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0660Y1 - 지압용 돌기를 갖는 훌라후프 - Google Patents

지압용 돌기를 갖는 훌라후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0660Y1
KR200230660Y1 KR2020010000362U KR20010000362U KR200230660Y1 KR 200230660 Y1 KR200230660 Y1 KR 200230660Y1 KR 2020010000362 U KR2020010000362 U KR 2020010000362U KR 20010000362 U KR20010000362 U KR 20010000362U KR 200230660 Y1 KR200230660 Y1 KR 2002306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upressure
hula hoop
body portion
projections
equal interv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03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곤
Original Assignee
김상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곤 filed Critical 김상곤
Priority to KR20200100003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06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06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0660Y1/ko

Links

Landscapes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훌라후프의 내면(사용시 신체와 접촉되는 부위)에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지압용 돌기가 결합되어 훌라후프 사용시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지압할 수 있도록 한 지압용 돌기를 갖는 훌라후프에 관한 것으로서, 링형태로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며 내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된 몸체부와, 배면 중앙에 후크편이 돌출된 반구형상의 지압용돌기가 구비된 훌라후프에 있어서, 상기 지압용 돌기의 배면에는 소정의 깊이를 갖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완충스프링이 탄설됨에 따라, 훌라후프 사용시 지압용 돌기의 신체 접촉에 따른 응력을 완충시켜 장시간 사용하거나 훌라후프를 빠르게 돌리더라도 원할한 지압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지압용 돌기를 갖는 훌라후프{A HULA HOOP}
본 고안은 지압용 돌기를 갖는 훌라후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훌라후프의 내면(사용시 신체와 접촉되는 부위)에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지압용 돌기가 결합되어 훌라후프 사용시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지압할 수 있도록 한 지압용 돌기를 갖는 훌라후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훌라후프는 소정곡률반경을 갖는 링형태로 이루어지며 허리를 이용하여 연속·반복되는 회전운동을 통해 신체 특히, 허리부위를 단련하기 위한 운동기구의 일종으로 현재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훌라후프는 연속·반복되는 회전운동을 통한 신체(허리부위)단련하기 위한 운동기구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훌라후프 사용시 신체와 접촉되는 부위에 지압효과를 얻기위해 다양한 형태의 지압용 돌기가 결합되어져 사용되고 있다.
한편, 첨부도면 도 1은 종래의 훌라후프를 나타내는 요부확대 단면도로서, 훌라후프(1)는 내부에 중공부(2)를 갖는 링형태의 훌라후프(1) 몸체부(3)에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결합공(4)이 형성되고, 배면 중앙에 후크편(5)이 돌출된 반구형상의 지압용 돌기(6)가 는 상기 몸체부(3)의 결합공(4)에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훌라후프(1) 몸체부(3)에 등간격을 이루며 결합된 다수개의 지압용 돌기(6)에 의해 훌라후프(1) 사용시 신체 허리부위에 접촉되어 지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훌라후프에서는 지압용 돌기가 몸체부에 밀착·고정된 상태이므로 훌라후프를 장시간 사용하거나 또는 회전운동에 따른 운동효과를 높이기 위해 훌라후프를 빨리 돌리게 될 경우에는 지압용 돌기의 연속·반복되는 과다한 접촉 및 집중응력으로 인해 접촉부위에 피로감을 느끼게 되거나 심할 경우에는 통증을 받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훌라후프 사용시 신체와 접촉되는 지압용 돌기에 완충부재를 내설하여 접촉에 따른 응력을 완충시켜 장시간 사용하거나 훌라후프를 빠르게 돌리더라도 원할한 지압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된 새로운 형태의 지압용 돌기를 갖는 훌라후프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링형태로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며 내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된 몸체부와, 배면 중앙에 후크편이 돌출된 반구형상의 지압용 돌기가 구비된 훌라후프에 있어서, 상기 지압용 돌기의 배면에는 소정의 깊이를 갖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완충스프링이 탄설된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는 환테형태의 덧살이 융기되어 걸림턱이 형성되고 지압용 돌기의 배면 외측단부에 상기 걸림턱과 대응되는 걸림편이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또한, 상기 완충스프링이 탄설되는 몸체부 일부위가 중공부내로 연장·돌출된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종래 훌라후프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훌라후프의 요부 발췌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훌라후프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훌라후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훌라후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지압용 돌기 11:몸체부
12:결합공 13:안착홈
14:후크편 15:중공부
16:덧살 17:걸림턱
18:걸림편 20:완충스프링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훌라후프의 요부 발췌 분해 사시도, 훌라후프(1)는 링형태의 몸체부(11) 내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된 결합공(12)에 반구형상으로 배면에 소정의 깊이를 갖는 안착홈(13)이 형성되고 후크편(14)이 돌출된 지압용 돌기(10)가 끼워져 결합되되, 몸체부(11)와 지압용 돌기(10) 사이에 완충스프링(20)이 탄설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훌라후프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 내부에 중공부(15)를 갖는 몸체부(11) 내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된 결합공(12)에 완충스프링(20)이 탄설되도록 후크편(14)이 끼워져 지압용 돌기(10)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훌라후프(1) 몸체부(11)에 결합된 지압용 돌기(10)는 완충스프링(20)에 의해 간격 S 범위내에서 유동되면서 완충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훌라후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로서, 중공부(15)를 갖는 몸체부(11) 내주면에 환테형태의 덧살(16)이 융기되어 걸림턱(17)이 형성되고 지압용 돌기(10)의 배면 외측단부에는 상기 걸림턱(17)과 대응되는 걸림편(18)이 형성됨에 따라, 걸림턱(17)과 걸림편(18)에 의해 몸체부(11)에 지압용 돌기(10)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때, 몸체부(11)와 지압용 돌기(10) 사이에는 완충스프링(20)이 탄설되어 간격 S' 범위내에서 지압용 돌기(10)가 유동되도록 결합된 것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훌라후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로서, 중공부(15)를 갖는 몸체부(11) 내주면에 환테형태의 덧살(16)이 융기되어 걸림턱(17)이 형성되고 지압용 돌기(10)의 배면 외측단부에는 상기 걸림턱(17)과 대응되는 걸림편(18)이 형성되어 걸림턱(17)과 걸림편(18)에 의해 몸체부(11)에 지압용 돌기(10)가 결합되되, 몸체부(11)의 내주면 일부부위가 중공부(15)내로 연장·돌출됨에 따라 탄설된 완충스프링(20)에 의해 지압용 돌기(10)의 유동거리가 넓어져 간격 S'를 이루게 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부(15)를 갖는 링형상으로 내주면에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결합공(12)이 형성된 몸체부(11)와, 반구형상으로 배면에는 소정의 깊이를 갖는 안착홈(13)이 형성되고 후크편(14)이 돌출된 지압용 돌기(10)와, 완충스프링(20)이 구비된 초기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에 형성된 결합공(12)에 후크편(14)을 끼워 지압용 돌기(10)를 결합하게 되면 훌라후프(1)가 완성되는 것으로서, 이때, 몸체부(11)와 지압용 돌기(10) 사이에는 완충스프링(20)이 탄설되어 간격 S가 유지되며 지압용 돌기(10)는 완충스프링(20)의 탄발력에 의해 간격 S 범위내에서 유동된다.
이와 같이하여 완성된 훌라후프(1)를 신체 허리에 거치시킨 후, 돌리게 되면 허리부위를 따라 훌라후프(1)가 회전되면서 허리부위 단련을 위한 운동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이때, 훌라후프(1)가 허리부위를 따라 회전됨에 따라 몸체부(11)에 결합된 지압용 돌기(10)가 연속·반복적으로 허리부위에 접촉되면서 지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지압용 돌기(10)에 의한 지압이 이루어짐에 있어, 훌라후프(1)를 장시간 사용하거나 운동량을 높이기 위해 훌라후프(1)를 빠르게 회전시키게 되면, 지압용 돌기(10)의 연속·반복되는 접촉과 집중응력에 의해 접촉되어지는 부위의 신체에 피로감을 느끼게 되거나 심할 경우에는 통증이 수반될 우려가 있으나, 이는 상기 몸체부(11)와 지압용 돌기(10) 사이에 탄설된 완충스프링(20)에 의해 지압용 돌기(10)가 신체 허리부위 접촉시 간격 S 범위내에서 유동되므로 훌라후프(1)의 회전력에 따른 접촉력이 완충된다.
따라서, 훌라후프(1)이 회전력이 빨라지게 되면, 그에 해당하는 만큼 지압용 돌기(10)가 간격 S 범위내에서 유동되어 완충스프링(20)에 의한 완충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훌라후프(1)를 장시간 사용하거나 빠르게 회전시키더라도 지압용 돌기(10)에 의한 원한할 지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 내주면에 환태형태의 덧살(16)이 융기되도록 하여 걸림턱(17)을 형성하고 지압용 돌기(10)에 걸림편(18)을 형성하게 되면 훌라후프(1)를 완성함에 있어 몸체부(11)에 지압용 돌기(10)의 결합을 신속하고도 간편·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압용 돌기(10)가 결합되는 몸체부(11)의 내주면 일부위를 중공부(15)내로 연장·돌출되도록 하므로써, 완충작용을 위한 지압용 돌기(10)의 유동 범위 즉, 간격 S'를 이루도록 하여 완충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배면에 소정의 깊이를 갖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완충스프링이 탄설된 지압용 돌기가 결합됨에 따라, 훌라후프 사용시 지압용돌기의 신체 접촉에 따른 응력을 완충시켜 장시간 사용하거나 훌라후프를 빠르게 돌리더라도 원할한 지압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지압용돌기의 결합을 신속하고도 간편·용이하게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압용 돌기에 의한 지압 및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링형태로 내부에 중공부(15)를 가지며 내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결합공(12)이 형성된 몸체부(11)와, 배면 중앙에 후크편(14)이 돌출된 반구형상의 지압용돌기(10)가 구비된 훌라후프에 있어서,
    상기 지압용 돌기(10)의 배면에 소정 깊이를 갖는 안착홈(13)이 형성되어 완충스프링(20)이 탄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용 돌기를 갖는 훌라후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1)의 내주면에는 환테형태의 덧살(16)이 융기되어 걸림턱(17)이 형성되고 지압용 돌기(10)의 배면 외측단부에는 상기 걸림턱(17)과 대응되는 걸림편(1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용 돌기를 갖는 훌라후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1) 일부위가 중공부내(15)로 연장·돌출되어 간격 S'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용 돌기를 갖는 훌라후프.
KR2020010000362U 2001-01-06 2001-01-06 지압용 돌기를 갖는 훌라후프 KR2002306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362U KR200230660Y1 (ko) 2001-01-06 2001-01-06 지압용 돌기를 갖는 훌라후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362U KR200230660Y1 (ko) 2001-01-06 2001-01-06 지압용 돌기를 갖는 훌라후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0660Y1 true KR200230660Y1 (ko) 2001-07-19

Family

ID=73062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0362U KR200230660Y1 (ko) 2001-01-06 2001-01-06 지압용 돌기를 갖는 훌라후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066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09999A (en) Combination toy hoop
RU2710385C2 (ru) Очки, имеющие дужку очков, сгибающуюся под множеством углов
US5459882A (en) Swimming goggles
EP2825070A1 (en) Protective helmet and screen
KR200396514Y1 (ko) 내경이 조절되는 반지
JPS63231312A (ja) 眼鏡用パッド
KR200230660Y1 (ko) 지압용 돌기를 갖는 훌라후프
US2807119A (en) Doll head mounting
US6939004B1 (en) Easy-to-assemble eyeglasses
KR200393198Y1 (ko) 완충튜브를 구비한 훌라후프의 결합부재
KR200229715Y1 (ko) 훌라후프
KR20220124481A (ko) 착용형 훌라후프
JP5923810B2 (ja) 関節構造及び該関節構造を備えた人形
JP2005034512A (ja) 環状装身具
KR19990033378U (ko) 지압구가 결합된 훌라후프
CN209645803U (zh) 棒棒球装置
JP2005160620A (ja) マッサージ健身器
KR100721176B1 (ko) 의자 등받이 결착구
KR20220096106A (ko) 훌라후프
WO2024040443A1 (zh) 拼图的拼片
JP5954614B2 (ja) 腕部構造及び該腕部構造を備えた人形
KR200184372Y1 (ko) 아 령
WO2000021481A3 (en) Massaging protrusion structure and hula-hoop using massaging protrusion structures having the massaging protrusion structure
KR200285654Y1 (ko) 운동용 핸드후프
JP3444851B2 (ja) 屋内・外兼用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