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1712Y1 - 노트북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전원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노트북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전원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1712Y1
KR200231712Y1 KR2020010001875U KR20010001875U KR200231712Y1 KR 200231712 Y1 KR200231712 Y1 KR 200231712Y1 KR 2020010001875 U KR2020010001875 U KR 2020010001875U KR 20010001875 U KR20010001875 U KR 20010001875U KR 200231712 Y1 KR200231712 Y1 KR 2002317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ixed
contact portion
panel housing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18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원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018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17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17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1712Y1/ko

Links

Landscapes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노트북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전원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드디스크 등이 내장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디스플레이패널과 상기 액정디스플레이패널을 수용하여 상기 본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패널하우징을 가지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본체에 고정결합되는 고정힌지부와, 상기 패널하우징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고정힌지부에 대해 상대회동하는 가동힌지부를 가지는 힌지조립체를 구비한 노트북 컴퓨터에 있어서, 상기 고정힌지부로부터 상기 패널하우징의 회동축선방향을 따라 상기 패널하우징의 내부로 연장되는 고정샤프트와; 상기 패널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고정샤프트의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 구간에 걸쳐 형성되는 고정접점부와, 상기 고정샤프트의 축선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접점부의 일측에 상기 패널하우징과 일체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고정접점부와 상호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는 가동접점부를 가지는 리드리셋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구성이 비교적 단순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하우징에 긁힘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노트북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전원개폐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노트북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전원개폐장치{POWER ON/OFF APPARATUS FOR DISPLAY OF NOTEBOOK COMPUTER}
본 고안은, 노트북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전원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성이 단순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패널하우징에 긁힘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노트북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전원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노트북 컴퓨터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노트북 컴퓨터는, 본체(10)와, 본체(1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디스플레이부(20)를 가진다. 본체(10)의 상면에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키보드(11)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도시 않은 하드디스크 및 메인보드 등이 내장되어 있다. 본체(10)의 측연에는 주변기기(미도시)의 접속을 위한 복수의 접속포트(12)가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10)의 상면 일측에는 디스플레이부(20)로부터 본체(10)측을 향해 돌출된 후크(14)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한 쌍의 후크수용공(13)이 각각 함몰형성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본체(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디스플레이패널(21)과, 액정디스플레이패널(21)의 표시면이 노출되도록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전면하우징(23)과, 액정디스플레이패널(21)의 배후에 배치되어 전면하우징(23)과 상호 대면접촉되어 전면하우징(23)과 함께 액정디스플레이패널(21)을 본체(1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후면하우징(25)을 가진다.
전면하우징(23) 및 후면하우징(25)의 하부연부에는 본체(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돌출부(15)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함몰부(27)가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부(15)와 디스플레이부(20)사이에는 도시 않은 힌지조립체의 각 일단이 수용결합되어 있다.
한편, 본체(10)의 상면 일측에는 디스플레이부(20)와 상호 접촉시 본체(10)로부터 디스플레이부(2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전원개폐장치(110)가 구비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종래의 노트북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전원개폐장치영역의 확대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노트북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전원개폐장치(110)는, 본체(10)의 상면 돌출부의 일측에 상하방향을 따라 돌출되고 전면하우징(23)에 접촉되어 철회 가능하게 배치되는 버튼(113)과, 상하방향을 따라 버튼(113)의 하측에 배치되어 버튼(113)이 본체(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게 버튼(113)에 탄성력을 가하는 판스프링부재(115)와, 메인보드(111)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버튼(113)의 로드부(114)와 접촉되어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는 전원을 개폐하는 리드리셋스위치(11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체(10)에는 판면을 관통하여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공의 연부에는 버튼(113)을 상하방향을 따라 승강가능하게 지지하는 버튼지지부재(119)가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체(10)에 대해 디스플레이부(20)가 전개되는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동하여 버튼(113)의 상면으로부터 전면하우징(23)이 이격되면, 버튼(113)은 판스프링부재(115)의 탄성력에 의해 본체(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이에 따라 버튼(113)의 로드부(114)는 리드리셋스위치(117)로부터 이격되고 리셋스위치는 접점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디스플레이부(20)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다.
한편, 본체(10)에 대해 디스플레이부(20)를 접근하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버튼(113)은 전면하우징(23)과 접촉되면서 하향유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리드리셋스위치(117)는 하향유동된 버튼(113)의 로드부(114)에 접촉되어 접점이 상호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디스플레이부(20)의 전원공급이 차단되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노트북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전원개폐장치에 있어서는, 구성이 비교적 복잡할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공간의 여유가 없는 본체(10)에 설치되어 있어 조립시 택 타임(Tact Time)단축을 곤란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버튼(113)의 상면과 전면하우징(23)이 상호 마찰접촉하도록 되어 있어 사용기간이 경과하게 될 경우, 버튼(113)의 상면 및/또는 전면하우징(23)에 “긁힘(스크래치)”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구성이 비교적 단순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하우징에 긁힘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노트북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전원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노트북 컴퓨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종래의 노트북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전원개폐장치영역의 확대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트북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전원개폐장치영역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전원개폐장치의 접점분리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Ⅴ-Ⅴ선에 따른 확대단면도,
도 6 및 도 7은 각각 본체에 대한 디스플레이부의 회동시 접점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 20 : 디스플레이부
21 : 액정디스플레이패널 23 : 전면하우징
25 : 후면하우징 30 : 힌지조립체
32a : 가동힌지부 32b : 고정힌지부
35 : 기판조립체 41 : 고정샤프트
43 : 리드리셋스위치 44 : 고정접점부
46 : 가동접점부 48 : 하우징
49 : 가동접점지지부재 51 : 스프링부재
53 : 커버부재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하드디스크 등이 내장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디스플레이패널과상기 액정디스플레이패널을 수용하여 상기 본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패널하우징을 가지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본체에 고정결합되는 고정힌지부와, 상기 패널하우징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고정힌지부에 대해 상대회동하는 가동힌지부를 가지는 힌지조립체를 구비한 노트북 컴퓨터에 있어서, 상기 고정힌지부로부터 상기 패널하우징의 회동축선방향을 따라 상기 패널하우징의 내부로 연장되는 고정샤프트와; 상기 패널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고정샤프트의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 구간에 걸쳐 형성되는 고정접점부와, 상기 고정샤프트의 축선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접점부의 일측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패널하우징과 일체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패널하우징이 상기 본체에 대해 층상으로 배치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본체에 대해 전개되는 방향에 대해 제1경사각을 가지고 배치될 경우 상기 고정접점부와 상호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고, 상기 제1경사각보다 작은 각도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전원공급이 차단되도록 상기 고정접점부로부터 분리되는 가동접점부를 가지는 리드리셋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전원개폐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접점부 및 상기 가동접점부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본체에 대한 상기 패널하우징의 경사각에 대응되게 상호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상대위치를 조절가능하게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트북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전원개폐장치영역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전원개폐장치의 접점분리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Ⅴ-Ⅴ선에 따른 확대단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각각 본체에 대한 디스플레이부의 회동시 접점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관련하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0)의 후면하우징(25)의 하부 연부에는 본체(10)의 상면에 돌출된 돌출부(15)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한 쌍의 함몰부(27)가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배치되어 있으며, 각 함몰부(27)에는 힌지조립체(30)가 배치되어 있다.
힌지조립체(30)는 본체의 돌출부(15)내에 수용되어 일체로 고정되는 고정힌지부(32b)와, 고정힌지부(32b)에 대해 상대회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후면하우징(25)의 내면에 고정스크류(33)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는 가동힌지부(32a)를 가진다.
함몰부(27)의 사이영역에는 본체(10)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액정디스플레이패널(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조립체(35)가 구비되어 있으며, 기판조립체(3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전원개폐장치(40)가 설치되어 있다.
본 노트북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전원개폐장치(40)는, 고정힌지부(32b)의 일측으로부터 디스플레이부(20)의 회동축선을 따라 기판조립체(35)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고정샤프트(41)와, 기판조립체(35)에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고정샤프트(41)에 대해 상대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리드리셋스위치(43)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다.
리드리셋스위치(43)는, 고정샤프트(41)의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의 각도구간에 걸쳐형성되어 고정샤프트(41)에 일체로 고정되는 고정접점부(44)와, 고정샤프트(41)의 축선방향을 따라 고정접점부(44)의 일측에 회전접촉가능하게 형성되는 가동접점부(46)와, 기판조립체(35)상에 고정결합되고 고정접점부(44) 및 가동접점부(46)를 수용하는 하우징(48)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고정접점부(44)는 도전성 부재로 거의 반원 고리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가동접점부(46)는 부분 고리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고정샤프트(41)의 둘레에 가동접점부(46)에 대해 소정의 위상차를 가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48)의 일측에는 고정샤프트(41)의 축선방향을 따라 일부 길이구간을 상대 회동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축공(54)이 형성되어 있으며, 대향측에는 하우징(48)을 개폐할 수 있도록 커버부재(53)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내부에는 고정접점부(44) 및 가동접점부(46)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동접점부(46)의 일측에는 고정샤프트(41)의 축선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고 동시에 하우징(48)과 일체로 회동가능하게 가동접점지지부재(49)가 수용결합되어 있다. 가동접점지지부재(49)의 일측에는 가동접점부(46)와 고정접점부(44)가 상호 탄성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가동접점지지부재(49)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부재(51)가 결합되어 있다.
가동접점부(46)의 둘레방향을 따라 양 단부영역에는 판면으로부터 절곡된 절곡부(47)가 형성되어 있으며, 가동접점지지부재(49)의 일측 판면에는 가동접점부(46)의 절곡부(47)가 삽입결합될 수 있도록 판면으로부터 함몰된 복수의수용슬롯(50)이 둘레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고정샤프트(41)의 단부에 고정접점부(44)를 고정결합하고, 가동접점지지부재(49)의 수용슬롯(50)에 가동접점부(46)가 고정접점부(44)의 일측 단부로부터 전개방향에 대해 45°이격되도록 절곡부(47)를 결합한다. 다음, 가동접점지지부재(49)의 일측에 스프링부재(51)를 결합하고 커버부재(53)를 하우징(48)에 일체로 고정결합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20)를 본체(10)의 상면에 층상으로 배치되도록 회동시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접점부(46)는 고정접점부(44)에 대해 45°이격되도록 회동되어 배치되고, 이에 의해 고정접점부(44)와 가동접점부(46)는 상호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본체(10)로부터 디스플레이부(2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디스플레이부(20)를 본체(1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동시켜 디스플레이부(20)가 본체(10)에 대해 45°를 회동하게 되면, 가동접점부(46)는 고정샤프트(41)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회동방향에 대해 전방측 단부가 고정접점부(44)와 상호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본체(1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디스플레이부(20)에 인가되도록 한다. 계속해서 디스플레이부(20)를 전개방향을 따라 회전시키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접점부(46)는 45 내지 135°구간에서는 스프링부재(51)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접점부(44)에 탄성적으로 접촉된 상태에서 가동접점부(46)에 대해 상대 회동하게 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20)에는 본체(10)로부터 계속해서 전원이 공급된다.
한편, 본체(10)에 대한 디스플레이부(20)의 전원이 온/오프되는 경사각을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하우징(48)의 커버부재(53)를 분리하고, 가동접점지지부재(49)를 인출하여 가동접점지지부재(49)로부터 가동접점부(46)를 분리한다. 다음, 고정접점부(44)에 대한 가동접점부(46)의 상대위치, 즉, 본체(10)에 대한 디스플레이부(20)의 경사각에 대응되게 각도를 조절하여 가동접점부(46)의 절곡부(47)를 가동접점지지부재(49)에 형성된 수용슬롯(50)에 삽입하고 가동접점지지부재(49)를 하우징(48)의 내부에 수용결합하고, 커버부재(53)를 하우징(48)여 고정결합하면 된다.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가동접점부를 고정접점부에 대해 상대 회동가능하고 상대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가동접점부의 단부에 절곡부를 형성하고, 절곡부가 삽입결합되는 수용슬롯을 가지는 가동접점지지부재와, 가동접점지지부재를 탄성가압하는 스프링부재를 구비하도록 구성한 경우를 예를 들고 있지만, 고정샤프트에 고정접점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접점부와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 구간 위상차를 두고 배치되는 가동접점부만을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의 회동축선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어 디스플레이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고정샤프트와, 내부에 고정샤프트의 일단에 일체로 고정되는 고정접점부와 고정접점부에 대해 상대 회동가능하여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 및 분리가능하게 배치되는 가동접점부를 가지고 디스플레이부의 내부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수용결합되는 리드리셋스위치를 마련하여 비교적 공간적인 여유가 있는 디스플레이부에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본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시 택타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노트북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전원개폐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다른 노트북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전원개폐장치는 구성이 단순하여 제조 및 조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의 내부에 매입설치됨으로써 노출부위에 긁힘현상이 발생될 염려가 없다.

Claims (2)

  1. 하드디스크 등이 내장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디스플레이패널과 상기 액정디스플레이패널을 수용하여 상기 본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패널하우징을 가지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본체에 고정결합되는 고정힌지부와, 상기 패널하우징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고정힌지부에 대해 상대회동하는 가동힌지부를 가지는 힌지조립체를 구비한 노트북 컴퓨터에 있어서, 상기 고정힌지부로부터 상기 패널하우징의 회동축선방향을 따라 상기 패널하우징의 내부로 연장되는 고정샤프트와; 상기 패널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고정샤프트의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 구간에 걸쳐 형성되는 고정접점부와, 상기 고정샤프트의 축선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접점부의 일측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패널하우징과 일체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패널하우징이 상기 본체에 대해 층상으로 배치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본체에 대해 전개되는 방향에 대해 제1경사각을 가지고 배치될 경우 상기 고정접점부와 상호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고, 상기 제1경사각보다 작은 각도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전원공급이 차단되도록 상기 고정접점부로부터 분리되는 가동접점부를 가지는 리드리셋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전원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점부 및 상기 가동접점부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본체에 대한 상기 패널하우징의 경사각에 대응되게 상호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상대위치를 조절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전원개폐장치.
KR2020010001875U 2001-01-26 2001-01-26 노트북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전원개폐장치 KR2002317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875U KR200231712Y1 (ko) 2001-01-26 2001-01-26 노트북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전원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875U KR200231712Y1 (ko) 2001-01-26 2001-01-26 노트북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전원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1712Y1 true KR200231712Y1 (ko) 2001-07-19

Family

ID=73095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1875U KR200231712Y1 (ko) 2001-01-26 2001-01-26 노트북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전원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171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6893B1 (ko) 힌지 장치
EP1480109B1 (en) Swivel hinge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CN100409732C (zh) 具有斜立式支架的电子设备
US7465516B2 (en) Battery housing structure
KR20110130422A (ko) 회전형 스위치
RU2339163C2 (ru) Шарнирный узел и мобильный терминал с шарнирным узлом
KR200231712Y1 (ko) 노트북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전원개폐장치
JPH10177431A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の自動電源遮断装置
KR100619513B1 (ko) 스위치를 가지는 힌지 장치 및 이 힌지 장치를 포함한전자 기기
EP2075816B1 (en) Switch device
JP2008234881A (ja) ヒンジカバー式メモリカードコネクタ
JP2005322478A (ja) ロータリスイッチ
JPH01500941A (ja) スィッチ、特に自動車用ステアリングコラムスィッチ
KR100475755B1 (ko) 개폐검출장치
KR100455545B1 (ko) 휴대폰의 커버 힌지장치
KR100556887B1 (ko) 카메라 위치 고정기능을 구비한 이동단말기
US7450073B2 (en) Electrical apparatus
KR101763340B1 (ko) 멀티형 콘센트 어셈블리
KR20020072828A (ko) 힌지장치
KR970004887Y1 (ko) 스위치장치
KR100693172B1 (ko) 스위블힌지장치 및 이를 사용한 휴대용 컴퓨터
KR100505162B1 (ko) 스위블 힌지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KR100556886B1 (ko) 카메라 위치 고정기능을 구비한 이동단말기
JPH11120868A (ja) プッシュ機能付回動操作型電子部品
KR100770999B1 (ko)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