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6470Y1 - 탈선모터카자체구난장치 - Google Patents

탈선모터카자체구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6470Y1
KR200166470Y1 KR2019990014455U KR19990014455U KR200166470Y1 KR 200166470 Y1 KR200166470 Y1 KR 200166470Y1 KR 2019990014455 U KR2019990014455 U KR 2019990014455U KR 19990014455 U KR19990014455 U KR 19990014455U KR 200166470 Y1 KR200166470 Y1 KR 2001664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car
hydraulic cylinder
derailed
derailment
base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44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삼
Original Assignee
대동상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상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상공업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64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64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KAUXILIAR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K5/00Apparatus for placing vehicles on the track; Derailers; Lifting or lowering rail vehicle axles or wheels
    • B61K5/02Devices secured to the vehicles; Turntables integral with the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13/00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whee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B66F3/25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2Mechanical layout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converting the movement of the fluid-actuated element into movement of the finally-operated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20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 F15B15/202Externally-operated valves mounted in or on the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5Hydraulic j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탈선 모터카(궤도용 자주식 동력 보수작업용 차량) 구난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모터카의 탈선시 모터카를 복구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작업시간을 단축하며, 탈선모터카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유치선 및 기지로 복귀시킬 수 있는 탈선 모터카 구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모터카 탈선시 가장 안전부위인 모터카의 전/후 범퍼 내측 좌/우에 일정거리를 유지하고 각각 설치되는 두 개의 상/하강 유압실린더 로드부와,횡이동 베이스 빔내에 좌/우 횡이동을 작동시키는 양로드 유압실린더와 연결된 롤러부가 각각 회전과 유동 가능 하도록 일측으로 연결설치되고 유압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조작밸브를 모터카의 전/후 범퍼 외측에 설치한 탈선 모터카의 자체 구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탈선 모터카 자체 구난장치{Self wrecking apparatus of derailed motor car}
본 고안은 탈선 모터카 자체 구난장치에 관한 것으로, 주행작업중 탈선시 가장 안전부위인 모터카의 전/후부 범퍼부 내측에 설치되어 모터카의 탈선시 단시간에 복구 및 복귀하도록 구난하는 것으로 모터카의 자체 구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카는 철도설비의 보수 및 복구에 이용되는 자주식 동력 보수 작업용 차량으로 작업형태에 따라 작업인원 및 기자재를 적재한 트레일러,트롤리 등을 견인 운반하여 시설물의 유지,관리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킨다.
종래에는 상기 모터카의 주행중, 운전자의 신호 확인 부주의로 철로 분기부에서 탈선,선로 상태의 부적합 및 모터카 구동 차륜의 이상등으로 인하여 선로에서 모터카가 탈선 되었을 경우 모터카의 탈선된 부위(모터카 전단부 또는 후단부)에 수동 횡이동 유압잭을 이용하여 차량의 탈선부위를 상승시키며 횡이동 베이스 상부에 위치하는 일측 또는 양측 유압잭을 수동조작에 의해 선로 위로 횡이동시킨 다음, 유압잭을 수동으로 작동하여 차량을 선로에 안착시키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 횡이동 유압잭은 고중량의 별도의 장비이므로, 운반이 어렵고, 철도차량의 탈선을 대비하여 항시 모터카에 적재하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유압잭의 작동을 위하여 모터카에 유압잭을 지지할 수 있는 예상브래킷을 사전에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고유형에 따라 횡이동 유압잭이 지지할 공간이 없는 경우가 발생되기도 하며, 그로 인해 별도의 모터카 즉, 또다른 철도차량 구난차가 사고지점까지 이동되어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많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모터카가 지하철 구간내 또는 터널 통과중 탈선 사고가 발생될 경우, 제한된 시간내에 탈선차량을 복구해야 하나, 지하 또는 터널내부라는 제한된 좁은 공간으로 인하여 시간내 작업이 어렵고, 그로인해 지하철 및 철도의 운행이 중단되는 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횡이동 베이스에 설치되어 있는 유압잭은 기계식 리드스크류에 의해 수동으로 이동되므로, 탈선 철도차량의 횡이동시, 철도차량의 이동이 불안정하며, 또다른 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모터카의 탈선시 모터카를 복구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작업시간을 단축하며 별도의 인원동원과 구난장비의 동원이 불필요하며, 탈선모터카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기지로 복귀시킬 수 있는 탈선 모터카의 자체 구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모터카의 전/후 범퍼 내측 좌/우에 일정거리를 유지하고 각각 설치되는 두 개의 상/하강 유압실린더 로드부와, 횡이동 베이스빔내에 좌/우 횡이동을 작동시키는 양로드 유압 실린더와 연결된 롤러부가 각각 회전과 유동 가능하도록 일측으로 연결설치되고 유압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조작밸브를 모터카의 전/후범퍼 외측에 설치한 탈선 모터카의 자체 구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횡이동 유압실린더를 보인 예시도
도 3 은 본 고안이 장착된 모습을 보인 예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또다른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5 는 본 고안의 보조휠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을 보인 예시도
(1) : 상/하 유압실린더 (2) : 횡이동 베이스빔
(3) : 양로드 유압실린더 (4) : 횡이동 로울러부
(5) : 유압 조작밸브 (6) : 모터카
(7) : 선로 (8) : 보조 휠
(11) : 고정브래킷 (21) : 가이드 홈
(31) : 실린더 몸통 (32) : 실린더 고정힌지
(33) : 유압 조작밸브 연결부 (34) : 피스톤 로드
(35) : 패킹 (36) : 피스톤부
(37) : 횡이동 로울러부 연결부 (41) : 제 1 브래킷
(42) : 제 2 브래킷 (43) : 제 3 브래킷
(44,45): 링크 핀 (46) : 로울러
(51) : 상/하강 조작레버 (52) : 좌/우 횡이동 조작레버
(61) : 모터카 범퍼 (62) : 모터카 휠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은 모터카(6)에 부착되는 상/하강 유압실린더(1)와, 상기 상/하강 유압실린더(1)에 연결되는 횡이동 베이스빔(2)과, 상기 횡이동 베이스빔(2)내에 설치되는 양로드 유압실린더(3)와, 상기 양로드 유압실린더(3)와 상/하강 유압실린더(1)를 연결하는 횡이동 로울러부(4)와, 상기 양로드 유압실린더(3) 및 상/하강 유압실린더(1)를 작동시키는 유압 조작밸브(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하강 유압실린더(1)는 모터카(6)의 전/후부에 위치하는 범퍼(61) 후부면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두 개의 상/하강 유압실린더(1)가 고정브래킷(11)에 의해 서로 일정거리를 유지하며 고정·설치되고, 유압 조작밸브(5)에 의해 상/하 작동된다.
상기 횡이동 베이스빔(2)은 상/하강 유압실린더(1)에 의해 상/하 작동되는 것으로, 상부 양측에 상/하 유압실린더(1)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21)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가 선로(7)에 접촉된다.
상기 양로드 유압실린더(3)는 횡이동 베이스빔(2)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몸통(31) 중앙에 서로 대칭되도록 설치되어 횡이동 베이스빔(2)내에 실린더 몸통(31)을 고정하는 실린더 고정힌지(32)와, 상기 실린더 고정힌지(32)와 일정간격을 유지하고 실린더 몸통(31)에 서로 대칭되도록 설치되는 유압 조작밸브 연결부(33)와, 상기 실린더 몸통(31)내를 이동하는 실린더로드(34)과, 상기 실린더로드(34) 중간부에 피스톤(36)과 상기 실린더로드(34) 양측단에 형성되어 있는 횡이동 로울러 연결부(37)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양로드 유압실린더(3)는 실린더 몸통(31)에 설치된 유압 조절밸브 연결부(33)를 통해 피스톤부(36)을 기준으로 실린더 몸통(31) 일측에 유압이 발생되면, 상기 발생된 유압에 의해 실린더로드(34)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피스톤부(36)가 일측방향으로 밀리게 되고, 상기 피스톤부(36)의 이동에 의해 실린더로드(34)가이동되게 된다.
상기 횡이동 로울러부(4)는 상/하 유압실린더(1)와 양로드 유압실린더(3)를 연결하는 것으로, 상/하 유압실린더(1)와 연결되는 제 1 브래킷(41)과, 양로드 유압실린더(3)에 체결되는 제 3 브래킷(43)과, 상기 제 1, 3 브래킷(41,43)을 연결하는 제 2 브래킷(42)과, 상기 제 1 브래킷(41)과 제 2 브래킷(42) 및 제 2 브래킷(42)과 제 3 브래킷(43)을 연결하는 링크 핀(44,45)과, 상기 제 2 브래킷(42)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두 개의 로울러(46)로 구성되어 있다.
도 3 은 본 고안이 장착된 모습을 보인 예시도를, 도 4 는 본 고안의 또다른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모터카(6)의 이동중 탈선사고가 발생되었을 경우, 모터카 전/후 범퍼(61) 외측에 설치된 유압 조작밸브(5)의 상/하강 조작레버(51)를 이용하여 범퍼(61) 외측 좌/우에 부착된 상/하 유압실린더(1)를 작동하면, 상/하 유압실린더(1)의 작동에 의해 횡이동 베이스빔(2)이 일측 선로 또는 양측 선로 상부에 접촉된다.
이때 상기 모터카(6)의 탈선이 심할 경우, 즉, 상/하 유압실린더(1)에 의해 하강되는 횡이동 베이스빔(2)이 일측 선로에만 접촉될 경우에는 일측선로에 접촉되지 않는 횡이동 베이스빔(2) 하부에 선로와 동일한 높이를 구비하는 버팀목(도시없음)을 설치하여 횡이동 베이스빔(2)이 하강할 시, 선로 일측 및 버팀목에 동시 접촉되게 하므로써, 모터카(6)의 균형을 유지한다.
또한, 상/하 유압실린더(1)와 횡이동 로울러부(4)가 링크 핀(44)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므로, 버팀목이 없을 경우, 좌/우측에 설치된 상/하 유압실린더(1)에 서로 다른 유압이 형성되도록 작동시키면, 상/하 유압실린더(1)에 의해 횡이동 베이스빔(2)이 하강하여 일측부는 지면에, 또다른 일측부는 일측선로에 접촉되어 일정경사를 구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횡이동 베이스빔(2)이 일정경사를 구비하고 지면 및 일측선로에 접촉되더라도 링크핀(44)에 의해 좌/우측의 상/하 유압실린더(1)는 지면과 수직을 이루게 되므로, 모터카(6)는 지면과 수평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횡이동 베이스빔(2)이 양측 선로, 일측선로와 버팀목 또는 일측선로와 지면에 의해 지지되면, 탈선 모터카는 하강하는 상/하 유압실린더(1)에 의해 위로 상승하게 되고, 모터카가 일정 높이로 상승되면 유압 조작밸브(5)의 상승하강 조작레버(51)를 이용하여 상/하 유압실린더(1)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상기 상/하 유압실린더(1)의 작동에 의해 모터카(6)가 일정높이를 구비하고 정지되면, 유압 조작밸브(5)의 좌우 횡이동 조작레버(52)를 이용하여 횡이동 베이스빔(2)내에 설치된 유압실린더(3)를 작동시킨다.
상기 유압실린더(3)의 작동에 의해 피스톤부(36)가 일측으로 수평 이동되게 되고, 상기 피스톤부(36)에 의해 실린더로드(34)가 이동된다.
이와 같이 실린더로드(34)가 수평이동되면, 양로드 유압실린더(3)의 양측에 연결·설치된 횡이동 로울러부(4)가 횡이동 베이스빔(2)내에서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하 유압실린더(1)를 수평이동시켜 모터카(6)를 선로 위로 이동시킨다.
즉, 상기 상/하 유압실린더(1)는 모터카(6)의 전/후 범퍼(61) 내측에 설치되고, 횡이동 로울러부(4)는 상/하 유압실린더(1)에 연결되므로, 양로드 유압실린더(3)의 작동에 의해 횡이동 로울러부(4)가 수평이동되면, 모터카(6)에 설치된 상/하 유압실린더(1) 역시 수평이동되어 모터카를 수평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횡이동 로울러부(4)의 제 2 브래킷(42)은 횡이동 베이스빔(2)의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 홈(21)을 따라 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양로드 유압실린더(3)에 의해 모터카(6)가 선로위로 수평이동되면, 다시 유압 조작밸브(5)의 상승하강 조작레버(52)를 작동하여 모터카(6)를 하강시켜 선로(7)위에 안착시킴과 동시에 횡이동 베이스빔(2)을 원위치시킨다.
도 5 는 본 고안의 보조휠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탈선된 모터카의 선로 복귀중, 탈선으로 인한 충격에 의하여 모터카의 휠(62)에 이상을 발생되어 기지로 회송할 수 없을 경우, 상/하 유압실린더(1)와 양로드 유압실린더(3)를 이용하여 탈선된 모터카(6)를 선로 위로 이동시키고, 상기 양로드 유압실린더(3)에 의해 선로 위로 이송된 모터카(6)의 전/후 범퍼(61) 하부 즉, 지면과 전/후 범퍼(61) 하부에 버팀목을 설치한 후 상/하 유압실린더(1)를 작동하여 버팀목 위로 모터카를 안착시킨다
상기 모터카(6)가 버팀목 위로 안착되면, 횡이동 베이스빔(2)을 최초의 상태로 원위치시킨 후 횡이동 베이스빔(2) 하부에 보조 휠(8)을 설치하고, 다시 상/하 유압실린더(1)를 작동하여 횡이동 베이스빔(2) 하부에 설치된 보조 휠(8)과 선로(7)를 접촉시킨다.
이때 상기 상/하 유압실린더(1)는 모터카 전/후 범퍼(61) 하부에 설치된 버팀목이 해체가 가능하도록 하부방향으로 작동한 다음, 버팀목이 해체되면, 다시 원위치하여 보조 휠(8)과 선로(7)가 접촉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보조 휠(8)과 선로(7)가 접촉되면, 모터카(6)의 휠(62)이 구동불능되었을 경우에도 또다른 모터카에 의해 기지로 회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모터카의 전/후단부에 가장 안전부위인 모터카의 전/후단부에 위치한 범퍼 내측에 구난장치를 설치하여 모터카의 탈선시, 모터카를 선로위로 용이하게 안착할 수 있으며, 작업시간 단축으로 인해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탈선 모터카의 선로 안착을 유압에 의해 수동 또는 자동으로 행하므로, 고중량의 모터카를 안정감 있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구난장치가 범퍼 내측에 일체형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별도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으며, 공간활용이 용이하고, 탑재 및 설치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별도의 구난차량이 출동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하였다.
또한, 탈선의 영향으로 모터카 구동 장치부에 이상이 발생되었을 경우, 횡이동 베이스빔 하부에 보조휠을 부착하여 기지로 안전하고 신속하게 자체적으로 또는 피견인되어 회송할 수 있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장치를 이용하여 모터카 하부점검시 차체를 레일위에 부상시켜 구동륜의 구름상태 점검과 기타 동력 전달장치 및 하체 점검,정비의 편리성을 도모할수 있게 하였다.

Claims (2)

  1. 모터카의 전/후 범퍼 내측 좌/우에 일정거리를 유지하고 각각 설치되는 두 개의 상/하강 유압실린더와,
    상기 두 개의 상/하강 유압실린더에 회전·가능하도록 일측이 연결·설치되는 두 개의 횡이동 로울러부와,
    상기 두 개의 횡이동 로울러부의 또다른 일측과 유동가능하도록 양단부가 각각 연결·설치되어 횡이동 로울러부를 작동시키는 횡이동 유압실린더와,
    상기 횡이동 로울러부 및 양로드 유압실린더가 내부에 설치되고, 상/하 유압실린더에 의해 상/하 작동되는 횡이동 베이스빔과,
    상기 모터카 범퍼 외측에 설치되어 상/하강 유압실린더 및 양로드 유압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유압 조작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선 모터카 자체 구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횡이동 베이스빔 하부에 모터카 견인용 보조휠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선 모터카 자체 구난장치.
KR2019990014455U 1999-03-30 1999-07-21 탈선모터카자체구난장치 KR20016647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097 1999-03-30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5097 Division 1999-03-30 1999-03-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6470Y1 true KR200166470Y1 (ko) 2000-02-15

Family

ID=19574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4455U KR200166470Y1 (ko) 1999-03-30 1999-07-21 탈선모터카자체구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647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8687B1 (ko) 선로주행유닛이 구비된 무한궤도 굴삭기
KR100809040B1 (ko) 철도차량용 탈선복구장치
US4583465A (en) Railway wheel apparatus for a road vehicle
US7056077B2 (en) Truck restraint
JP4916146B2 (ja) 脱線復旧装置付き鉄道車両
US4103622A (en) Ballast tamping machine
EP3254922B1 (en) Intermodal rail vehicle to form a train
US3762337A (en) Railed vehicle-carrier system
KR20160063007A (ko) 비상 견인장치가 설치된 철도 보수용 굴삭기
US3885643A (en) Elevatable cab for vehicles
CN101160232B (zh) 借助可移动的装置更换有轨车辆上的轮对的方法和设备
JP4270401B2 (ja) 鉄道用保守車両
US3415342A (en) Vehicle lifting apparatus
KR101771839B1 (ko) 철도 레일 상에서 주행하는 차량의 스피닝시스템
KR200166470Y1 (ko) 탈선모터카자체구난장치
CN205661356U (zh) 一种平板型清障车
KR20000061719A (ko) 탈선 모터카 자체 구난장치
US6598538B2 (en) Rail wheel stop mechanism for road/rail vehicle
CN203126626U (zh) 汽车野外救援及维护平台
US5743190A (en) Rerailer apparatus
KR200182256Y1 (ko) 철도차량의 탈선복구장치
US3028819A (en) Railway car repair system and apparatus
KR100495029B1 (ko) 철도차량의 탈선복구장치
FI112627B (fi) Menetelmä tie- ja kiskoajoon tarkoitetun ajoneuvon muuntamiseksi tiekäytöstä kiskokäyttöön
CN112110375A (zh) 转向架卸装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0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