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8027Y1 - 기타현 조절기 - Google Patents

기타현 조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8027Y1
KR200228027Y1 KR2019990009359U KR19990009359U KR200228027Y1 KR 200228027 Y1 KR200228027 Y1 KR 200228027Y1 KR 2019990009359 U KR2019990009359 U KR 2019990009359U KR 19990009359 U KR19990009359 U KR 19990009359U KR 200228027 Y1 KR200228027 Y1 KR 2002280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tar string
guitar
rotating rod
fixture
worm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93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1521U (ko
Inventor
강한수
Original Assignee
강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한수 filed Critical 강한수
Priority to KR20199900093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8027Y1/ko
Publication of KR200000215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15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80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8027Y1/ko

Links

Landscapes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정레버(50)에 결합된 웜기어(61)의 회전에 따라 웜휠(70)이 회전하며 회전봉(20)을 회동시켜 기타현(A)을 감거나 풀어 텐션을 조정하는 기타현 조절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회전봉(20)의 상단부에 편심부(24)를 형성하고, 고정홈(11a,11b)이 형성된 고정구(10)를 상기 회전봉(20)에 삽입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되, 상기 편심부(24)와 고정구(10)의 고정홈(11a,11b)에 기타현(A)이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기타현의 고정시 기타현이 이탈되지 않도록 손으로 붙잡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타현 조절기 {A machine head for guitar}
본 고안은 기타현의 텐션을 조정하는 기타현 조절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타현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기타현 조절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타현 조절기는 기타의 헤드에 설치되어 기타현의 일단을 고정하며 조정레버의 회전에 따라 기타현을 감거나 풀어서 텐션을 조정하는 것으로, 종래의 기타현 조절기가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기타현 조절기(100)의 몸체(130)에는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장착공(132)과 조립공(134)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장착공(132)과 조립공(134)은 서로 연통되게 형성되며 장착공(132)에는 기타현을 감거나 풀어서 텐션을 조정하는 회전봉(110)이 설치되고, 조립공(134)에는 회전봉(110)을 회동시키는 레버축(150)이 설치된다.
즉, 레버축(150)의 일단부에는 단턱지게 웜기어(151)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부에는 나선공(153)을 구비한 결합부(15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레버축(150)을 조립공(134)에 삽입하면 웜기어(151)는 조립공(134)내에 위치하고, 결합부(152)는 후방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된 지지부(133)를 통해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와같이 몸체(130)의 외측으로 돌출된 레버축(150)에 와셔(181,182)를 장착한 후, 조정레버(140)에 형성된 결합공(141)에 고정스크류(191)를 삽입하여 상기된 레버축(150)의 나선공(153)에 체결하면 조정레버(140)와 레버축(150)은 몸체(13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한편, 장착공(132)을 형성하며 몸체(130)의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결합부(131)의 내주연에는 나선부(13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선부(131a)의 하단부에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걸림턱(131b)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걸림턱(131b)의 하부에는 레버축(150)의 웜기어(151)에 대응하는 웜휠(160)이 장착된다.
또한, 웜휠(160)의 중앙에는 세레이션부(161)가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봉 (110)의 하단부에도 웜휠(160)의 세레이션부(161)에 대응하는 세레이션부(111)가 단턱지게 형성되어 있고, 아울러 웜휠(160)과 회전봉(110)을 결합하는 고정스크류 (192)를 위한 나선공(112)이 회전봉(11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봉(110)을 장착공(132)에 삽입하여 하단부의 세레이션부(111)를 웜휠(160)의 세레이션부(161)에 압입한 후, 고정스크류(192)로 체결하면 회전봉 (110)과 웜휠(160)은 서로 결합될 뿐만 아니라 걸림턱(131b)에 의해 몸체(13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또한, 덮게(170)로 장착공(132)의 하부를 밀폐시키면 웜휠 (160)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한편, 몸체(130)의 결합부(131)를 기타의 헤드에 형성된 결합공에 삽입하고, 상기 결합부(131)의 나선부(131a)에 대응하는 나선부(121)가 외주연에 형성된 체결구(120)를 와셔(183)를 통해 결합부(131)에 체결하면 기타현 조절기(100)는 기타의 헤드에 고정되는데, 상기 회전봉(110)은 체결구(120)의 중앙에 형성된 결합공(122)에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기타현 조절기(100)에 기타현을 고정하려면 회전봉(110)의 상단부에 형성된 결합공(113)에 기타현을 삽입한 후, 상기 결합공(112)을 통과한 기타현을 손으로 붙잡은 상태에서 조정레버(140)를 회전시켜야 한다. 이와같이 조정레버(140)를 회전시키면 레버축(150)이 회동하고, 레버축(150)의 웜기어(151)와 맞물려 있는 웜휠(160)도 회동하여 회전봉(110)을 회동시킴에 따라 기타현은 회전봉(110)에 감겨 고정되며, 이와같이 상태에서 조정레버(140)를 감거나 풀면 기타현의 텐션이 가변된다.
그러나, 종래의 기타현 조절기는 상기된 것처럼 기타현을 고정하려는 경우에 회전봉에 형성된 결합공에 기타현의 일단을 삽입한 후, 기타현이 결합공으로 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결합공을 통과한 기타현의 단부를 손으로 붙잡은 상태에서 조정레버를 회전시켜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기타현의 고정시 키타현을 손으로 붙잡지 않아도 회전봉에 고정시킬 수 있는 기타현 조절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조정레버에 결합된 웜기어의 회전에 따라 웜휠이 회전하며 회전봉을 회동시켜 기타현을 감거나 풀어 텐션을 조정하는 통상적인 기타현 조절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의 상단부에 편심부를 형성하고, 고정홈이 형성된 고정구를 상기 회전봉에 삽입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되, 상기 편심부와 고정구의 고정홈에 기타현이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홈은 편심부에 의해 형성된 홈부와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고정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기타현 조절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기타현 조절기의 분해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기타현 조절기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
도 4는 종래의 기타현 조절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기타현 조절기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구 11a,11b : 고정홈
20 : 회전봉 24 : 편심부
50 : 조정레버 61 : 웜기어
70 : 웜휠 A : 기타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기타현 조절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기타현 조절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기타현 조절기(1)의 몸체(40)에는 서로 연통되게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장착공(42)과 조립공(44)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장착공(42)에는 기타현을 감거나 풀어서 텐션을 조정하는 회전봉(20)이 설치되고, 조립공(44)에는 회전봉(20)을 회동시키는 레버축(60)이 설치된다.
일단부에는 단턱지게 웜기어(61)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부에는 나선공(63)을 구비한 결합부(62)가 형성된 레버축(60)을 상기 조립공(44)에 삽입하면 웜기어 (61)는 조립공(44)내에 위치하고 결합부(62)는 후방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된 지지부 (43)를 통해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와같이 돌출된 레버축(60)에 와셔(91,92)를 장착한 후, 조정레버(50)에 형성된 결합공(51)에 고정스크류(94)를 삽입하여 상기된 레버축(60)의 나선공(63)에 체결하면 조정레버(50)와 레버축(60)은 몸체(4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한편, 몸체(40)의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결합부(41)의 내주연에는 나선부(4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선부(41a)의 하단부에는 미도시된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걸림턱의 하부에는 웜휠(70)이 레버축(60)의 웜기어(51)와 맞물리게 장착되고, 웜휠(70)의 중앙에 형성된 세레이션부(71)에는 회전봉(20)의 하단부에 단턱지게 형성된 세레이션부(21)가 압입된다.
아울러, 회전봉(20)의 하단부에는 웜휠(70)과 회전봉(20)을 서로 결합하는 고정스크류(95)를 위한 나선공(2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봉(20)을 장착공 (42)에 삽입하여 웜휠(70)의 세레이션부(71)에 압입한 후, 고정스크류(95)로 체결하면 회전봉(20)과 웜휠(70)은 서로 결합될 뿐만 아니라 걸림턱에 의해 몸체(4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덮게(80)로 장착공(42)의 하부를 밀폐시키면 웜휠(70)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상단부에 편심부(24)가 형성된 회전봉(20)에는 기타현을 고정하는 고정구 (1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편심부(24)에 의해 형성된 홈부(26)와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고정홈(11a,11b)이 형성된 고정구(10)를 회전봉(20)에 장착하고 고정나사(96)를 회전봉(20)의 상단부에 형성된 나선공(25)에 체결하면 고정구(10)는 회전봉(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기타의 헤드에 형성된 결합공에 몸체(40)의 결합부(41)를 삽입하고 나선부(31)가 외주연에 형성된 체결구(30)를 와셔(93)를 통해 상기 결합부(41)에 체결하면 기타현 조절기(1)는 기타의 헤드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봉(20)은 체결구 (30)의 중앙에 형성된 결합공(32)에 삽입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기타현 조절기에 기타현을 고정하려면 도 3a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구(10)의 고정홈(11a,11b)과 편심부(24)에 의해 형성된 홈부(26)를 일직선상에 위치시키고 기타현(A)을 삽입한 후, 손잡이부(12)를 잡고 고정구(10)를 회전시키면 도 3b에 도시된 것처럼 회전봉(20)의 편심부(24)와 고정구(10)의 사이에 기타현(A)이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기타현(A)을 고정한 상태에서 조정레버(50)를 회전시키면 레버축(60)이 회동하고, 레버축(60)의 웜기어(61)에 맞물려있는 웜휠(70)도 회동하여 회전봉(20)을 회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회전봉(20)과 고정구(10)가 연동하여 회전하며 기타현(A)을 감거나 풀어 텐션을 가변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회전봉의 상단부에 형성된 편심부에 고정홈이 형성된 고정구를 회동가능하게 장착하고, 고정구의 고정홈과 편심부에 의해 형성된 홈부에 기타현을 삽입한 후, 고정구를 회전시키면 키타현이 고정구와 편심부의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다. 따라서, 기타현이 이탈되지 않도록 손으로 붙잡고 있어야 하는 종래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라면 이로 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할 것이다.

Claims (2)

  1. 조정레버(50)에 결합된 웜기어(61)의 회전에 따라 웜휠(70)이 회전하며 회전봉(20)을 회동시켜 기타현(A)을 감거나 풀어 텐션을 조정하는 통상적인 기타현 조절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20)의 상단부에 편심부(24)를 형성하고, 고정홈(11a,11b)이 형성된 고정구(10)를 상기 회전봉(20)에 삽입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되, 상기 편심부(24)와 고정구(10)의 고정홈(11a,11b)에 기타현(A)이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타현 조절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11a,11b)은 편심부(24)에 의해 형성된 홈부 (26)와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고정구(10)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타현 조절기.
KR2019990009359U 1999-05-29 1999-05-29 기타현 조절기 KR2002280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9359U KR200228027Y1 (ko) 1999-05-29 1999-05-29 기타현 조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9359U KR200228027Y1 (ko) 1999-05-29 1999-05-29 기타현 조절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521U KR20000021521U (ko) 2000-12-26
KR200228027Y1 true KR200228027Y1 (ko) 2001-06-15

Family

ID=54763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9359U KR200228027Y1 (ko) 1999-05-29 1999-05-29 기타현 조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802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521U (ko) 2000-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19106A (en) Quick release derailleur
KR100323891B1 (ko) 코일스프링 경첩의 탄발력 조절장치
KR200228027Y1 (ko) 기타현 조절기
KR200228026Y1 (ko) 기타현 조절기
US6293883B1 (en) Quick release derailleur
KR940010761B1 (ko) 자전거용 브레이크 레버장치
KR200183622Y1 (ko) 기타현 조절기
KR200183621Y1 (ko) 기타현 조절기
KR200183620Y1 (ko) 기타현 조절기
JPS5855419Y2 (ja)
CN218837606U (zh) 堵盖安装工具及电动车
KR100316232B1 (ko) 코일스프링경첩의 탄발력 조절장치
JP2547332B2 (ja) チェーンやベルトなどの緊張装置
JPS6324568Y2 (ko)
KR200320669Y1 (ko) 기타현 조율기
KR950003392Y1 (ko) 관리기용 핸들 고정축의 손잡이 결합구조
JPH09185425A (ja) 合成樹脂製操作装置
KR19990022513U (ko) 해금
KR19990025178U (ko) 선바이저의 장착구조
JPS6138257Y2 (ko)
JPH0524980Y2 (ko)
JPH0310943Y2 (ko)
KR200351540Y1 (ko) 차량용발전기의벨트장력조절장치
KR100316234B1 (ko) 코일스프링 경첩의 탄발력 조절장치
KR200239018Y1 (ko) 코일스프링을 내장한 경첩_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1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