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7595Y1 - 앞가리개 - Google Patents

앞가리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7595Y1
KR200227595Y1 KR2020000036175U KR20000036175U KR200227595Y1 KR 200227595 Y1 KR200227595 Y1 KR 200227595Y1 KR 2020000036175 U KR2020000036175 U KR 2020000036175U KR 20000036175 U KR20000036175 U KR 20000036175U KR 200227595 Y1 KR200227595 Y1 KR 2002275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waist
strap
neck
nap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61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모
Original Assignee
홍성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모 filed Critical 홍성모
Priority to KR20200000361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75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75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7595Y1/ko

Links

Landscapes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탁에서 음식을 먹을 때 음식물로부터 의복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앞가리개에 관한 것이다.
앞가리개는 통상 냅킨으로 불리우는데, 이는 직물로 이루어진 수건으로 만들어져 있거나 적당히 질기면서 부드러운 종이가 2~3겹으로 접힌 사각 모양의 1회용 냅킨이 주류를 이룬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냅킨은 사용시 넓게 펼쳐서 무릎에서부터 허리 내지 가슴까지의 부위를 가리고 사용하게 되어 있는데, 식사 중 냅킨 사용자의 잦은 움직임에 따라 냅킨이 다리 사이로 모이거나 한쪽으로 쏠리는 등 완전하게 고정이 되지 않아 식사 중 의복의 보호라는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는 단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식사하는 사람도 편안한 자세를 취하기가 어려워 거북스러운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식사 도중에 신체의 잦은 움직임이 있다고 하더라도 양호한 고정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의복의 보호기능을 원활히 수행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에 제약을 주지 않고 편안하게 식사를 할 수 있는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의 본 고안에 따른 앞가리개는 직물(천)으로 형성된 본체에 탄력에 의한 복원력을 가지는 플라스틱재로 형성된 목 고정대와 허리 고정대를 결합한 것을 주요한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또한 앞가리개를 신체에 고정하는 수단으로서 위 목 고정대와 허리 고정대 대신에 목끈과 허리끈을 사용하되, 그 말단에는 일명 '벨크로 파스너'를 체결수단으로서 사용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앞가리개{A table napkin}
본 고안은 식탁에서 음식을 먹을 때 음식물로부터 의복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앞가리개에 관한 것이다.
대중식당이나 가정에서 음식을 먹을 때 음식물이 튀거나 흘림으로 인하여 착용하고 있는 의복이 훼손되는 일이 종종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의복을 보호하는 앞가리개를 사용하는 일이 일반화되어 있다. 이렇게 사용되어 온 종래의 앞가리개는 통상 냅킨으로 불리우는데, 이는 직물로 이루어진 수건으로 만들어져 있거나 적당히 질기면서 부드러운 종이가 2~3겹으로 접힌 사각 모양의 1회용 냅킨이 주류를 이룬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냅킨은 사용시 넓게 펼쳐서 무릎에서부터 허리 내지 가슴까지의 부위를 가리고 사용하게 되어 있는데, 식사 중 냅킨 사용자의 잦은 움직임에 따라 냅킨이 다리 사이로 모이거나 한쪽으로 쏠리는 등 완전하게 고정이 되지 않아 식사 중 의복의 보호라는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는 단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식사하는 사람도 편안한 자세를 취하기가 어려워 거북스러운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특히, 종이 재질의 냅킨은 1회용으로 제작되므로 자원의 낭비를 초래할 뿐 아니라 관리상의 실수로 사용되지도 않은 냅킨을 버리는 경우가 많았다. 더욱이 냅킨 제조시 원료로 사용되는 목재가 대부분 외국에서 수입되는 점을 감안하면, 1회용 종이 재질의 냅킨의 광범위한 사용은 외화를 낭비하는 결과를 초래한다고도 볼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식사 도중에 신체의 잦은 움직임이 있다고 하더라도 양호한 고정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의복의 보호기능을 원활히 수행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에 제약을 주지 않고 편안하게 식사를 할 수 있는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부수적인 목적은 1회용 냅킨의 사용을 지양함으로써 귀중한 자원과 외화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및 부분 상세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다른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의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목 고정대 2 : 허리 고정대
3 : 앞주머니 4 : 본체
5 : 허리 고정대 커버 6, 7 : 플라스틱재
8 : 홈 9 : 돌기
10 : 목끈 11 : 허리끈
12 : 벨크로 파스너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앞가리개는 직물(천)으로 형성된 본체에 탄력에 의한 복원력을 가지는 플라스틱재로 형성된 목 고정대와 허리 고정대를 결합한 것을 주요한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또한 앞가리개를 신체에 고정하는 수단으로서 위 목 고정대와 허리 고정대 대신에 목끈과 허리끈을 사용하되, 그 말단에는 일명 '벨크로 파스너'를 체결수단으로서 사용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및 부분 상세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다른 상태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에 있어서는 도 1과 같이 식사 중에 신체의 일부를 가리기 위한 앞가리개의 본체(4)로서 천과 같은 직물을 사용한다. 직물을 사용함으로써 1회용 냅킨의 사용을 지양하고 반영구적으로 반복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직물은 목에서부터 무릅 부위까지 감쌀 수 있도록 폭과 길이를 정하여 재단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핵심적 요지는 아니지만 위 직물에는 다양한 색채와 모양으로 구성된 디자인을 포함시킬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식사제공서비스를 제공하는 측의 로고나 상호를 새겨 넣음으로써 높은 광고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아울러 본체(4)에는 앞가리개의 기능향상을 위하여 앞주머니(3)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앞주머니는 디자인상으로 앞가리개의 전체 모양에 균형감을 줄뿐더러 경우에 따라서는 휴지나 작은 소지품을 넣을 수 있도록 하는 실용적 기능도 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직물상 본체(4)의 상부에서 천의 일부를 접어 재봉하여 통로를 만들고 여기에 목 고정대(1)를 통과시키도록 한다. 아울러 본체(4)중 허리 부위에는 허리 고정대(2)를 결합하는데, 결합방식을 보면 도 3의 부분 단면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허리 고정대를 헝겊 등으로 이루어진 허리 고정대 커버(5)로 감싸서 재봉한 후 이를 본체(4)에 재봉하여 결합하도록 한다. 물론 본 고안에 있어서 결합수단이 상기 방법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목 고정대(1)의 결합방식과 같이 별도의 허리 고정대 커버(5)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본체를 적절히 재봉하여 통로를 형성하고 여기에 바로 허리 고정대(2)를 통과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목 고정대(1)와 허리 고정대(2)의 재료로서 탄력에 의한 복원력을 가지는 플라스틱과 같은 소재를 사용하도록 한다. 그리고 목 고정대로 사용되는 플라스틱재는, 큰 지름을 가지는 플라스틱재(6) 내부에 작은 지름의 플라스틱재(7)를 꽂아 넣어서 구성하되, 큰 지름을 가지는 플라스틱재(6)와 작은 지름의 플라스틱재(7)에는 상호 암수 결합이 가능한 홈(8)과 돌기(9)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앞가리개는, 사용시 작은 힘을 가하여 허리 고정대를 벌린 다음 신체 중 허리 부위에 대고 앞가리개를 끼운 후 고정대를 놓으면 탄력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허리에 고정되게 된다.
목 고정대는 작은 지름의 플라스틱재(7)를 큰 지름의 플라스틱재(6) 내부에 넣고 빼는 작용을 통해 적당히 조절하면서 목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목 고정대의 고정시 큰 지름을 가지는 플라스틱재(6)와 작은 지름의 플라스틱재(7)에 형성된 홈(8)과 돌기(9)를 통하여 목 고정대의 길이를 개인에 따라 편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앞가리개에 있어서 목 고정대는 큰 지름을 가지는 플라스틱재(6), 작은 지름의 플라스틱재(7), 그리고 거기에 형성된 홈과 돌기를 형성함이 없이, 허리 고정대에서와 마찬가지로 단지 하나의 플라스틱을 원주 형태만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 두고자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에서는 앞가리개의 고정수단으로서 탄력성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 목 고정대와 허리 고정대 대신에 직물과 같은 천으로 구성된 목끈(10)과 허리끈(11)을 사용하도록 하며, 목끈과 허리끈의 말단부에는 일명 '벨크로 파스너'(12)를 체결수단으로서 부착한다.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체결의 편의성에 있어서는 앞서 서술한 실시예에 비해서는 다소 뒤떨어지는 면이 없지 않으나, 플라스틱재가 없음으로 인해서 부피가 적으므로 보관이나 관리상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체결이 매우 신속하고 편리한 반면, 앞가리개의 고정상태는 양호하여 식사 도중에 신체의 잦은 움직임이 있다고 하더라도 의복의 보호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신체 움직임의 제약을 받지 않고 편안하게 식사를 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1회용 냅킨의 사용을 지양하고 반영구적으로 반복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원자재와 외화의 절감을 가져올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앞가리개에 다양한 색채와 모양으로 구성된 디자인을 포함시킬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식사제공서비스를 제공하는 측의 로고나 상호를 새겨 넣음으로써 높은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어 중대형 식당에서 광고용품으로 대량 주문 생산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직물로 구성된 본체(4)의 상부와 중·하부에 목에 대한 체결수단과 허리에 대한 체결수단을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가리개.
  2. 제1항에 있어서, 본체(4)의 하부 양측에 앞주머니(3)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가리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본체의 상부와 중·하부에 형성되는 목에 대한 체결수단과 허리에 대한 체결수단으로서,
    탄력에 의한 복원력을 가지는 플라스틱재로 형성한 목 고정대(1)와 허리 고정대(2)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가리개.
  4. 제3항에 있어서,
    목 고정대로 사용되는 플라스틱재는, 큰 지름을 가지는 플라스틱재(6) 내부에 작은 지름의 플라스틱재(7)를 꽂아 넣어서 구성하되, 큰 지름을 가지는 플라스틱재(6)와 작은 지름의 플라스틱재(7)에는 상호 암수 결합이 가능한 홈(8)과 돌기(9)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가리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본체의 상부와 중·하부에 형성되는 목에 대한 체결수단과 허리에 대한 체결수단으로서,
    직물로 구성된 목끈(10)과 허리끈(11)을 사용하도록 하며, 목끈과 허리끈의 말단부에는 '벨크로 파스너'(12)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가리개.
KR2020000036175U 2000-12-22 2000-12-22 앞가리개 KR2002275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175U KR200227595Y1 (ko) 2000-12-22 2000-12-22 앞가리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175U KR200227595Y1 (ko) 2000-12-22 2000-12-22 앞가리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7595Y1 true KR200227595Y1 (ko) 2001-06-15

Family

ID=73093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6175U KR200227595Y1 (ko) 2000-12-22 2000-12-22 앞가리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759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9855B2 (en) Foldable, decorative adult bib
US5632425A (en) Infant carrier
US6035439A (en) Wholly and partially removable garment
US3704469A (en) Wrap-around garment
US6065164A (en) Nap mat cover
US6718554B1 (en) Hands free towel carrying system
KR200442771Y1 (ko) 다용도 손수건
US20100037395A1 (en) Shoulder pillow
US4916756A (en) Blanket construction
US3404407A (en) Tie-less bib
KR200227595Y1 (ko) 앞가리개
JP4324739B2 (ja) スポーツ用首巻き
US20190208838A1 (en) Therapeutic sleepwear with removable padding
JP3153495B2 (ja) 身頃幅の伸縮自在な和装上着
KR200318528Y1 (ko) 애완견용 의복
JP3139307U (ja) ストール
CN212972456U (zh) 便携式坐垫
CN220140839U (zh) 一种可快速佩戴的围兜
JP2000279301A (ja)
JP6482041B1 (ja) ショール
CN209359712U (zh) 一种职场女性多功能职业套装
JP3557557B2 (ja) ナプキン機能付きテーブルカバー
KR200342646Y1 (ko) 개량바지
JPH0725929Y2 (ja) 腰痛帯
JP3074685U (ja) 卓上用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