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7849B1 - 악기용 장력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악기용 장력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7849B1
KR100707849B1 KR1020060023405A KR20060023405A KR100707849B1 KR 100707849 B1 KR100707849 B1 KR 100707849B1 KR 1020060023405 A KR1020060023405 A KR 1020060023405A KR 20060023405 A KR20060023405 A KR 20060023405A KR 100707849 B1 KR100707849 B1 KR 100707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m
drive shaft
tension
string
worm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3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준석
Original Assignee
영동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동군 filed Critical 영동군
Priority to KR1020060023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78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7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7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05Set screws; Locking means therefo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12Anchoring devices for strings, e.g. tail pieces or hitchpi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14Tuning devices, e.g. pegs, pins, friction discs or worm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악기용 장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현의 장력을 이용하여 연주할 수 있는 가야금, 비파, 거문고, 해금 등 국악기와 기타, 전자 기타 등 현대 악기 전체에 걸쳐 현의 장력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고 장시간 사용시에도 현의 장력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한 악기용 장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악기의 현을 감거나 풀수 있도록 작동하여 현의 장력을 조절하는 악기용 장력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악기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어댑터에 설치/고정됨과 아울러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공간부상에 제 1 웜이 형성된 구동축과, 상기 공간부내에 구동축과 직각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웜에 맞물려 회전하도록 제 1 웜휠이 형성되고 제 1 웜휠의 양측에는 제 2 웜이 형성된 종동축과, 상기 공간부내에서 구동축의 양측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제 2 웜에 맞물려 회전하는 제 2 웜휠과, 상기 구동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일측은 상기 공간부내에서 제 2 웜휠에 맞물리고 타측은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연결기어와,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노출된 연결기어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현이 감겨지는 보빈으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축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보빈을 정,역회전시켜 현을 감거나 풀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악기, 장력조절장치, 현, 보빈, 구동축, 종동축, 웜, 웜휠

Description

악기용 장력조절장치{Tensile force adjustment apparatus for musical instruments}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장력조절장치가 적용된 악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장력조절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 은 도 2에서의 A-A선 결합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해금(악기) 2: 줏대
3: 울림통 4: 현
10: 장력조절장치 20: 어댑터
21: 수용홈 22: 회전방지돌기
30: 조작노브 40: 보빈
41: 기어부 50: 몸체
50a: 공간부 51: 관통공
60: 구동축 61: 제 1 웜
62,63: 스냅링 70: 종동축
71: 제 1 웜휠 72: 제 2 웜
80: 제 2 웜휠 90: 연결기어
본 발명은 악기용 장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현의 장력을 이용하여 연주할 수 있는 가야금, 비파, 거문고, 해금 등 국악기와 기타, 전자 기타 등 현대 악기 전체에 걸쳐 현의 장력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고 장시간 사용시에도 현의 장력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한 악기용 장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통 국악기의 종류로는 해금, 가야금, 거문고, 비파 등이 있다. 이들은 현(弦;줄)의 장력을 어느 정도 팽팽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가야금, 해금, 비파의 경우에는 손가락을 현을 튕겨서 연주를 하거나, 해금의 경우에는 말종 활대를 두현 사이에 끼워 말초에 송진을 바른 다음 활을 밀거나 당기면서 줄을 문질러 연주를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전통 국악기를 연주하기 위해 설치되는 현은 대부분 장시간 연주를 하다 보면 그 장력이 느슨해지는 상태가 되어 더 이상의 연주를 하지 못하게 되며 다시 현의 장력을 일일이 조절해줘야 하는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현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가 개발되고 있긴 하나, 현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과정이 번거롭거나 어느 정도 팽팽하게 되도록 장력이 조절된 상태에서도 쉽게 느슨해지게 되어 국악기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현의 장력을 이용하여 연주할 수 있는 가야금, 비파, 거문고, 해금 등 국악기와 기타, 전자 기타 등 현대 악기 전체에 걸쳐 현의 장력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고 장시간 사용시에도 현의 장력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한 악기용 장력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악기의 현을 감거나 풀수 있도록 작동하여 현의 장력을 조절하는 악기용 장력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악기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어댑터에 설치/고정됨과 아울러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공간부상에 제 1 웜이 형성된 구동축과, 상기 공간부내에 구동축과 직각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웜에 맞물려 회전하도록 제 1 웜휠이 형성되고 제 1 웜휠의 양측에는 제 2 웜이 형성된 종동축과, 상기 공간부내에서 구동축의 양측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제 2 웜에 맞물려 회전하는 제 2 웜휠과, 상기 구동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일측은 상기 공간부내에서 제 2 웜휠에 맞물리고 타측은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연결기어와,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노출된 연결기어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현이 감겨지는 보빈으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축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보빈을 정,역회전시켜 현을 감거나 풀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에 있어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장력조절장치가 적용된 악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장력조절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 은 도 2에서의 A-A선 결합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악기용 장력조절장치(10)는 현(4)을 사용하는 모든 악기에 적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해금(1)에 적용한 경우를 일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해금(1)은 일정한 길이의 줏대(2)와, 상기 줏대(2)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울림통(3)과, 일단부가 상기 울림통(3)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줏대(2)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장력조절장치(10)에 감기거나 풀릴수 있도록 설치된 현(4)으로 이루어진다.
도면에서는 상기 장력조절장치(10)가 상기 줏대(2)의 상단부에 두 개가 결합되어 있지만 이는 악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장력조절장치(10)는 상기 줏대(2)의 상단부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게 결합되는 어댑터(20)의 일측에 설치/고정됨과 아울러 내부에 공간부(50a)를 갖는 몸체(5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50)는 내부가 비어있는 직사각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50)에는 구동축(60)이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구동축(60)에는 상기 공간부(50a)상에 제 1 웜(61)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구동축(60)에는 상기 몸체(5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스냅링(62)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공간부(50a)내에는 상기 구동축(60)과 직각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몸체(5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종동축(70)이 구비된다.
상기 종동축(70)에는 상기 제 1 웜(61)에 맞물려 회전하도록 중앙에 제 1 웜휠(71)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웜휠(71)의 양측에는 각각 제 2 웜(7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웜(61)과 제 1 웜휠(71)이 맞물려 있기 때문에 상기 구동축(60)의 회전시 상기 종동축(70)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간부(50a)내에서 상기 구동축(60)의 양측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몸체(5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제 2 웜(72)에 맞물려 회전하는 제 2 웜휠(80)이 구비된다.
상기 제 2 웜휠(80)은 상기 종동축(70)의 제 2 웜(72)과 맞물려 있기 때문에 종동축(70)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축(60)에는 제 1 웜(61)의 일측에 연결기어(9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상기 연결기어(90)는 상기 몸체(50)의 내,외측에 걸쳐지게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연결기어(90)의 일측은 상기 몸체(50)의 공간부(50a)내에서 제 2 웜휠(80)에 맞물리고 타측은 상기 몸체(5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연결기어(90)가 구동축(6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구동축 (60)에는 스냅링(63)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50)의 외측으로 노출된 연결기어(90)에는 상기 현(4)이 감겨지는 보빈(40)이 결합된다.
상기 보빈(40)의 내측은 상기 몸체(50)를 일부 수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내주면에는 상기 연결기어(90)와 기어결합될 수 있도록 기어부(4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보빈(40)은 상기 제 2 웜휠(80)과 맞물려 있는 연결기어(90)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축(60)의 일단부에는 구동축(60)을 간편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조작노브(30)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어댑터(20)의 일측에는 상기 몸체(50) 및 구동축(60)의 타단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홈(21)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수용홈(21)의 양측에는 상기 몸체(50)의 회전(유동)을 방지하도록 회전방지돌기(2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방지돌기(22)는 상기 몸체(50)와 함께 보빈(40)의 내측으로 수용됨으로서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몸체(50)에는 상기 연결기어(90)가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하도록 있도록 관통공(5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장력조절장치(10)의 조립순서는, 먼저 상기 몸체(50)에 구동축(60), 종동축(70), 제 2 웜휠(80) 및 연결기어(90)를 결합하고, 이후 상기 몸체(50)를 상기 어댑터(20)의 수용홈(21)에 삽입하며, 계속해서 상기 보빈(40)을 상기 연결기어 (90)에 결합함과 아울러 최종적으로 상기 조작노브(30)를 상기 구동축(60)의 일단부에 결합하여 조립을 완료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악기용 장력조절장치(10)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장력조절장치(10)는 연주자가 상기 조작노브(30)를 정,역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보빈(40)도 정,역회전하게 되면서 현(4)을 감거나 풀게되어 현(4)의 장력을 조절하게 된다.
또한, 현(4)의 장력을 조절한 후에는 웜과 웜휠의 기어구조에 의해 현(4)이 풀리지 않아 현(4)의 장력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연주자가 상기 조작노브(30)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구동축(60)이 회전하게 되며, 상기 구동축(60)이 회전하면 구동축(60)의 제 1 웜(61)과 맞물려 있는 제 1 웜휠(71)을 갖는 종동축(70)이 회전하게 되고, 동시에 종동축(70)에 형성된 제 2 웜(72)도 회전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종동축(70)의 회전에 의해 제 2 웜(72)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 2 웜(72)과 맞물려 있는 상기 제 2 웜휠(80)이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 2 웜휠(80)이 회전하게 되면 제 2 웜휠(80)과 맞물려 있는 상기 연결기어(90)가 회전하게 되고, 최종적으로 상기 연결기어(90)와 맞물려 있는 보빈(40)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상기 조작노브(30)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보빈(40)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면서 현(4)을 감거나 풀게 되는데, 이때 웜과 웜휠의 기어구조에 의해 보빈(40) 스스로는 풀리지 않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현의 장력을 이용하여 연주할 수 있는 가야금, 비파, 거문고, 해금 등 국악기와 기타, 전자 기타 등 현대 악기 전체에 걸쳐 상기 조작노브를 간단히 회전시켜 보빈을 정,역회전시킴으로써 현의 장력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고, 현의 장력을 조절한 후에는 웜과 웜휠의 기어구조에 의해 장시간 사용시에도 현의 장력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악기의 현(4)을 감거나 풀수 있도록 작동하여 현(4)의 장력을 조절하는 악기용 장력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악기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어댑터(20)에 설치/고정됨과 아울러 내부에 공간부(50a)를 갖는 몸체(50)와,
    상기 몸체(50)를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공간부(50a)상에 제 1 웜(61)이 형성된 구동축(60)과,
    상기 공간부(50a)내에 구동축(60)과 직각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몸체(5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웜(61)에 맞물려 회전하도록 제 1 웜휠(71)이 형성되고 제 1 웜휠(71)의 양측에는 제 2 웜(72)이 형성된 종동축(70)과,
    상기 공간부(50a)내에서 구동축(60)의 양측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몸체(5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제 2 웜(72)에 맞물려 회전하는 제 2 웜휠(80)과,
    상기 구동축(6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일측은 상기 공간부(50a)내에서 제 2 웜휠(80)에 맞물리고 타측은 상기 몸체(5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연결기어(90)와,
    상기 몸체(50)의 외측으로 노출된 연결기어(90)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현(4)이 감겨지는 보빈(40)으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축(60)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보빈(40)을 정,역회전시켜 현(4) 을 감거나 풀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용 장력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60)의 일단부에는 구동축(60)을 간편하게 회전시킬수 있도록 조작노브(30)가 결합되고, 상기 어댑터(20)에는 상기 몸체(50) 및 구동축(60)의 타단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홈(21)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수용홈(21)의 양측에는 상기 몸체(50)의 회전(유동)을 방지하도록 회전방지돌기(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용 장력조절장치.
KR1020060023405A 2006-03-14 2006-03-14 악기용 장력조절장치 KR100707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3405A KR100707849B1 (ko) 2006-03-14 2006-03-14 악기용 장력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3405A KR100707849B1 (ko) 2006-03-14 2006-03-14 악기용 장력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7849B1 true KR100707849B1 (ko) 2007-04-17

Family

ID=38181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3405A KR100707849B1 (ko) 2006-03-14 2006-03-14 악기용 장력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784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81722U (ko) * 1974-12-23 1976-06-30
KR19990022513U (ko) * 1999-03-10 1999-07-05 정현준 해금
KR200226440Y1 (ko) * 2000-12-12 2001-06-15 김복곤 해금의 현의 장력조절장치
KR200357850Y1 (ko) * 2004-05-19 2004-07-31 정완준 가야금 현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81722U (ko) * 1974-12-23 1976-06-30
KR19990022513U (ko) * 1999-03-10 1999-07-05 정현준 해금
KR200226440Y1 (ko) * 2000-12-12 2001-06-15 김복곤 해금의 현의 장력조절장치
KR200357850Y1 (ko) * 2004-05-19 2004-07-31 정완준 가야금 현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537472A (ja) ギターまたはベースの弦の張力調整装置
US20090253345A1 (en) Spinner for toy top
KR20100091951A (ko) 미세 튜닝 페그
ES2790427T3 (es) Instrumento de cuerda plegable
US9697808B1 (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with rotating neck
KR100707849B1 (ko) 악기용 장력조절장치
US20020026864A1 (en) Ukelele tuning machine
JP5666579B2 (ja) 弦楽器、キット及びギター
US4151778A (en) Multi-ratio quick adjusting machine head for guitar tuning
JPS6053994A (ja) 弦楽器の調律装置
US20110162507A1 (en) Fine tuning peg
US20190371283A1 (en) Methods and articles for facilitating stringing of a stringed instrument having mechanical vibrato unit
US3834266A (en) Cartridge string guitar assembly
KR20130054251A (ko) 현악기용 튜닝 페그
JP2008533534A (ja) 弦楽器の自動調弦装置
US6580022B2 (en) Machine head for guitar
US4945800A (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machine head
US4852447A (en) String arrangement for a musical instrument
KR200226440Y1 (ko) 해금의 현의 장력조절장치
KR19990022513U (ko) 해금
KR100539370B1 (ko) 개량 해금
JPH0755590Y2 (ja) 弦楽器用弦巻き器
KR100645902B1 (ko) 장력조절장치
US8153872B1 (en) String keeper device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KR200419359Y1 (ko) 롤스크린용 스크린 고정봉의 앤드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