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9921Y1 - 철도차량 탈선복구기 - Google Patents
철도차량 탈선복구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29921Y1 KR200229921Y1 KR2020010000494U KR20010000494U KR200229921Y1 KR 200229921 Y1 KR200229921 Y1 KR 200229921Y1 KR 2020010000494 U KR2020010000494 U KR 2020010000494U KR 20010000494 U KR20010000494 U KR 20010000494U KR 200229921 Y1 KR200229921 Y1 KR 20022992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l
- vehicle
- hydraulic
- hydraulic cylinder
- cylinder unit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도차량 탈선복구기에 관한 것이다.
즉, 철도 레일상에서 철도 시설보수 및 유지에 사용되는 자주식 동력 차량 즉 멀티플타이댐퍼, 검측차, 연마차, 레일탐상차, 화차, 객차, 모타카등의 특수차량이 신호착오, 선로상태불량 및 추돌 및 보수작업등으로 인하여 선로상 또는 선로교차선에서 탈선시 탈선된 차량의 기울어지는 각도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복구시킬 수 있고, 복구시간을 최단시간으로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레일상에는 실린더로드를 구비한 한쌍의 유압실린더유니트를 각각의 레일받침대와 힌지핀으로 결합되고, 실린더로드 상부는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브라켓트에 고정핀과 결합되며, 실린더로드가 승, 하강을 유압으로 조정할 수 있는 유압작동레바는 유압동력기의 입,출력 유압라인과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철도차량이 탈선하게 되면 레일상에 레일받침대를 안착시키고 철도차량의 전방펌퍼면 또는 후방펌퍼면에 고정된 브라켓트의 고정핀에 실린더로드 상부를 고정시키고 유압실린더유니트 하부는 탈선된 철도차량의 기울기에 따라 받침대에 천공된 다수의 구멍을 선택하여 힌지핀으로 고정시킨 다음 유압실리더유니트에 연결된 유압레바를 조정하여 유압실린더유니트 내부에 장착된 실린더로드를 승,하강시켜 탈선된 철도차량을 본 궤도의 레일상에 놓이게 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철도차량이 신호착오, 선로상태불량, 추돌 및 보수작업등으로 인하여 선로상 또는 선로교차선에서 탈선시 탈선된 차량을 복구하기 위한 철도차량 탈선복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의 탈선이라함은 레일의 본 궤도 상에서 차량의 바퀴가탈선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서, 철도차량 몸체가 궤도를 모두 벗어나는 이른바 차량전복사고와는 전혀다른 의미를 갖고 있다.
상기와 같이 철도차량이 탈선을 하게되면 통상 유압으로 작동되는 탈선복구기를 이용하여 복구하는데 선등록된 한국특허공보 제182256호에 개재된 기술적 요지에 의하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패드(100)와 실린더로드(101)를 구비한 각각의 상, 하강용 유압실린더 유니트(102)사이에 각각의 횡이동용 유압실린더(103)의 실린더로드(104)로 상, 하강용 유압실린더 유니트(102)의 연결 브라켓트(105)에 연결 설치하고, 유압작동레버(106)가 설치된 컨트롤밸브(107)에서 상, 하강용 작동 유압라인(108)과 좌, 우횡이동 유압라인(109)을 통하여 상, 하강용 유압실린더 유니트(102)와 횡이동용 유압실린더(103)로 연결시키며, 상, 하강용 유압실린더 유니트(102)의 후단에 횡이동 롤러(110)를 롤러스톱퍼(111)가 구비된 각각의 가이드레일(112)에 슬라이딩 작동되게 설치하여 가이드레일(112)을 차량(C)의 전, 후범퍼면(F)(R) 좌, 우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탈선복구기는 레일이 직선구간에는에서는 내, 외측이 같은 높이로 가설되어 있어 차량(C)이 탈선되더라도 좌, 우양측의 유압실린더 유니트(102)로 수평을 유지한 다음 각각의 횡이동용 유압실린더(103)의 실린더로드(104)를 이용하여 충분히 레일상으로 차량바퀴를 복귀시킬 수 있으나, 선로의 곡선부에는 캔트(CANT) 즉, 차량(C)이 통과할때 원심력이 작용하여 곡선의 외측으로 이탈하려는 경향이 있어, 곡선부에는 외경측 레일을 내측보다 높게하여 원심력에 대항시켜 차량(C)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서 붙이는 편구배를 말하는 것으로서, 이때에는 차량(C)에 부착된 유압실린더 유니트(102)로는 수평을 유지하기 가 곤란하여 외경측의 지면을 내경측에 맞추어 수평 작업을 하던가, 반대로 내측을 외측과 동일한 높이로 지면을 높여 작업을 다음 탈선복구기를 이용하여야 하는 불편한점이 있으며, 그 만큼 복구시간이 늦어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좌, 우측의 유압실린더 유니트(102) 후방에 결합된 가이드레일(112)은 횡이동용 유압실린더(103)의 실린더로드(104)의 작동되는 폭을 한정시킴으로써, 차량(C)이 레일과 먼거리로 탈선한 경우에는 가이드레일(112)의 행정거리 만큼 차량을 이동시킨 다음 처음으로 돌아가 반복하는 과정이 최소한 2회에 걸쳐 해야하는 비능률적인 작업상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수평을 유지하게 되는 유압실린더 유니트(102)와 차량을 좌,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횡이동용 유압실린더(103) 및 유압실린더 유니트(102)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112)의 구조가 복잡하여 제품생산 능률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는 차량을 들어올려 횡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2가지 기능을 할 수 있는 유압실린더 유니트를 구비하고, 곡선구간에서 차량이 탈선하여 기울어진 상태에서도 주변의 다른 도구 없이도 탈선복구기만으로 차량을 복구할 수 있도록 레일받침대에는 다수개의 구멍을 천공하여 기울어진 각도에 맞추어 유압실린더 유니트를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1은 종래에 철도차량의 전, 후방 펌퍼면에 부착된 탈선복구기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각부분의 발췌사시도로서,
(a)는 철도차량 전, 후방에 부착된 브라켓트이며,
(b)는 차단판의 사시도
(c)는 유압실린더유니트이고,
(d)는 레일받침대이다
도4는 본 고안이 사용상태로서
(a)는 탈선복구기를 설치한 상태이고
(b)는 탈선복구기의 좌, 우측유압실린더 유니트가 상승하여 차량이
상승되어 차량이 수평으로 놓여진 상태이며,
(c)는 탈선복구기의 좌측 유압실린더 유니트가 상승하고, 우측유압실
린더 유니트가 하강하여 차량이 레일상에 차량바퀴가 놓인상태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탈선복구기 2. 유압실린더 유니트
2a. 실린더로드 2b. 원형관
2c .받침판 2d, 3a′,4a, 4b, 7a, 8′.구멍
C. 차 량 F.전면범퍼
R. 후면펌퍼 3. 브라켓트
3a.고 정 핀 3b. 너 트
4.차단판 5, 9. 이탈방지핀
6. 볼트 7. 레일받침대
7b.레일홈 8. 힌지핀
10. 내측레일 11. 외측레일
12, 13. 입, 출력 유압라인 P. 유압동력기
14. 컨트롤밸브 15.유압레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철도차량의 전, 후면펌퍼면에 배치된 브라켓트 양단부에는 탈선복구기의 유압실린더 유니트의 실린더로드 상단부에 형성된 원형관에 끼워지는 고정핀과 상기 브라켓트와 대칭된 위치에는 상기 고정핀 끼워지고 브라켓트 너트에 볼트가 체결되어 상기 원형관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차단판과 유압실린더 유니트 몸체에는 상기 실린더로드의 승, 하강이 될수 있도록 하는 입, 출력유압라인과 이 입, 출력유압라인과 유압동력기와 연결된 입 ,출력유압라인 사이에는 컨트롤밸브를 포함한 유압레버와 유압실린더 유니트 하단부에는 레일받침대의 다수개의 구멍중에 차량이 기울어지는 각도에 따라 원하는 구멍에 맞추어 힌지핀으로 조립할 수 있는 받침판의 구멍과 레일받침대 저면에는 레일상에 놓일 수 있도록 레일홈이 형성된 특징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고안을 차량에 부착된 브라켓트와 레일상에 설치된 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의 각부분의 발췌사시도로서, (a)는 철도차량 전, 후방에 부착된 브라켓트이며, (b)는 차단판의 사시도이고, (c)는 유압실린더 유니트이며,(c)는 레일받침대이고, 도4는 본 고안이 사용상태로서 (a)는 탈선복구기를 설치한 상태이고, (b)는 탈선복구기의 좌, 우측유압실린더 유니트가 상승하여 차량이 상승되어 차량이 수평으로 놓여진 상태이며, (c)는 탈선복구기의 좌측 유압실린더 유니트가 상승하고, 우측유압실린더 유니트가 하강하여 차량이 레일상에 차량바퀴가 놓인상태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탈선복구기(1)의 유압실린더 유니트(2) 내경에는 유압의 입, 출력에 의해 승, 하강되는 실린더로드(2a)가 설치되고, 실리더로드(2a)상단부에 일체로된 원형관(2b)은 차량(C)의 전, 후면펌퍼(F)(R)에 배치된 브라켓트(3)의 고정핀(3a)에 끼워지고, 상기 브라켓트(3)와 대칭되는 차단판(4) 양측의 구멍(4a)에는 상기 고정핀(3a)이 끼워지며, 이 고정핀(3a) 끝단의 구멍(3a′)에는 상기 원형관(2b)과 차단판(4)이 이탈하지 못하도록 이탈방지핀(5)이 끼워지고, 차단판(4) 천공된 다수개의 구멍(4b)에는 상기 브라켓트(3)의 너트(3b)와 체결되는 볼트(6)가 끼워지며, 유압실린더 유니트(2)하단부의 받침판(2c)의 구멍(2d)에는 레일받침대(7)에 천공된 다수개의 구멍(7a)을 선택하여 힌지핀(8)으로 결합되고, 이 힌지핀(8)끝단의 구멍(8′)에는 힌지핀(8)이 레일받침대(7)로 부터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핀(9)이 끼워지며, 레일받침대(7)저면에는 내, 외측레일(10)(11)에 놓일 수 있도록 레일홈(7b)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압실린더 유니트(2) 몸체 부착된 입, 출력 유압라인(12)과 유압동력기(P)에 입, 출력유압라인(13)사이에는 컨트롤밸브(14)를 갖는 유압레버(15)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도찰량이 곡선구간에서 탈선하게 되면 외경측은 높고 내경측은 낮은 위치로 되어있어, 외측레일(11)에 놓이게 되는 유압실린더 유니트(2)의 실린더로드(2a)는 내측레일(10)상에 놓이게되는 유압실린더 유니트(2)의 실린더로드(2a)보다는 상승 길이가 더 높이 슬라이딩 되는 것이다.
즉, 지면으로 부터 탈선된 차량(C)의 기울기와 내, 외측레일(10)(11) 부터의 거리에 따라 실린더로드(2a)의 승강 높이가 다르게 설정되며, 이때 양측의 실린더 로드(2a)의 승, 하강은 유압동력기(P)와 유압레바(15)로 조정하여 원하는 위치에 설정되는 것이다.
한편 내, 외측레일(10)(11)상에 놓이게된 레일받침대(7)의 레일홈(7b)에는 가설된 내, 외측레일(10)(11)이 끼워지고, 유압실린더 유니트(2)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받침판(2c)의 구멍(2d)은 레일받침대(7)에 다수개로 천공된 구멍(7a)을 선택하여 힌지핀(8)으로 결합되는 것으로서, 차량의 기울기에 따라 또는 레일과의 거리에 따라 원하는 구멍을 선택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차량이 심하게 기울어져 있다하더라도 충분히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탈선복구기(1)를 내, 외측레일(10)(11)과 차량(C)에 설치한 다음 4도(a)(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C)이 좌측으로 기울어져 있는 것을 우측으로 이동하기 위하여는, 먼저 유압레버(15)로 좌, 우측에 배치된 유압실린더 유니트(2)의 실린더로드(2a)를 상승시켜 차량(C)을 수평으로 유지시키되 차량바퀴(16)가 외측레일(11)보다는 소정의 높이까지 상승시킨 다음, 유압레버(15)로 좌측의 유압실린더 유니트(2)의 실린더로드(2a)를 더욱더 승강함과 동시에 우측의 유압실린더 유니트(2)의 실린더로드(2a)는 하강시키면 차량(C)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어서 차량바퀴(16)와 내, 외측레일(10)(11)이 일치되면 유압레바(15)로 승강된 실린더로드(2a)를 하강시켜 차량바퀴(16)를 내, 외측레일(10)(11)에 놓이게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직선구간은 물론 곡선구간에서도 탈선된 차량을 복구시킬 수 있으며, 특히 곡선구간에서 탈선된 차량을 복구할 때 다른 보조도구 필요없이 유압실린더 유니트와 레일받침대만으로도 차량을 복구시킬 수 있게하여 신속하게 처리가 가능하여 능률적인 작업이 이루워지고, 구조가 간단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 철도차량(C)의 전, 후면펌퍼면(F)(R)에 배치된 브라켓트(3) 양단부에는 탈선복구기(1)의 유압실린더 유니트(2)의 실린더로드(2a) 상단부에 형성된 원형관(2b)에 끼워지는 고정핀(3a)과;상기 브라켓트(3)와 대칭된 위치에는 상기 고정핀(3a) 끼워지고, 브라켓트(3) 너트(3b)에 볼트(6)가 체결되어 상기 원형관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차단판(4)과;유압실린더 유니트(2) 몸체에는 상기 실린더로드(2a)의 승, 하강이 될수 있도록 하는 입, 출력유압라인(11)과;이 입, 출력유압라인(11)과 유압동력기(P)와 연결된 입 ,출력유압라인(12) 사이에는 컨트롤밸브(13)를 포함한 유압레버(14)와;유압실린더 유니트(2) 하단부에는 레일받침대(7)의 다수개의 구멍(7a)중에 차량이 기울어지는 각도에 따라 원하는 구멍(7a)에 맞추어 힌지핀(8)으로 조립할 수 있는 받침판(2c)의 구멍(2d)과;레일받침대(7) 저면에는 레일(10)(11)상에 놓일 수 있도록 레일홈(7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탈선복구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고정핀(3a) 끝단의 구멍(3a′)에는 상기 원형관(2b)과 차단판(4)이 이탈하지못하도록 이탈방지핀(5)이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탈선복구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힌지핀(8)끝단의 구멍(8′)에는 힌지핀(8)이 레일받침대(7)로 부터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핀(9)이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탈선복구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00494U KR200229921Y1 (ko) | 2001-01-09 | 2001-01-09 | 철도차량 탈선복구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00494U KR200229921Y1 (ko) | 2001-01-09 | 2001-01-09 | 철도차량 탈선복구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29921Y1 true KR200229921Y1 (ko) | 2001-07-19 |
Family
ID=73094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00494U KR200229921Y1 (ko) | 2001-01-09 | 2001-01-09 | 철도차량 탈선복구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29921Y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28038B1 (ko) | 2011-10-07 | 2012-03-27 | (주)종합건축사 사무소 담 | 상하근 겸용 철근조립용스페이스 |
KR20160084948A (ko) * | 2015-01-06 | 2016-07-15 | 한국철도공사 | 탈선복구용 유압실린더 지지대 |
CN110562287A (zh) * | 2019-08-30 | 2019-12-13 | 北京建工土木工程有限公司 | 一种脱轨车辆快速顶升复位装置及其使用方法 |
CN111114581A (zh) * | 2020-01-19 | 2020-05-08 |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 一种适用于100%低地板有轨电车的脱轨起复设备及救援方法 |
-
2001
- 2001-01-09 KR KR2020010000494U patent/KR20022992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28038B1 (ko) | 2011-10-07 | 2012-03-27 | (주)종합건축사 사무소 담 | 상하근 겸용 철근조립용스페이스 |
KR20160084948A (ko) * | 2015-01-06 | 2016-07-15 | 한국철도공사 | 탈선복구용 유압실린더 지지대 |
KR101653575B1 (ko) | 2015-01-06 | 2016-09-05 | 한국철도공사 | 탈선복구용 유압실린더 지지대 |
CN110562287A (zh) * | 2019-08-30 | 2019-12-13 | 北京建工土木工程有限公司 | 一种脱轨车辆快速顶升复位装置及其使用方法 |
CN110562287B (zh) * | 2019-08-30 | 2024-02-06 | 北京建工土木工程有限公司 | 一种脱轨车辆快速顶升复位装置及其使用方法 |
CN111114581A (zh) * | 2020-01-19 | 2020-05-08 |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 一种适用于100%低地板有轨电车的脱轨起复设备及救援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8146403B (zh) | 一种跨座式单轨转向架组件检修及更换设备 | |
KR100809040B1 (ko) | 철도차량용 탈선복구장치 | |
US4583465A (en) | Railway wheel apparatus for a road vehicle | |
ES2257638T3 (es) | Dispositivo para la produccion de tubos corrugados. | |
US9260120B2 (en) |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engaging and disengaging railcar wheels and for controlling travel of railcar | |
JP2007055351A (ja) | 脱線復旧装置付き鉄道車両 | |
KR20080059978A (ko) | 철도차량용 공력 브레이크 | |
US7056077B2 (en) | Truck restraint | |
KR200229921Y1 (ko) | 철도차량 탈선복구기 | |
CN102079342A (zh) | 一种用于车辆装配的装配台车 | |
SE527117C2 (sv) | Järnvägsvagn | |
CN101074549B (zh) | 可动轨进路装置 | |
CN101746380B (zh) | 铁路罐车顶部护栏装置 | |
JP4270401B2 (ja) | 鉄道用保守車両 | |
JP3112991U (ja) | 鉄道車両脱線復旧機 | |
CA2284148C (en) | Double end derail | |
CN112172848A (zh) | 轨道车用可自动摆动曲线收放双向作业小车及作业方法 | |
KR200432256Y1 (ko) | 철도차량용 탈선복구장치 | |
KR102521559B1 (ko) | 철도차량 탈선 복귀 장치 | |
KR200456181Y1 (ko) | 고속철도차량 차축 베어링 고착시 이동용 조립식 보조트럭 | |
KR100495029B1 (ko) | 철도차량의 탈선복구장치 | |
KR200182256Y1 (ko) | 철도차량의 탈선복구장치 | |
KR101546716B1 (ko) | 철도차량 탈선 복구장비 및 그 방법 | |
JP2003064604A (ja) | 道床処理装置 | |
KR200166470Y1 (ko) | 탈선모터카자체구난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J206 |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70720 Effective date: 20071129 |
|
J2X1 |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
|
J302 |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71227 Effective date: 2008070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427 Year of fee payment: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