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2007Y1 - 원형체 커팅용 톱기계 - Google Patents

원형체 커팅용 톱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2007Y1
KR200232007Y1 KR2020010005735U KR20010005735U KR200232007Y1 KR 200232007 Y1 KR200232007 Y1 KR 200232007Y1 KR 2020010005735 U KR2020010005735 U KR 2020010005735U KR 20010005735 U KR20010005735 U KR 20010005735U KR 200232007 Y1 KR200232007 Y1 KR 2002320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turntable
workpiece
motor
convey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57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복
강현주
김상렬
Original Assignee
이동복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복,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이동복
Priority to KR20200100057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20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20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2007Y1/ko

Links

Landscapes

  • Sa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유형상을 갖는 가공물을 원형체로 커팅하는 톱기계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전하는 턴테이블에 가공물을 안착시키면 일련의 작업공정을 통해 자동으로 원하는 직경에 맞추어 가공물을 원형체로 커팅할 수 있도록 한 원형체 커팅용 톱기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베이스판 일측에 설치된 케이싱 상부 양측 가이드레일에 가이드돌기가 결합되고 케이싱에 부착된 모터의 나사봉에 이동편이 나사결합되어 전,후로 이송하는 전,후 이송판과,
상기 전,후이송판 상부에 형성된 요홈에 스토퍼가 끼워져 제한되게 좌,우로 이송하고 고정구가 장홈을 관통하여 전,후이송판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고정공에 결합되어 고정상태를 유지하는 좌,우이송판과,
상기 좌,우이송판 일측에 회전자유롭게 설치되고 타측에 입설된 모터의 구동을 체인으로 전달받아 회전하는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에 안착된 가공물을 압지실린더에 의해 상,하 이동하면서 유동없이 압지시키는 압지판과,
상기 전,후이송판 및 턴테이블, ON/OFF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를 구비시키므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원형체 커팅용 톱기계{Saw machine for circle body cutting}
본 고안은 자유형상을 갖는 가공물을 원형체로 커팅하는 톱기계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전하는 턴테이블에 가공물을 안착시키면 일련의 작업공정을 통해 자동으로 원하는 직경에 맞추어 가공물을 원형체로 커팅할 수 있도록 한 원형체 커팅용 톱기계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하고 있는 통상의 수직형 톱기계는 세워지는 상태로서 상,하부 일자 형태 또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된 휠에 띠톱이 감겨지게 설치되고 상기 띠톱은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어 가공물을 절단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톱기계는 통상 띠톱 전방에 가이드수단이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수단에 안내되면서 가공물을 직선의 형태로 가공하게 된다.
따라서 직선가공에는 별문제가 없지만 원형체를 가공하기 위한 톱기계는 마땅하게 제시되지 않아 정확한 진원상태로 원하는 직경에 맞추어 정밀도 있는 원형체의 가공이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운 것이었다.
간혹 고도의 기술력을 갖춘 숙련자의 경우 어느정도의 원형상을 갖는 원형체로 1차가공한 후 수작업에 의해 진원상태의 원형체로 2차가공 하게된다.
그러나 이 경우 작업속도가 떨어져 경제성이 저하됨은 물론 완벽한 진원상태로 가공되지 않아 정밀도를 요하는 작업 및 실험용(흡음재의 흡음률측정을 위해 임피던스관에 내삽되는 흡음재의 원형가공 등)으로 사용하는 경우 사고 유발 및 실험 데이터의 오차발생 등의 문제점이 야기되는 것이었다.
또한 완성된 최종 원형체의 오차범위를 줄이기 위해 원하는 직경보다 크게 1차가공한 후 2차가공이 이루어지므로 필요이상의 재료가 소요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임의형상을 갖는 불규칙한 형태의 가공물을 회전하는 턴테이블 위에 안착시키므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동으로 원하는 직경으로 정확하게 커팅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상승시키고 고도의 정밀도를 요하는 작업에 적합하며 원형체 가공에 필요한 재료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베이스판 일측에 설치된 케이싱 상부 양측 가이드레일에 가이드돌기가 결합되고 케이싱에 부착된 모터의 나사봉에 이동편이 나사결합되어 전,후로 이송하는 전,후 이송판과,
상기 전,후이송판 상부에 형성된 요홈에 스토퍼가 끼워져 제한되게 좌,우로 이송하고 고정구가 장홈을 관통하여 전,후이송판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고정공에 결합되어 고정상태를 유지하는 좌,우이송판과,
상기 좌,우이송판 일측에 회전자유롭게 설치되고 타측에 입설된 모터의 구동을 체인으로 전달받아 회전하는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에 안착된 가공물을 압지실린더에 의해 상,하 이동하면서 유동없이 압지시키는 압지판과,
상기 전,후이송판 및 턴테이블, ON/OFF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를 구비시키므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톱기계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 압지실린더에 의한 가공물의 압지상태도
도 4는 본 고안 좌,우이송판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턴테이블의 회전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전,후이송판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원형체 커팅 작업상태도
도 8은 본 고안 보조 턴테이블 및 압지판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몸체 3: 띠톱 10: 전,후이송판
13,33: 모터 14: 나사봉 16: 이동편
20: 좌,우이송판 21: 스토퍼 30: 턴테이블
35: 체인 40: 압지판 42: 압지실린더
44: 압지핀 50: 컨트롤박스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일실시예의 바람직한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사시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베이스판(1) 일측 몸체(2) 내부에 띠톱가이드휠이 삼각형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띠톱가이드휠에 감겨진 띠톱(3)이 모터의 구동으로 정회전하면서 가공물을 커팅하는 공지된 형태의 수직형 톱기계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1) 타측에 케이싱(11)이 설치되고 케이싱(11) 상부 양측에는 가이드레일(12)이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레일(12)에 가이드돌기(12a)가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2)을 타고 전,후로 이송하는 전,후 이송판(10)이 설치된다. 이때 전,후이송판(10)을 이송시키는 구동력은 케이싱(11)에 부착된 모터(13)에 의해 제공되는 것으로 모터(13)의 모터축은 나사가 형성된 나사봉(1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나사봉(14)은 전,후이송판(10) 저면에 체결구(15)로 결합된 이동편(16)이 나사 결합되어 모터(13)의 회전시 이동편(16)이 나사봉(14)을 타고 전,후로 이송함에 따라 전,후이송판(10)이 전,후로 이송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후이송판(10) 상부에 안착되고 수동으로 좌,우로 이송하면서 가공물(4)을 띠톱(3)으로 근접 또는 이격시키는 좌,우이송판(20)은 중앙 양측에 형성된 스토퍼(21)가 전,후이송판(10) 상부에 형성된 요홈(22)에 끼워져 제한되게 좌,우로 이송하게 되고 이송이 멈춰진 후에는 도 4와 같이 좌,우이송판(20) 상부에 형성된 장홈(23)을 고정구(24)가 관통하여 전,후이송판(10)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고정홈(25)에 결합되므로써 좌,우이송판(20)이 유동없이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좌,우이송판(20)에 장홈(23)을 형성시킨 이유는 좌,우이송판(20)이 고정홈(25)에 맞추어 일정거리만큼 이동함에 국한되지 않고 미세 이송조절을 위해 고정홈(25)에 고정구(24)를 완전하게 결합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좌,우이송판(20)을 전,후이송판(10)에 부착된 눈금판(17)의 눈금에 맞추어 미세 이송시킨 후 고정구(24)를 완전하게 조여 좌,우이송판(20)의 유동을 방지하므로써 좌,우로의 이송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좌,우이송판(20) 일측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턴테이블(30)은 상부에 안착되는 가공물(4)을 회전시켜 띠톱(3)에 의해 원형체로 커팅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턴테이블(30)에 대향되게 입설된 모터(33)의 회전동력을 동력전달수단으로 전달받아 회전하게 되며 회전속도는 컨트롤박스(50)의 스위치(51) 조작에 의해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동력전달수단은 모터(33)의 모터축(31) 및 턴테이블(30) 회전축(32)에 체인스프라켓(34)이 결합되고 상기 체인스프라켓(34)에 체인(35)이 연결되어 모터(33)의 동력이 체인(35)을 통해 턴테이블(30)을 회전시키는 공지된 형태이다.
상기 텐테이블(30) 상부에 안착된 가공물을 유동없이 압지시키는 압지판(40)은 베이스판(1)에 입설된 지지대(41)에 압지실린더(42)가 수직으로 설치되고 압지 실린더(42) 선단에 결합된 고정대(43)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압지실린더(42) 작동에 의해 상, 하부로 이송하게 되며 하부 이송시 저면에 돌설된 압지핀(44)이 가공물(4)에 삽지되어 가공물(4)이 턴테이블(30) 위에서 외부로 이탈됨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압지실린더(42)의 작동은 몸체(2) 상부에 설치된 별도의 작동레버(45)에 의해 승,하강 되며 압력게이지(46)에 의해 과도압이 차단되므로 과도하게 가공물(4)을 방지시켜 가공물(4)을 파손시키는 일이 없게 된다.
몸체(2) 전방에 설치되는 컨트롤박스(50)는 전,후이송판(10)의 이송속도 조절 및 턴테이블(30)의 회전속도, 띠톱(3)의 회전속도, ON/OFF 작동 등을 제어하는 스위치(51)가 구비되어 일련의 커팅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8은 소형의 가공물을 커팅하기 위해 소형 제작되는 보조 턴테이블(30a) 및 압지판(40a)에 관한 것으로 좌,우이송판(20) 및 고정대(43)에 교체부착하여 사용하므로써 가공물(4)의 크기와 관계없이 원형체로 가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단 텐테이블(30) 상부에 임의 형상을 갖는 가공물(4)을 안착시키고 압지실린더(42)를 하강시켜 압지판(40)이 도 3과 같이 가공물(4)을 유동없이 압지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턴테이블(30)에 가공물(4)이 유동없이 안착되면 가공코자 하는 원형체의 직경만큼 좌,우이송판(20)을 눈금판(17)에 맞추어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시킨 후 띠톱(3) 및 턴테이블(30)이 회전되게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후이송판(10)의 모터(13)를 작동시키면 전,후이송판(10)의 이동편(16)이 나사봉(14)을 타고 후방으로 이송하게 되며 이송은 도 7과 같이 띠톱(3)과 압지판(40) 및 턴테이블(30)의 중심이 일직선상에 위치되면 도면상 도시되지 않았지만 자동으로 리미트스위치를 감지하여 후방으로의 이송이 멈춰진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턴테이블(30)이 회전함에 따라 띠톱(3)에 의해 턴테이블(30)을 중심으로 원을 그리며 가공물(4)을 커팅하여 원형체로 가공하게 된다.
즉 본 고안은 턴테이블(30) 위에 가공물(4)을 올려 놓으면 가공물(4)이 회전하면서 띠톱(3)에 의해 자동으로 원형체로 커팅됨은 물론 눈금판(17)에 표기된 눈금에 맞추어 가공하고자 하는 직경만큼 수월하게 가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한번의 커팅작업만으로 진원상태의 원형체를 가공하게 되므로 별도의 후처리 작업이 불필요하며 재료가 절감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회전하는 턴테이블 위에 가공물을 안착시키면 일련의 작업공정에 의해 자동으로 진원상태의 원형체로 가공되므로써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고 눈금판의 눈금에 맞추어 원하는 직경으로 다양하게 가공할 수 있음은 물론 초보자도 1차 가공만으로 완벽한 원형체를 가공할 수 있어 인건비의 절감과 2차 후처리작업의 불필요성으로 인해 원자재가 절감되며 정밀도를 요하는 실험에 사용될 경우 오차발생이 적어 성공적인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베이스판(1) 일측 몸체(2) 내부에 띠톱가이드훨이 삼각형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띠톱가이드휠에 감겨진 띠톱(3)이 모터의 구동으로 회전하면서 가공물을 커팅하는 수직형 톱기계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1) 타측에 설치된 케이싱(11) 상부 양측 가이드레일(12)에 가이드돌기(12a)가 결합되고 케이싱(11)에 부착된 모터(13)의 나사봉(14)에 이동편(16)이 나사결합되어 전,후로 이송하는 전,후이송판(10)과,
    상기 전,후이송판(10) 상부에 형성된 요홈(22)에 스토퍼(21)가 끼워져 제한되게 좌,우로 이송하고 고정구(24)가 장홈(23)을 관통하여 전,후이송판(10)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고정홈(25)에 결합되어 고정상태를 유지하는 좌,우이송판(20)과,
    상기 좌,우이송판(20)일측에 회전자유롭게 설치되고 타측에 입설된 모터(33)의 구동을 체인(35)으로 전달받아 회전하는 턴테이블(30)과,
    상기 턴테이블(30)에 안착된 가공물을 압지실린더(42)에 의해 상,하 이동하면서 유동없이 압지시키는 압지판(40),
    상기 전,후이송판(10) 및 턴테이블(30), ON/OFF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체 커팅용 톱기계.
KR2020010005735U 2001-03-03 2001-03-03 원형체 커팅용 톱기계 KR2002320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735U KR200232007Y1 (ko) 2001-03-03 2001-03-03 원형체 커팅용 톱기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735U KR200232007Y1 (ko) 2001-03-03 2001-03-03 원형체 커팅용 톱기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2007Y1 true KR200232007Y1 (ko) 2001-07-19

Family

ID=73097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5735U KR200232007Y1 (ko) 2001-03-03 2001-03-03 원형체 커팅용 톱기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200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1969B1 (ko) * 2022-06-28 2022-11-03 주식회사 별랑 띠톱 유동이 방지되는 원형 띠톱기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1969B1 (ko) * 2022-06-28 2022-11-03 주식회사 별랑 띠톱 유동이 방지되는 원형 띠톱기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37105A (en) Circular cross-cut and miter saw box
CN211413888U (zh) 一种角度可调式切割锯床
CN110757017A (zh) 一种激光切割用固定装置
KR200232007Y1 (ko) 원형체 커팅용 톱기계
GB1500659A (en) Clamping and feed apparatus for a cold saw
KR19990012198A (ko) 냉동식품의 절단장치
CN212917902U (zh) 一种可调整切面角度的铝型材料切割装置
CN109280724A (zh) 一种圆形皮具间歇开孔切割定位装置
KR200299839Y1 (ko) 면취장치
CN110744956B (zh) 一种自动模具雕刻装置
CN213499722U (zh) 一种小型木工带锯切割机
CN206882899U (zh) 管状工件开槽机开槽磨面机构
CN220838213U (zh) 锯床夹具
CN213053769U (zh) 一种用于棒体的倒角装置
CN213828000U (zh) 一种可对双孔进行开槽连接的开槽机
CN220638261U (zh) 一种锯床加工用的工件定位组件
CN219925324U (zh) 一种高效切削机床
CN220592575U (zh) 一种圆钢上料去毛刺机构
CN217122436U (zh) 一种摩托车凸轮轴加工工装
CN220112457U (zh) 一种模芯模头加工的切割装置
KR200287087Y1 (ko) 밀링 작업용 회전작업대
CN214026081U (zh) 一种木板切割机
CN213197708U (zh) 一种定角度切割装置
KR20040080500A (ko) 판재절단장치 및 그 방법
CN212241399U (zh) 一种用于竹木制品的直边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0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