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9163Y1 - 자수기 및 복합기의 원단구동롤 텐션장치 - Google Patents

자수기 및 복합기의 원단구동롤 텐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9163Y1
KR200229163Y1 KR2020000037275U KR20000037275U KR200229163Y1 KR 200229163 Y1 KR200229163 Y1 KR 200229163Y1 KR 2020000037275 U KR2020000037275 U KR 2020000037275U KR 20000037275 U KR20000037275 U KR 20000037275U KR 200229163 Y1 KR200229163 Y1 KR 2002291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roll
vertical frame
fixing bracket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72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호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먼텍스
서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먼텍스, 서호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먼텍스
Priority to KR20200000372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91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91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9163Y1/ko

Links

Landscapes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수기 및 복합기의 원단구동롤 텐션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수 및 누비용 바늘(11)들이 하부를 향해 세워지고 이 바늘 구동기구부를 수용하는 헤드(10)들과;
롤상으로 권취된 원단을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원단지지 프레임(20)과;
기어벨트(31)로 연결되며, 양측에 거리를 두고 그 외측으로 원단이 감겨져 원하는 길이 방향으로 원단을 이송토록 하는 한쌍의 구동롤(30)들과;
이 구동롤(30)에 원단이 밀착되어 유동을 방지토록 하는 압착롤(40)과;
상기 구동롤(30)과 압착롤(40)의 양측에 설치되어 지지하는 수직프레임(50)과;
상기 수직프레임(50)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가이드롤러(61)를 지지하는 고정브라켓트(60)와;
상기 수직프레임(50)을 베이스(71)로 부터 원단폭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슬라이딩수단(7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50)의 일측에 설치된 고정브라켓트(60)의 하부 내측과 원단지지 프레임(20) 사이에는 원단의 횡방향 구동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수단(80)이 형성되므로, 원단의 횡방향 이동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키고, 원단의 횡방향 이동을 보다 원할하게 제어할 수 있어, 작업성 및 구성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작업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자수기 및 복합기의 원단구동롤 텐션장치{Yarn roll tension device for embroidery and quilting machine}
본 고안은 자수기 및 복합기의 원단구동롤 텐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원단을 X-Y방향의 2축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원단 길이로 연속 작업이 가능한 자수와 누비기능을 동시에 갖는 복합기에 있어서 슬라이딩수단에 의해 구동롤 및 압착롤의 횡방향 이동을 제어하는 수직프레임의 고정브라켓트 하부 내측으로 완충수단을 형성하여, 원단의 폭방향 이동시 발생되는 충격과 원단의 원할한 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수기는 원단에 원하는 문양을 바느질 상태로 수놓는 기기이다.
그리고, 누비기는 직물지나 솜, 레쟈등의 복수 원단을 서로 부착결합되도록특정 라인을 따라 바느질 하는 기기이다.
또한, 통상적으로, 상기한 자수기와 누비기가 별도로 구입, 작업하고 있다.
한편, 종래 일반적으로 알려진 자수기 및 누비기는 그 작업 방법이 바늘의 구동장치를 구비한 헤드유니트는 정위치에서 바늘만이 상하 구동되고, 원단이 전후 좌우로 구동하는 방식으로 문양을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복합기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단을 밀착하고 있는 구동롤(30)의 저면부에는 원단(A)을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장치와 함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딩수단(7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구동롤(30)의 회전에 의해 원단을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장치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롤(30)이 고정틀(51)의 양측에서 거리를 두고 기어벨트(31)로 연결되며, 이 구동롤(30)의 외부면에 일부 접촉된 상태에서 압착롤(40)들과 동시 밀착되는 것에 의해 구동롤(30)의 회전방향에 따라 원단(A)을 원하는 길이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원단(A)을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딩수단(70)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의 베이스(71)에 얹혀진 베드(72)의 안내로 모터의 동력이 타임벨트(73)를 구동시켜 이 타임벨트(73)에 고정된 수직프레임(50)이 베드(72)를 따라 슬라이딩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수단(70)에 의해 횡방향으로 구동롤(30) 및 압착롤(40)을 이송시키는 수직프레임(50)의 일측으로는 상기 수직프레임(50)과 고정브라켓트(60)에 의해 설치된 후 연계구동되는 가이드롤러(61)가 설치된다.
따라서, 원단(A)이 기어벨트(31)에 의해서는 구동롤(30)이 회전되어 길이방향으로 이송되고, 타임벨트(73)의 회전에 따라 수직프레임(50)이 원단폭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원단을 X-Y방향의 2축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종래 자수기 및 복합기에 있어서, 원단을 슬라이딩수단(70)에 의해서 폭방향 즉,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원단에 하중등에 의해서 횡방향 구동부로 심한 충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구동롤(30) 및 압착롤(40)의 횡방향 이동을 제어하는 수직프레임(50)이 슬라이딩수단(70)에 의해 횡방향을 이동되는 과정에서 수직프레임(50)과 고정브라켓트(60)에 의해 연계작동되는 가이드롤러(61)가 원단지지 프레임(20)과 상호 접촉되면서, 구동롤 및 수직프레임으로 충격이 전달되어 작업성 및 내구성이 저하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수직프레임(50)과 연계작동되는 고정브라켓트(60)가 횡방향 이동시 원단지지 프레임(20)과 접촉되면서 발생되는 충격등에 의해 원단을 횡방향으로 신속하게 이동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원단을 X-Y방향의 2축으로 구동시킴으로 써, 원단 길이로 연속 작업이 가능한 자수와 누비기능을 동시에 갖는 복합기에 있어서 슬라이딩수단에 의해 구동롤 및 압착롤의 횡방향 이동을 제어하는 수직프레임의 고정브라켓트 하부 내측으로 완충수단을 형성하여, 원단의 폭방향 이동시 발생되는 충격과 원단의 원할한 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자수기 및 복합기의 원단구동롤 텐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제품의 내구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수기 및 복합기의 원단구동롤 텐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수기 및 복합기의 원단구동롤 텐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자수기 및 복합기의 원단구동부 형상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종래 자수기 및 복합기 원단구동부의 횡방향 슬라이딩 수단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인 원단구동부 완충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인 원단구동부 완충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 확대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인 원단구동부 완충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 확대 정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헤드 11 - 바늘
20 - 원단지지 프레임 30 - 구동롤
31 - 기어벨트 40 - 압착롤
50 - 수직프레임 51 - 고정틀
60 - 고정브라켓트 61 - 가이드롤러
70 - 슬라이딩수단 71 - 베이스
72 - 베드 73 - 타임벨트
80 - 완충수단 81 - 체결홀
82 - 지지판 83 - 스프링부재
84 - 나사산 85 - 장력조절구
A - 원단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자수 및 누비용 바늘(11)들이 하부를 향해 세워지고 이 바늘 구동기구부를 수용하는 헤드(10)들과;
롤상으로 권취된 원단(A)을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원단지지 프레임(20)과;
기어벨트(31)로 연결되며, 양측에 거리를 두고 그 외측으로 원단이 감겨져 원하는 길이 방향으로 원단을 이송토록 하는 한쌍의 구동롤(30)들과;
이 구동롤(30)에 원단이 밀착되어 유동을 방지토록 하는 압착롤(40)과;
상기 구동롤(30)과 압착롤(40)의 양측에 설치되어 지지하는 수직프레임(50)과;
상기 수직프레임(50)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가이드롤러(61)를 지지하는 고정브라켓트(60)와;
상기 수직프레임(50)을 베이스(71)로 부터 원단폭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슬라이딩수단(7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50)의 일측에 설치된 고정브라켓트(60)의 하부 내측과 원단지지 프레임(20) 사이에는 원단의 횡방향 구동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수단(80)이 형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인 자수기 및 복합기의 원단구동롤 텐션장치는 원단을 권취시켜 좌우 횡방향에 대하여 슬라이딩수단(70)에 의해 구동롤(30)과 압착롤(40)을 이동시키는 수직프레임(50) 일측에 설치되어 가이드롤러(61)를 지지하는 고정브라켓트(60)의 하부 내측과 원단지지 프레임(20) 사이에 완충수단(80)이 형성되므로, 원단의 횡방향 이동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키고, 원단의 횡방향 이동을 보다 원할하게 제어할 수 있어, 작업성 및 구성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작업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자수기 및 복합기의 원단구동부 형상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종래 자수기 및 복합기 원단구동부의 횡방향 슬라이딩 수단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원단구동부 완충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원단구동부 완충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 확대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원단구동부 완충장치의 구성을 요부 확대 정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 ∼ 도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자수기 및 복합기의 원단구동롤 텐션장치는 슬라이딩수단(70)에 의한 원단의 횡방향 이동시 수직프레임(50)의 일측에 설치되어 연동되는 고정브라켓트(60) 하측 내부와 원단지지 프레임(20) 사이에 완충수단(80)을 설치하여 원단의 횡방향 이동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키고, 원단의 횡방향 이동을 보다 원할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수직프레임(50) 일측에 설치된 고정브라켓트(60)의 내측 하부와 원단지지 프레임(20)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수단(80)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트(60)의 내측 하부와 원단지지 프레임(20)에는 동일선상으로 관통된 체결홀(81)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브라켓트(60)의 체결홀(81)의 내측으로 지지판(82)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판(82)과 원단지지 프레임(20) 사이에는 스프링부재(83)가 위치되고, 상기 고정브라켓트(60)와 원단지지 프레임(20)의 체결홀(81)에는 나사산(84)이 구비된 장력조절구(85)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브라켓트(60)의 내측하부와 원단지지 프레임(20)의 동일선상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체결홀(81)은 후술될 장력조절구(85)가 설치되어, 스프링부재(83)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즉,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장력조절구(85)의 몸체 형성된 나사산(84)에 의해 고정브라켓트(60)의 내측으로 설치된 지지판(82)을 나사결합에 의해 전,후로 조절하여 원단구동부의 완충력을 봉제 제품의 특성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브라켓트(60)의 지지판(82)과 원단지지 프레임(20)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부재(83)는 제품의 성격과 원단의 하중등에 따라 크기와 탄성력에맞는 제품을 적용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스프링부재(83)가 아니라 자체 복원력을 갖는 고무제품이나, 가스 실린더나, 오일댐퍼 등의 통상의 완충수단을 적용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역시 본 고안의 구성에 포함된다.
따라서, 본 고안인 자수기 및 복합기의 원단구동롤 텐션장치의 가장 큰 특징은 작업 공정시 원단(A)을 슬라이딩수단(70)에 의해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프레임(50)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브라켓트(60)의 내측 하부와 원단지지 프레임(20) 사이에 완충수단(80)을 적용시켜 사용하므로, 원단의 횡방향 이동시 고정브라켓트(60)와 원단지지 프레임(20)이 상호 접촉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켜, 원단구동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수단(70)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의 베이스(71)에 얹혀진 베드(72)의 안내로 도시하지 않은 모터의 동력으로 타임벨트(73)를 구동시켜 이 타임벨트(73)에 고정된 수직프레임(50)이 베드(72)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것이다.
즉, 횡방향 이동시 스프링부재(83)의 탄력성 및 복원력에 의해 횡방향의 단부로 근접되게 이동될 경우 충격력을 스프링부재(83)의 탄성력에 의해 완충시킴과 동시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전환시에는 수축되어 있던 스프링부재(83)의 복원력에 의해 횡방향 이동을 보다 원할하게 진행시킬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인 자수기 및 복합기의 원단구동롤 텐션장치는 구동롤(30)과 압착롤(40)이 이딩수단(70)에 의해 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수직프레임(50)의 일측으로 설치된 고정브라켓트(60)의 내측 하부와 원단지지 프레임(20) 사이에 완충수단(80)이 설치되므로, 원단(A)의 횡방향 이동시 원단의 무거운 하중 이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키고, 원단의 횡방향 이동을 보다 원할하게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자수공정중 원단의 무거운 하중 이동시 고정브라켓트와 원단지지프레임이 접촉되면서, 원단구동부 전체로 가해지는 충격력을 완충시킬 수 있으므로,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완충수단의 자체 복원력에 의해 횡방향에 이동시 움직임을 보다 원할하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작업 생산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자수 및 누비용 바늘(11)들이 하부를 향해 세워지고 이 바늘 구동기구부를 수용하는 헤드(10)들과;
    롤상으로 권취된 원단(A)을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원단지지 프레임(20)과;
    기어벨트(31)로 연결되며, 양측에 거리를 두고 그 외측으로 원단이 감겨져 원하는 길이 방향으로 원단을 이송토록 하는 한쌍의 구동롤(30)들과;
    이 구동롤(30)에 원단이 밀착되어 유동을 방지토록 하는 압착롤(40)과;
    상기 구동롤(30)과 압착롤(40)의 양측에 설치되어 지지하는 수직프레임(50)과;
    상기 수직프레임(50)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가이드롤러(61)를 지지하는 고정브라켓트(60)와;
    상기 수직프레임(50)을 베이스(71)로 부터 원단폭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슬라이딩수단(7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50)의 일측에 설치된 고정브라켓트(60)의 하부 내측과 원단지지 프레임(20) 사이에는 원단의 횡방향 구동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수단(8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 및 복합기의 원단구동롤 텐션장치.
  2.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80)은 고정브라켓트(60)의 내측 하부와 원단지지 프레임(20)에는 동일선상으로 관통된 체결홀(81)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브라켓트(60)의 체결홀(81)의 내측으로 지지판(82)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판(82)과 원단지지 프레임(20) 사이에는 스프링부재(83)가 위치되고, 상기 고정브라켓트(60)와 원단지지 프레임(20)의 체결홀(81)에는 나사산(84)이 구비된 장력조절구(8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 및 복합기의 원단구동롤 텐션장치.
KR2020000037275U 2000-12-30 2000-12-30 자수기 및 복합기의 원단구동롤 텐션장치 KR2002291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7275U KR200229163Y1 (ko) 2000-12-30 2000-12-30 자수기 및 복합기의 원단구동롤 텐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7275U KR200229163Y1 (ko) 2000-12-30 2000-12-30 자수기 및 복합기의 원단구동롤 텐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9163Y1 true KR200229163Y1 (ko) 2001-07-03

Family

ID=73061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7275U KR200229163Y1 (ko) 2000-12-30 2000-12-30 자수기 및 복합기의 원단구동롤 텐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916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859Y1 (ko) 2014-05-19 2015-01-08 장용익 누비기의 원단이송장치
CN114104811A (zh) * 2020-08-31 2022-03-01 苏州元润服饰有限公司 一种服装生产用布料印花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859Y1 (ko) 2014-05-19 2015-01-08 장용익 누비기의 원단이송장치
CN114104811A (zh) * 2020-08-31 2022-03-01 苏州元润服饰有限公司 一种服装生产用布料印花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57020B (zh) 一种用于绣花机的压脚装置及绣花机
JP4624169B2 (ja) ミシンの送り装置
TWI592536B (zh) 縫紉機
TWI589746B (zh) 編織物引導件之控制方法及採用此控制方法之搖落捲取裝置
US10407811B2 (en) Sewing machine
CN101027444A (zh) 多针刺绣缝纫机
US5590614A (en) Sewing machine
KR200229163Y1 (ko) 자수기 및 복합기의 원단구동롤 텐션장치
US9670608B2 (en) Sewing machine
JP4623423B2 (ja) 刺繍ミシンの刺繍押え
JP2006271475A (ja) ミシン
KR200475859Y1 (ko) 누비기의 원단이송장치
JP2013162859A (ja) ミシン
JP2012110583A (ja) ミシンの送り装置
KR20020075729A (ko) 재봉틀의 천이송장치
KR101226417B1 (ko) 횡편기용 실 공급기
KR101365239B1 (ko) 지그재그 재봉틀의 바늘진동 구동축 진동 흡수구조
KR100467107B1 (ko) 다두식 자수기
KR20080068502A (ko) 자수 미싱의 실채기 구동 기구
CN216864514U (zh) 一种绷缝机的撑料装置
CN221052142U (zh) 一种刺绣机的机头以及刺绣机
US5313901A (en) Feed device for sewing machine
US3797279A (en) Thread-feeding, tension-regulating device for straight knitting machines
US5427039A (en) Sliding needle bar drive for tufting machines
CN101827970B (zh) 经编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