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2513U - 해금 - Google Patents

해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2513U
KR19990022513U KR2019990003814U KR19990003814U KR19990022513U KR 19990022513 U KR19990022513 U KR 19990022513U KR 2019990003814 U KR2019990003814 U KR 2019990003814U KR 19990003814 U KR19990003814 U KR 19990003814U KR 19990022513 U KR19990022513 U KR 1999002251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m
shaft
coin
main body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38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준
Original Assignee
정현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준 filed Critical 정현준
Priority to KR20199900038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2513U/ko
Publication of KR199900225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2513U/ko

Links

Landscapes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율작업이 대단히 수월하고 음이 풀리지 않으며 줄의 소요장을 단축시킬 수 있는 해금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둥(1)의 상단 부근에 주화(2a,b)가 위 아래로 나란히 꽂히고 각 주화(2a,b)에 감긴 줄(3)은 울림통(4)의 지지판(5)에 고정하되 기둥(1)을 관통한 하위 주화용 뿔(6)에 걸친 받침줄(7)를 경유시킨 것에 있어서, 상기 주화(2a,b)를 본체(8)와 노브(9)로 분할하고, 본체(8)에는 향심방향으로 축선이 놓인 얼레실(10)과 축공(20) 및 웜휠실(22)을 형성하며, 상기 얼레실(10)에는 얼레축(12)에 웜휠(13)이 설치된 얼레(11)를 설치하여 축빠짐되지 않도록 하며, 본체(8)의 면중심에는 축공(21)과 웜실(23)을 천공하고, 노브(9)의 면중심에는 웜(17)이 형성된 웜축(16)을 고정하여 상기 축공(21)과 웜실(23)에 설치하되 웜(17)이 웜휠(13)에 접속되어 축빠짐이 방지되도록 구성한 해금이다.

Description

해금{AAAAA}
본 고안은 조율작업이 대단히 수월하고 음이 풀리지 않으며 줄의 소요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게 한 해금에 관한 것이다.
우리 고유의 전통 악기중 하나인 해금은 주화, 즉 손잡이에 감긴 줄을 풀어 내어 그 끝을 울림통에 고정시키고 주화를 돌려서 줄을 풀거나 감아들이는 방법으로 긴장도를 조절하여 조율하도록 되어 있다.
줄은 연주할 때의 떨림과 온도 및 습도의 영향으로 느슨해지기 쉽다. 줄이 느슨해지면 음이 풀려서 제음을 낼 수 없으므로 연주 전에는 반드시 조율을 해야 된다.
그런데, 재래식 해금은 줄의 장력을 받은 주화가 줄이 풀리는 쪽으로 돌아서 줄이 쉽게 풀려버리는 경향이 있어서 장시간의 연주 도중에도 음이 풀리고, 따라서 쉼쉼이 자주 조율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또, 주화가 기둥에 빡빡하게 꽂혔기 때문에 조율시 주화를 수월하게 틀 수 없어 조율이 힘들다. 뿐만아니라 굵은 주화에 줄을 감다보니 줄이 필요 이상 길게 소요되었기에 비경제적이고 모양새도 볼품 사납다.
본 고안은 종래의 해금이 안고 있던 문제점을 해소하여 조율작업이 수월하고 음이 풀리지 않으며 줄의 소요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는 해금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해금의 주화를 본체와 노브로 분리 구성하고, 주화 본체내에서 축에 웜휠을 장착한 얼레를 내장하고 노브에는 웜을 부착하며, 웜휠에 웜이 잇물림되도록 주화 본체와 노브를 결합하여 노브를 일방향으로 돌리면 얼레가 제자리에서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줄을 풀어내고 노브를 상기와는 반대방향으로 틀면 이번에는 얼레가 상기와는 반대방향으로 제자리 회전하여 줄을 감아들이게 해서 조율이 이뤄지도록 구성한 해금을 주된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해금의 정면도
도 2는 주화의 종단측면도
도 3은 주화의 종단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a,b: 주화 3 : 줄
8 : 본체 9 : 노브
10 : 얼레실 11 : 얼레
12 : 얼레축 13 : 웜휠
16 : 웜축 17 : 웜
도 1에서, 기둥(1)의 상단 부근에 2개의 주화(2a,b)가 위 아래로 나란하게 꽂혔고, 각 주화(2a,b)에 감긴 줄(3)을 풀어낸 다음 하단은 울림통(4)의 지지판(5)에 끼워서 묶는 방법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주화(2a,b)에서 조금 떨어진 줄(3) 부위는 기둥(1)을 관통한 뿔(6)에 걸친 받침줄(7)에 걸쳐져서 그 이하 부분으로 하여 금 기둥(1)과 대체로 나란히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이 해금의 전형적인 구조이다.
이러한 해금에 있어서, 상기 주화(2a,b)를 본체(8)와 노브(9)로 분할하고, 본체(8)에 얼레실(10)을 형성하여 줄(3)을 감아두는 얼레(11)를 설치한다.
도 2에서, 얼레실(10)의 뒤쪽 중심에는 축공(20)을 그리고 축공(20)상에는 웜휠실(22)을 형성한다.
얼레(11)는 그 회전중심에 뒤쪽으로 뻗게 얼레축(12)을 꽂고, 이 얼레축(12)의 중간에는 웜휠(13)을 설치한 것이다. 얼레축(12)을 본체(8)의 축공에 꽂았을 때 축설치상태의 안정화를 도모하기 위한 수단을 갖고 있다. 도면에서는 얼레축(12)의 후단에 환턱(14)을 형성하여 본체(8)의 축공 후단에 따로 마련한 턱실(15)에 걸터 앉힌 구조로 나타나 있는데, 이 밖에 얼레축(12)과 축공의 적소에 링홈을 내어 스냅링을 끼워서 지지시키는 방법도 가능하다. 그리고 웜휠(13)은 웜(17)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웜휠실(22)과 턱실(15)의 반경이 축공(20)보다도 크기 때문에 가공 하기가 여의치 않다. 이 점을 고려하여 상기 웜휠실(22)과 턱실(15)은 한쪽이 본체(8)의 분할면(a)에 이르도록 트인 ⊂형으로 형성한다.
도 3에서, 본체(8)를 마주보는 노브(9)의 이면 중심에는 웜(17)이 설치된 웜축(16)을 끼워서 고정한다. 본체(8)의 중심에는 축방향으로 상기한 웜축(16)과 웜(17)을 수용하기 위한 축공(21)과 웜실(23)을 형성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함께 고려할 사항은 웜축(16)을 본체(8)의 축공(21)에 꽂았을 때 축설치상태의 안정을 기하기 위한 수단을 강구하는 것이다. 이 도면에서는 웜축(16)의 후단에 환턱(18)을 형성하여 본체(8)의 축공 후단에 따로 마련한 턱실(19)에 걸터앉힌 구조로 나타나 있다. 이 밖에도 웜축(16)과 축공(21)의 적소에 링홈을 내고 스냅링을 끼워서 지지시키는 방법도 상정할 수 있다.
그리고 턱실(19)의 반경이 축공(21)보다도 크기 때문에 가공하기가 여의치 않다. 이 점을 고려하여 상기 턱실(19)은 외측단이 본체(8)의 이면에 이르도록 트인 ⊂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줄(3)은 얼레(11)에 시계방향으로 감고, 여기서 풀어낸 줄(3)의 후단은 종전대로 받침줄(7)을 경유한 후 지지판(5)에 꿰어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노브(9)를 시계방향으로 틀면 그 회전력이 웜(17)을 거쳐 웜휠(13)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얼레(11)는 제자리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줄(3)을 감아들여서 긴장도를 높인다. 노브(9)를 반시계방향으로 틀 때도 그 회전력은 웜(17)을 거쳐 웜휠(13)에 전달된다. 그러나 이 때는 얼레(1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줄(3)을 풀어서 긴장도를 낮춰준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한 해금은 노브를 죄우로 틀어서 얼레로 하여금 줄을 감아들이거나 풀어주게 해서 조율토록 구성한 것으로서, 얼레를 웜 기어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줄을 주화 둘레에 감아 돌리던 것에 비하면 조율작업에 힘이 훨씬 적게 들어 아주 수월하다. 웜 기어의 구조하에서는 노브를 틀지 않는한 얼레가 멋대로 도는 일이 없어 안정되기에 줄이 함부로 풀리지 않고, 따라서 조율된 음이 풀리지 않아 제소리를 낼 수 있음은 물론 조율작업이 그만큼 편하고 조율횟수도 대폭 줄어든다.
또, 주화의 반경보다는 얼레의 반경이 훨씬 작다. 따라서 공줄의 길이가 그 만큼 줄어들므로 경제적이다.

Claims (1)

  1. 기둥(1)의 상단 부근에 주화(2a,b)가 위 아래로 나란히 꽂히고 각 주화(2a,b)에 감긴 줄(3)은 울림통(4)의 지지판(5)에 고정하되 기둥(1)을 관통한 하위 주화용 뿔(6)에 걸친 받침줄(7)를 경유시킨 것에 있어서, 상기 주화(2a,b)를 본체(8)와 노브(9)로 분할하고, 본체(8)에는 향심방향으로 축선이 놓인 얼레실(10)과 축공(20) 및 웜휠실(22)을 형성하며, 상기 얼레실(10)에는 얼레축(12)에 웜휠(13)이 설치된 얼레(11)를 설치하여 축빠짐되지 않도록 하며, 본체(8)의 면중심에는 축공(21)과 웜실(23)을 천공하고, 노브(9)의 면중심에는 웜(17)이 형성된 웜축(16)을 고정하여 상기 축공(21)과 웜실(23)에 설치하되 웜(17)이 웜휠(13)에 접속되어 축빠짐이 방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금.
KR2019990003814U 1999-03-10 1999-03-10 해금 KR1999002251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814U KR19990022513U (ko) 1999-03-10 1999-03-10 해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814U KR19990022513U (ko) 1999-03-10 1999-03-10 해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513U true KR19990022513U (ko) 1999-07-05

Family

ID=54755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3814U KR19990022513U (ko) 1999-03-10 1999-03-10 해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2513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6436B1 (ko) * 2000-05-22 2003-03-19 조준석 해금
KR100645902B1 (ko) * 2006-01-02 2006-11-23 조준석 장력조절장치
KR100707849B1 (ko) * 2006-03-14 2007-04-17 영동군 악기용 장력조절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6436B1 (ko) * 2000-05-22 2003-03-19 조준석 해금
KR100645902B1 (ko) * 2006-01-02 2006-11-23 조준석 장력조절장치
KR100707849B1 (ko) * 2006-03-14 2007-04-17 영동군 악기용 장력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19404B2 (ja) 弦楽器用糸巻具
US7521615B1 (en) String tension adjustment structure
KR19990022513U (ko) 해금
US20020026864A1 (en) Ukelele tuning machine
US20030188623A1 (en) Device for string instruments
JPH0352079B2 (ko)
US8710339B2 (en) Tuning peg for a stringed instrument
US6078001A (en) Machine head for guitars
KR200226440Y1 (ko) 해금의 현의 장력조절장치
US20060016317A1 (en) String tuning device
JPH0210555Y2 (ko)
KR100539370B1 (ko) 개량 해금
KR200320669Y1 (ko) 기타현 조율기
US6087570A (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vibrato apparatus featuring selective string pitch control
KR200458263Y1 (ko) 현악기 줄감개
US5285709A (en) Machine head for tuning a stringed instrument, especially a guitar or the like
JPS6125027Y2 (ko)
US20060153636A1 (en) Elbow structure of a musical instrument stand
KR100302627B1 (ko) 피아노의 조율장치
KR200346842Y1 (ko) 개량 해금
CN205282078U (zh) 一种电贝司音弦音准调节机构
KR200203416Y1 (ko) 고추지지대
KR100707849B1 (ko) 악기용 장력조절장치
JP4933595B2 (ja) 三味線の糸巻構造
KR100417389B1 (ko) 기타용 현조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