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263Y1 - 현악기 줄감개 - Google Patents

현악기 줄감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263Y1
KR200458263Y1 KR2020100003160U KR20100003160U KR200458263Y1 KR 200458263 Y1 KR200458263 Y1 KR 200458263Y1 KR 2020100003160 U KR2020100003160 U KR 2020100003160U KR 20100003160 U KR20100003160 U KR 20100003160U KR 200458263 Y1 KR200458263 Y1 KR 2004582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accommodating
pressure plate
bobbin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31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9374U (ko
Inventor
조준석
Original Assignee
박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연 filed Critical 박기연
Priority to KR20201000031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263Y1/ko
Publication of KR201100093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3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2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26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14Tuning devices, e.g. pegs, pins, friction discs or worm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05Set screws; Lock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현악기에 사용되는 줄에 일정한 장력으로 당겨주는 줄감개에 관한 것으로, 현악기에 고정된 줄감개에 줄을 묶어 고정하고 줄감개를 회전시켜 원하는 음높이를 맞추는 현악기 줄감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며, 상단에 내부가 함입되어 형성된 제 1 수용부와 하단에 내부가 함입되어 형성된 제 2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수용부와 상기 제 2 수용부를 연통시키는 관통홀이 상기 제 1 수용부와 상기 제 2 수용부사이에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하단에 수나사부가 형성되는 제 1 회전축과, 상기 제 1 회전축의 상단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제 1 수용부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지지대와, 둘레면을 관통하는 고정홀이 상기 제1 장력조절부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 2 회전축과, 상기 제 2 회전축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1 회동부를 구비하는 조율수단; 상기 수나사부와 체결되도록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제 2 회동부와, 상기 제 2 수용부와 제 1 회전축 사이에 밀착 끼움되도록 상기 제 2 회동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밀착 끼움대를 구비하는 체결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 줄감개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현악기 줄감개는 외부가 다각형 형상으로써 현악기에 장착되는 고정력이 향상되고, 몸체 내부에 송진을 주입하여 역회전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내부에 압력판을 구비하여 회전토크가 향상되고, 줄감개의 회전토크를 조절하여 다양한 현악기에 적용이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Description

현악기 줄감개{String tuning peg}
본 고안은 현악기에 사용되는 줄에 일정한 장력으로 당겨주는 줄감개에 관한 것으로, 현악기에 고정된 줄감개에 줄을 묶어 고정하고 줄감개를 회전시켜 원하는 음높이를 맞추는 현악기 줄감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악기란 현을 발음체로 하여 음을 내는 악기이다. 현악기는 다수개의 현을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현은 현악기의 특성에 따라 그 음색과 음높이가 다르다. 각각의 현은 줄굵기나 현의 장력의 세기에 따라서 그 음색과 음높이가 다르다. 따라서, 현악기를 연주하기전에는 현을 일정한 장력으로 잡아당기는 즉, 현악기의 특성에 맞는 음정를 맞추기 위한 방법인 조율을 항상 해야하고, 현악기 조율장치인 줄감개를 회전하여 각각의 현의 장력을 조절하고 현악기의 특성에 맞는 음정을 맞추어 연주를 해야 한다. 이러한 현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치인 줄감개는 일반적으로 현악기 몸체에 고정이 되어 있다.
현악기를 장시간 연주를 하거나 시간이 지나면 현악기의 현의 장력에 의하여 줄감개는 서서히 풀려 연주를 할 때 마다 자주 음정을 맞추어 주는 불편함이 발생되었고, 일반적인 줄감개는 현악기에 나사를 고정하여 회전하여 음정을 맞추거나 또는 나무쐐기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법으로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줄감개는 한번 파손이되면 교체되는 비용과 시간적 낭비가 상당히 요구되고 있으며, 교체하는 방법 또한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현악기에 설치된 줄감개의 역회전을 방지하여 자주 음정을 맞추는 불편함을 방지하였다.
또한 현의 굵기에 따라서, 줄감개의 회전토크를 조절하고, 누구나 손쉽게 현의 장력을 조절하며, 줄감개가 파손되었을 때 교체방법이 편리한 현악기 줄감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며, 상단에 내부가 함입되어 형성된 제 1 수용부(110)와 하단에 내부가 함입되어 형성된 제 2 수용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수용부(110)와 상기 제 2 수용부(120)를 연통시키는 관통홀(130)이 상기 제 1 수용부(110)와 상기 제 2 수용부(120) 사이에 형성되는 몸체(100); 상기 몸체(100)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하단에 수나사부(210)가 형성되는 제 1 회전축(220)과, 상기 제 1 회전축(220)의 상단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제 1 수용부(110)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지지대(230)와, 둘레면을 관통하는 고정홀(240)이 상기 제1 장력조절부(110)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대(230)의 상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 2 회전축(250)과, 상기 제 2 회전축(250)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1 회동부(260)를 구비하는 조율수단(200); 상기 수나사부(210)와 체결되도록 내주면에 암나사부(310)가 형성된 제 2 회동부(320)와, 상기 제 2 수용부(120)와 제 1 회전축(220) 사이에 밀착 끼움되도록 상기 제 2 회동부(320)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밀착 끼움대(330)를 구비하는 체결부(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 줄감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용부(110)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관통홀(130)의 상단에 연결되는 제 1 턱부(110-1)가 형성되고, 상기 조율수단(200)의 회전토크를 조절 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회전축(250)의 둘레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압력판(400)이 끼워져 상기 지지대(230)와 상기 제 1 턱부(110-1)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용부(120)의 상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관통홀(130)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 2 턱부(120-1)가 형성되고, 상기 조율수단(200)의 회전토크를 조절 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회전축(220)의 둘레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압력판(500)이 끼워져 상기 밀착 끼움대(330)와 상기 제 2 턱부(120-1)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제 1 압력판(400)과 상기 제 2 압력판(500)은 상기 조율수단(200)의 역회전 방지를 위하여 Frusto-conical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용부(110) 및 상기 제 2 수용부(120)에는 상기 제 1 압력판(400)과 상기 제 2 압력판(500)의 마모방지를 위하여 내부에 각각 송진이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가 현악기에 삽입 체결될 때 상기 몸체(10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100)의 외주면은 다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현악기 줄감개는 외부가 다각형 형상으로써 현악기에 장착되는 고정력이 향상되고, 몸체 내부에 송진을 주입하여 역회전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내부에 압력판을 구비하여 회전토크가 향상되고, 줄감개의 회전토크를 조절하여 다양한 현악기에 적용이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현악기 줄감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현악기 줄감개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현악기 줄감개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현악기 줄감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은 첨부된 예시도면으로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술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현악기 줄감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현악기 줄감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현악기 줄감개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현악기 줄감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몸체(100)를 갖는다. 몸체(100)의 상단에는 제 1 수용부(110)가 형성된다. 제 1 수용부(110)는 몸체(100)의 상단에서 하단방향으로 내부가 일정길이 함입되어 형성된다. 몸체(100)의 하단에는 제 2 수용부(120)가 형성된다. 제 2 수용부(120)는 몸체(100)의 하단에서 상단방향으로 내부가 일정길이 함입되어 형성된다. 제 1 수용부(110)와 제 2 수용부(120)사이에는 관통홀(130)이 형성된다. 관통홀(130)은 제 1 수용부(110)와 제 2 수용부(120)를 상호 연통하며 형성된다. 따라서 몸체(100)는 일정한 내경을 갖는 형상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제 1 수용부(110)의 하단에는 제 1 턱부(110-1)가 형성된다. 제 1 턱부(110-1)는 몸체(100)의 내주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2 수용부(120)의 상단에는 제 2 턱부(120-1)가 형성된다. 제 2 턱부(120-1)는 몸체(100)의 내주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제 1 턱부(110-1)는 관통홀(130)의 상단에 형성되고 제 2 턱부(120-2)는 관통홀(130)의 하단에 형성된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몸체(100)에 끼워져 회전하는 조율수단(200)을 갖는다. 조율수단(200)은 제 1 회전축(220)과 제 2 회전축(250)을 갖는다. 제 1 회전축(220)의 하단에는 수나사부(210)가 형성되며, 제 1 회전축(220)의 상단에는 지지대(230)가 제 1 회전축(220)과 일체로 형성된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지지대(230)는 제 1 회전축(220)을 중심으로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돌출 형성되며 제 1 수용부(110)와 결합된다. 지지대(230)의 상단에는 제 2 회전축(250)이 연장 형성된다. 제 2 회전축(250)에는 고정홀(240)이 형성되는데 고정홀(240)은 제 2 회전축(250)의 둘레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제 2 회전축(250)의 상단에는 제 1 회동부(260)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조율수단(200)은 제 1 회전축(220)과 제 2 회전축(250)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제 1 수용부(110)와 지지대(230)사이에는 제 1 압력판(400)이 구비된다. 제 1 압력판(400)은 제 1 회전축(220)의 둘레면에 끼워져 제 1 턱부(110-1)에 안착된다. 제 1 압력판(400)은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되어 제 1 턱부(110-1)에 위치한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제 2 수용부(120)의 내부에는 제 2 압력판(500)이 구비된다. 제 2 압력판(500)은 제 1 수용부(110)에 끼워져 관통홀(130)을 지나 제 2 수용부(120)로 이동된 제 1 회전축(220)과 끼워져 결합된다. 제 2 압력판(500)은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되어 제 2 수용부(120)에 위치한다.
도 3 를 참조하면 제 1 압력판(400)과 제 2 압력판(500)은 Frusto-conical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단지름이 하단으로 내려올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상이다. 제 1 압력판(400)과 제 2 압력판(500)은 조율수단(200)의 역회전 방지를 위하여 제 1 수용부(110)와 제 2 수용부(120)의 내부에 구비된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조율수단(200)과 체결되는 체결부(300)가 구비된다. 체결부(300)는 내주면에 암나사부(310)가 형성된 제 2 회동부(320)를 갖는다. 제 2 회동부(320)의 상단에는 밀착 끼움대(330)가 제 2 회동부(320)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다. 밀착 끼움대(330)의 내주면에는 제 1 회전축(220)이 밀착되어 끼워지고, 밀착 끼움대(330)의 외주면은 제 2 수용부(120)의 내주면에 밀착 되어 끼워진다. 이때 제 2 수용부(120)의 내부에 구비된 제 2 압력판(500)은 밀착 끼움대(330)의 상단과 마주보여 제 2 턱부(120-1)에 안착된다. 따라서, 제 1 회전축(220)에 형성된 수나사부(210)와 제 2 회동부(320)에 형성된 암나사부(310)는 결합되고 조율수단(200)과 체결부(300)는 끼워져 체결된다.
따라서, 도 2 를 참조하면 제 1 수용부(110)는 지지대(230)의 지름과 동일한 지름을 갖는 내경(D1)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수용부(120)는 밀착 끼움대(330)의 지름과 동일한 지름을 갖는 내경(D2)으로 형성되고, 관통홀(130)은 제 1 회전축(220)과 동일한 지름을 갖는 내경(d)를 갖도록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4 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몸체(100)에 끼워진 조율수단(200)은 체결부(300)에 의해 체결된다. 몸체(100)는 다양한 현악기의 현의 개수에 따라 다수개 설치되며, 고정홀(240)에 현악기에 사용되는 현이 끼워져 고정된다. 현악기의 현에는 각각의 고유한 음정이 있는데 그 음을 내기 위해선 현의 장력을 조절하여 음정을 조절한다. 고정홀(240)에 고정된 현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제 1 회동부(260)을 회전시켜 현의 장력을 조절한다.
도 2 를 참조하면 제 1 수용부(110)와 제 2 수용부(120)의 내부에는 제 1 압력판(400)과 제 2 압력판(500)이 다수개 구비되는데, 제 1 압력판(400)과 제 2 압력판(500)의 개수에 따라서 조율수단(200)의 회전토크를 조절한다. 이는 현악기에 사용되는 현의 굵기에 따라서 각각의 회전토크를 조절하기 위함이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제 1 수용부(110) 및 상기 제 2 수용부(120)의 내부에는 송진이 주입된다. 송진은 본 고안의 현악기 줄감개를 장기간 사용할 때 발생되는 제 1 압력판(400)과 상기 제 2 압력판(500)의 마모방지를 위하여 내부에 주입된다. 송진은 일정한 열이 전달되면 점성이 약해지고 열이 식으면 점성이 강해지는 성질을 가진다. 따라서 음정을 조율후 현의 장력에 의하여 조율수단(200)이 풀리는 현상을 방지한다. 제 1 수용부(110) 및 상기 제 2 수용부(120)의 내부에 주입되는 물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갖는 물질이라면 그 어떠한 것을 써도 무방하다.
도 1 및 도 4 를 참조하면 몸체(100)의 외주면은 다각형 형상이다. 조율수단(200)을 회전할 때 현악기에 설치된 몸체(100)가 조율수단(200)에 작용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몸체(100)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조율수단(200)은 좌우측 어느 방향으로도 무한 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조율수단(200)은 제 1 회동부(260)을 회동시킴으로써 회전하는데, 제 1 회동부(260)는 렌치나 스페너를 이용하여 회전시킨다. 그러나 제 1 회동부(260)의 형상을 나비볼트 형상으로 형성하면 사용자가 손으로 쉽게 조율수단(200)을 회전시켜 음정을 조율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0 : 몸체 110 : 제 1 수용부
110-1 : 제 1 턱부 120 : 제 2 수용부
120-1 : 제 2 턱부 130 : 관통홀
200 : 조율수단 210 : 수나사부
220 : 제 1 회전축 230 : 지지대
240 : 고정홀 250 : 제 2 회전축
260 : 제 1 회동부 300 : 체결부
310 : 암나사부 320 : 제 2 회동부
330 : 밀착 끼움대 400 : 제 1 압력판
500 : 제 2 압력판

Claims (6)

  1.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며, 상단에 내부가 함입되어 형성된 제 1 수용부(110)와 하단에 내부가 함입되어 형성된 제 2 수용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수용부(110)와 상기 제 2 수용부(120)를 연통시키는 관통홀(130)이 상기 제 1 수용부(110)와 상기 제 2 수용부(120) 사이에 형성되는 몸체(100);
    상기 몸체(100) 내부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하단에 수나사부(210)가 형성되는 제 1 회전축(220)과, 상기 제 1 회전축(220)의 상단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제 1 수용부(110)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지지대(230)와, 둘레면을 관통하는 고정홀(240)이 상기 제 1 수용부(110)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대(230)의 상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 2 회전축(250)과, 상기 제 2 회전축(250)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 1 회동부(260)를 구비하는 조율수단(200);
    상기 수나사부(210)와 체결되도록 내주면에 암나사부(310)가 형성된 제 2 회동부(320)와, 상기 제 2 수용부(120)와 제 1 회전축(220) 사이에 밀착 끼움되도록 상기 제 2 회동부(320)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밀착 끼움대(330)를 구비하는 체결부(3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 줄감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용부(110)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관통홀(130)의 상단에 연결되는 제 1 턱부(110-1)가 형성되고,
    상기 조율수단(200)의 회전토크를 조절 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회전축(250)의 둘레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압력판(400)이 끼워져 상기 지지대(230)와 상기 제 1 턱부(110-1)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 줄감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용부(120)의 상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관통홀(130)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 2 턱부(120-1)가 형성되고,
    상기 조율수단(200)의 회전토크를 조절 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회전축(220)의 둘레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압력판(500)이 끼워져 상기 밀착 끼움대(330)와 상기 제 2 턱부(120-1)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 줄감개.
  4. 제 2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 에 있어서,
    상기 제 1 압력판(400)과 상기 제 2 압력판(500)은 상기 조율수단(200)의 역회전 방지를 위하여 Frusto-conical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 줄감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용부(110) 및 상기 제 2 수용부(120)에는 상기 제 1 압력판(400)과 상기 제 2 압력판(500)의 마모방지를 위하여 내부에 각각 송진이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 줄감개.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가 현악기에 삽입 체결될 때 상기 몸체(10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100)의 외주면은 다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 줄감개.
KR2020100003160U 2010-03-26 2010-03-26 현악기 줄감개 KR2004582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160U KR200458263Y1 (ko) 2010-03-26 2010-03-26 현악기 줄감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160U KR200458263Y1 (ko) 2010-03-26 2010-03-26 현악기 줄감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374U KR20110009374U (ko) 2011-10-05
KR200458263Y1 true KR200458263Y1 (ko) 2012-02-29

Family

ID=45939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3160U KR200458263Y1 (ko) 2010-03-26 2010-03-26 현악기 줄감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263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874U (ko) * 1998-07-30 2000-02-25 오민선 기타의 줄감개집과 보조기구
WO2000023980A1 (en) 1998-10-20 2000-04-27 Palecki Thomas L Musical instrument string winder
KR100650513B1 (ko) 2005-07-12 2006-11-29 한 수 강 현악기용 줄감개
KR100733204B1 (ko) 2001-05-02 2007-06-27 고토 갓토 유겐가이샤 현악기용 줄감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874U (ko) * 1998-07-30 2000-02-25 오민선 기타의 줄감개집과 보조기구
WO2000023980A1 (en) 1998-10-20 2000-04-27 Palecki Thomas L Musical instrument string winder
KR100733204B1 (ko) 2001-05-02 2007-06-27 고토 갓토 유겐가이샤 현악기용 줄감개 장치
KR100650513B1 (ko) 2005-07-12 2006-11-29 한 수 강 현악기용 줄감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374U (ko) 2011-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1092B2 (en) Tensioning system for vibrating membranes
US5372057A (en) Musical instrument string attachment means
JP2819404B2 (ja) 弦楽器用糸巻具
US9940911B2 (en) Sound post, sound post tool set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ound post into a stringed instrument
US7521615B1 (en) String tension adjustment structure
US7394005B1 (en) Anchor for musical instrument strings and method for installing the anchor
CN102483910B (zh) 用于对弦乐器例如吉他或类似乐器调音的装置及方法
KR200458263Y1 (ko) 현악기 줄감개
US8203063B2 (en) Portable tuning apparatus
JPS5840757B2 (ja) ドラム調整用キ−兼シンバル保持具
US4077295A (en) Fine tuning peg
US8093475B1 (en) Tuning device
US2029134A (en) Tightening device
US1848920A (en) Stringed mttsicaj
CN1343347A (zh) 弦乐器的绕弦机构及构成它的弦乐器用绕弦构件
KR200226440Y1 (ko) 해금의 현의 장력조절장치
CN208298534U (zh) 一种钢琴拉弦装置
JP2009172747A (ja) ドラム用チューニングキー
US1579987A (en) Peg for stringed instruments
KR100845351B1 (ko) 기타줄 고정기구
CN201536005U (zh) 一种小提琴调音装置
US8153872B1 (en) String keeper device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JP4933595B2 (ja) 三味線の糸巻構造
US12070659B2 (en) Racket with a string tensioning device
US20050188815A1 (en) RimRi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