므로 그들에 연설되어 있는 내,외측 인입용 체인(322)(332)도 2단 내지 4단 붐들이 하강작동함에 따라서 끌려가듯이 이동하게 되지만 상기 붐 어셈블리(3)가 상승작동을 개시할 때에는 2단 내지 4단 붐들을 연계하여 상승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즉, 붐 어셈블리(3)가 도 4와 같이 하강작동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용 유압실린더(5)의 실린더몸체(51)를 상승작동시키게 되면 핀축(53)으로 연결된 2단 붐(32)이 상승하기 시작하므로서 상기한 2단 붐(32)의 상단에 설치된 상부 인입용 체인기어(321)가 외측 인입용 체인(322)을 위로 올려주게 되는데, 이때 상기한 외측 인입용 체인(322)의 일단(도면상 좌측부분)은 1단 붐(31) 하단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도면상 우측부분)은 3단 붐(33) 상단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상부 인인용 체인기어(321)가 상승작동을 개시하게 되면 외측 인입용 체인(322)이 3단 붐(33)을 끌어올리게 되며, 상기 3단 붐(33)이 상승작동을 개시하게 되면 그 상단에 설치된하부 인입용 체인기어(331)도 상승하면서 내측 인입용 체인(332)도 전기한 외측 인입용 체인(322)와 같은 작용으로 4단 붐(34)을 끌어올리게 되어 결국 붐 어셈블리(3)의 상승작동시에는 2단 내지 4단 붐들이 상호 연계하여 똑같이 상승작동을 하게 된다.(도 3 참조)
상기와 같이 붐 어셈블리(3)의 상승작동시에는 2단 및 3단 붐(32)(33) 각각의 하단에 설치된 상,하부 인출용 체인기어(323)(333)과 이들에 연설된 내,외측 인출용 체인(324)(334)들은 2단 내지 4단 붐들이 상승작동될 때 함께 끌려가듯이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 상기 봄 어셈블리(3)를 하강작동시켜 모래 또는 염화물을 퍼올리고자 할 때에는 도 3과 같이 4단 붐(34) 하단에 연결된 한쌍의 크람쉘(7)을 개방시킨다.
상기 한쌍의 크람쉘(7)의 개폐작동은 유압호스(91)를 통해 개폐용 유압실린더(8)의 피스톤 로드(82)를 출몰작동시키므로서 이루어지는데, 상기 개폐용 유압실린더(8)의 실린더몸체(81)와 피스톤 로드(82)는 양측의 고정링크(71)(72)에 연결된 상태에서 지지용 브라켓(6) 내측에서 자유롭게 움직일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피스톤 로드(82)의 출몰작동시에는 상기 피스톤 로드(82)와 실린더몸체(81)가 양측 고정링크(71)(72)를 똑같이 밀고 당기는 작동으로 한쌍의 크람쉘(7)을 개폐시키게 된다.
즉, 상기 피스톤 로드(82)가 몰입작동될 때에는 상기 피스톤 로드(82)는 도면상 우측의 고정링크(72)를 잡아당겨 힌지핀(62)을 기점으로 하여 도면상 우측 크람쉘(7)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개방시키게 되는 한편, 상기 실린더몸체(81)는 도면상 좌측의 고정링크(71)를 잡압당겨 힌지핀(61)을 기점으로 하여 도면상 좌측 크람쉘(7)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개방시키게 되므로서 한쌍의 크람쉘(7)이 개방되는 것이며, 이와 반대로 상기 피스톤 로드(82)가 출현작동될 때에는 상기 피스톤 로드(82)와 실린더몸체(81)가 양측의 고정링크(71)(72)를 밀어내어 힌지핀(61)(62)를 기점으로 하여 한쌍의 크람쉘(7)이 중심부를 행해 회전하면서 모래 또는 염화물을 수용한 채 폐쇄작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한쌍의 크람쉘(7)을 개폐작동시키는 개폐용 유압실린더(8)는 양측의 고정링크(71)(72)에 양단이 연결된 보조연결바(73)에 의하여 양측의 고정링크(71)(72)를 똑같이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양측의 고정링크(71)(72)에 연결되는 보조연결바(73)의 양단은 크람쉘(7)이 폐쇄된 상태를 기준할 때 그 일단(도면상 좌측)은 좌측 힌지핀(61) 아래부분에 연결시키고 그 타단(도면상 우측)은 힌지핀(62) 윗부분에 연결시키는데, 상기 보조연결바(73)는 한쌍의 크람쉘(7)이 개방 및 폐쇄작동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는 연결위치와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개폐용 유압실린더(8)의 피스톤 로드(82) 출몰작동시 상기 피스톤 로드(82)와 실린더몸체(81)가 양측의 고정링크(71)(72)를 똑같은 각도로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한쌍의 크람쉘(7)의 개폐작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크람쉘(7)이 개방된 상태에서 하강하여 모래 또는 염화물에 닿을 때 상기한 모래 또는 염화물의 저장면이 고르지(수평상태) 못하고 울퉁불퉁할 경우 한쌍의 크람쉘(7)이 약간 기울러짐에 따라 상기 붐 어셈블리(3) 자체도 기울어져야 하는데, 이 경우에는 상기 붐 어셈블리(3)의 상단 즉, 1단 붐(31) 상단을 고정브라켓(2)에 부착시키는 부착핀(21)과 사각 고정틀(4)에 부착시키는 현수용 핀축(22)이 '+'자형으로 형성되어 붐 어셈블리(3) 자체를 전,후 및 좌,우로 대략 5°내외에서 기울어지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모래 또는 염화물의 저장면이 불규칙한 상태에서도 한쌍의 크람쉘(7)이 모래 또는 염화물을 용이하게 퍼올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붐 어셈블리(3)를 하강작동시키고 이어서 한쌍의 크람쉘(7)을 폐쇄작동시켜 모래 또는 염화물을 크람쉘에 담은 다음에는 상기 붐 어셈블리(3)를 상승시키고 횡단거더(12) 및 대차(14)를 덤프트럼 또는 제설차량의 적재함 상방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한 한쌍의 크람쉘(7)을 개방시키는 제반 작동을 반복 되풀이하는 수단으로 보관창고에 보관된 모래 또는 염화물을 신속하게 상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고속도로 주변에 건축된 보관창고에 제설용 모래 또는 염화물을 저장하고 있다가 제설작업을 시행해야 할 경우에는 덤프트럭이나 제설차량을 보관창고의 입구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천정크레인 시스템을 가동시켜 모래 또는 염화물을 상차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대차에 설치된 붐 어셈블리를 유압으로 승강작동시킴과 더불어 한쌍의 크람쉘도 유압으로 작동시키는 수단으로 모래 또는 염화물을 한쌍의 크람쉘로 퍼올려 상차하도록 하므로서 모래 또는 염화물의 상차작업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와 같이 제설용 모래 또는 염화물의 신속한 상차작업은 곧 제설작업을 빠르게 시행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져다주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보관창고의 양측 벽면 상단에 고정설치된 주행레일에 전,후 왕복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횡단거더와, 상기 횡단거더에 설치된 이동레일에 좌,우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대차 및 상기 대차에 유압유니트와 전기제어 패널로 구성되는 천정크레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대차의 중심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수직으로 설치된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 내측에 개재된 채 부착핀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사각 고정틀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사각 고정틀을 부착시키는 부착핀과는 직교하는 방향에서 상기 사각 고정틀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현수용 핀축과;
    상기 현수용 핀축에 피스톤 로드의 선단을 연결시킨 승강용 유압실린더와;
    상기 사각 고정틀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승강용 유압실린더의 몸체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상단이 부착되는 1단 붐과, 상기 1단 붐 내부에 점차로 작아지는 직경을 가지는 2단 붐, 3단 붐, 4단 붐들이 상호간에 연계하여 다단으로 출몰작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붐 어셈블리와;
    상기 붐 어셈블리의 1단 붐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수평상으로 연결되는 지지용 브라켓과;
    상기 지지용 브라켓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힌지핀으로 부착되는 고정링크의 일단에 고정 연결되어 개폐작동을 하는 한쌍의 크람쉘과;
    상기 지지용 브라켓 내부에 수평상으로 내설되며 실린더몸체의 후단과 피스톤 로드의 선단이 양측 고정링크 각각의 자유단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한쌍의 크람쉘을 계폐작동시키는 개폐용 유압실린더와; 및
    상기 대차 위에 정·역으로 구동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개폐용 유압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호스가 상기 크람쉘의 승강작동에 따라 감고 풀어주는 호스릴;
    을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크람쉘 크레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붐 어셈블리는 2단 붐과 3단 붐의 상,하단 각각에 설치되는 상,하부 인입용 및 인출용 체인기어와, 상기 인입용 및 인출용 체인기어 각각에 연설되며 양단은 1단 붐과 3단 붐에 연결되는 외측 인입용 및 인출용 체인 그리고 2단 붐과 4단 붐에 연결되는 내측 인입용 및 인출용 체인으로 구성되어 상기 승강용 유압실린더의 승강작동시 상기한 체인기어들과 체인에 의하여 상기 2,3,4단 붐들이 상호간에 연계적으로 출몰작동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크람쉘 크레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용 유압실린더의 피스톤 로드 출몰작동과 연계하여 한쌍의 크람쉘의 개폐작동을 보조하도록 상기한 양측 고정링크를 보조연결바로 연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크람쉘 크레인.
KR2019990005346U 1999-04-01 1999-04-01 유압 크람쉘 크레인 KR2002331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346U KR200233123Y1 (ko) 1999-04-01 1999-04-01 유압 크람쉘 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346U KR200233123Y1 (ko) 1999-04-01 1999-04-01 유압 크람쉘 크레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079U KR20000019079U (ko) 2000-11-06
KR200233123Y1 true KR200233123Y1 (ko) 2001-09-13

Family

ID=54761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5346U KR200233123Y1 (ko) 1999-04-01 1999-04-01 유압 크람쉘 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312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0827B1 (ko) * 2000-08-03 2003-02-05 김경한 스프레드의 흔들림 방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13098B2 (en) * 2018-11-19 2023-11-14 Siemens Medical Solutions Usa, Inc. Translation drive system for an imaging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0827B1 (ko) * 2000-08-03 2003-02-05 김경한 스프레드의 흔들림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079U (ko) 2000-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7727B1 (ko) 송전탑 설치용 무한궤도 주행식 크레인
CN211142839U (zh) 自行式防撞墙施工模板台车
CN203096920U (zh) 硬连接污泥抓斗车
KR200233123Y1 (ko) 유압 크람쉘 크레인
CN113137059B (zh) 现浇混凝土防撞墙移动模架施工装置
CN213198142U (zh) 一种t梁液压脱模装置
AU2014100878A4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cavating a cavity and setting an object at least partially therein
JP2012111578A (ja) クレーン付車両及びこれを用いた被移送物の移送方法
CN210164038U (zh) 一种基于液压排绳器的多功能淤泥抓斗车
CN207827722U (zh) 替棚支架安装、拆除专用车
JP5508488B2 (ja) スケータークレーン
CN201002929Y (zh) 小型养路机械起重运输车
CN218507491U (zh) 一种可吊装的简易电动化叉车
CN218988631U (zh) 排水机器人
KR100191793B1 (ko) 수직.수평반송장치
CN221318930U (zh) 一种建筑外墙板吊装支架
CN210712555U (zh) 一种浇筑防撞墙的台车
US6397423B1 (en) Apparatus for catching debris while demolishing a bridge structure
CN215402684U (zh) 一种门吊悬挂支架安装系统
RU2216462C2 (ru) Погрузчик бортовой
CN221255584U (zh) 一种带翻斗可吊装上料卸料遥控推土机
JP2001200550A (ja) 可変四節リンクによるブーム支持機構を備えた作業機
CN210620066U (zh) 一种起吊车设备
CN220245358U (zh) 一种用于钢结构建筑的吊装转运装置
KR102680607B1 (ko) 카운터지브 일체형 유압식 러핑 타워크레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