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0609Y1 - 합성수지판재의 압축유체에 의한 가압성형장치 - Google Patents

합성수지판재의 압축유체에 의한 가압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0609Y1
KR200230609Y1 KR2019990008887U KR19990008887U KR200230609Y1 KR 200230609 Y1 KR200230609 Y1 KR 200230609Y1 KR 2019990008887 U KR2019990008887 U KR 2019990008887U KR 19990008887 U KR19990008887 U KR 19990008887U KR 200230609 Y1 KR200230609 Y1 KR 2002306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resin material
unit
molding
adsorp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88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1230U (ko
Inventor
윤근수
Original Assignee
윤근수
주식회사 동성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근수, 주식회사 동성정밀 filed Critical 윤근수
Priority to KR20199900088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0609Y1/ko
Priority to TW88120727A priority patent/TW524818B/zh
Publication of KR200000212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12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06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0609Y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밀폐된 금형내의 일정 두께의 판상 합성수지소재에 고압의 압축유체에 의한 가압변형을 유도하여 제품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장치로, 합성수지소재(30)를 다층으로 적재하기 위한 수납실(71)과, 이 수납실(71)에 적층된 합성수지소재(30)를 상승시키기 위한 상승모터(72)와 이 상승모터(72)에 체인 또는 밴드에 연결되어 상기 상승모터(72)의 동작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기 위한 잭(73), 상기 잭(73)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합성수지소재(30)를 적층하기 위한 받침대(74)로 되는 합성수지소재 자동공급부(70)와, 상기 자동공급부(70)로부터 상승 공급되는 합성수지소재(30)를 공압에 의해 흡착하기 위한 흡착판(82)과, 상기 흡착판(82)을 일정한 거리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수단과, 상기 흡착판(82)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81)로 이루어지는 자동그립부(80)와, 상기 자동그립부(80)로부터 이송되는 팔레트(60)를 예열부(200), 성형부(300), 펀칭부(400) 및 취출부(600)로 이송하기 위한 인입부(10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합성수지판재의 압축유체에 의한 가압성형장치{APPARATUS MOLDING SYNTHETIC RESIN PLATE BY PRESSURE USING COMPRESSED FLUID}
본 고안은 밀폐된 금형내의 일정 두께의 판상 합성수지소재에 고압의 압축유체에 의한 가압변형을 유도하여 제품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화 성형장치 즉, 합성수지소재 자동공급부, 자동그립부, 인입부, 예열부, 성형부, 펀칭부 및 취출부로 이루어진 일관시스템을 구성하여, 일정두께의 판형상의 합성수지의 소재를 소성변형 가공온도로 유지한 상태에서 합성수지의 소재 상부에 고압유체를 가하여 베이스몰드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성형제품을 얻을 수 있는 합성수지판재의 압축유체에 의한 가압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상기 일정 두께의 합성수지라함은 예열부의 열에 의하여 소성변형 가공이 가능한 판형상의 열가소성 소재를 말하며, 열가소성 소재의 재질에 따라서 소성변형온도 및 열경화온도 등을 감안하고, 또 성형부에 공급되는 가압유체의 압력 등의조건들을 조합하여 베이스몰드만으로 다양한 형태의 성형제품을 얻을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열가소성소재의 소성변형 가공으로 성형할 수 있는 박층의 합성수지재 성형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식에 대하여는 국내 특허공고 제 95-12869 호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 예를들면 인쇄회로 기판이나 다른 배전기판의 표면과 같은 불규칙한 표면들의 외형에 적합한 건조필름을 도포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도포 이전에 인쇄회로기판의 범위내에서 분리되어 잘려진 조각과 같은 그것의 표면들중에 적어도 하나에 느슨하게 도포된 건조필름을 구비한 인쇄회로기판이나 배전기판들에 열과 진동 및 기계적인 압력을 가하여 성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예를들면, 합성수지를 소재로 하는 전자제품(10)들은 도 1a 내지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아래하우징(1),(2)이 별도의 성형수단에 의하여 각각 성형되고, 또 인쇄수단에 의하여 표시창등의 인식표시등의 인쇄를 행하도록 하고, 또한 윗하우징(1)에 결합되어 외부로 노출시키어 하우징내의 기판 등의 전자 요소들과 접지를 행할 수 있는 버턴기판(3)이 별도의 성형수단에 의하여 형성되어 결합되도록 하고 있다.
위와 같이 위,아래하우징(1),(2)을 성형하기 위하여 각각 별도의 성형공정들을 거쳐야 하는 동시에, 요철부의 높낮이에 따른 여러번의 인쇄공정을 거쳐야하고, 윗하우징(1)과 결합되는 버턴기판(3)을 별도의 성형수단을 거쳐서, 비로소 각 성형제품들을 조합하여 조립라인에서 조립되도록 하고 있으나, 위와 같이 여러 공정을 거쳐야 하는 관계로 생산코스트가 고가로 되는 요인이 되고, 암,수 한쌍의 금형을 필요로 하므로 금형 제작비가 고가이며, 금형 제작 기간이 길어져 긴급 수요 및 다품종 소량 생산에 적절히 대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각 성형제품의 부속품들의 정도가 높아야 하는 관계로 불량률을 저하시키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들이 야기되고 있다.
또한, 상기 윗하우징(1)의 버턴관통구멍(4)에 버턴기판(3)의 버턴(5)이 관통되어 외부로 노출되어 누룰 수 있도록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윗하우징(1)의 버턴관통구멍(4)과 버턴기판(3)의 버턴(5)과의 사이의 조립을 위한 여유틈새로 인하여 틈새의 발생으로 인하여 성형제품의 외부가 미려하지 못하고, 또한 상기 틈새를 통하여 이물질의 침투가 쉽고 또 부주의로 물 등이 유입되는 경우에는 전자제품(10)의 내부의 전자요소들이 누전등으로 망실되어 못쓰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성변형 가공이 가능한 판상의 소재를 가소성 소재의 특성에 따라서 소성변형온도, 열경화온도 및 가압유체의 압력 등의 조건들이 조화된 환경하에서 베이스몰드 만으로 소성변형 가공된 성형제품을 얻을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이 인입부, 예열부, 성형부, 펀칭부 및 취출부들로 구성되고, 상기 구성부들은 수평으로 이동가능한 자동화된 시스템으로 구성되며, 이 자동화 이송시스템은 콘트롤러에 의하여 제어되는 로울 또는 컨베이어로 이루어지고, 이 로울 또는 컨베이어는 서로 연결 구동되는 무한궤도를 구성하는 직선상의 경로이며, 상기 로울 또는 컨베이어 상에 틀형상의 팔레트가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 팔레트에는 성형하고자 하는 소재가 탑재되어서 인입부로부터단계적으로 각각의 구성부를 거쳐 종국에는 취출부를 통하여 반출되는 성형제품을 얻을 수 있는 판상 합성수지의 압축유체에 의한 가압성형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인입부, 예열부, 성형부, 펀칭부 및 취출부들로 구성되며 수평으로 이동가능한 자동화된 이송 시스템에 있어서, 합성수지소재를 다층으로 적재하기 위한 수납실과, 이 수납실에 적층된 합성수지소재를 상승시키기 위한 상승모터와 이 상승모터에 체인 또는 밴드에 연결되어 상기 상승모터의 동작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기 위한 잭, 상기 잭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합성수지소재를 적층하기 위한 받침대로 되는 합성수지소재 자동공급부와, 상기 자동공급부로부터 상승 공급되는 합성수지소재를 공압에 의해 흡착하기 위한 흡착판과, 상기 흡착판을 일정한 거리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수단과, 상기 흡착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로 이루어지는 자동그립부와, 상기 자동그립부로부터 이송되는 팔레트를 예열부, 성형부, 펀칭부 및 취출부로 이송하기 위한 인입부로 구성됨을 본 고안에의한 장치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입부는 구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한쌍의 스프로킷과, 이 한쌍의 스프로킷을 연결하기 위한 체인과, 이 체인의 처짐 및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가이드 스프로킷과, 상기 스프로킷과 가이드스프로킷 사이에 설치되는 로울 또는 컨베이어와, 이 로울 또는 컨베이어를 지지하기 위한 로울 유지브라킷과, 상기 로울 유지브라킷을 일정한 높이로 상승 또는 하강시켜 팔레트의 이송을 돕기 위한 제 1 및 제 2실린더로 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 는 일반 성형제품의 결합 사시도,
도 1b 는 도 1a에서 윗 하우징과 버턴부재의 결합 분리 사시도,
도 1c 는 도 1b 의 결합 분리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성형장치의 평면도,
도 3a 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성형장치에서의 성형부의 베이스몰드가 하강된 상태의 정면도,
도 3b 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성형장치에서의 성형부의 베이스몰드가 하강된 상태의 측면도,
도 4a 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성형장치에서의 성형부의 베이스몰드가 상승된 상태의 정면도,
도 4b 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성형장치에서의 성형부의 베이스몰드가 상승된 상태의 측면도,
도 5a 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성형장치에서의 성형부의 베이스몰드가 하강된 상태의 요부확대 개념도,
도 5b 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성형장치에서의 성형부의 베이스몰드가 상승된상태의 요부확대 개념도,
도 6a 는 본 고안에 따른 성형장치의 팔레트 이송 상태를 나타낸도,
도 6b 는 본 고안 자동공급부로부터 합성수지소재를 실은 팔레트가 인입부로 이송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도,
도 6c 는 본 고안 팔레트가 로울 상에 이송 후, 실린더에 의해 로울 유지브라킷 및 로울이 상승하여 이 상승된 로울 상에 팔레트가 얹어진 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도,
도 7a,7b,7c,7d 는 본 고안의 성형장치에 의하여 성형된 성형제품의 예시 단면도.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2 내지 도 3a,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성형장치는 합성수지소재 자동공급부(70), 자동그립부(80), 인입부(100), 예열부(200), 성형부(300) 그리고 취출부(600)들로 구성된다.
이에 부가하여 도 5a 와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펀칭부(400) 및 절단부(50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구성부들은 수평으로 이동가능한 자동화된 이송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자동화된 이송 시스템은, 로울(40) 또는 컨베이어(50)로 이루어진 수평의 직선 상의 경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합성수지소재 자동공급부(7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소재(30)를 다층으로 적재하기 위한 수납실(71)과, 이 수납실(71)에 적층된 합성수지소재(30)를 상승시키기 위한 상승모터(72)와 이 상승모터(72)에 체인 또는 밴드에 연결되어 상기 상승모터의 동작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기 위한 잭(73), 상기 잭(73)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합성수지소재(30)를 적층하기 위한 받침대(7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잭(73)을 상승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유압식 또는 공압식 등을 이용할 수가 있다.
또한, 자동그립부(80)는 지지대(81)와, 이 지지대(81)에 매달려 공압에 의해 합성수지소재(30)를 흡착하기 위한 흡착판(82)과 이를 일정한 거리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도시하지 않음)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자동그립부(80)로부터 이송된 합성수지소재(30)를 예열부(200) 쪽으로 이송하기 위한 자동화 이송 시스템은 로울(40) 또는 컨베이어(50)로 이루어지며, 이는 서로 연동되는 무한궤도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로울(40) 또는 컨베이어(50)는, 합성수지소재(30)를 유동없이 탑재하도록 된 다수의 팔레트(60)들의 이동 경로가 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인입부(100)는 도 6a에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11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한쌍의 스프로킷(120)(120')과, 이 한쌍의 스프로킷(120)(120')을 연결하기 위한 체인(121)과, 이 체인(121)의 처짐 및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가이드 스프로킷(130)(130')과, 상기 스프로킷(120)과 가이드스프로킷(130) 사이에 설치되는 로울(40) 또는 컨베이어(50)와, 이 로울(40) 도는 컨베이어(50)를 지지하기 위한 로울 유지브라킷(140)과, 상기 로울 유지브라킷(140)을 일정한 높이로 상승 또는 하강시켜 팔레트(60)의 이송을 돕기 위한 제 1 및 제 2실린더(150)(160)로 구성된다.
예를들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그립부(80)로부터 전달받은 합성수지소재(30) 즉, 각각 변형되어야 할 합성수지소재(30) 또는 변형된 성형제품(20)을 파지, 이송하기 위한 팔레트(60)가 컨베이어(50) 또는 로울(40) 상에 위치하게 되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실린더(150)(160)가 상승하고, 이 상승에 의해 로울 유지브라킷(140)의 상승과 동시에 로울(40)이 상승하게 되며 이 상승된 로울(40) 상에 팔레트(60)가 얹어져 예열부(200)로 이송하게 된다.
이때, 모든 팔레트(60)는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대략 사각의 판형상을 이루며, 상기 팔레트(60)의 위에는 합성수지소재(30)가 유동없이 파지 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포지셔닝 핀등의 고정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팔레트(60)간의 간격은 각 구성부들에 위치하여 작업이 수행되는 공정 시간 등을 감안하여 배치된다.
그리고, 팔레트(60)는 로울(40) 및 컨베이어(50)상에서 정확한 위치의 이동을 돕기 위하여 별도의 클램프수단에 의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부가하여 이동하는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 제어 센서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울(40)에서 컨베이어(50)상으로 팔레트(60)를 이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셋팅수단을 부가적으로 설치하여 정확한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각각 변형되어야 할 합성수지소재(30) 또는 변형된 성형제품(20)들이 팔레트(60)에 장착되어 이송되는 경로는 자동화된 로울(40) 또는 컨베이어(50)에 의하여 구성되며, 인입부(100), 예열부(200), 성형부(300) 그리고 취출부(600)들을 순차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인입부(100)에서는 팔레트(60)에 합성수지소재(30)의 탑재를 수동으로 행할 수 있으며, 별도의 자동화 공급 장비인 이동, 탑재 매거진 장치(도시생략)를 필요에 따라 설치하여 시스템 구성에 선택적으로 포함시킬 수도 있다.
상기 팔레트(60) 위에 탑재되는 합성수지소재(30)는 소성변형 가공 온도로 유지된 상태 하에서 고압 유체에 의한 성형 공정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위하여 합성수지소재(30)는 대략 30 ∼ 40℃로 유지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며, 합성수지소재(30)의 물성에 따라 60℃ 이상으로 유지시켜 주어야 할 경우도 있으며, 제시된 예열 온도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팔레트(60) 상의 합성수지소재(30)는 예열부(200)에서의 예열을 시작으로 가열된다.
상기 예열부(20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베이어(50)의 궤도 위쪽에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는 데, 도면에서는 2 개가 도시되어 있으나, 합성수지소재(30)의 소성변형 개시 온도가 높을 경우에는 다수의 예열부(200)를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가열장치로서는 적외선 조사 및 일반 전열수단 등의 방법에 의하여 전체 또는 각각 독자적으로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예열부(200)에는 주변 온도와 표면 온도의 감지를 위한 센서가 설치되며, 컨베이어(50)의 진행 궤도와 관련하여 예열부(200)에는 열조사 거리 조절을 위한 높이 조절 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며, 팔레트(60)의 진행 궤도의 측면에 추가적으로 적외선 조사장치 및 전열수단을 적정 간격으로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예열부(200)에서 주어진 온도로 예열된 합성수지소재(30)는 로울(40)을 따라 이동하여 성형부(300)에 도달하고, 다시 정확한 위치 세팅후에 가압성형 공정이 개시된다.
성형부(300)는 도 3a 내지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스를 위한 구동장치(340)와, 구동장치(340)에 의하여 압착성형 공정이 실행되는 베이스 몰드 테이블(320)로 구성된다.
이 프레스는 커버몰드테이블(310), 베이스몰드테이블(320) 그리고 수직으로 고정된4개의 기둥(350)에 의하여 유지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테이블(310),(320)은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도에서 주로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몰드테이블(310)은 고정식으로 배치되어 있고 조정의 목적으로 작동 범위 내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또한 베이스몰드테이블(320)은 기둥(350)을 따라 수직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다. 베이스몰드테이블(320)의 위치 이동을 위한 구동장치(340)의 구조는 도 3a 내지 도 4b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3a, 도 3b는 베이스몰드테이블(320)이 아래로 이동하여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4a, 도 4b는 베이스몰드테이블(320)이 커버몰드테이블(310)로 이동하여 폐쇄된 상태를 보여준다.
상기 구동장치(340)는 구동모터(330)에 의하여 회전되는 유사 원형의 캠(331)과, 이 캠(331)에 한쪽 끝단이 연결되는 커넥팅로드(332)와, 이 커넥팅로드(332)의 다른 끝단의 양쪽에 연결되는 수평링크(333)들과, 이 수평링크(333)에 한쪽 끝단이 각각 연결되는 한쌍의 수직링크(334)와 상기 수직링크(334)에 각각 연결되는 고정대(335)와 베이스몰드테이블(32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커넥팅로드(332), 수평링크(333) 및 수직링크(334)의 연결부위는 베어링에 의하여 유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도 3a, 도 3b의 상태에서 도 4a, 도 4b의 상태로 캠(331)이 움직임이면, 캠(331)이 상사점에 위치하여 커넥팅로드(332)와 연결된 수평링크(333)들은 대략 수평으로 유지되고, 또한 이 수평링크(333)들과 연결된 수직링크(334)들은 수직 방향으로 유지하여 기둥(350)에 대하여 평행하게 전개된다.
구동모터(330)는 베이스몰드테이블(320)의 폐쇄 상태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정확하게 정지될 수 있다. 이 위치에서 구동장치(340)는 특히 높은 성형 압력을 실행 또는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상태를 넘어 캠(331)이 상사점을 넘으면, 수평링크(333) 및 수직링크(334)들은 도 3a 또는 도 3b와 같이 만곡형태로 이행되어, 베이스몰드테이블(320)은 커버몰드테이블(310)로부터 점차적으로 해제위치를 취하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330)의 적당한 조종을 통해 베이스몰드테이블(320)은, 커버 몰드 테이블(310)과의 폐쇄상태를 취할 때 까지 상승되거나, 또는 베이스 몰드 테이블(320)이 아래방향으로 이동하여 커버몰드테이블(310)과의 해제 상태를 취할 때까지 하강되며, 그 때마다의 종결 위치에서 정확하게 구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그리고, 앞과 뒤의 기둥(350)과 각각의 몰드테이블(310),(320)을 통해 제한되어 있는 작업 공간을 통하여 컨베이어(50)의 팔레트(60)가 이송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몰드테이블(310),(320)에는 도 5a,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몰드(311),(321)들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몰드(311),(321)들에는 상기 작업공간으로 셋팅되는 합성수지소재(30)에 열을 가할 수 있는 전열부재(312),(313)들이 형성되어, 합성수지소재(30)의 소성변형 온도를 유지시키도록 되어 있고, 이 전열부재(312),(313)들의 온도는 합성수지소재(30)의 소성변형 온도에 따라서 조정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몰드(321)는 일정간격을 두고 받침대(360)와 스프링수단(도시생략)에 의하여 탄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대(360)는팔레트(60) 및 합성수지소재(30)를 유지할 수 있는 기능을 하며, 또한 베이스 몰드(321)가 상승하여 커버몰드(311)과 폐쇄위치로 이동할 때의 팔레트(60) 및 합성수지소재(30)와의 충격 등을 흡수하여 안정되게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기능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몰드(311)에는 컴프레셔(380)와 연결되는 유로(390)가 형성되어 고압의 압축공기가 유로(390)를 통하여 밀폐된 공간(393)으로 유입 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유로(390)에는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한 밸브(394), 고압관연결어뎁터(395) 및 예열기(396)등이 장착되며, 또한 성형소재에 따라서 유로(390)를 복수개 형성하여 가압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유로(390)를 구성하는 배관망에 불활성기체 및 표면 개질 효과를 가지는 특정 기체를 유입시키기 위한 바이패스 배관(392)을 포함시킬 수도 있다.
상기 가압된 환경하에서 특정기체가 합성수지 표면 및 인쇄잉크의 성분과 작용하여 일종의 표면처리효과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합성수지 표면의 개질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관망에 예열기(396)가 장착되어 콤프레셔(380)로부터 공급되는 질소 등의 압축유체를 예열시키어 공간(393)내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성형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폐쇄공간(393)이라 함은 도 5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몰드(321)가 커버몰드(311)와 결합되어 하나의 밀폐된 공압(空壓) 쳄버를 구성하고 있는 것을 말한다.
또한 상기 폐쇄상태에서의 고압의 에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커버몰드(311)의 테두리에 팩킹등의 기밀유지부재(391)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면에서는 커버몰드(311)에만 도시한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베이스몰드(321)의 테두리에 부가하여 장착하여 기밀유지 효과를 높일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몰드(311),(321)가 폐쇄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공압 챔버내의 합성수지소재(30)에 고압유체가 가하여지게 되면,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성온도로 예열된 합성수지소재(30)는 가하여지는 유체의 압력에 의하여 베이스몰드(321)의 형상과 같은 성형제품(20)으로 압착성형이 이루어진다.
또한,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몰드(311)의 아래에는 미스킹필름(301)이 가로질러 공급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 마스킹필름(301)은 공급로울(302)로부터 안내로울(303) 들에 안내되어 자동 그립장치(80)에 의하여 커버몰드(311)의 하단에 공급되며, 베이스몰드(321)가 결합되면 커버몰드(311)의 양쪽 칼날(304)에 의하여 절단되어, 성형소재(30)의 위에 탑재된 상태에서 성형되게 된다.
따라서, 제품의 성형과 동시에, 제품을 보호하는 마스킹필름(301)이 성형제품에 압착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별도의 표면보호용 마스킹 필름포장공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므로 포장공정수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성형제품의 성형이 완료되면 콘트롤러의 신호에 의하여 베이스 몰드(321)가 해제상태로 위치하게 되고, 공압 쳄버 내의 팔레트(60) 위의 성형제품(20)은 컨베이어(50)의 이동에 따라서 다음의 공정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다음 공정이라 함은 바로 취출부(600)를 통하여 성형제품(20)을 외부로 반출할 수 있는 것이며,예를들어 도 5a 와 같이 성형부(300)에 이어서 펀칭부(400)로 이동시키어 펀칭공정을 거치게 하여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한후, 취출부(600)를 통하여 성형제품(20)을 외부로 반출할 수 있는데, 통상적으로는 도 5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성형부(300), 펀칭부(400) 및 취출부(600)을 차례로 거치게 하여, 취출부(600)를 통하여 성형제품(20)을 장치 외부로 반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펀칭부(400) 및 절단부(500)는 앞서 설명한 성형부와 마찬가지로 캠구동수단에 의하여 펀칭 및 절단이 통상의 방법으로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인바, 구동수단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윗하우징(1)과 버턴기판(3) 및 인쇄기판(도시생략)등을 하나의 성형공정에 의하여 베이스몰드 만으로 가압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성형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면에서 윗쪽에 돌출되도록 하여 버턴(5)이 형성되도록 하고, 또 아래부분은 평면을 형성되도록 하면서, 그의 평면에 인쇄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또 저면에 하우징내의 접지수단과 접지되는 도전부재(도시생략)도 결합 성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인쇄부의 성형 및 도전부재의 결합 성형은 후술하는 성형부에서 상기 성형소재에 부가하여 일괄적인 공정으로 가압 성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각 소재의 성형은 각 소재의 물성의 소성변형온도에서 고압 유체에 의하여 가압 성형되는 것을 전제로 하며 고압 유체로는 통상의 압축 공기를 사용하지만, 소재표면의 특성에 따라 불활성 기체들을 혼입하여 표면개질 효과 또는 인쇄층의 보호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또한, 가압 성형에 의하여 다양한 형태의 성형제품을 얻을 수 있는 데, 그 예로서는 도 7b 내지 7d에 예시한 바와 같이 성형제품(20)에 돌출부(21), 요홈부(22) 및 구멍(23) 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고안에 있어서는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후술하는 성형부의 베이스몰드의 형상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제품 성형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장치에 의하면, 암,수 한쌍의 금형을 사용하는 통상의 방법과는 달리 몰드의 수명이 연장되고, 베이스몰드만 교체하면 다양한 형상의 합성수지 가공부재를 용이하게 생산해 낼 수 있게 됨으로 해서 금형제작비가 저렴하고, 금형제작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상당부분 단축시킬 수 있음으로 해서 다품종 소량생산에 매우 적합하다는 장점을 지니게 된다.
특히, 가공될 소재의 상면에 직접 접촉하는 상부 금형 없이 압축유체에 의하여 성형이 됨으로 해서 인쇄된 판상의 소재를 성형한 경우에도 인쇄된 표면에 전혀 손상을 주지 않게 되므로 성형이전의 평판상태의 소재에 미리 인쇄를 할 수 있어 정밀, 고급인쇄가 가능하며, 따라서 인쇄가 포함된 합성수지 부재의 생산에 있어서 생산성을 높이고 가공비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미려한 디자인과 초기의 화려한 인쇄 품질을 유지해야 하는 특수공법에 획기적인 장치인 것이다.

Claims (2)

  1. 인입부, 예열부, 성형부, 펀칭부 및 취출부들로 구성되며 수평으로 이동가능한 자동화된 이송 시스템에 있어서, 합성수지소재를 다층으로 적재하기 위한 수납실과, 이 수납실에 적층된 합성수지소재를 상승시키기 위한 상승모터와 이 상승모터에 체인 또는 밴드에 연결되어 상기 상승모터의 동작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기 위한 잭, 상기 잭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합성수지소재를 적층하기 위한 받침대로 되는 합성수지소재 자동공급부와,
    상기 자동공급부로부터 상승 공급되는 합성수지소재를 공압에 의해 흡착하기 위한 흡착판과, 상기 흡착판을 일정한 거리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수단과, 상기 흡착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로 이루어지는 자동그립부와,
    상기 자동그립부로부터 이송되는 팔레트를 예열부, 성형부, 펀칭부 및 취출부로 이송하기 위한 인입부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판재의 압축유체에 의한 가압성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부는 구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한쌍의 스프로킷과, 이 한쌍의 스프로킷을 연결하기 위한 체인과, 이 체인의 처짐 및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가이드 스프로킷과, 상기 스프로킷과 가이드스프로킷 사이에 설치되는 로울 또는 컨베이어와, 이 로울 또는 컨베이어를 지지하기 위한 로울 유지브라킷과, 상기 로울 유지브라킷을 일정한 높이로 상승 또는 하강시켜 팔레트의이송을 돕기 위한 제 1 및 제 2실린더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판재의 압축유체에 의한 가압성형장치.
KR2019990008887U 1999-04-12 1999-05-24 합성수지판재의 압축유체에 의한 가압성형장치 KR2002306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8887U KR200230609Y1 (ko) 1999-05-24 1999-05-24 합성수지판재의 압축유체에 의한 가압성형장치
TW88120727A TW524818B (en) 1999-04-12 1999-11-26 Formation method and equipment for a pressure-applied formation produ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8887U KR200230609Y1 (ko) 1999-05-24 1999-05-24 합성수지판재의 압축유체에 의한 가압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230U KR20000021230U (ko) 2000-12-26
KR200230609Y1 true KR200230609Y1 (ko) 2001-07-03

Family

ID=54763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8887U KR200230609Y1 (ko) 1999-04-12 1999-05-24 합성수지판재의 압축유체에 의한 가압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060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2837B1 (ko) * 2001-04-03 2003-07-31 태양러버머신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고무제품 성형 시스템의 이동금형 클램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230U (ko) 2000-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5385B1 (ko) 상측 이송장치를 가진 글라스시이트 처리 시스템 (glass sheet processing system)
KR20050093770A (ko) 두 개의 시트로 플라스틱 연료탱크를 열성형하기 위한 방법
JPH05301250A (ja) 射出成形同時絵付装置
US11380647B2 (en) Sintering press and method for sintering electronic components on a substrate
US9522497B2 (en) Thermoforming sheet loading apparatus and method
US20210170708A1 (en) Pressing group for a sintering press for sintering electronic components on a substrate
CN113247351A (zh) 一种屏幕玻璃贴膜翻转装置、方法和贴膜设备
KR200230609Y1 (ko) 합성수지판재의 압축유체에 의한 가압성형장치
US20020158396A1 (en) Tooling fixture
KR100647515B1 (ko) 수지판 성형장치
GB1011280A (en) Machin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fabricating multiple unit assemblies of ceramic tile and the like
KR100317076B1 (ko) 합성수지판재의 압축유체에 의한 가압성형제품 및 그의 성형장치
JP3609625B2 (ja) 合成樹脂シートを成形して裁断する成形品の製造装置
CN112317966A (zh) 一种高精度摄像头印字贴膜装置
KR20010047657A (ko) 가압성형제품의 성형방법
KR100796580B1 (ko) 콘덴서시트의 정렬 및 적층을 위한 시트편집틀장치
US20070278715A1 (en) In-mold forming method, in-mold forming mold and in-mold forming apparatus
KR200259859Y1 (ko) 합성수지판재의 가압성형장치
JP4856935B2 (ja) 被搬送物の移載装置
CN219076563U (zh) 一种角落板成型设备
JP6871107B2 (ja) 熱成形装置及び熱成形方法
KR102386506B1 (ko) 폴더블 초박형유리 적층 장치
KR100755233B1 (ko) 임프린팅 리소그래피 장치
JP4048464B2 (ja) ガラス基板のシ−ル材硬化定盤への搬入出方法及びその装置
CN107089053A (zh) 安装基板制造系统及其下支撑构件的设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6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