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2921Y1 - 배선용 차단기의 회전형 인터록 장치 - Google Patents

배선용 차단기의 회전형 인터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2921Y1
KR200392921Y1 KR20-2005-0013429U KR20050013429U KR200392921Y1 KR 200392921 Y1 KR200392921 Y1 KR 200392921Y1 KR 20050013429 U KR20050013429 U KR 20050013429U KR 200392921 Y1 KR200392921 Y1 KR 2003929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reaker
interlock device
handle
w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34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기환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34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29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29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29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009Interconnected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20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 H01H9/26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two or more switches

Abstract

본 고안은 배선용 차단기의 회전형 인터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2 개의 배선용 차단기에 회전형 인터록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2개의 배선용 차단기가 동시에 온(ON) 상태가 되지 않도록 하여 회로의 오작동을 방지하고 이상전류의 발생으로 인해 회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용량이나 종류에 따라 결합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크기가 다양하더라도 한가지의 회전형 인터록 장치로써 호환가능케 함으로써 불필요한 인터록 장치의 제작 비용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배선용 차단기의 회전형 인터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선용 차단기의 회전형 인터록 장치{THE ROTARY INTERLOCK DEVICE OF CIRCUIT BREAKER}
본 고안은 배선용 차단기의 회전형 인터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배선용 차단기가 온(ON) 상태가 되면 자동적으로 다른 하나의 배선용 차단기는 오프(OFF) 또는 트립(Trip) 상태로 전환시켜 2개의 배선용 차단기가 동시에 온(ON) 상태가 되지 않도록 하여 회로의 오작동을 방지하고 이상전류의 발생으로 인해 회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용량이나 종류별로 다양한 크기의 배선용 차단기가 결합하여도 한가지의 회전형 인터록 장치로써 호환가능케 하여 인터록 장치의 불필요한 제작 비용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배선용 차단기의 회전형 인터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선용 차단기는 회로의 과부하 및 단락 등의 이상 발생시 회로를 자동으로 차단하여 부하 및 선로를 보호하는 전기기기이다.
이와 같이 배선용 차단기는 이상전류의 발생시 차단기의 인위적인 개폐와는 상관없이 차단기내에서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전류를 차단시켜 주는데 이를 통상의 트립(Trip)이라 하며, 상기 트립 상태 중 순시전류 통과시 발생하는 트립은 차단기에 인가되는 전류가 순간적으로 정격전류의 일정 배율로 인가될 때 이를 감지하여 일정 배율로 적당한 시간에 트립시켜 주는 것을 말하며 이러한 기능을 순시 트립 기능이라 한다.
한편, 배선용 차단기의 인터록 장치는 제 1 배선용 차단기를 통하여 전류가 흐르는 동안은 제 2 배선용 차단기를 통하여서는 전류가 흐르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장치이다. 즉, 제 1 배선용 차단기를 통하여 전류가 공급되는 중에 제 2 배선용 차단기를 통하여 전류가 공급될 필요가 있는 경우, 제 2 배선용 차단기의 핸들을 온(ON)시킴과 동시에 제 1 배선용 차단기의 핸들은 오프(OFF)시키는 장치를 말한다.
첨부한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슬라이드형 인터록 장치가 구비된 배선용 차단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슬라이드형 인터록 장치는 외함을 형성하는 케이스(11)와, 상기 케이스(11)의 상부에 인위적인 조작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핸들(12)과, 상기 핸들(12)의 조작에 따라 연동하며 회로를 기구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기구부(미도시)와, 이상전류 및 사고전류 발생시 이를 검출하여 개폐기구부를 트립시키는 트립기구부(미도시)와, 차단 동작시 접촉자간에 발생하는 아크를 소호시키는 소호부(미도시) 및 상기 케이스(11)의 상부를 개폐 가능하게 복개하는 보조커버(1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배선용 차단기 2개(10a, 10b)를 가로방향으로 나란히 고정결합하는 지지부(14)와, 상기 지지부(14)의 상면에 고정결합되며 그 상단부의 중앙에 가이드 슬릿이 형성되는 가이드 몸체(15)와, 상기 가이드 몸체(15)의 내부에서 가로방향으로 왕복가능하게 결합되는 활주대(16)와, 상기 활주대(16)를 상기 가이드 몸체(15)에 지지하며 상기 활주대(16)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스토퍼(17)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기구부는 핸들에 연결된 어퍼링크에 의해 로우링크가 연동되면서 샤프트를 회동시키도록 구성되는 통상의 개폐기구부로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상기 트립기구부는 이상전류 발생시 전자력이 발생되는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에 의해 작용되며 동작되는 아마츄어와, 상기 아마츄어와 연동되며 개폐기구부를 트립시키는 각종 기구부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상의 트립기구부로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슬라이드형 인터록 장치가 구비된 배선용 차단기는, 제 1 배선용 차단기(10a)를 오프(OFF) 또는 트립(Trip) 상태로 유지하고 제 2 배선용 차단기(10b)는 온(ON) 상태로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활주대(16)를 제 1 배선용 차단기(10a)의 핸들의 이동경로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밀어주고 스토퍼(17)에 의해 고정시키면 제 2 배선용 차단기(10b)는 온(ON) 상태가 되지만 제 1 배선용 차단기(10a)는 핸들의 이동경로를 차단하는 상기 활주대(16)로 인해 온(ON) 상태가 될 수 없다.
그런데, 종래의 슬라이드형 인터록 장치는 작업자가 인위적으로 상기 활주대(16)를 배선용 차단기의 핸들 방향으로 이동시켜야 하므로 작업자가 실수로 온(ON) 상태의 배선용 차단기의 핸들 방향(12)으로 상기 활주대(16)를 이동시켜 놓은 경우 2개의 배선용 차단기가 모두 온(ON) 상태가 됨으로써 회로에 과전류 또는 이상전류가 발생하여 하나의 배선용 차단기의 핸들이 오프(OFF) 또는 트립(Trip) 위치로 이동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상기 활주대(16)의 차단으로 인해 계속 온(ON) 상태가 유지되므로 회로에 과부하가 걸리거나 화재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뿐만 아니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량이나 종류별로 크기가 다른 배선용 차단기(10c)를 결합하는 경우 상기 활주대(16)의 길이가 짧아 배선용 차단기(10c)의 핸들에 미치지 못하고 결국 핸들의 이동경로를 차단하지 못하여 2개의 배선용 차단기가 동시에 온(ON) 상태가 되어 회로에 과전류 또는 이상전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고안한 것으로서, 1개의 배선용 차단기가 온(ON) 상태가 될 경우 자동적으로 나머지 배선용 차단기는 오프(OFF) 또는 트립(Trip) 상태가 될 수 있게 하며, 뿐만 아니라 용량이나 종류별로 크기가 다른 배선용 차단기를 결합하는 경우에도 별도의 인터록 장치를 제작 및 교체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하여 불필요한 제작 비용의 낭비를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외함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인위적인 조작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핸들과, 상기 핸들의 조작에 따라 연동되며 회로를 기구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기구부와, 이상전류 및 사고전류 발생시 이를 검출하여 상기 개폐기구부를 트립시키는 트립기구부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를 복개하는 보조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배선용 차단기 2개를 가로방향으로 나란히 고정결합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일단과 타단이 각각 제 1 배선용 차단기와 제 2 배선용 차단기의 핸들의 이동경로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회전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에 상기 회전 레버가 결합되는 경우, 결합에 의한 회전축을 스토퍼로 구성함으로써 소정 토크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에만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회전 레버는 그 일단까지의 길이를 연장함으로써 용량이나 종류별로 크기가 다른 배선용 차단기가 결합될 경우에도 길이가 다른 별도의 회전 레버로 교체하는 낭비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 레버는 제 1 배선용 차단기와 제 2 배선용 차단기의 핸들의 온(ON) 방향 이동경로에 위치하도록 즉, 핸들의 배면에 접하게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배선용 차단기가 온(ON) 상태가 되면 반드시 다른 배선용 차단기는 오프(OFF) 또는 트립(Trip)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으며, 또한 회로 전체에 과전류 또는 이상전류가 발생하여 2개의 배선용 차단기가 모두 오프(OFF) 또는 트립(Trip) 상태로 전환될 필요가 있을 때 각각의 배선용 차단기의 핸들의 이동경로를 차단하지 않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형 인터록 장치가 구비된 배선용 차단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소형 배선용 차단기가 결합된 경우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형 인터록 장치가 구비된 배선용 차단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대형 배선용 차단기가 결합된 경우이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외함을 형성하는 케이스(31)와, 상기 케이스(31)의 상부에 인위적인 조작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핸들(32)과, 상기 핸들(32)의 조작에 따라 연동되며 회로를 기구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기구부(미도시)와, 이상전류 및 사고전류 발생시 이를 검출하여 상기 개폐기구부를 트립시키는 트립기구부(미도시)와, 상기 케이스(31)의 상부를 복개하는 보조커버(3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선용 차단기(30a, 30b)에 있어서, 상기 배선용 차단기(30a, 30b) 2개를 가로방향으로 나란히 고정결합하는 지지부(34)와, 상기 지지부(34)의 상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회전축(35)과, 상기 회전축(35)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일단과 타단이 각각 제 1 배선용 차단기(30a)와 제 2 배선용 차단기(30b)의 핸들(32)의 이동경로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회전 레버(3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축(35)과 회전 레버(36)의 결합은 스토퍼로 구성함으로써 소정 토크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에만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레버(36)는 상기 회전축(35)으로부터 제 2 배선용 차단기(30b)의 핸들(32)의 이동경로를 차단하는 일단까지의 길이를 연장함으로써 용량이나 종류별로 크기가 다른 배선용 차단기가 결합될 경우에도 길이가 다른 별도의 회전 레버로 교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레버(36)는 제 1 배선용 차단기(30a)와 제 2 배선용 차단기(30b)의 핸들(32)의 온(ON) 방향 이동경로에 위치하도록 즉, 핸들의 배면(37)에 접하게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배선용 차단기가 온(ON) 상태가 되면 반드시 다른 배선용 차단기는 오프(OFF) 또는 트립(Trip)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으며, 또한 회로 전체에 과전류 또는 이상전류가 발생하여 2개의 배선용 차단기가 모두 오프(OFF) 또는 트립(Trip) 상태로 전환될 필요가 있을 때 각각의 배선용 차단기(30a, 30b)의 핸들(32)의 이동경로를 차단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하나의 배선용 차단기가 온(ON) 상태가 되면 자동적으로 다른 하나의 배선용 차단기는 오프(OFF) 또는 트립(Trip)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으며, 용량이나 종류별로 크기가 다른 배선용 차단기가 결합되는 경우라도 별도의 인터록 장치를 제작 및 교체하지 않음으로써 불필요한 제작, 교체 비용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용신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회전형 인터록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하나의 배선용 차단기가 온(ON) 상태가 되면 자동적으로 다른 하나의 배선용 차단기는 오프(OFF) 또는 트립(Trip)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으며, 용량이나 종류별로 크기가 다른 배선용 차단기가 결합되는 경우라도 별도의 인터록 장치를 제작 및 교체하지 않음으로써 불필요한 제작 및 교체 비용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슬라이드형 인터록 장치가 구비된 배선용 차단기로서 소형 배선용 차단기가 결합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슬라이드형 인터록 장치가 구비된 배선용 차단기로서 대형 배선용 차단기가 결합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형 인터록 장치가 구비된 배선용 차단기로서 소형 배선용 차단기가 결합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형 인터록 장치가 구비된 배선용 차단기로서 대형 배선용 차단기가 결합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a : 제 1 배선용 차단기 30b : 제 2 배선용 차단기
31 : 케이스 32 : 핸들
34 : 지지부 36 : 회전 레버
37 : 핸들 배면

Claims (4)

  1. 외함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인위적인 조작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핸들과, 상기 핸들의 조작에 따라 연동되며 회로를 기구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기구부와, 이상전류 및 사고전류 발생시 이를 검출하여 상기 개폐기구부를 트립시키는 트립기구부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를 복개하는 보조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배선용 차단기 2 개를 가로방향으로 고정 결합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일단과 타단이 각각 제 1 배선용 차단기의 핸들과 제 2 배선용 차단기의 핸들의 이동경로를 차단하는 회전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인터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레버는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 스토퍼로써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인터록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레버는 그 일단의 길이를 연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인터록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레버는 제 1 배선용 차단기와 제 2 배선용 차단기의 핸들의 배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인터록 장치.
KR20-2005-0013429U 2005-05-12 2005-05-12 배선용 차단기의 회전형 인터록 장치 KR2003929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429U KR200392921Y1 (ko) 2005-05-12 2005-05-12 배선용 차단기의 회전형 인터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429U KR200392921Y1 (ko) 2005-05-12 2005-05-12 배선용 차단기의 회전형 인터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2921Y1 true KR200392921Y1 (ko) 2005-08-17

Family

ID=43694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3429U KR200392921Y1 (ko) 2005-05-12 2005-05-12 배선용 차단기의 회전형 인터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292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20777A1 (en) * 2021-01-08 2022-07-14 Schneider Electric Industries Sas Locking device for an electrical switchboard
CN117912871A (zh) * 2024-03-18 2024-04-19 德力西电气有限公司 双电源转换开关设备及配电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20777A1 (en) * 2021-01-08 2022-07-14 Schneider Electric Industries Sas Locking device for an electrical switchboard
US11885156B2 (en) * 2021-01-08 2024-01-30 Schneider Electric Industries Sas Locking device for an electrical switchboard
CN117912871A (zh) * 2024-03-18 2024-04-19 德力西电气有限公司 双电源转换开关设备及配电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42066C (en) Rotary contact assembly for high ampere-rated circuit breakers
JP4012226B2 (ja) 配線用遮断器の接触子アセンブリ
EP1039499B1 (en) Circuit breaker handle block
US6403909B1 (en) Trip override for rotary breaker
EP2492944B1 (en) Circuit breaker
EP1544885B1 (en) Handle apparatus for a manual motor starter
US20100108484A1 (en) Contact system, especially for a switchgear
US6222143B1 (en) Positive off toggle mechanism
KR200392921Y1 (ko) 배선용 차단기의 회전형 인터록 장치
EP1515351B1 (en) Circuit breaker handle block
US6806800B1 (en) Assembly for mounting a motor operator on a circuit breaker
JP4232370B2 (ja) 回路遮断器
KR200411524Y1 (ko) 한류형 배선차단기
US6727788B1 (en) Latch mechanism for a circuit breaker
KR200393291Y1 (ko)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 메카니즘
KR101003607B1 (ko) 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
US5043688A (en) Actuator-accessory interface unit for molded case circuit interrupter
KR900006125Y1 (ko) 다극회로 차단기
KR200392920Y1 (ko) 가변핸들 잠금장치가 구비된 배선용 차단기
EP3188210B1 (en) Multi-pole molded case circuit breaker
KR200376452Y1 (ko) 배선용 차단기의 동작상태 표시장치
KR100928931B1 (ko) 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
KR20130070315A (ko) 배선용 차단기의 상태 표시 장치
KR200164668Y1 (ko) 고압전류 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KR200396951Y1 (ko) 회로차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