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9694Y1 - 러닝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러닝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9694Y1
KR200229694Y1 KR2020000033869U KR20000033869U KR200229694Y1 KR 200229694 Y1 KR200229694 Y1 KR 200229694Y1 KR 2020000033869 U KR2020000033869 U KR 2020000033869U KR 20000033869 U KR20000033869 U KR 20000033869U KR 200229694 Y1 KR200229694 Y1 KR 2002296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ody
disposed
base sheet
shaft
run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38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춘옌 쵸우
Original Assignee
알릴리페 인더스트리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릴리페 인더스트리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알릴리페 인더스트리얼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338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96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96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9694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의 러닝 운동기구는 베이스 시트, 프레임 바디와 두 개의 요동 아암으로 이루어진다. 두 개의 지지대(support stems)는 상기 베이스 시트의 양측으로 부터 각각 상부로 연장된다. 두 개의 수직 슬라이드 레일들은 상기 지지대 위에 각기 배치된다. 상기 프레임 바디의 양측은 상기 슬라이드 레일들을 따라 수직으로 회전할 수 있는 두 개의 롤러들이 각기 배치된다. 두 개의 요동 아암들은 상기 프레임 바디의 양측에 각각 선회가능하게 배치되고 축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상기 축의 양끝에는 두 개의 롤러들이 각기 배치된다. 신축자재봉은 상기 프레임 바디와 축 사이에 선회가능하게 배치된다. 제2모터가 신축봉을 연장하도록 구동하면, 상기 요동 아암들은 스윙하도록 구동되어 상기 프레임 바디를 올리거나 내린다. 상기 프레임 바디가 들어올려지면 상기 요동 아암, 신축자재봉 및 프레임 바디는 러닝 운동기구를 안전하게 지지하도록 견고한 삼각형의 지지구조를 형성한다.

Description

러닝 운동기구{Running exerciser structure}
본 고안은 러닝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와 월등한 지지력을 구비한 러닝 운동기구에 대한 것이다.
도 9는 프레임 바디(81), 베이스 시트(82), 연결부재(83), 신축자재봉(84) 및 상승부재(9)로 구성되는 종래의 러닝 운동기구를 보여준다. 상기 베이스 시트(82)는 상기 연결부재(83)의 한 끝단과 선회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재(83)의 다른 끝단은 선회 부재(811)에 의해 프레임 바디(81)와 선회가능하게 연결된다. 상승부재(9)는 상기 베이스 시트(82)와 연결된 선회 부분(91)을 구비한다. 상기 선회 부분(91)은 피동 부분 (93)과 선회가능하게 연결된다. 구동 부분(92)은 상기 피동 부분(93) 위에 배치되며 상기 신축자재봉(84)과 연결된다. 상기 신축자재봉(84)은 연장하거나 수축하도록 모터(85)에 의해 구동되는 나사봉이다. 상기 신축 나사봉(84)이 구동되면, 구동 부분 (92)은 피동 부분(93)이 스윙하도록 밀어주고 상기 베이스 시트(82)를 들어올린다.
도 10은 상승부재(9)가 상기 베이스 시트(82)를 들어올리는 것을 보여준다.상기 베이스 시트(82)는 상기 연결 부재(83)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 부재(83)가 스윙되면, 상기 베이스 시트(82)는 아치경로를 따라 이동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베이스 시트(82) 위에서 달릴 때, 상기 베이스 시트(82)로 미치는 압력은 상기 베이스 시트(82)가 아치경로를 따라 위로 이동하게 하는 작용력을 형성할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베이스 시트(82)에 미치는 압력은 상승부재(9)에 의해 지탱되는 수직과 수평 성분을 가진다. 상기 상승부재(9)의 선회 부분(91)은 상기 베이스 시트(82)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 부분(92)은 신축자재봉(84)에 연결된다. 상기 피동 부분(93)은 상기 베이스 시트(82)를 보유하도록 스윙한다. 상기 상승부재(9)가 수직과 수평성분의 작용력을 받으면, 상기 선회 부분(91), 구동 부분(92) 및 피동 부분(93)의 작용력은, 도 10에 나타난 대로, 상기 선회 부분(91), 구동 부분(92) 및 피동 부분(93)의 접합점 A로 집중될 것이다. 이러한 힘의 집중은 종종 구동 부분(92)과 피동 부분(93)을 굽히거나, 모양을 변형시키거나, 심지어 파손하기도 한다. 따라서, 사용상 안정성이 보장될 수 없었다. 게다가, 상기 상승부재(9)는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제조비용을 높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요한 목적은, 프레임 바디의 롤러들이 베이스 시트의 수직 슬라이드 레일에 설치되어 프레임 바디가 상기 슬라이드 레일들에 의해 한정되어 오직 상하로만 이동될 수 있는 개량된 구조의 러닝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요동 아암, 신축자재봉 및 프레임 바디는 견고한 삼각형의 지지구조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 레일들과 롤러들은 상기 프레임 바디로 미치는 수평성분 힘을 견디도록 해주고, 상기 요동 아암과 신축자재봉은 프레임 바디로 미치는 수직 성분 힘을 견디는 데만 필요하다. 그러므로, 더 나은 지지효과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신축자재봉이 직접 상기 요동 아암들을 밀어주어 상기 요동 아암들을 스윙시켜 상기 프레임 바디를 들어올리거나 낮추어줌으로써, 그 구조가 단순하고 제조 가격이 감소될 수 있는 러닝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기술적 사상에 따른 본 고안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다음 기술과 첨부한 도면에 의거 보다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부 사시도,
도 3은 상승되기 전의 프레임 바디를 보여주는 본 고안의 평면도,
도 4는 상승된 프레임 바디를 보여주는 본 고안의 평면도,
도 5는 최상의 위치로 상승된 프레임 바디를 보여주는 본 고안의 평면도,
도 6은 상부로 전향된 프레임 바디를 보여주는 본 고안의 평면도,
도 7은 상부로 전향된 프레임 바디를 보여주는 본 고안의 일부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러닝 운동기구가 이동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상태도,
도 9는 종래의 러닝 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10은 상승 부재가 베이스 시트를 들어올리는 것을 보여주는 종래의 러닝 운동기구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이스 시트(base seat) 2 : 프레임 바디(frame body)
3 : 요동 아암(rocking arm) 11 : 전방 바아
12 : 후방 바아 13 : 좌측 바아
14 : 우측 바아 15 : 레일
16 : 휠 17 :지지대(supporting stem)
18 : 슬라이드 레일 21, 32 : 롤러
22 : 러닝 벨트 23 : 제1모터
25 : 신축자재봉 33 : 선회 시트(pivot seat)
도 1에서 도 8에 따르면, 본 고안의 러닝 운동기구는
전방과 후방 바아(11)(12) 사이 좌측과 우측 바아(13)(14)의 마주보는 내부 양측에 한 쌍의 레일(15)이 배치되며, 상기 좌측과 우측 바아(13)(14)의 각 후방 끝단에 휠(16)이 각각 배치되어서 베이스 시트(1)가 경사지게 될 때 바닥과 접촉하여 이동이 쉽게되며, 좌측과 우측 바아(13)(14)의 중간부가 두 개의 상부로 연장하는 지지대(17)를 각기 구비하며, 두 지지대(17)의 양쪽 저부에 두 개의 병행하는 수직 가이드 플레이트 (181)를 각각 구비한 두 개의 수직 슬라이드 레일(18)이 각기 배치되는 전방 바아(11), 후방 바아(12), 좌측 바아(13) 및 우측 바아(14)로 구성되며, 바닥에 놓여지는 베이스 시트(1);
그 전방부가 상기 베이스 시트(1)의 두 개의 지지대(17)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전방부의 양쪽에 슬라이드 레일(18)에 상응하는 두 개의 롤러(roller)(21)들이 각각 배치되어서 베이스 시트(1) 사이에서 수직으로 미끄러질 수 있게 되며, 제1모터(23)에 의해 순환적으로 구동되는 러닝 벨트(22)가 배치되고, 커버(241)에 의해 덮어지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나사봉이며 모터일 수 있는 전원(26)에 의해 구동되는 신축자재봉 (25)이 선회가능하게 배치되는 수용부(24)를 그 정면부에 구비하는 프레임 바디(2)와;
상기 프레임 바디(2)의 정면저부에 배치되며, 한 선단이 상기 프레임 바디(2)의 양쪽 위 선회 부분(27)과 각기 선회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선단이 축(31)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축(31)의 양 끝단이 상기 베이스 시트(1)의 레일(15)을 따라 각각 회전하는 두 개의 롤러(32)들이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 바디(2)에 선회가능하게 배치되는 신축자재봉(25)과 선회가능하게 연결되기 위하여 축(31) 상에 선회 시트(33)가 배치되는 두 개의 요동 아암(3)으로 이루어진다.
도 3에서는 상기 프레임 바디(2)가 아직 상승되지 않은 모습을 보여준다. 사용자가 상기 프레임 바디(2)를 올리고자 할 때, 상기 제2모터(26)는 상기 신축자재봉(25)을 연장하여 상기 요동 아암(3)이 스윙하도록 가동시킨다. 이 때,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 바디(2)의 전방 끝은 서서히 상승된다. 상기 신축자재봉(25)이 연속적으로 연장되면, 상기 요동 아암(3)들은 구동되도록 계속해서 스윙되어 상기 프레임 바디(2)를 들어올린다. 상기 프레임 바디(2)의 롤러(21)들은상기 슬라이드 레일(18)의 가이드 플레이트(181)들에 의해 제한되고 상기 슬라이드레일(18) 내에서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요동 아암(3)들이 아래쪽으로 스윙될 때, 상기 롤러(32)들은,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 바디(2)를 밀어서 들어올리도록 상기 레일(15)들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프레임 바디(2)는 사용자가 러닝 운동기구 위에서 편안하게 달릴 수 있도록 전방 끝이 높게 후방 끝이 낮게 기울어진다.
상기 프레임 바디(2)의 롤러(21)들은 상기 베이스 시트(1)의 수직 슬라이드레일(18)들에 장착되어서 상기 프레임 바디(2)가 슬라이드 레일(18)들에 의해 제한되고 오직 상하로만 이동될 수 있다. 게다가, 요동 아암(3)들, 신축자재봉(25) 및 상기 프레임 바디(2)는 삼각형의 지지 구조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 레일(18)들과 롤러(21)들은 상기 프레임 바디(2)로 미치는 수평성분 힘을 지탱해주고 상기 요동 아암(3)들과 신축자재봉(25)은 단지 프레임 바디(2)로 미치는 수직 성분 힘을 견디는 데만 필요하다. 그러므로, 더 나은 지지력이 제공된다. 게다가, 신축자재봉(25)이 상기 축(31)의 선회 시트(33) 상에 선회가능하게 배치되어 힘적용 아암의 길이가 길어지므로 선회 시트(33)로의 힘의 집중을 피할 수 있다.
더군다나, 러닝 운동기구를 이동할 때, 도 6과 7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프레임 바디(2)의 후방 끝이 들어올려지고 롤러(21) 주위의 상부로 전향된다. 이 때, 상기 요동 아암(3)의 롤러(32)는 레일(15)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할 것이다. 또한, 상기 롤러(32)는 상기 프레임 바디(2)의 무게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레일(15)에 기대어 세워진다. 그 다음, 상기 베이스 시트는 도 8에 보여지는 것과 같이, 상기 좌측과 우측 바아(13)(14)의 후방 끝단에 있는 휠(16)들이 바닥과 접하도록 기울어진다. 상기와 같은 상황에서, 러닝 운동기구는 쉽게 이동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상기 프레임 바디(2)의 롤러(21)들은 슬라이드 레일(18)들에 의해 제한되어, 상기 프레임 바디(2)가 상하로만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 레일 (18)들과 롤러(21)들은 상기 프레임 바디(2)로 미치는 수평 성분의 힘을 견디며, 상기 요동 아암(3)과 신축자재봉(25)은 프레임 바디(2)로 미치는 수직 성분의 힘을 견디는 데만 필요하다. 그러므로, 더 나은 지지력이 제공된다. 게다가, 신축자재봉(25)은 직접적으로 상기 요동 아암(3)들을 스윙하도록 밀어주어 상기 프레임 바디(2)를 들어올리거나 낮춘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에 의하면 그 구조가 단순하고 제조 가격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구체예들은 본 고안을 단지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범주를 제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다. 상기 구체예들에 대한 많은 변형들이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남이 없이 이뤄질 수 있다.

Claims (4)

  1. 지면에 위치되고, 그 양측으로부터 상부로 각기 연장하는 두 개의 지지대(17)를 구비하며, 상기 두 개의 지지대의 저부에 두 개의 수직 슬라이드 레일(18)들이 각각 배치되는 베이스 시트(1)와;
    전방부 양측에 상기 베이스 시트(1)의 슬라이드 레일(18)과 대응하는 두 개의 롤러(21)들이 각각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시트(1) 사이를 수직으로 미끄러질 수 있고, 제1모터에 의해 순환적으로 구동되는 러닝 벨트(22)가 배치되며,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신축자재봉(25)이 선회가능하게 배치되는 프레임 바디(2)와;
    한 선단이 상기 프레임 바디(2)의 양쪽 선회 부분(27)들과 선회가능하게 각기 연결되고, 그 다른 선단이 축(31)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축(31)의 양끝에 두 개의 롤러(32)가 각기 배치되고, 그 축(31) 상에 선회 시트(33)가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 바디 (2)에 선회가능하게 배치되는 신축자재봉(25)과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는 두 개의 요동 아암(3)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닝 운동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1)가 전방 바아(11), 후방 바아(12), 좌측 바아(13) 및 우측 바아(14)로 이루어지며, 축(31) 양끝의 휠(32)이 레일(15)을 따라 굴러가도록 상기 좌측과 우측 바아(13)(14)의 마주보는 내면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레일(15)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닝 운동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1)의 양측 측면 후방 끝단에 두 개의 휠(16)이 각각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시트(1)가 경사지게 될 때 상기 휠(16)이 바닥에 접촉하게 되어서 베이스 시트(1)의 이동이 원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닝 운동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자재봉(25)이 나사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닝 운동기구.
KR2020000033869U 2000-12-02 2000-12-02 러닝 운동기구 KR2002296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869U KR200229694Y1 (ko) 2000-12-02 2000-12-02 러닝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869U KR200229694Y1 (ko) 2000-12-02 2000-12-02 러닝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9694Y1 true KR200229694Y1 (ko) 2001-07-19

Family

ID=73080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3869U KR200229694Y1 (ko) 2000-12-02 2000-12-02 러닝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969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771B1 (ko) * 2006-07-18 2009-09-24 김준홍 마이크로 파일 두부 정착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정착방법
CN103262890A (zh) * 2013-04-26 2013-08-28 蚌埠市福淋乳业有限公司 清热泻火酸奶及其制备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771B1 (ko) * 2006-07-18 2009-09-24 김준홍 마이크로 파일 두부 정착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정착방법
CN103262890A (zh) * 2013-04-26 2013-08-28 蚌埠市福淋乳业有限公司 清热泻火酸奶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5925A (en) Running exerciser
JP4297145B2 (ja) 移載装置
US6585624B1 (en) Running exerciser structure
US6398696B1 (en) Running exerciser structure
US7329209B2 (en) Belt frame incline adjusting mechanism for treadmills
CN204932093U (zh) 一种护理床
KR200229694Y1 (ko) 러닝 운동기구
US6733422B2 (en) Hidden roller of a treadmill
US5501658A (en) Massage table roller mechanism
KR940003162Y1 (ko) 전동식 다리 승강운동기구
JPH11239986A (ja) 昇降作業台
JP2010220701A (ja) マッサージ機
CN102119898B (zh) 一种助人站立装置及助人站立护理床
CN215822251U (zh) 一种升降式跑步机
JP4231765B2 (ja) 折り畳みベッド
KR200324936Y1 (ko) 높이 조절수단이 구비된 의자
JPH10234521A (ja) ベッドの起床装置
CN2521968Y (zh) 可升茶几
CN201324469Y (zh) 跑步机
CN217243443U (zh) 一种可自动调节的电动床装置
CN108547566A (zh) 机械式移动不倒梯及使用方法
KR101676352B1 (ko) 차고 다니는 의자
KR200358990Y1 (ko) 전후방 경사 조절장치를 구비하는 트레드밀
CN202044439U (zh) 一种助人站立装置及助人站立护理床
KR200261701Y1 (ko) 런닝머신의 벨트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