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5694Y1 - 시트 프레임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시트 프레임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5694Y1
KR200255694Y1 KR2020010026279U KR20010026279U KR200255694Y1 KR 200255694 Y1 KR200255694 Y1 KR 200255694Y1 KR 2020010026279 U KR2020010026279 U KR 2020010026279U KR 20010026279 U KR20010026279 U KR 20010026279U KR 200255694 Y1 KR200255694 Y1 KR 2002556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eat
inner plate
back plate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62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환
Original Assignee
이종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환 filed Critical 이종환
Priority to KR20200100262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56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56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5694Y1/ko

Link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에 쿠션이 들어가고 외부에 플라스틱 사출물이 프레임을 이루는 시트로서 각종 의자에 적용될 수 있는 시트 프레임 조립구조이다. 쿠션부재(15)를 보강 지지하는 속판(8)은 후면의 가장자리에 결합돌부(10)를 돌출하고 그 외측면에 턱(11)을 형성하며 그 근처에 구멍(9)을 형성하고, 속판(8)의 후면에서 쿠션부재(15)를 감싸는 시트커버(13)의 단부가 들어간 상태로 속판(8)과 체결되는 뒷판(1)은 결합돌부(10)에 안착되면서 턱(11) 안쪽에 걸릴 수 있는 결합요부(2)를 전방의 가장자리에 형성하며 그 근처에 구멍(9)에 스냅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클립(4)을 장착한 것이다. 속판과 뒷판의 가장자리가 유동하지 않고 정확히 결합됨으로 시트커버의 손상 방지와 품질 향상을 기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트 프레임 조립구조{SEAT FRAMES ASSEMBLING STRUCTURE}
본 고안은 내부에 쿠션이 들어가고 외부에 플라스틱 사출물이 프레임을 이루는 시트로서 각종 의자에 적용될 수 있는 시트 프레임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내부에 쿠션이 들어가고 이 쿠션을 지지하는 플라스틱 사출물이 프레임을 이루는 종래의 전형적인 시트 조립구조를 보면 도 5에 예시하는 바와 같다. 이 시트는 플라스틱 사출물인 속판(51)에 쿠션부재(52)를 올려놓고 천으로 이루어진 시트커버(53)를 씌운 후, 플라스틱 사출물인 뒷판(54)을 시트커버(53)의 단부가 속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여 속판(51) 뒤에서 결합시킨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시트 프레임 조립구조 하에서는 시트커버가 손상되고 뒷판이 유동하는 등의 문제가 있게 된다. 즉 시트커버의 가장자리를 속판과 뒷판의 사이로 넣은 상태에서 속판에 뒷판을 단순히 덮어씌워 체결하는 것이기 때문에 속판과 뒷판의 단부가 만나는 도 5의 C부분에서 시트커버가 씹히게 되고, 그것이 계속되면 시트커버가 상하게 되는 것이다. 이것은 속판과 뒷판을 단순히 덮어씌움으로써 쿠션부재 쪽에서 착석자의 하중이 가해질 때 속판과 뒷판의 휨이 특히 단부 쪽에서 많이 나타나게 되는 원인이 된다. 이때 뒷판의 단부가 쿠션부재 쪽으로 왔다가 복귀하는 일을 자주 반복하게 됨으로써 외관상으로도 보기 흉하고 내구성도 떨어져 품질 저하의 원인이 되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쿠션부재를 지지하는 속판과 이 속판 뒤에서 시트커버를 잡아주는 뒷판의 가장자리를 스냅식으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유동하지 않고 정확히 결합되도록 조립할 수 있는 시트 프레임의 조립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시트 프레임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시트 프레임 결합단면도.
도 5는 종래의 시트 프레임 결합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뒷판 2:결합요부
4:클립 5:스크류
6:헤드 8:속판
9:구멍 10:결합돌부
11:턱 12:커버눌림돌기
13:시트커버 14:리브
15:쿠션부재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쿠션부재를 보강 지지하는 속판과, 이 속판의 후면에서 상기 쿠션부재를 감싸는 시트커버의 단부가 들어간 상태로 상기 속판과 체결되는 뒷판을 구비하는 시트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속판은 후면의 가장자리에 결합돌부를 돌출하고 그 외측면에 턱을 형성하며 가장자리 근처의 적정 위치에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뒷판은 상기 속판의 결합돌부에 안착되면서 턱 안쪽에 걸릴 수 있는 결합요부를 전방의 가장자리에 형성하며 가장자리 근처의 적정 위치에 상기 속판의 구멍에 스냅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클립을 장착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쿠션부재를 감싼 시트커버의 단부를 속판 뒤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속판 뒷면에 뒷판을 대고 누르면 뒷판의 클립이 속판의 구멍에 스냅 결합되는 동시에 뒷판의 결합요부가 속판의 결합돌부와 턱에 밀착되면서 끼워져 착석자의 하중이 가해져도 속판의 유동은 없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시트 프레임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결합된 상태의 단면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또,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3은도 1의 B-B선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회전의자의 등받이 프레임을 예시한 것이다.
뒷판(1)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위가 넓고 아래가 좁은 모양을 하고 있으며, 전방(도 1의 왼쪽, 도 2의 윗쪽)의 가장자리에는 돌아가면서 U자형 단면의 결합요부(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결합요부(2)에서 가까운 쪽에는 스크류 체결보스(3)가 형성되어 있는데 전체적으로는 약 7개가 군데군데 형성되어 있다. 스크류 체결보스(3)에는 클립(4)이 끼워진 후 스크류(5)에 의하여 체결된다. 클립(4)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간에 스크류(5)가 끼워질 수 있는 헤드(6)와 그 밑의 몸통을 이루는 보스(7)로 이루어져 있다. 헤드(6)는 열십자로 분할되어 있어서 속판(8)의 구멍(9)에 끼워질 때 오므라졌다가 다시 펴지는 탄성력을 발휘하여 구멍(9)으로 클립(4)이 다시 빠지지 않게 한다.
속판(8)은 도 1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위가 넓고 아래가 좁은 모양을 하고 있으며, 후방의 가장자리에는 돌아가면서 U자형 단면의 결합돌부(10)가 형성되어 있고 그 바깥쪽 측면에는 뒷판의 두께 만큼 들어가는 턱(11)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돌부(10)는 뒷판(1)의 결합요부(2)에 정확히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시킨 것으로, 이 결합돌부(10) 중에서 바깥쪽에는 후방으로 작은 커버눌림돌기(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커버눌림돌기(12)는 시트커버(13)가 결합요부(2)와 결합돌부(10) 사이에 끼워졌을 때 시트커버(13) 단부의 압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돌출시킨 것이다. 그리고 결합돌부(10)에서 가까운 쪽에는 상기한 뒷판(1)의 클립(4)이 스냅 결합될 수 있는 구멍(9)이 군데군데 형성되어 있다. 또한속판(8)의 후방에서 결합돌부(10)를 제외한 전면에는 휨과 비틀림에 대한 강도를 높이기 위한 복수개의 리브(14)들이 열십자로 교차하면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속판(8)의 전방에 쿠션부재(15)가 위치하고, 이 쿠션부재(15)에 시트커버(13)가 씌워진 상태에서 그 단부가 속판(8)의 뒤로 가게 한 후 뒷판(1)을 속판(8)의 후방에서 밀어끼우면 조립이 완료된다. 뒷판(1)을 속판(8)에 밀어끼울 때 뒷판(1)에 복수개 장착된 클립(4)은 속판(8)의 구멍(9)들에 동시에 스냅 결합된다. 그 결합은 실질적으로 클립(4)의 헤드(6)가 오므라들었다가 구멍(9)을 통과한 후 다시 벌어져 있게 됨으로써 달성된다. 부품의 교체나 정비가 필요한 경우에 스크류(5)를 풀면 클립(4)이 간단히 빠지게 된다. 위와 같은 스냅 결합이 있게 되면 그와 동시에 결합요부(2)는 속판(8)의 결합돌부(10)에 끼워지며 결합돌부(10)에 작게 형성된 커버눌림돌기(12)는 시트커버(13)의 단부를 압착하고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쿠션부재를 가진 의자의 등받이나 좌판에서 플라스틱 사출품으로 시트 프레임을 구성하는 경우에 속판과 뒷판의 가장자리가 착석자의 하중에 따라 유동하거나 들뜸이 없이 정확하게 압착된 상태로 조립된다. 그래서 속판과 뒷판의 단부 사이에서 발생하던 시트커버의 손상이 방지되며, 측면에서 보았을 때 뒷판 가장자리가 속판의 가장자리 쪽으로 유동하거나 틈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외관상으로 미려하고 품질 향상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쿠션부재를 보강 지지하는 속판과, 이 속판의 후면에서 상기 쿠션부재를 감싸는 시트커버의 단부가 들어간 상태로 상기 속판과 체결되는 뒷판을 구비하는 시트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속판은 후면의 가장자리에 결합돌부를 돌출하고 그 외측면에 턱을 형성하며 가장자리 근처의 적정 위치에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뒷판은 상기 속판의 결합돌부에 안착되면서 턱 안쪽에 걸릴 수 있는 결합요부를 전방의 가장자리에 형성하며 가장자리 근처의 적정 위치에 상기 속판의 구멍에 스냅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클립을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프레임 조립구조.
KR2020010026279U 2001-08-29 2001-08-29 시트 프레임 조립구조 KR2002556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279U KR200255694Y1 (ko) 2001-08-29 2001-08-29 시트 프레임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279U KR200255694Y1 (ko) 2001-08-29 2001-08-29 시트 프레임 조립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2161A Division KR100458555B1 (ko) 2001-08-28 2001-08-28 시트 프레임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5694Y1 true KR200255694Y1 (ko) 2001-12-13

Family

ID=73107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6279U KR200255694Y1 (ko) 2001-08-29 2001-08-29 시트 프레임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569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7107B2 (en) Movable backrest for a chair
US7735538B2 (en) Door shutter
KR100455707B1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의 손잡이
KR101549993B1 (ko) 의자용 씌우개의 인장 설치 구조
US20070143970A1 (en) Link element including a casing formed of a plate and a back plate
KR100458555B1 (ko) 시트 프레임 조립구조
US20070069567A1 (en) Child car seat with adjustable armrest
KR200255694Y1 (ko) 시트 프레임 조립구조
KR880000143B1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KR20030035893A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의 손잡이
US20130307311A1 (en) Stretching structure of a tension member for a chair
JP2006280455A (ja) 椅子におけるハンガーの取付構造
KR100544411B1 (ko) 슬림화 소형화가 가능한 전면개폐식 액자의 조립구조
JP4731753B2 (ja) 椅子における張り材の取付構造
US20070131237A1 (en) Hair clip
US10433655B1 (en) Positioning device for a supporting cloth
KR200250543Y1 (ko) 의자용 등받이
KR100544412B1 (ko) 슬림화 소형화가 가능한 전면개폐식 액자의 조립구조.
JP3499618B2 (ja)
JP4510598B2 (ja) 椅子における背板の取付構造
JP2789428B2 (ja) 磁石取付構造およびその取付構造を用いたふきん掛け
KR200182987Y1 (ko) 의자 팔걸이의 높이조절 록킹장치
CN217244234U (zh) 控制面板及洗碗机
JP3751905B2 (ja) 机等における天板の化粧縁材及びエッジ構造
JP3099152U (ja) ド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1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