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9833Y1 - 자동차용 시트 보호커버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 보호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9833Y1
KR200229833Y1 KR2020010003950U KR20010003950U KR200229833Y1 KR 200229833 Y1 KR200229833 Y1 KR 200229833Y1 KR 2020010003950 U KR2020010003950 U KR 2020010003950U KR 20010003950 U KR20010003950 U KR 20010003950U KR 200229833 Y1 KR200229833 Y1 KR 2002298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cover
fixing
elastic member
fixing member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39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화자
Original Assignee
김화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화자 filed Critical 김화자
Priority to KR20200100039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98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98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9833Y1/ko

Links

Landscapes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자동차 시트에 장착되는 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트벨트의 버클 홀더를 감싸면서 결합되는 보호 커버의 버클 홀더의 주연을 감싸면서 이물질 유입방지와 시트외벽이 보이지 않도록 보호커버에 부착되는 탄성부재를 보호커버와 탄성부재의 틈새가 벌어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버클 홀더의 작동에 따른 탄성부재의 이탈을 방지하여 그 외관이 미려해지고 먼지 등으로 인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보호 커버에 관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에는 탄성부재의 부착은 가열에 의한 고정방법 또는 고정부재를 별도의 핀을 이용한 고정방법으로 탄성부재를 보호커버에 고정하고 있으나 융착에 의한 방식을 작업성의 곤란함과 외관을 해치게 되는 단점이 있고,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고정부재를 덧대어 별도의 핀으로 고정하는 방식은 핀과 고정부재의 유격으로 작업공정의 추가와 탄성부재와 보호커버의 결합부위의 틈새가 벌어지는 폐단이 있었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보호커버에 형성된 설치홀(40)에 억지 끼워 맞춤식으로 결합되는 고정핀(4)을 일체로 성형한 고정부재(2)를 판 상으로 형성하여 고정부재(2)의 저면이 탄성부재(20)의 상면에 전체적으로 가압 밀착되면서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자동차용 시트 보호커버.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 보호커버{Seat protective cover for venicces}
본 고안은 자동차 앞 시트에 장착되는 시트벨트의 버클 홀더 보호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버클 홀더의 주연을 감싸면서 이물질 유입방지와 시트외벽이 보이지 않도록 보호커버에 부착되는 탄성부재를 보호커버와 탄성부재의 틈새가 벌어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버클 홀더의 작동에 따른 탄성부재의 이탈을 방지하여 그 외관이 미려해지고 먼지 등으로 인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보호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탑승자의 안전을 위한 여러 가지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바, 안전 수단중 가장 일반적인 수단이 시트벨트가 대표적이다. 통상적인 시트벨트는 그 한쪽 선단이 자동차의 센터 필러 하단에 설치된 장력조절기에 연결되고 다른 쪽 선단이 시트의 한쪽 모서리에 고정 연결되면서 벨트의 중간에는 시트의 반대쪽 모서리에 고정 설치된 버클홀더에 체결되도록 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시트의 외면 즉, 버클 홀더의 외측으로는 플라스틱 재질로 된 보호커버가 장착되며 통상 보호커버는 제 10도 내지 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클 홀더의 주연을 감싸면서 버클 홀더의 작동이 원활하게 유도하고 이물질 유입방지와 시트외벽이 보이지 않도록 탄성부재(100)를 고정하여 된다.
상기한 탄성부재(100)는 보호커버에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102)에 끼워져 돌기(102)의 열 융착에 의한 방법으로 고정되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탄성부재(100)와 보호커버의 틈새가 쉽게 벌어지게 되어 이물질의 유입과 외관이 떨어지는 폐단은 물론 융착된 돌기(102)가 버클 홀더의 작동에 따라 부러지는 폐단이 있어 탄성부재(100)가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제 12도 및 1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보호커버의 외벽에 다수개의 설치홀(106)을 형성한 돌기체(112)를 돌설하고 이에 탄성부재(100)를 끼운 후 고정판(108)을 덧대 핀(110)으로 고정한 보호커버가 제안되고 있다.
상기한 커버는 고정판(108)을 덧댄 후 핀(110) 유착하여 탄성부재(100)를 고정하므로 작업이 간편한 장점은 있으나, 탄성부재(100)를 커버에 밀착 고정하는 고정판(108)이 탄성부재(100)의 전면을 밀착 고정하는 것이 아닌 탄성부재(100)의 어느 일면만 고정하는 것으로 사용시 고정판(108)이 밀착되지 않는 틈새가 쉽게 벌어지게 되는 단점과, 다수개의 핀(110)을 설치홀(106)에 각각 고정하여 구성되므로 버클홀더의 작동에 따라 각각의 핀(110)의 이탈이 쉽게되어 결국 탄성부재(100)와 보호커버가 분리되는 폐단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커버용 고정방식은 고정핀과 고정판 두벌의 금형에 의해 부품을 성형해야 함으로서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비경제적인 문제점과, 고정판과 다수개의 고정핀을 이용하여 결합하는 조립 공정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보호 커버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버클 홀더의 주연을 감싸면서 이물질 유입방지와 시트외벽이 보이지 않도록 보호커버에 부착되는 탄성부재를 고정핀이 일체로 되면서 양단에 고정날개를 일체로 한 판상의 고정부재로 고정시켜 보호커버와 탄성부재의 틈새가 벌어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버클 홀더의 작동에 따른 탄성부재의 이탈을 방지하여 그 외관이 미려해지고 먼지 등으로 인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보호 커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핀과 고정판의 일체화를 통해 제조공정 및 조립공정을 간소화하여 윈가를 줄일 수 있는 고정부재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커버 고정부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고정부재의 제 2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고정부재의 제 3실시예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고정부재의 제 4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고정핀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고정핀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8은 고정부재에 인서트 방식으로 고정핀이 형성된 상태의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의 사시도.
도 10은 종래의 가열 방법으로 탄성부재를 고정하는 상태의 커버의 사시도.
도 11은 가열 방법으로 탄성부재가 고정된 상태의 커버의 사시도.
도 12는 종래의 핀 결합방식의 커버의 분해사시도.
도 13은 핀 결합방식의 커버의 사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2: 고정부재 4,4a,4b: 고정핀
6: 돌출환테 8: 날개
12: 탄지홈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는다.
제 1도는 본 고안의 고정부재의 사시도로서 본 고안이 적용되는 고정부재(2)는 배면에 고정핀(4)이 일체로 되어 보호커버(30)의 설치홀(40)에 직접 꽂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통상에서와 같이 보호커버(30)에 결합되는 탄성부재(20)의 상면에 가압 밀착되어 탄성부재(20)와 보호커버(30)를 긴밀히 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고정부재(2)의 결합시 탄성부재(20)의 상면에 전체적으로 밀착되면서 견고하게 고정되어 탄성부재(20)의 상면을 견고히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고정부재(2)의 상면과 저면은 평면 상태로 구성되어 저면에 설치홀(40)에 삽입 결합되는 고정핀(4)을 돌출 성형하여 상기 고정부재(2)의 저면이 면 접촉 되면서 탄성부재(20)를 고정하여 탄성부재(20)와 보호커버(30)가 보다 긴밀히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고정핀(4)은 설치홀(40)의 내경 보다 그 외경이 다소 크게 하여 억지 끼워 맞춤에 의한 방법으로 결합시켜 결합 후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제 3도는 본 고안의 고정부재의 제 2실시예의 사시도로서 고정부재(2a)의 상면은 평면상태로 구성되고, 저면은 주연부에 돌설된 돌출환테(6)에 의한 요(凹)자 형상으로 구성하여 이 중앙에 설치홀(40)에 끼워지는 다수개의 고정핀(4)을 일체로 형성하여 고정핀(4)이 설치홀(40)에 끼워지면 고정부재(2)의 중앙이 설치홀(40)로 몰입되면서 외주면 즉, 돌출환테(6)가 탄력을 보유한 상태로 유지되면서 탄성부재(20)를 가압하여 보다 견고히 가압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탄성부재(20)의 측면을 가압하므로 탄성부재(20)와 보호커버(30)가 보다 긴밀히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제 4도 내지 5도는 고정부재의 제 3, 제 4실시예로서 고정부재(2)의 양단에 날개(8)를 연장하여 고정부재(2)가 결합되지 못하는 측면의 탄성부재(10)를 날개(8)의 탄력에 의하여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탄성부재(20)가 커버(30)에 완전밀착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제 6도는 고정부재(2)에 형성되는 고정핀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홀(40)에 끼워지게 되는 고정핀(4a)의 선단부가 탄력을 보유토록탄지홈(12)을 형성하여 결합이 손쉽고 결합 후 탄지홈(12)의 탄력에 의하여 손쉽게 빠지지 않도록 한다.
제 7도 내지 8도는 고정부재에 형성되는 고정핀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인서트 방식에 의하여 금속재질의 고정핀(4b)을 고정부재(2)와 일체로 성형하여 설치홀(40)에 끼워지는 고정핀(4b)의 강도를 증강시켜 설치홀(40)에서 손쉽게 빠지지 않도록 구성한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과정과 그에 따르는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자동차에 설치되는 버클홀더의 주면을 감싸면서 시트에 장착되는 보호커버(30)의 내측으로 상기 버클홀더를 감싸도록 탄성부재(20)를 보호커버(30)에 돌설된 설치홀(40)의 외측으로 끼워준 후 상기 탄성부재(20)의 상면으로 고정부재(2)를 가압 고정하면 된다.
이때 고정부재(2)의 저면에는 설치홀(40)에 억지 끼워 맞춤에 의하여 결합 가능한 고정핀(4)이 일체로 되어 이를 설치홀(40)에 끼워주면 고정부재(2)가 판상으로 형성되어 어느 하나의 고정핀(4)이 임의로 빠지는 폐단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고정부재(2)가 탄성부재(20)를 전체적으로 가압 밀착하므로 탄성부재(20)과 보호커버의 결합부위의 틈새가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고정부재(2)의 양측으로 날개(8)가 연장되어 고정부재(2)가 가압 밀착되지 않는 지점을 날개(8)가 가압하므로 탄성부재(20)를 전체적으로 가압할 수 있어 보호커버와 탄성부재와의 틈새가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즉, 고정핀에 탄지홈이 형성된 고정부재와 인서트 방식에 의하여 고정핀이 일체로 된 고정부재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가 고정된 보호커버를 자동차의 시트에 결합하면 되는 것이고 결합 후 버클홀더의 작동시 버클홀더의 주면을 탄성부재(20)가 감싸면서 형성되어 있어 버클홀더의 작동이 용이하게 되는 장점과 탄성부재(20)의 원상 회복되려는 성질에 의하여 틈새가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판 상의 고정부재에 고정핀을 일체로 성형하여 제조공정 및 조립공정을 간소화함으로서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는 이점과 제조공정이 간소화되고, 보호커버에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가압 밀착하는 고정부재가 탄성부재를 전체적으로 가압 밀착 하므로서 보호커버와 탄성부재의 틈새가 발생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자동차에 설치된 버클홀더를 감싸면서 이물질 방지와 시트 내벽이 보이지 않도록 탄성부재를 설치한 공지의 보호커버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에 형성된 설치홀에 억지 끼워 맞춤식으로 결합되는 고정핀을 일체로 성형한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를 판 상으로 형성하여 고정부재의 저면이 탄성부재의 상면에 전체적으로 가압 밀착되면서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보호커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상면은 평면상태로 저면 주연부는 돌출환테를 형성하여 고정부재가 요(凹)자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보호커버.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양단에 날개(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보호커버.
  4.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의 선단이 탄력을 보유토록 탄지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보호커버.
  5.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금속재질의 고정핀을 인서트 방식으로 고정부재와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보호커버.
KR2020010003950U 2001-02-16 2001-02-16 자동차용 시트 보호커버 KR2002298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3950U KR200229833Y1 (ko) 2001-02-16 2001-02-16 자동차용 시트 보호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3950U KR200229833Y1 (ko) 2001-02-16 2001-02-16 자동차용 시트 보호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9833Y1 true KR200229833Y1 (ko) 2001-07-19

Family

ID=73063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3950U KR200229833Y1 (ko) 2001-02-16 2001-02-16 자동차용 시트 보호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983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33907B1 (en) Visor for an automobile
JP5118632B2 (ja) 成形されたバンド上に装飾輪郭部分を固定する装置
US7886371B2 (en) Swimming goggles
JP2000095044A (ja) 支持体、特に自動車のボディ部品と、プレ―トエレメントとの間の連結ユニット
US7192057B2 (en) Deflection fitting for a safety belt
KR200229833Y1 (ko) 자동차용 시트 보호커버
US10137846B2 (en) Connector used for connecting vehicle parts and a vehicle employing the same
JPH0445960Y2 (ko)
US7530146B2 (en) Assist grip
KR100885152B1 (ko) 의자의 메쉬형 쿠션 어셈블리 및 이의 조립 방법
JP4559792B2 (ja) スピーカ装置
KR100458555B1 (ko) 시트 프레임 조립구조
KR100258315B1 (ko) 이동 전화 단말기 케이스의 벨트 클립 제조 방법(Product Method for Belt Clip of Phone Case)
JP3213804B2 (ja) オーバフェンダ部材へのモールディング装着構造
KR102397174B1 (ko) 커튼후크가 인서트된 글라스런 구조
JPH0889443A (ja) 便座のゴム足取付構造
KR200255694Y1 (ko) 시트 프레임 조립구조
JPH0853025A (ja) バニティミラー
KR200154351Y1 (ko) 차일드 벨트 설치 가능한 셜프 트림
KR200198401Y1 (ko) 자동차 내장재용 취부구조체
JPH057410Y2 (ko)
KR100535574B1 (ko) 차량용 로고 고정구조
KR200273125Y1 (ko) 리벳
KR100828837B1 (ko) 자동차의 글라스홀더
KR100528518B1 (ko) 자동차용 도어내부 손잡이의 하우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2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