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9527Y1 - 휴대 전화기용 충전기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 전화기용 충전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9527Y1
KR200229527Y1 KR2019970038376U KR19970038376U KR200229527Y1 KR 200229527 Y1 KR200229527 Y1 KR 200229527Y1 KR 2019970038376 U KR2019970038376 U KR 2019970038376U KR 19970038376 U KR19970038376 U KR 19970038376U KR 200229527 Y1 KR200229527 Y1 KR 2002295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ss
mobile phone
charger case
mounting por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83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5851U (ko
Inventor
정재희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20199700383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9527Y1/ko
Publication of KR199900258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58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95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95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 전화기용 충전기 케이스에 대한 것으로 고안의 주된 목적은 함몰부를 형성하되, 함몰부 속에 다시 층이진 요홈부를 형성하여 함몰부 주변의 표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주요 수단은 전화기 장착부와, 배터리 장착부를 가지는 휴대 전화기용 충전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한 전화기 장착부의 바닥에 함몰부를 형성하되, 이 함몰부의 중앙에서 더 함몰된 요홈부를 형성하여 사출 성형시 사출 런너의 게이트에 의해 잔류하는 잔류 돌기가 상기한 요홈부에 생성되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휴대 전화기용 충전기 케이스
본 고안은 휴대 전화기용 충전기 케이스에 대한 것으로 더 자세히 말하자면 충전기 케이스를 사출 성형하되, 사출액 게이트에 의해 남게되는 잔류 돌기를 쉽게 마감처리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전화기용 충전기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본체 케이스(1)를 가지며, 이 본체 케이스는 전화기 장착부(11)와 배터리 장착부(12)로 이루어 지는 바, 상기한 배터리 장착부(12)는 제조상의 어려움 때문에 별도록 제작하여 조립하는 것이고, 본체 케이스(1)는 하나의 금형에서 사출 성형되는 것이다.
이때, 합성수지 액을 사출시키는 런너(2)는 그 게이트(21)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임의의 장소에 대고 사출하게 되는 바, 사출 장소에는 함몰부(13)를 형성하여 사출시 발생하는 잔류 돌기(15)가 그 부분에 한정되도록 하며, 이후 상기의 잔류 돌기(15)를 스크래퍼로 제거하는 후작업을 거치고, 후작업을 거친 다음에는 마감재(3)를 부착시켜 깨끗하게 은폐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본체 케이스(1)는 함몰부(13)를 형성하되, 단층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랩핑 작업시 스크래퍼가 함몰부 주면의 표면을 다치게 하여 불량처리되는 예가 많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고안의 주된 목적은 함몰부를 형성하되, 함몰부 속에 다시 층이진 요홈부를 형성하여 함몰부 주변의 표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주요 수단은 전화기 장착부와, 배터리 장착부를 가지는 휴대 전화기용 충전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한 전화기 장착부의 바닥에 함몰부를 형성하되, 이 함몰부의 중앙에서 더 함몰된 요홈부를 형성하여 사출 성형시 사출 런너의 게이트에 의해 잔류하는 잔류 돌기가 상기한 요홈부에 생성되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구성을 보인 충전기 케이스
도 2는 종래의 성형 과정을 설명하는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충전기 케이스
도 4는 본 고안의 성형 과정을 설명하는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케이스 2 : 런너
3 : 마감재 11 : 전화기 장착부
12 : 배터리 장착부 13 : 함몰부
14 : 요홈부 15 : 잔류 돌기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 케이스(1)로서 전화기 장착부(11)와, 그 후방에 다시 결합된 배터리 장착부(12)로 이루어져 있음을 볼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전화기 장착부(11)의 바닥에는 함몰부(13)가 있고, 함몰부의 중앙에서는 다시 더 함몰된 요홈부(14)가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케이스(1)를 사출 성형할 때, 런너(2)의 게이트(21)가 상기한 함몰부(13)의 위치에서 수지액을 사출하게 되는 바, 사출이 끝나면 그 중앙에서 더 함몰된 상기 요홈부(14)에 잔류 돌기(15)가 생성된다.
따라서 사출 성형이 완성된 본체 케이스(1)를 후작업으로 완성시킬 때 스크랩퍼로 상기의 잔류 돌기(15)를 제거 하되, 잔류 돌기(15)가 요홈부(14)에 있기 때문에 스크랩퍼가 주변으로 어긋나도 함몰부(13)에 한정되어 주변으로 나가지 않는다.
그러므로 케이스(1)의 표면에는 흠을 내지 않게 되며, 이후 마감재(3)를 상기한 함몰부(13)의 크기로 부착시키면 깨끗하게 마무리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자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사출 성형시 생성된 잔류 돌기(15)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종래의 함몰부(13)에서 그 중앙에 더 깊게 형성한 요홈부(14)를 마련하였기 때문에 잔류 돌기를 제거하기 위한 스트랩퍼가 함몰부(13)에 한정되어 그 주변의 표면을 다치지 않게 할 수 있다.

Claims (1)

  1. 전화기 장착부(11)와, 배터리 장착부(12)를 가지는 휴대 전화기용 충전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한 전화기 장착부(11)의 바닥에 함몰부(13)를 형성하되, 이 함몰부의 중앙에서 더 함몰된 요홈부(14)를 형성하여 사출 성형시 사출 런너(2)의 게이트(21)에 의해 잔류하는 잔류 돌기(15)가 상기한 요홈부(14)에 생성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용 충전기 케이스.
KR2019970038376U 1997-12-19 1997-12-19 휴대 전화기용 충전기 케이스 KR2002295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8376U KR200229527Y1 (ko) 1997-12-19 1997-12-19 휴대 전화기용 충전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8376U KR200229527Y1 (ko) 1997-12-19 1997-12-19 휴대 전화기용 충전기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851U KR19990025851U (ko) 1999-07-05
KR200229527Y1 true KR200229527Y1 (ko) 2001-07-19

Family

ID=53897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8376U KR200229527Y1 (ko) 1997-12-19 1997-12-19 휴대 전화기용 충전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952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82340A (zh) * 2016-08-26 2018-03-09 大陆汽车电子(连云港)有限公司 一种曲轴传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851U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96449A1 (en) Multi-well plate fabrication
JP2010125784A (ja) 2色成形用金型装置および2色成形品
MXPA02010360A (es) Metodo para moldear un panel.
HK1044311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thermoplastic part with an injected elastomer seal
KR200229527Y1 (ko) 휴대 전화기용 충전기 케이스
EP0917943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plastic moldings and core used in same
JPH07260Y2 (ja) 成形型
KR102201957B1 (ko) 도어트림과 그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JP2590693Y2 (ja) 射出成形用金型
KR0134882Y1 (ko) 자동 트림 기능이 구비된 자동차 범퍼페시아 모울드 금형
KR200280828Y1 (ko) 원료주입 게이트 기능을 갖는 슬라이더가 구비된 금형장치
JPS57116623A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for thermoplastic synthetic resin
KR100422648B1 (ko) 파팅 라인리스 금형 및 그 제작방법
JP4176357B2 (ja) 射出成形品の製造方法
JPH06143346A (ja) ブロック突出しピンゲート式射出成形用金型
GB113350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pectacle sidebars and sidebars obtained thereby
JPS62256619A (ja) 布地付ア−ムレストの製造方法
JPH0989165A (ja) 結束バンドの成形方法および結束バンド
JPH047114A (ja) 射出成形用金型
JPH0642822Y2 (ja) 深型容器の射出成形用金型
JPH0698649B2 (ja) スティックの製造法
JPH06262642A (ja) 射出成形機の金型
JP2001270384A (ja) 車両用ドアミラー
JP2520617Y2 (ja) コネクタ
KR20090056368A (ko) 다중사출금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