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9099Y1 - 진공차단기의보조스위치작동장치 - Google Patents

진공차단기의보조스위치작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9099Y1
KR200229099Y1 KR2019970036622U KR19970036622U KR200229099Y1 KR 200229099 Y1 KR200229099 Y1 KR 200229099Y1 KR 2019970036622 U KR2019970036622 U KR 2019970036622U KR 19970036622 U KR19970036622 U KR 19970036622U KR 200229099 Y1 KR200229099 Y1 KR 2002290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switch
link
coupled
lever
circuit br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66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4183U (ko
Inventor
안희일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20199700366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9099Y1/ko
Publication of KR199900241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41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90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90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6Operating arrangements
    • H01H33/6661Combination with other type of switch, e.g. for load break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2Housings or protective scre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6Operating arrangements
    • H01H2033/6667Details concerning lever type driving rod arrangements

Landscapes

  • High-Tension Arc-Extinguishing Switches Without Spray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차단기의 보조 스위치 작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계적인 작동에 의해 보조 스위치 내의 접점을 접속 및 분리시키는 보조 스위치 작동장치의 구조를 변형하여 상기 보조 스위치의 접점이 원활하게 접속 및 분리되도록 하여 상기 보조 스위치의 접점 접촉불량을 완전히 해소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대차부(2) 내에 힌지결합되어 진공차단기가 투입 및 차단시 힌지(6)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체인지 레버(5)와, 진공차단기의 투입 및 차단시 기계적인 동작에 의해 작동되면서 접점을 접속 및 분리시키는 보조스위치(4)와, 상기 보조 스위치(4)에 결합되어 보조 스위치(4) 내의 접점을 접속 및 분리시키도록 체인지 레버(5)의 상하 왕복이동에 따라 회동되는 스위치 레버(9)와, 상기 보조 스위치(4)를 대차부(2)의 내측면에 결합시키도록 일측면이 개방된 브라켓(1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체인지 레버(5)의 일측면에 힌지결합되어 체인지 레버(5)를 따라 상하로 왕복 이동되는 제 1 링크(101)와, 상기 제 1 링크(101)와 일단이 결합되어 힌지축(106)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제 2 링크(102)와, 상기 제 2 링크(102)의 타단에 결합되고, 스위치 레버(9)와 결합되어 보조스위치(4)를 작동시키도록 상하로 이동되는 제 3 링크(103)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진공차단기의 보조 스위치 작동장치{device for controlling auxiliary switch for vacuum circuit breaker}
본 고안은 진공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써, 좀 더 구체적으로는 진공차단기의 보조스위치 작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차단기는 정상부하시의 개폐 및 사고전류 차단시에 발생되는 아크(Arc)를 진공 용기 내에서 소호시켜 신속하게 회로를 분리시키는 회로 및 기기보호용 기기이다.
이와 같은 진공차단기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크레들(1), 주회로부(3), 대차부(2) 및 보조장치로 구성되어 있는바, 상기 주회로부에는 전류차단부, 절연부, 소호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전류차단부는 접점을 구성하는 주변 요소로서, 접점은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으로 구성되어 상기 가동접점은 진공차단기의 기계가동부와 연동되어 진공차단기가 ‘투입’상태인 경우에는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이 접촉되어 있고, 접촉저항에 의해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억제하지 않도록 가동접점면에 충분한 압력이 걸리도록 하고 있으며, 차단시에는 가동접점이 적당한 속도로 적당한 차단거리까지 분리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절연부는 절연기능을 갖고 있는 것으로서, 에폭시 몰드 또는 비엠시(BMC) 수지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소호장치는 진공차단기의 접점개폐 및 사고전류 차단시 발생하는 아크를 소호하게 된다.
상기 대차부(2)는 진공차단기의 접점을 개폐하는 기계적인 메카니즘을 말하는 것으로, 진공차단기의 전면에 구성되어 있는 모든 작동장치가 해당된다.
그리고, 보조장치는 진공차단기를 정상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부속장치로서, 제어장치, 인터록 장치, 인입, 출장치가 해당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진공차단기의 대차부 내에 진공차단기가 투입되었다가 차단되면 접점을 형성하는 보조 스위치(4)는 보조 스위치 작동장치에 의해 기계적인 동작에 의해 작동되는데, 상기 보조 스위치 작동장치는 도 2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대차부 내에 힌지결합되어 진공차단기가 투입 및 차단시 힌지(6)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체인지 레버(5)와, 상기 체인지 레버(5)의 양측에 일단이 결합된 링크(7)와, 상기 링크(7)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대차부(2)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절곡부(8)와, 상기 링크(7)의 타단에 힌지결합되어 링크(7)의 상하왕복이동에 의해 회동되면서 보조 스위치(4) 내의 접점을 접속 및 분리시키는 스위치 레버(9)와, 상기 보조 스위치(4)가 결합된 상태로 대차부(2)의 내측면에 결합되도록 일측부가 개방된 브라켓(10)과, 상기 브라켓(10)이 대차부(2)의 내측면에 결합되도록 볼트(12)가 삽입되도록 일면에 장공의 결합홀(11)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진공차단기의 보조스위치 작동장치는 진공차단기가 투입되면 상기 진공차단기의 대차부(2) 내에 설치된 체인지 레버(5)의 일단이 힌지(6)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진공차단기의 하부로 이동되고, 상기 체인지 레버(5)의 양측에 일단이 결합된 링크(7)도 체인지 레버(5)를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된다.
상기 아래쪽으로 이동되는 링크(7)의 타단에 결합된 스위치 레버(9)가 회동되는데, 즉 대차부(2)의 내측면에 결합된 브라켓(10)에 보조 스위치(4)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보조 스위치(4)에 스위치 레버(9)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상하로 이동되는 링크(7)에 의해 스위치 레버(9)가 회동되어 도면상 아래로 이동되면 상기 보조 스위치(4) 내의 접점은 분리된다.
그리고, 진공차단기가 차단되면 대차부(2) 내의 체인지 레버(5) 일단이 힌지(6)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위쪽으로 이동되고, 상기 체인지 레버(5)의 일단이 위쪽으로 이동되므로 링크(7)도 위쪽으로 이동된다.
상기 위쪽으로 이동되는 링크(7)의 타단에 결합된 스위치 레버(9)가 회동되어 도면상 위쪽으로 이동되면 상기 보조 스위치(4) 내의 접점은 접속된다.
상기 보조 스위치(4)는 브라켓(10)에 의해 대차부(2) 내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브라켓(10)의 일면에 형성된 결합홀(11)이 장공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결합홀(11)에 체결되는 볼트(12)에 따라 보조 스위치(4)의 높이가 조금씩 다르고, 또한 보조 스위치(4)의 스위치 레버(9) 각도도 조절되므로 상기 보조 스위치(4)가 회동되는 스위치 레버(9)에 의해 작동된다.
그리고, 브라켓(10)의 일측면이 개방된 상태 즉, 자유단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링크(7)가 브라켓(10)의 개방된 일측면을 통해 스위치 레버(9)와 결합됨과 동시에 체인지 레버(5)에 의해 상하로 왕복 이동되는 링크(7)와 상기 링크(7)에 의해 회동되는 스위치 레버(9)가 상기 브라켓(10)과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아 상기 링크(7)와 스위치 레버(9)가 원활하게 동작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진공차단기의 보조 스위치 작동장치는 진공차단기의 투입 및 차단시 체인지 레버의 양측에 결합되어 상하로 왕복 이동하는 링크가 유동될 뿐만 아니라 대차부의 내측면에 브라켓에 의해 고정결합되어 있는 보조 스위치는상기 브라켓의 일측부가 개방됨과 동시에 자유단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투입 및 차단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진공차단기에서 보조 스위치의 유동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진공차단기의 투입 및 차단시 상기와 같은 원인으로 인해 보조 스위치의 스위치 레버가 상기 보조 스위치의 동작범위인 90˚를 정확하게 동작되지 못해 상기 보조 스위치의 접점접촉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기계적인 작동에 의해 보조 스위치 내의 접점을 접속 및 분리시키는 보조 스위치 작동장치의 구조를 변형하여 상기 보조 스위치의 접점이 원활하게 접속 및 분리되도록 하여 상기 보조 스위치의 접점 접촉불량을 완전히 해소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대차부 내에 힌지결합되어 진공차단기가 투입 및 차단시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체인지 레버와, 진공차단기의 투입 및 차단시 기계적인 동작에 의해 작동되면서 접점을 접속 및 분리시키는 보조 스위치와, 상기 보조 스위치에 결합되어 보조 스위치 내의 접점을 접속 및 분리시키도록 체인지 레버의 상하 왕복이동에 따라 회동되는 스위치 레버와, 상기 보조 스위치를 대차부의 내측면에 결합시키도록 일측면이 개방된 브라켓과, 상기 체인지 레버의 일측면에 힌지결합되어 체인지 레버를 따라 상하로 왕복 이동되는 제 1 링크와, 상기 제 1 링크와 일단이 결합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제 2 링크와, 상기 제 2 링크의 타단에 결합되고, 스위치 레버와 결합되어 보조 스위치를 작동시키도록 상하로 이동되는 제 3 링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의 보조 스위치 작동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진공차단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진공차단기의 종래 보조 스위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진공차단기의 종래 보조 스위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진공차단기의 본 고안 보조 스위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a는 진공차단기의 본 고안 보조 스위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정면에서 나타낸 정면도.
도 5b는 진공차단기의 본 고안 보조 스위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측면에서 나타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제 1 링크 102: 제 2 링크
103: 제 3 링크 104: 절곡부
105: 삽입홈 106: 힌지축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4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진공차단기는 종래의 구성에서 언급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구조에 한해서는 종래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키로 한다.
도 4는 진공차단기의 본 고안 보조 스위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a는 진공차단기의 본 고안 보조 스위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정면에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b는 진공차단기의 본 고안 보조 스위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측면에서 나타낸 측면도로써, 본 고안은 대차부(2) 내에 힌지결합되어 진공차단기가 투입 및 차단시 힌지(6)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체인지 레버(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진공차단기의 투입 및 차단시 기계적인 동작에 의해 작동되면서 접점을 접속 및 분리시키는 보조 스위치(4)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 스위치(4)에 결합되어 보조 스위치(4) 내의 접점을 접속 및 분리시키도록 체인지 레버(5)의 상하 왕복이동에 따라 회동되는 스위치 레버(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체인지 레버(5)의 일측면에 힌지결합되어 체인지 레버(5)를 따라 상하로 왕복이동되는 제 1 링크(10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링크(101)와 일단이 결합되어 힌지축(106)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제 2 링크(10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링크(102)의 타단에 결합되고, 스위치 레버(9)와 결합되어 보조 스위치(4)를 작동시키도록 상하로 이동되는 제 3 링크(10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10)의 일측부에 대차부(2)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결합되도록 절곡부(10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인지 레버(5)를 따라 상하로 왕복이동되는 제 3 링크(103)가 삽입되도록 상기 절곡부(104)에 삽입홈(105)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진공차단기가 투입되면 상기 진공차단기의 대차부(2) 내에 설치된 체인지 레버(5)의 일단이 힌지(6)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진공차단기의 하부로 이동되고, 상기 체인지 레버(5)의 일측에 일단이 결합된 제 1 링크(101)도 체인지 레버(5)를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된다.
상기 아래쪽으로 이동되는 제 1 링크(101)의 타단에 결합된 제 2 링크(102)가 힌지축(106)을 중심으로 회동되므로 즉, 상기 제 1 링크(101)와 결합된 제 2 링크(102)의 일단은 아래쪽으로 이동되고, 제 2 링크(102)의 타단은 위쪽으로 이동된다.
상기 위쪽으로 이동되는 제 2 링크(102)의 타단에 제 3 링크(103)의 일단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3 링크(103)는 위쪽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 3 링크(103)가 위쪽으로 이동되므로 상기 제 3 링크(103)의 타단에 결합된 스위치 레버(9)는 위쪽으로 이동되어 상기 스위치 레버(9)에 의해 보조 스위치(4) 내에 설치된 접점은 분리된다.
그리고, 진공차단기가 차단되면 대차부(2) 내의 체인지 레버(5) 일단이 힌지(6)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위쪽으로 이동되고, 상기 체인지 레버(5)의 일단이위쪽으로 이동되므로 상기 체인지 레버(5)의 일측에 결합된 제 1 링크(101)도 위쪽으로 이동된다.
상기 위쪽으로 이동되는 제 1 링크(101)에 의해 제 2 링크(102)가 힌지축(106)을 중심으로 회동되므로 상기 제 2 링크(102)의 타단은 아래쪽으로 이동되고, 상기 아래쪽으로 이동된 제 2 링크(102)의 타단에 의해 상기 제 2 링크(102)에 결합된 제 3 링크(103)도 아래쪽으로 이동된다.
상기 아래쪽으로 이동되는 제 3 링크(103)에 의해 보조 스위치(4)에 결합된 스위치 레버(9)도 아래쪽으로 이동되므로 상기 보조 스위치(4) 내의 접점이 접속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보조 스위치를 지지하는 브라켓의 상하부가 대차부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으므로 진공차단기가 투입 또는 차단될 때 보조 스위치의 접점은 90˚로 정확하게 동작되면서 접속 및 분리되고 이에 따라 상기 보조 스위치의 접점 접촉불량이 완전히 해소되어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대차부 내에 힌지결합되어 진공차단기의 투입 및 차단시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체인지 레버(5)와, 상기 체인지 레버의 회동에 따라 상하 왕복 이동하는 제1링크(101)와, 상기 제1링크의 운동에 따라 회동하는 제2링크(102)와, 상기 제2링크와 보조 스위치의 스위치 레버(9) 사이에 연결되어 보조 스위치를 구동시키는 제3링크(103)와, 상기 보조 스위치를 대차부의 내측면에 결합시키도록 일측면이 개방된 브라켓(10)으로 구성된 진공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개방된 일측부에 대차부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결합되도록 절곡부(104)를 형성하고, 상기 절곡부에 상하로 왕복이동되는 제 3 링크가 삽입되도록 삽입홈(105)을 형성하여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제 3 링크가 체인지 레버의 회동에 따라 상하 왕복 이동하면서 보조 스위치의 스위치 레버를 회동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의 보조 스위치 작동장치.
KR2019970036622U 1997-12-11 1997-12-11 진공차단기의보조스위치작동장치 KR2002290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6622U KR200229099Y1 (ko) 1997-12-11 1997-12-11 진공차단기의보조스위치작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6622U KR200229099Y1 (ko) 1997-12-11 1997-12-11 진공차단기의보조스위치작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183U KR19990024183U (ko) 1999-07-05
KR200229099Y1 true KR200229099Y1 (ko) 2001-07-19

Family

ID=53897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6622U KR200229099Y1 (ko) 1997-12-11 1997-12-11 진공차단기의보조스위치작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909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183U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39499B1 (en) Circuit breaker handle block
KR100512917B1 (ko) 모터보호용 차단기의 핸들구동장치
KR200229099Y1 (ko) 진공차단기의보조스위치작동장치
US6653918B1 (en) Operating mechanism for autorecloser with series disconnector
KR200208223Y1 (ko) 진공차단기의 인터록장치
KR200224238Y1 (ko) 진공차단기의재투입방지장치
KR100269400B1 (ko) 진공차단기용포지션스위치
EP1160818B1 (en) Circuit breaker
KR200202056Y1 (ko) 진공차단기용 인터록 장치
US6900712B2 (en) Circuit breaker
KR200392921Y1 (ko) 배선용 차단기의 회전형 인터록 장치
KR101721106B1 (ko) 회로 차단기
KR100252922B1 (ko) 진공차단기의 접점구동장치
KR200212854Y1 (ko) 진공차단기용 주회로부의 절연장치
KR100269401B1 (ko) 진공차단기의록킹장치
KR200183885Y1 (ko) 고압전류 차단기의 인출 장치
KR200208224Y1 (ko) 진공차단기의 2차 플러그 록킹장치
KR19990049065A (ko) 진공차단기의 온, 오프 조작장치
KR200152573Y1 (ko) 진공차단기의 회로부 구조
KR200164668Y1 (ko) 고압전류 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KR200148129Y1 (ko) 고압차단기의 보조 스위치 작동 장치
KR100262657B1 (ko) 진공차단기의 카운터 조작장치
JP2572356B2 (ja) バイパス開閉器付き電源切り替え開閉装置
JPH0984226A (ja) 引出し形遮断器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KR200311946Y1 (ko) 차단기의 시그널 레버 연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7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