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6452Y1 - 배선용 차단기의 동작상태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배선용 차단기의 동작상태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6452Y1
KR200376452Y1 KR20-2004-0034743U KR20040034743U KR200376452Y1 KR 200376452 Y1 KR200376452 Y1 KR 200376452Y1 KR 20040034743 U KR20040034743 U KR 20040034743U KR 200376452 Y1 KR200376452 Y1 KR 2003764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state
state display
circuit breaker
opening
closing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47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기환
Original Assignee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347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64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64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64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4Means for indicating condition of the switch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선용 차단기의 동작상태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단기의 동작상태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판별할 수 있게 하며, 차단기 동작상태의 오판(誤判)에 따른 오조작을 미연에 방지하여 기계 또는 설비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배선용 차단기의 동작상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외함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인위적인 조작 가능하게 장착되는 핸들과, 상기 핸들의 조작에 따라 연동되며 전로를 기구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기구부와, 이상전류 및 사고전류 발생시 이를 검출하여 상기 개폐기구부를 트립시키는 트립기구부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를 복개하는 보조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보조커버에 동작상태표시창을 형성하고, 상기 개폐기구부가 동작됨에 따라 연동되며 상기 동작상태표시창을 통해 차단기의 각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동작상태표시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동작상태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배선용 차단기의 동작상태 표시장치{OPERATION STATE DISPLAY DEVICE OF CIRCUIT BREAKER}
본 고안은 배선용 차단기의 동작상태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단기의 동작상태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판별할 수 있게 하며, 차단기 동작상태의 오판(誤判)에 따른 오조작을 미연에 방지하여 기계 또는 설비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배선용 차단기의 동작상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선용 차단기는 선로의 과부하 및 단락 등의 이상 발생시 선로를 자동으로 차단하여 부하 및 선로를 보호하는 전기기기이다.
이와 같이 배선용 차단기는 이상전류의 발생시 차단기의 인위적인 개폐와는 상관없이 차단기내에서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전류를 차단시켜 주는데 이를 통상의 트립(Trip)이라 하며, 상기 트립 상태중 순시전류 통과시 발생되는 트립은 차단기에 인가되는 전류가 순간적으로 정격전류의 일정 배율로 인가될 때 이를 감지하여 일정 배율에 적당한 시간에 트립시켜 주는 것을 말하며 이러한 기능을 순시 트립 기능이라 한다.
첨부한 도 1은 종래 배선용 차단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배선용 차단기(10)는 외함을 형성하는 케이스(20)와, 상기 케이스(20)의 상부에 인위적인 조작 가능하게 장착되는 핸들(30)과, 상기 핸들(30)의 조작에 따라 연동되며 전로를 기구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기구부(도시하지 않음)와, 이상전류 및 사고전류 발생시 이를 검출하여 개폐기구부를 트립시키는 트립기구부(도시하지 않음)와, 차단 동작시 접촉자간에 발생하는 아크를 소호시키는 소호부(도시하지 않음) 및 상기 케이스(20)의 상부를 개폐 가능하게 복개하는 보조커버(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기구부는 핸들에 연결된 어퍼링크에 의해 로우링크가 연동되면서 샤프트를 회동시키도록 구성되는 통상의 개폐기구부로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상기 트립기구부는 이상전류 발생시 전자력이 발생되는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에 의해 작용되며 동작되는 아마츄어와 및 상기 아마츄어와 연동되며 개폐기구부를 트립시키는 각종 기구부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상의 트립기구부로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면부호 41은 차단기에 전원이 투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트립기구부의 동작을 확인하기 위한 트립테스트버튼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배선용 차단기는, 전로에 과전류 또는 단락전류 등과 같은 이상전류 발생 시 트립기구부를 통해 자동적으로 트립될 수 있으며, 또 상기 핸들(30)을 인위적으로 조작하여 강제적으로 트립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는, 차단기의 취부상태에 따라 차단기의 각 동작상태 즉, 차단기의 온(ON)-오프(OFF)-트립(TRIP) 동작상태를 정확히 판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 차단기의 핸들(30)을 인위적으로 조작할 시 차단기 동작상태의 오판(誤判)에 따른 오조작에 의해 기계 또는 설비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어 큰 손실을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고안한 것으로서, 차단기의 동작상태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판별할 수 있게 하며, 차단기 동작상태의 오판(誤判)에 따른 오조작을 미연에 방지하여 기계 또는 설비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배선용 차단기의 동작상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외함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인위적인 조작 가능하게 장착되는 핸들과, 상기 핸들의 조작에 따라 연동되며 전로를 기구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기구부와, 이상전류 및 사고전류 발생시 이를 검출하여 상기 개폐기구부를 트립시키는 트립기구부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를 복개하는 보조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보조커버에 동작상태표시창을 형성하고, 상기 개폐기구부가 동작됨에 따라 연동되며 상기 동작상태표시창을 통해 차단기의 각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동작상태표시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작상태표시부재는, 차단기의 온(ON)-오프(OFF)-트립(TRIP) 동작상태기호가 형성되어 있는 동작상태표시부와; 상기 동작상태표시부에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개폐기구부에 연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동작상태표시부재는, 상기 핸들의 조작방향을 따라 상기 보조커버의 저부에 상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커버에는 상기 동작상태표시부재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가이드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상기 결합부가 통과될 수 있도록 통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기구부에는 결합핀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결합핀이 상기 결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핀결합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동작상태 표시장치를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동작상태 표시장치로서, 동작상태표시부재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동작상태 표시장치로서, 동작상태표시부재의 작동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고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동작상태 표시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동작상태 표시장치가 구비된 배선용 차단기(110)는, 외함을 형성하는 케이스(120)와, 상기 케이스(120)의 상부에 인위적인 조작 가능하게 장착되는 핸들(130)과, 상기 핸들(130)의 조작에 따라 연동되며 전로를 기구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기구부(도시하지 않음)와, 이상전류 및 사고전류 발생시 이를 검출하여 개폐기구부를 트립시키는 트립기구부(도시하지 않음)와, 차단 동작시 접촉자간에 발생하는 아크를 소호시키는 소호부(도시하지 않음)와, 상기 케이스(120)의 상부를 개폐 가능하게 복개하는 보조커버(140) 및 상기 개폐기구부가 동작됨에 따라 연동되며 차단기의 각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본 고안의 동작상태 표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보조커버(140)에는 소정 크기의 동작상태표시창(140a)이 그 두께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있고, 이 보조커버(140)의 저부에는 개폐기구부(150)가 동작됨에 따라 연동되며 동작상태표시창(140a)을 통해 차단기의 각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동작상태표시부재(16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동작상태표시부재(160)는 차단기의 각 동작상태 즉, 차단기의 온(ON)-오프(OFF)-트립(TRIP) 동작상태기호(161a)가 형성되어 있는 판상의 동작상태표시부(161)와, 상기 동작상태표시부(161)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개폐기구부(150)에 연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16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동작상태표시부재(160)는 핸들(130)의 조작방향을 보조커버(140)의 저부에 상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이를 위해 상기 보조커버(140)의 저면에는 동작상태표시부재(160)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가이드부재(142)가 설치되어 있고, 이 가이드부재(142)의 중앙부에는 동작표시부재(160)의 결합부(162)가 통과될 수 있도록 통과부(142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동작상태표시부재(160)의 결합부(162)는 개폐기구부(150)에 일체로 형성된 결합핀(151)을 통해 연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 이를 위해 결합부(162)에는 결합핀(151)이 수용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162a)이 형성되며, 이때 상기 결합공(162a)은 개폐기구부(150)가 동작됨에 따라 도면부호 170과 같이 곡선 궤적을 따라 이동되는 결합핀(151)이 결합부(16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부(16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이 개구된 장공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상기 동작상태표시부재(160)는 개폐기구부(150)가 동작됨에 따라 도 4와 같이 보조커버(140)의 저부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며, 도 5a 내지 도 5c와 같이 차단기의 각 동작상태(온(ON)-오프(OFF)-트립(TRIP))에 맞게 동작상태표시창(140a)을 통해 그에 따른 동작상태기호(161a)가 표시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차단기의 각 동작상태가 동작상태표시창(140a)을 통해 표시되게 함으로써, 작업자가 차단기의 동작상태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판별할 수 있게 하며, 차단기 동작상태의 오판(誤判)에 따른 오조작을 미연에 방지하여 기계 또는 설비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용신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동작상태 표시장치에 의하면, 차단기의 동작상태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판별할 수 있게 하며, 차단기 동작상태의 오판(誤判)에 따른 오조작을 미연에 방지하여 기계 또는 설비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배선용 차단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동작상태 표시장치를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동작상태 표시장치로서, 동작상태표시부재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동작상태 표시장치로서, 동작상태표시부재의 작동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고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동작상태 표시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0 : 케이스 130 : 핸들
140 : 보조커버 140a : 동작상태표시창
142 : 가이드부재 142a : 통과부
150 : 개폐기구부 151 : 결합핀
160 : 동작상태표시부재 161 : 동작상태표시부
161a : 동작상태기호 162 : 결합부
162a : 결합공

Claims (6)

  1. 외함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인위적인 조작 가능하게 장착되는 핸들과, 상기 핸들의 조작에 따라 연동되며 전로를 기구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기구부와, 이상전류 및 사고전류 발생시 이를 검출하여 상기 개폐기구부를 트립시키는 트립기구부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를 복개하는 보조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보조커버에 동작상태표시창을 형성하고, 상기 개폐기구부가 동작됨에 따라 연동되며 상기 동작상태표시창을 통해 차단기의 각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동작상태표시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동작상태 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상태표시부재는, 차단기의 온(ON)-오프(OFF)-트립(TRIP) 동작상태기호가 형성되어 있는 동작상태표시부와; 상기 동작상태표시부에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개폐기구부에 연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동작상태 표시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상태표시부재는, 상기 핸들의 조작방향을 따라 상기 보조커버의 저부에 상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동작상태 표시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커버에는 상기 동작상태표시부재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가이드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동작상태 표시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상기 결합부가 통과될 수 있도록 통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동작상태 표시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구부에는 결합핀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결합핀이 상기 결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핀결합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동작상태 표시장치.
KR20-2004-0034743U 2004-12-07 2004-12-07 배선용 차단기의 동작상태 표시장치 KR2003764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743U KR200376452Y1 (ko) 2004-12-07 2004-12-07 배선용 차단기의 동작상태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743U KR200376452Y1 (ko) 2004-12-07 2004-12-07 배선용 차단기의 동작상태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6452Y1 true KR200376452Y1 (ko) 2005-03-11

Family

ID=43678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4743U KR200376452Y1 (ko) 2004-12-07 2004-12-07 배선용 차단기의 동작상태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645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274B1 (ko) 2008-10-17 2010-08-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
KR101537679B1 (ko) * 2011-12-19 2015-07-2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의 상태 표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274B1 (ko) 2008-10-17 2010-08-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
KR101537679B1 (ko) * 2011-12-19 2015-07-2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의 상태 표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81263C (en) Disconnect switch including fusible switching disconnect modules
JP5070178B2 (ja) スイッチギヤ
EP0308868B1 (en) Enclosed switchboard
JP4012226B2 (ja) 配線用遮断器の接触子アセンブリ
KR20090016342A (ko) 컨택트 온 기구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EP3594986B1 (en) Switching mechanism of circuit breaker
KR200376452Y1 (ko) 배선용 차단기의 동작상태 표시장치
KR200359413Y1 (ko) 바이메탈(열동)식 차단기의 대전류 트립장치
CA1325656C (en) Electrical switching device with cover interlock
JP4852380B2 (ja) 回路遮断器
KR101168257B1 (ko) 전자석 엑츄레이터를 탑재한 전자식 배선용 차단기
JP4851295B2 (ja) 回路遮断器
EP2474993A1 (en) Circuit interruption device and method of assembly
JP4856518B2 (ja) 回路遮断器
JP4921931B2 (ja) 回路遮断器
KR200392921Y1 (ko) 배선용 차단기의 회전형 인터록 장치
KR20130078191A (ko) 배선용 차단기의 부족 전압 트립 장치
KR100978274B1 (ko) 배선용 차단기
US8076600B2 (en) Contact actuating mechanism for switching device
JP4921930B2 (ja) 回路遮断器
KR20130070315A (ko) 배선용 차단기의 상태 표시 장치
KR100914204B1 (ko) 콘택트 온 기구를 가진 배선용 차단기
KR100390460B1 (ko) 누전차단기의 전자장치부 차폐구조
CN202996743U (zh) 电路断路器
KR101045465B1 (ko) 회로차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