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7514Y1 - 유리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유리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7514Y1
KR200227514Y1 KR2020000027970U KR20000027970U KR200227514Y1 KR 200227514 Y1 KR200227514 Y1 KR 200227514Y1 KR 2020000027970 U KR2020000027970 U KR 2020000027970U KR 20000027970 U KR20000027970 U KR 20000027970U KR 200227514 Y1 KR200227514 Y1 KR 2002275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table
plate glass
adsorber
glass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79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문근
Original Assignee
오문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문근 filed Critical 오문근
Priority to KR20200000279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75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75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7514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의 유리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판유리(1)를 고정시키는 흡착기 (2)와 흡착기(2)가 부착된 회전테이블(3)과, 상기 회전테이블(3)은 하부의 구동모터(11)와 연결된 회전테이블샤프트(4) 및 회전유니버셜조인트(4)로 연결되어 있어, 구동모터(11)의 회전에 의해 회전테이블(3)이 회전하면서, 동시에 회전테이블(3)의 흡착기(2)에 흡착된 판유리(1)가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장치(A)의 측면에 형성된 가공장치(B)의 다이아몬드휠(100)과 접촉시 받침롤라(102)로 회전테이블(3)과 판유리(1)의 일정높이를 고정하고, 측면지지센싱롤러(101)로 판유리 (1)의 측면을 지지하며, 판유리(1)의 수평이 자동을 상기 회전테이블(3)의 하단에 설치된 스프링(6)등으로 조절시켜 연삭, 가공함으로써, 연삭폭의 차이를 최소화하면서, 표면이 곱고, 빠른 작업시간과 함께 품질이 향상되도록 하는 유리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리 가공장치 {The apparatus for glass processing}
본 고안은 절단된 원형상의 판유리의 모서리(테두리)를 다양한 형상으로 회전시켜 가공, 연마하는 유리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히 설명하면, 판유리의 모서리에 다이아몬드휠이 접촉시 접촉되는 상태에 따라 스프링 또는 고무튜브의 상하로 움직이는 탄성으로 하여금 수평이 자동 조절될 수 있도록 하여 연삭되는 면 폭을 최소화하고, 빠르면서도 곱게 연마되는 유리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판유리 면취기는 흡착기 상단에 판유리를 올려놓고 일정속도로 회전시키면서 판유리의 측면에 다이아몬드휠을 접촉시켜 절삭하는 것인데, 가장 이상적으로 절삭하기 위해서는 다이아몬드휠과 판유리의 접촉상태가 다이아몬드휠의 측면의 수직 중심측면이 판유리의 절삭면과 직각을 이루는 선과 일치하여야 하고, 다이아몬드휠의 수평 중심축선은 판유리의 저면과 평행을 이루면서 사면 폭의 중심위치에 위치하여야 가장 정확하게 절삭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어느형상의 판유리를 막론하고 다이아몬드휠과 판유리의 접촉상태가 판유리의 수평정도에 따라 사면폭이 일정하지 않고 또한 절삭면이 곱게 연마되지 못하여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다이아몬드휠과 판유리의 접촉상태를 작업자가 수동으로 수평을 유지시켜 주어야 하는데, 이와 같은 작업은 아무리 경험이 풍부한 숙련공이라 할 지라도 힘들고 어려운 부분으로서, 즉, 판유리의 사면 가공시는 1차황삭 (다이아몬드휠 80~100메쉬), 2차중삭(다이아몬드휠 150~200메쉬), 3차연삭 (다이아몬드휠 300~400메쉬)의 순서로 가공하는데, 아무리 숙달된 숙련공이라 할 지라도 1차, 2차, 3차의 사면작업을 진행하면서 판유리의 수평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기란 매우 어려우며, 또한 품질이 양호한 제품을 생산하기가 어렵고 힘든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작업자가 수동으로 조작하여 테이블에 수평으로 고정하던 방법을 배제하고, 장치 스스로 테이블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국내실용신안공보 제92-1718호는 브라켓트의 회전축 상단에 정역회전이 가능한 모터와, 사면각 조절판에 설치된 에어실린더의 하단에 형성되는 처짐방지로울러 및 슬라이드샤프트와, 슬라이드샤프트에는 설치되는 로울러받침대 및 후단부 양측의 마이크로스위치와, 선단 상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로울러 및 작동간과, 하측에 형성되는 작동봉과, 모터를 제어하는 마이크로스위치로 구성된 판유리 변형면취기의 다이아휠과 판유리 절삭면의 접촉상태 자동조절장치에 관한 것이고,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99-22706호는 판유리를 흡착 고정할 수 있는 회전대와, 회전자재되는 제1,2관절수평아암과, 상기 제2관절수평아암 끝단에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면취할 수 있도록 구동모터에 다이아몬드휠이 축설된 헤드로 이루어진 판유리 변형 면취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고안들은 다이아몬드휠이 부착된 구동모터 또는 절삭장치들을 회전시키면서 판유리와 접촉상태를 감지하거나 조절하는 장치인 것으로서, 작업하기가 불편하고, 작업공간이 넓은 면적을 차지하며,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판유리를 고정시키는 흡착기와 흡착기가 부착된 회전테이블과, 상기 회전테이블은 하부의 구동모터와 연결된 회전테이블샤프트 및 회전유니버셜조인트로 연결되어 있어,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테이블이 회전하면서, 동시에 회전테이블의 흡착기에 흡착된 판유리가 회전하면서 상기 장치의 측면에 형성된 가공장치의 다이아몬드휠과 접촉시 받침롤라로 회전테이블과 판유리의 일정높이를 고정하고, 측면지지 센싱롤러로 판유리의 측면을 지지하며, 판유리의 수평이 자동을 상기 회전테이블의 하단에 설치된 스프링 등으로 조절시켜 연삭, 가공함으로써, 연삭폭의 차이를 최소화하면서, 표면이 곱고, 빠른 작업시간과 함께 품질이 향상되도록 하는 유리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인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유리 가공장치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유리 가공장치의 판유리의 설치 상태도
도3은 본 고안의 유리 가공장치의 판유리의 수평조절장치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유리 가공장치의 고무튜브 설치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의 유리 가공장치의 고무튜브 설치 평면도
<도면의 부호설명>
판유리(1), 흡착기(2), 흡착기지지대(2'), 회전테이블(3),
회전테이블샤프트(4), 회전유니버셜조인트(5), 스프링(6), 스프링홈(6'),
고정볼트(7,7'), 고정볼트홈(8), 연결볼트(9,9'), 걸림돌기(10),
요홈(10'), 구동모터(11), 진공펌프(12), 고무튜브(30), 고무튜브홈(31,31'),
다이아몬드휠(100), 측면지지센싱롤러(101), 받침롤러(102)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부의 회전테이블과, 하부의 회전테이블샤프트를 회전유니버셜조인트로 연결하여 회전테이블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회전테이블의 회전동력은 회전테이블샤프트의 하부에 설치된 모터와 연결하여 얻을 수 있도록 하였고, 상기 회전테이블의 상부 중앙에는 4개의 흡착기를 설치하여 상기 4개의 흡착기는 회전테이블의 하부에 설치되는 진공펌프와 연결하여 흡착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회전유니버셜조인트의 외측으로 상기 회전테이블샤프트의 상부면에는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테이블의 하부면에는 걸림돌기홈을 형성하여 작업이 회전반경에 이탈되지 않도록 하였으며, 상기 걸림돌기의 외측으로 6개의 스프링 또는 고무튜브를 내설하여 판유리와 다이아몬드휠과 접촉시 받침롤라로 회전테이블과 판유리의 일정높이를 고정하고, 측면지지센싱롤러로 판유리의 측면을 지지하며, 상기 스프링 또는 고무튜브의 상하로 움직이는 탄력으로 판유리의 수평이 자동 조절되면서 연삭, 가공하는 유리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유리가공장치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유리가공장치의 판유리의 설치 상태도이며, 도3은 본 고안의 유리가공장치의 판유리의 수평조절장치 단면도이고, 도4는 본 고안의 유리가공장치의 고무튜브 설치 사시도이며, 도5는 본 고안의 유리가공장치의 고무튜브 설치 평면도를 도시하였으며, 도면의 부호는 판유리(1), 흡착기(2), 흡착기지지대(2'), 옵티머 테이블(3), 회전테이블샤프트(4), 회전유니버셜조인트(5), 스프링(6), 스프링홈 (6'), 고정볼트(7,7'), 고정볼트홈(8), 연결볼트(9,9'), 걸림돌기(10), 요홈(10'), 구동모터(11), 진공펌프(12), 고무튜브(30), 고무튜브홈(31,31'), 다이아몬드휠 (100), 측면지지 센싱롤러(101), 받침롤러 (102)임을 알 수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유리가공 장치 사시도로서, 원형상의 판유리의 모서리 (테두리)를 다양한 형상으로 회전시켜 가공, 연마하는 유리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조를 살펴보면,
본 고안의 장치는 구동모터(11)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장치(A)와, 상기 회전장치(A)의 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회전장치(A)에 의해 회전되는 판유리(1)를 가공시키는 가공장치(B)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회전장치(A)는, 상부에 성형되는 유리판을 지지하는 4개의 흡착기 (2)와, 상기 흡착기(2)의 하부에 형성된 흡착기 지지대(2')에 의해 회전테이블 (3)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흡착기(2)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직사각형 형상이며, 상기 흡착기(2)를 지지하며 회전 운동하는 회전테이블(3)과, 상기 회전테이블(3)의 하부에 설치된 회전테이블샤프트(4)와, 상기 회전테이블(3)과 하부의 회전테이블샤프트(4)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연결시키며, 구동모터(11)와 연결되어 있어 회전력을 전달시키는 유니버셜조인트(5)와, 상기 회전테이블(3)과 상기 회전유니버셜조인트(5)와 연결시키는 연결볼트(9,9')와, 상기 회전테이블 (3)의 하부에 설치되는 진공펌프(12)와 연결하여 흡착작용이 이루어지며,
회전테이블(3)의 하부는 상부 회전 테이블샤프트(4)의 상부와 밀착되어 회전하기 위하여 서로 대칭되는 형상이며,
상기 회전테이블(3)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테이블(3)의 일정하게 쿠션을 조정하는 2개의 고정볼트(7,7')와, 고정볼트 (7,7')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테이블(3)의 수평을 조절하는 스프링(6) 또는 고무튜브 (30)와, 상기 스프링(6) 또는 고무튜브(30)가 내장될 수 있는 스프링홈(6') 또는 고무튜브홈(31,31')과, 상기 회전테이블샤프트(4)의 상부표면에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테이블(3)이 좌우전후로 이탈되지 않도록 작용하는 걸림돌기 (10)와, 상기 걸림돌기(10)에 대응되는 회전테이블(3)의 하부에 형성된 요홈 (1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공장치(B)는, 판유리(1)을 가공하는 다이아몬드휠(100)과
회전테이블(3)과 판유리(1)의 일정높이를 고정하는 받침롤라(102)와,
가공되는 판유리(1)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측면지지센싱롤러(101)로 구성된 가공장치인 것이다
본 가공장치는 상기 스프링(6) 또는 고무튜브(30)의 상하로 움직이는 탄력으로 판유리(1)의 수평이 자동 조절되면서 연삭, 가공하는 장치인 것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유리가공장치의 판유리의 설치 상태도로서, 회전테이블 (3)의 상부로 4개의 흡착기(2)기 형성되어 있어, 상기 흡착기(2)의 상부에 판유리 (1)를 올려놓고 작업할 수 있는 흡착기(2)의 고정볼트홈(8)이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도3은 본 고안의 유리가공장치의 판유리의 수평조절장치 단면도로서, 회전테이블샤프트(4)의 상부로 중앙에 회전유니버셜조인트(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유니버셜조인트(5)의 외측으로 6개의 스프링(6)이 형성된 상태도인 것이다.
도4는 상기 도3의 유리가공장치의 또 다른 예의 고무튜브가 설치된 상세도로서, 상기 도1의 스프링(6)으로 판유리의 수평조절을 할 경우, 장기간 사용시에 상기 스프링(6)의 탄성이 저하되고, 각각의 스프링(6)의 상하로 움직이는 탄성이 일정하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그에 대비하여 상기 스프링(6)을 대체하여 회전테이블샤프트(4)의 상부면과, 회전테이블(3)의 하부면에 고무튜브홈(31,31')을 형성하여 상기 고무튜브홈(31,31`)에 공기가 주입된 고무튜브(30)를 내설함으로서, 상기 고무튜브(30)의 상하로 움직이는 탄성에 의하여 상기 판유리(1)의 수평조절을 할 수 있는 장치인 것이며,
도5는 본 고안의 상기 도4의 유리가공장치 고무튜브 설치 평면도로서, 상기 6개의 스프링(6)을 대체하여 고무튜브(30)가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상기 유리가공장치는 판유리(1)의 모서리 (테두리) 부분과 다이아몬드휠(100)을 접촉시켜 받침롤러(102)로 회전테이블(3)과 상기 판유리(1)의 높이를 고정하고, 측면지지센싱롤러(101)로 상기 판유리(1)의 모서리(테두리) 측면을 지지시킨 후, 전원을 넣어 모터(10)를 동작시키면, 상기 모터(10)와 연결된 회전유니버셜조인트(5)가 회전되며, 동시에 회전테이블(3)이 회전되고, 흡착기(2)에 의하여 흡착된 판유리(1)가 회전하면서 다아아몬드휠 (100)과 접촉되어 연삭, 가공이 되는 것으로, 연삭가공시 판유리(1)의 수평조절은 회전유니버셜조인트(5)의 외측으로 내설되어 있는 6개의 스프링(6) 또는 고무튜브 (30)의 탄성으로 조절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유리가공장치는 표면굴곡의 위치에 따라 달리하는 판유리 (1)도 상기 판유리(1)와 가공장치(B)에 무리한 압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면서 일정한 모양으로 가공하여 품질을 높이는 장치이며, 또한, 원형상의 판유리(1)의 테두리를 일정하게 부드러운 면 폭으로 가공할 수 있으며, 모서리(테두리)상에 다양한 형상의 무늬도 가공처리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유리가공장치는 회전유니버셜조인트에 의한 회전테이블이 회전되면서, 스프링 또는 고무튜브에 의하여 수평조절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서, 가공되는 면 폭을 허용범위 내에서 최소화 할 수 있고, 고정된 위치에서 가공 작업을 함으로서 작업공간을 줄일 수 있으며, 빠르면서도 연삭면을 부드럽게 작업함으로서 품질의 향상을 기여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장치와, 상기 회전장치의 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회전장치에 의해 회전되는 판유리를 가공하는 유리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장치(A)는, 상부에 성형되는 판유리(1)를 지지하는 4개의 흡착기(2)와, 상기 흡착기(2)의 하부에 형성된 흡착기 지지대(2')에 의해 회전테이블(3)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흡착기(2)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직사각형 형상이며, 상기 흡착기(2)를 지지하며 회전 운동하는 회전테이블(3)과,
    상기 회전테이블(3)의 하부에 설치된 회전테이블샤프트(4)와, 상기 회전테이블(3)의 하부와 회전테이블샤프트(4)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연결시키며, 구동모터(11)와 연결되어 있어 회전력을 전달시키는 회전유니버셜조인트(5)와,
    상기 회전테이블(3)과 상기 회전유니버셜조인트(5)와 연결시키는 연결볼트 (9,9')와, 상기 회전테이블 (3)의 하부에 설치되어 흡착작용을 하는 진공펌프(12)와,
    상기 회전테이블(3)의 하부는 회전 테이블샤프트(4)의 상부와 밀착되어 회전하기 위하여 서로 대칭되는 형상이며,
    상기 회전테이블(3)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테이블(3)의 일정하게 쿠션을 조정하는 2개의 고정볼트(7,7')와, 상기 고정볼트(7,7')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테이블(3)의 수평을 조절하는 스프링(6)과, 상기 스프링 (6)이 내장될 수 있는 스프링홈(6')과, 상기 회전테이블샤프트(4)의 상부표면에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테이블(3)이 좌우전후로 이탈되지 않도록 작용하는 걸림돌기(10)와, 상기 걸림돌기(10)에 대응되는 회전테이블(3)의 하부에 형성된 요홈(1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공장치(B)는, 판유리(1)를 가공하는 다이아몬드휠(100)과,
    상기 회전테이블(3)과 판유리(1)의 일정높이를 고정하는 받침롤라(102)와,
    가공되는 판유리(1)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측면지지센싱롤러(101)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가공장치.
KR2020000027970U 2000-10-07 2000-10-07 유리 가공장치 KR2002275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970U KR200227514Y1 (ko) 2000-10-07 2000-10-07 유리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970U KR200227514Y1 (ko) 2000-10-07 2000-10-07 유리 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7514Y1 true KR200227514Y1 (ko) 2001-06-15

Family

ID=73058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7970U KR200227514Y1 (ko) 2000-10-07 2000-10-07 유리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7514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204B1 (ko) 2006-11-06 2008-01-23 용석주 글라스 검사장치용 글라스 회전 장치
KR100825860B1 (ko) 2007-02-12 2008-04-28 주식회사 케이엔제이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장치
KR101728303B1 (ko) 2016-08-05 2017-04-19 세종기술 주식회사 배터리 외관 검사 장치
KR101729224B1 (ko) 2016-08-05 2017-04-20 세종기술 주식회사 쿠션 기능을 가지는 진공흡착 수단이 구비된 회전 스테이지
CN108793712A (zh) * 2017-04-27 2018-11-13 嵊州市和丰玻璃制品有限公司 一种使用方便的玻璃切割用工作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204B1 (ko) 2006-11-06 2008-01-23 용석주 글라스 검사장치용 글라스 회전 장치
KR100825860B1 (ko) 2007-02-12 2008-04-28 주식회사 케이엔제이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장치
KR101728303B1 (ko) 2016-08-05 2017-04-19 세종기술 주식회사 배터리 외관 검사 장치
KR101729224B1 (ko) 2016-08-05 2017-04-20 세종기술 주식회사 쿠션 기능을 가지는 진공흡착 수단이 구비된 회전 스테이지
CN108793712A (zh) * 2017-04-27 2018-11-13 嵊州市和丰玻璃制品有限公司 一种使用方便的玻璃切割用工作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5251B1 (ko) 유리물품의 가공 마무리 장치
US4989373A (en) Flat glass edging-bevelling machine
JP2859389B2 (ja) ガラス板の周辺エッジを研削加工する方法及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ガラス板の数値制御研削機械
KR102308252B1 (ko) 워크를 360도로 회전시키는 폴리싱 장치
JP2000005988A (ja) 研磨装置
JP2503832B2 (ja) ガラス板の数値制御加工装置
JP2007223010A (ja) 曲面ガラスの面取り装置
KR200227514Y1 (ko) 유리 가공장치
US5807166A (en) Glass-plate working machine
US20100105302A1 (en) Polishing pad conditioner
US11433501B1 (en) Glass sheet polishing assembly
JPH0760626A (ja) ガラス板の加工装置
CN213561610U (zh) 一种腰形板中心定位结构及使用该结构的拼接圆弧磨边机
JP2001219348A (ja) ガラス板の周縁を研削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219908Y1 (ko) 유리 가공장치
JP2877925B2 (ja) 板ガラスの研磨装置
EP0673715B1 (en) Machine for processing glass plate
JPH079322A (ja) ウエハーの研磨装置
CN220408151U (zh) 特厚壁钢管外焊道加工用切削装置
CN219358896U (zh) 一种刀具研磨机夹具的角度调节结构
CN219152409U (zh) 一种玻璃镜片用多弧度倒边装置
CN216504029U (zh) 一种特种玻璃生产用修边装置
CN220863620U (zh) 一种陶瓷抛光机
JPH06210558A (ja) 布地裁断装置の刃部研磨機構
JPH02266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