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6436B1 - 해금 - Google Patents

해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6436B1
KR100376436B1 KR10-2000-0027514A KR20000027514A KR100376436B1 KR 100376436 B1 KR100376436 B1 KR 100376436B1 KR 20000027514 A KR20000027514 A KR 20000027514A KR 100376436 B1 KR100376436 B1 KR 100376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chord
ring
sound
haege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7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4085A (ko
Inventor
조준석
Original Assignee
조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준석 filed Critical 조준석
Priority to KR10-2000-0027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6436B1/ko
Publication of KR20000054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4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6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64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02Resonating means, horns or diaphrag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12Anchoring devices for strings, e.g. tail pieces or hitchpi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해금은, 울림통과; 이 울림통에 고정 설치된 줏대와; 울림통의 외측에 연결된 두줄의 현과; 줏대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현의 권취하여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는 현권취수단과; 줏대에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현을 줏대로부터 일정한 간격이 되게 유지하는 현 간격유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울림통에 황토칠을 하였기 때문에 무칠 해금보다 높은 음을 내고, 연주시 음향이 갈라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며, 고운 음색을 내며, 현 간격유지부재에 의해 두줄의 현이 줏대로부터 이격된 거리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음폭을 폭넓게 가변시킬 수 있게된다.

Description

해금{TWO-STRINGED FIDDLE}
본 발명은 해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울림통에 황토칠을 하였기 때문에 무칠 해금보다 높은 음을 내고, 연주시 음향이 갈라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며, 고운 음색을 내며, 현 간격유지부재에 의해 두줄의 현이 줏대로부터 이격된 거리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음폭을 폭넓게 가변시킬 수 있는 해금에 관한 것이다.
해금(奚琴)은 국악기중에 찰현악기로서, 속칭 깡깡이, 깽깽이라고도 한다. 그 구조는 큰 대의 밑뿌리와 해묵고 마디가 촘촘한 오반죽(烏斑竹)을 재료로 하여 몸통을 만들고 여기에 현을 두가닥 연결하며, 말총으로 만든 활을 안줄과 바깥줄 사이에 넣고 문질러서 소리를 내게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종래 기술의 일예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1)의 상단 부근에 주화(2a,b)가 위 아래로 나란히 꽂히고 각 주화(2a,2b)에 감긴 줄(2)은 울림통(4)의 지지판(5)에 고정하되 기둥(1)을 관통한 하위 주화용 뿔(6)에 걸친 받침줄(7)을 경유시킨 것에 있어서, 상기 주화(2a,b)를 본체98)와 노브(9)로 분할하고, 본체(8)에는 향심방향으로 축선이 놓인 얼레실(10)과 축공(20) 및 워휠실(22)을 형성하며, 상기 얼레실(10)에는 얼레축(12)에 웜휠(13)이 설치된 얼레(11)를 설치하여 축빠짐되지 않도록 하며, 본체(8)의 면중심에는 축공(21)과 웜실(23)을 천공하고, 노브(9)의 면중심에는 웜(17)이 형성된 웜축(16)을 고정하여 상기 축공(21)과 웜실(23)에 설치하되 웜(17)이 웜실(13)에 접속되어 축빠짐이 방지되도록 구성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99-22513호가 있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의한 해금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상기 울림통이 무칠이거나 도장용으로 옷칠만 하였기 때문에 음향이 갈라지거나 음색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주화에 감긴 두개의 줄이 받침줄에 의해 항상 고정되어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음폭을 폭넓게 가변시킬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울림통에 황토칠을 하였기 때문에 무칠 해금보다 높은 음을 내고, 연주시 음향이 갈라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며, 고운 음색을 내며, 현 간격유지부재에 의해 두줄의 현이 줏대로부터 이격된 거리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음폭을 폭넓게 가변시킬 수 있는 해금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해금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화의 종단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주화의 종단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금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해금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줏대와 현 간격유지부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현권취수단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울림통
40 : 줏대
50 : 현
60 : 현권취수단
70 : 현 간격유지부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해금은, 울림통과; 이 울림통에 고정 설치된 줏대와; 울림통의 외측에 연결된 두줄의 현과; 줏대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현의 권취하여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는 현권취수단과; 줏대에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현을 줏대로부터 일정한 간격이 되게 유지하는 현 간격유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해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금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해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줏대와 현 간격유지부재의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현권취수단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금은 크게 울림통(30)과, 줏대(40)와, 현(50)과, 현권취수단(60)과, 현 간격유지부재(70)로 이루어진다.
상기 울림통(30)은 오래된 대나무 뿌리를 양단부가 개방된 통형상으로 가공하여 장시간 삶은 다음, 고운 분말로된 황토를 정제하여 6~7회정도 걸쳐 2mm 이상의 두께로 도포하며, 이후에 옷칠을 한 다음 개방된 양단부중 어느 한 단부에 복판(31)을 부착하는 과정을 거쳐 완성된다.
상기와 같은 공정에 따라 완성된 울림통(30)은, 장시간 동안 삶았기 때문에 자체 변형과 갈라지는 것이 방지되고, 황토에 의해 외력이 가해진 경우 깨지는 것이 방지됨과 아울러 습기와 좀으로부터 보호되며, 옷칠에 의해 외관상 미려하게 된다.
또한, 황토에 의해 음이 새는 것이 방지되고, 음이 고와지며, 황토 무게에 의해 자체 중량이 많이 나가 무게 중심을 잡아 해금을 안정감 있게 연주할수가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울림통(30)은 전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로 하지 않고, 황토를 반죽하여 건조한 후에 고온의 가마에서 구워서된 도자기로도 할수 있다.
상기 줏대(40)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그 일단부가 울림통(30)에 고정 설치되며, 그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줏대(40)의 단면을 타원형으로 형성하는 이유는 연주자의 취부시 불편한 점을 느끼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 상기 줏대(40)와 울림통(30)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울림통(30)에는 내부 울림통로에 대해 직각으로 상하 삽입공(32)이 각각 형성되고, 이 상하 삽입공(32)에는 소정 길이를 갖는 지지봉(33)이 삽입되어 울림통(30)의 외부로 양단이 돌출되게 설치되며, 이 지지봉(33)의 일단은 상기 줏대(40)의 일단부내로 압입되며, 상기 지지봉(33)의 타단은 울림통(30)의 외측에 부착되는 감잡이(34)에 고정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감잡이(34)에는 지지봉(33)이 삽입되는 삽입공(34a)이 형성되며, 이 삽입공(34a)에 삽입되는 지지봉(33)의 단부측 외주연에는 상기 삽입공(34a)의 내측벽이 끼워져 걸리는 걸림홈(33a)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짐으로써, 줏대(40)는 지지봉(33)을 매개로 울림통(30)에 고정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감잡이(34)는 지지봉(33)의 걸림홈(33a)에 걸려진 상태로 울림통(30)에 부착된다.
상기 울림통(30)의 외측에 부착되는 감잡이(34)의 일단부에는 상기 두줄의 현(50)의 일단부를 삽입하여 매듭을 형성하기 위한 매듭공(34b)이 형성된다.
상기 현권취수단(60)은 소정 형상을 갖는 케이스(61)와, 이 케이스(61)의 내부에 설치되어 치차 결합되는 웜(62) 및 웜휠(63)과, 케이스(61)를 관통하여 웜(62)에 연결 설치되는 조작봉(64)과, 케이스(61)를 관통하여 웜휠(63)에 연결 설치되어 조작봉(64)의 조작에 의해 현(50)이 감기거나 풀리는 얼레(65)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현권취수단(60)은 울림통(30)의 반대측에 해당되는줏대(40)의 소정 위치에 수납 고정 설치된다.
이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줏대(40)에는 현 권취수단(60)을 구성하는 케이스(61)가 삽입되도록 삽입홈(41)이 상하로 소정 간격 떨어지게 한쌍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61)가 삽입홈(41)에 삽입될때 상기 얼레(65)가 줏대(4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삽입홈(41)과 연통되는 연통홈(42)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61)가 삽입홈(41)에 삽입되면, 상기 조작봉(64)이 줏대(40)의 외부로 돌출된다.상기 연통홈(4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얼레(65)도 배치 상태로 서로 반대 방향이 되는 것이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66은 상기 조작봉(64)과 연결 설치되는 조작 노브이다.
상기와 같이 줏대(40)에 현권취수단(60)을 설치하여, 조작 노브(66)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웜(62)과 웜휠(63)의 치차 결합 작용에 의해 얼레(65)는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한편, 상기 두줄의 현(50)의 일단은 상기 감잡이(34)에 형성된 매듭공(34b)에 매듭지어 지며, 상기 현(50)의 타단은 현 권취수단(60)을 구성하는 얼레(65)에 각각 고정되어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현(50)을 상기 줏대(40)로부터 일정한 간격이 되게 유지하는 현 간격유지부재(70)가 상기 줏대(40)에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현 간격유지부재(70)는, 일단부에 상기 줏대(40)가 삽입되는 삽입공(71)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두줄의 현(50)이 안착되는 안착홈(72)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현 간격유지부재(70)를 줏대(40)에 구비함으로써, 양단이 각각감잡이(34)와 현 권취수단(60)을 구성하는 얼레(65)에 고정 설치된 현(50)을 줏대(40)로부터 일정한 간격이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현 간격유지부재(70)를 울림통(30)으로부터 멀어지게 상기 줏대(4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현(50)은 줏대(40)와 간격이 커지게 되며, 현 간격유지부재(70)를 울림통(30)으로부터 가까워지게 상기 줏대(4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현(50)은 줏대(40)와 간격이 좁아지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연주시 음폭을 가변시킬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현 간격유지부재(70)를 줏대(4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시킨후에는 현(50)의 팽팽한 상태를 보아 느슨할 경우에는 현 권취수단(60)을 구성하는 조작 노브(66)를 조작한다.
한편, 상기 현 간격유지부재(70)를 줏대(40)에 그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구조에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연주시 현 간격유지부재(70)가 현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도록 별도의 고정수단을 구비할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고정수단으로는 줏대(40)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현 간격유지부재(70)에 나사공(73)을 형성하고, 이 나사공(73)에 고정 볼트(74)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현 간격유지부재는 줏대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되어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해금을 연주하여 본 결과 울림통에 황토를 칠했기 때문에 무칠해금에 비하여 5~6데시벨 더 높게 나타났으며, 본 고안의 울림통을 황토를 반죽하여 고오의 가마에서 구운 제작한 도자기로 하였을 경우 무칠해금에 비하여 5~6데시벨 더 높게 나타났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해금에 따르면, 울림통에 황토칠을 하였기 때문에 무칠 해금보다 높은 음을 내었고, 연주시 음향이 갈라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며, 고운 음색을 내게 된다.
또한, 현 간격유지부재에 의해 두줄의 현이 줏대로부터 이격된 거리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음폭을 폭넓게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울림통(30)과;
    상기 울림통(30)에 고정 설치된 줏대(40)와;
    상기 울림통(30)의 외측에 감잡이(34)를 매개로 하여 일단측이 연결되는 두줄의 현(50)과;
    일정 간격 이격되게 상기 줏대(40)의 내부로 삽입 설치되는 한쌍의 케이스(61)와, 상기 케이스(61)의 각각의 내부에 설치되어 치차 결합되는 웜(62) 및 웜휠(63)과, 상기 케이스(61)를 관통하여 상기 웜(62)에 연결 설치되는 조작봉(64)과, 상기 조작봉(64)과 고정 연결되는 조작 노브(66)와, 상기 케이스(61)를 관통하여 상기 웜휠(63)에 연결되어 상기 줏대(40)의 외측면에 그 위치가 서로 반대 방향이 되도록 돌출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조작 노브(66)의 조작에 의해 상기 현(50)의 타단측이 감겨지거나 풀려지는 한쌍의 얼레(65)로 이루어지며, 상기 줏대(40)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현(50)을 권취하여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는 현권취수단(60)과;
    일단부에 상기 줏대(40)가 삽입되는 삽입공(71)이 형성되고, 타단부에 상기 현(50)이 안착되는 한쌍의 안착홈(72)이 형성되어 상기 줏대(40)에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함과 아울러 상기 현(50)을 상기 줏대(40)로부터 일정한 간격이 되게 유지하는 현 간격유지부재(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울림통(30)의 외측면에는 황토가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울림통(30)은 도자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금.
KR10-2000-0027514A 2000-05-22 2000-05-22 해금 KR100376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7514A KR100376436B1 (ko) 2000-05-22 2000-05-22 해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7514A KR100376436B1 (ko) 2000-05-22 2000-05-22 해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4085A KR20000054085A (ko) 2000-09-05
KR100376436B1 true KR100376436B1 (ko) 2003-03-19

Family

ID=19669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7514A KR100376436B1 (ko) 2000-05-22 2000-05-22 해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64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1387A (ko) * 2002-11-11 2004-05-17 김동수 무기질 첨가물을 함유하는 현악기용 공명판과 그 제작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5718U (ko) * 1994-02-28 1995-09-18 최지애 해금
KR19990022513U (ko) * 1999-03-10 1999-07-05 정현준 해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5718U (ko) * 1994-02-28 1995-09-18 최지애 해금
KR19990022513U (ko) * 1999-03-10 1999-07-05 정현준 해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1387A (ko) * 2002-11-11 2004-05-17 김동수 무기질 첨가물을 함유하는 현악기용 공명판과 그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4085A (ko) 2000-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531815T2 (de) Schalldämpfer, befestigt an einem Blechblasinstrument ohne Änderung der Tonhöhe
DE3843050C2 (de) Elektrischer Akustikwandler
US6639134B2 (en) High flow stringed instrument sound hole
EP1249015B1 (en) Whistle with several chambers
KR100376436B1 (ko) 해금
EP3050050B1 (en) Tuning mechanism
EP0798692A2 (en) Peg for stringed instruments
CA1126993A (en) Combination drum tuning key and cymbal holder
US4151778A (en) Multi-ratio quick adjusting machine head for guitar tuning
US3937116A (en) Tenor trombone construction
US2226536A (en) Octave vent for musical wind instruments
US4037506A (en) Strings for musical instruments
KR100539370B1 (ko) 개량 해금
US5272951A (en) Tube shekere
US6307137B1 (en) Adjustable cymbal stand
KR200346842Y1 (ko) 개량 해금
JP2002505014A (ja) ブロック打楽器
US20080229896A1 (en) Electric guitar
US583077A (en) oliyeri
CN217214123U (zh) 一种简易加键普及型唢呐
CN109887477B (zh) 古筝琴乐器音腔阻音量调节机构
CN210295876U (zh) 一种广钹的调校装置
KR19990022513U (ko) 해금
CN109243410B (zh) 一种多功能乐器
KR200328993Y1 (ko) 현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