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6641Y1 - 콘크리트 타설 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타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6641Y1
KR200226641Y1 KR2020000036808U KR20000036808U KR200226641Y1 KR 200226641 Y1 KR200226641 Y1 KR 200226641Y1 KR 2020000036808 U KR2020000036808 U KR 2020000036808U KR 20000036808 U KR20000036808 U KR 20000036808U KR 200226641 Y1 KR200226641 Y1 KR 2002266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elbow
delivery pipe
support
concrete deli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68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종합건축사 사무소 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종합건축사 사무소 담 filed Critical 주식회사종합건축사 사무소 담
Priority to KR20200000368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66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66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6641Y1/ko

Links

Landscapes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시공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타설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장치는, 내부에 회동 가능한 제1 밸브가 장착된 제1 엘보우, 상기 제1 엘보우 상부에 위치한 제2 엘보우, 상기 제2 엘보우를 중심으로 배치되는 붐 조립체 및 제2 엘보우 회전시키는 제1 회전판을 구비하는 제1 콘크리트 분배기, 그리고 상기 제1 콘크리트 분배기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제2 엘보우에 연결되는 제3 엘보우 및 상기 제3 엘보우를 회전시키는 제2 회전판을 구비하는 제2 콘크리트 분배기를 포함한다. 다수의 엘보우를 비롯한 제1 및 제2 콘크리트 분배기를 구비하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타설 시간과 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건축물에 따라 적절한 T자형 또는 십자형 등과 같이 다양한 구조를 갖는 엘보우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타설 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 타설 장치{Apparatus for distributing concrete}
본 고안은 건축물을 축조하기 위해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콘크리트 타설기에 분리 설치 가능한 제2 콘크리트 타설기를 구비하여 시공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콘크리트의 타설 시간 및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콘크리트 타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내지 빌딩 등과 같은 대형 건축물이나 교량, 옹벽 내지 댐 등과 같은 대형 구조물의 형성 시, 펌프카 또는 포터블 등의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그렇지만 펌프카의 붐은 길이가 한정되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타설 면적이 넓어지거나 높이가 높은 대형 건축물 또는 토목 구조물의 경우에는 펌프카만을 사용해서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어렵다. 따라서, 대형 건축물 내지 토목 구조물의 시공 시에는 건축물 내지 구조물의 내벽이나 측벽에 펌프카로부터 수직하게 콘크리트 배송관을 배관한 다음, 슬래브 상으로 수평하게 콘크리트 배송관을 배관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있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장치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 1999-36968호(고안의 명칭: 콘크리트 타설기)에 제시되어 있다.
도 1은 상기 공개실용신안에 개시된 콘크리트 타설기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콘크리트 타설기(10)는 대체로 펌프카로부터 연장되는 압송관(20)에 연결되어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는 플렉시블 호스(60), 압송관(20)과 플렉시블 호스(60)를 연결하는 엘보우(35, 36) 및 베어링 조립체(55), 플렉시블 호스(60)를 소정의 높이에 위치시키고 회전시키기 위한 지주(25), 보스봉(50) 및 걸침대(45), 상기 걸침대(45)에 플렉시블 호스(60)를 고정하는 다수의 호스 지지구(15, 16, 17), 그리고 상기 지주(25)를 압송관(20)에 고정시키는 고정구(30, 40)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전술한 콘크리트 타설기에 있어서, 다수의 호스 지지구를 통하여 호콘크리트가 토출되는 플렉서블 호스를 지지하기 때문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동안 플렉서블 호스를 통과하는 콘크리트의 하중으로 인하여 호스 지지구, 걸침대 및 지주가 파손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또한, 일정한 면적에 콘크리트를 균일하게 타설하기 위하여 보스봉을 이용하여 걸침대에 고정되어 콘크리트를 토출하는 플렉시블 호스를 회전하게 되지만, 이러한 과정이 인력에 의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당한 노력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현장 인부들이 플렉시블 호스를 이리저리 끌고 다니는 동안 철근이나 배선 배관에 심각한 손상을 입히는 경우가 많았다.
전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0-62498호(발명의 명칭: 원형 타설기 및 콘크리트 배송관의 맥동 감소 장치)에는 콘크리트 배송관을 이동 및 회전시키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는 원형 콘크리트 타설기가 제시되어 있다.
도 2는 상기 공개특허에 개시된 원형 타설기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원형 타설기(100)는, 붐 조립체(105), 회전판(110) 및 아웃 트리거(115)를 구비한다.
상기 붐 조립체(105)는 수직 배송관(120), 붐(125) 및 수평 배송관(130)으로 구성되며, 수직 배송관(120)은 회전축(135)에 대하여 수직하게 설치되고, 수평 배송관(130)의 일측은 제1 엘보우(140)에 의하여 수직 배송관(120)의 상단에서 수직 배송관(120)에 연결된다. 이러한 수평 배송관(130)과 제1 엘보우(140)는 회전축(135)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기 때문에 수평 배송관(130)과 제1 엘보우(140)를 회전시키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상기 붐(125)은 회전축(135)을 중심으로 양방으로 연장되어 일측은 수평 배송관(130)을 지지하며, 타측에 밸런스 웨이트(150)가 설치된다. 수평 배송관(130)의 타측은 제2 엘보우(145) 및 직선 파이트(155)에 의해 수직 하방으로 절곡된 다음, 다시 수평하게 연장된다.
상기 회전판(110)은 아웃 트리거(115)에 고정되며, 아웃 트리거(115)는 중앙의 사각 평판(160), 4개의 수평대(165) 및 4개의 다리(17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다리(170)를 통하여 상기 원형 타설기(100)가 슬래브 상에 위치하는 레일 받침대에 의해 지지되는 레일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러나, 상술한 원형 타설기는 비록 철근 또는 배선 배관에 손상을 주지는 않지만 회전축을 통한 수평 배송관의 회전 각도에 한계가 있게 되어 별도의 레일을 설치하여 타설기를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레일의 설치 및 유지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원형 타설기는 토출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을 고려하여 비교적 길이가 짧은 수평 배송관을 구비하기 때문에 슬라브 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는 범위가 제한되며, 이러한 경우에는 인접한 곳에 별도의 레일을 설치해야 하므로 결국 콘크리트의 타설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일 목적은 다양한 형상의 엘보우를 통하여 제1 콘크리트 분배기에 분리 설치 가능한 제2 콘크리트 분배기를 함께 구비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시 시공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타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구조의 엘보우를 통하여 제1 콘크리트 분배기 및 제2 콘크리트 분배기가 일체화된 구조 또는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콘크리트의 타설 시간 및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콘크리트 타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콘크리트 타설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원형 콘크리트 타설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엘보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3 엘보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콘크리트 타설 장치 210:제1 콘크리트 분배기
220:제2 콘크리트 분배기 230:제1 콘크리트 배송관
240:제1 회전판 250:제1 엘보우
260:제1 밸브 270:제1 지지 부재
280:제2 지지 부재 290:제3 지지 부재
300:제4 지지 부재 310:제5 지지 부재
320:붐 조립체 325:아웃 트리거
330:제2 엘보우 340:제3 콘크리트 배송관
345:제4 콘크리트 배송관 350:제2 콘크리트 배송관
360:제2 회전판 370:제3 엘보우
380:제4 엘보우 390:제2 밸브
400:붐 410:밸런싱 웨이트
415:제4 콘크리트 배송관 420:제6 콘크리트 배송관
430:제5 엘보우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르면, 내부에 회동 가능한 제1 밸브가 장착된 제1 엘보우, 상기 제1 엘보우 상부에 위치한 제2 엘보우, 상기 제2 엘보우를 중심으로 배치되는 붐 조립체 및 제2 엘보우 회전시키는 제1 회전판을 구비하는 제1 콘크리트 분배기, 그리고 상기 제1 콘크리트 분배기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제2 엘보우에 연결되는 제3 엘보우 및 상기 제3 엘보우를 회전시키는 제2 회전판을 구비하는 제2 콘크리트 분배기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타설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엘보우는 T자형의 구조 또는 십자형의 구조를 갖는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엘보우는 T자형의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 엘보우의 일측은 제1 콘크리트 배송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엘보우의 중앙부는 상기 제2 엘보우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엘보우의 타측은 제2 콘크리트 배송관의 일측에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엘보우는 제1 지지 플레이트, 제1 지지 플레이트 하부의 제1 몸체 및 제1 몸체 하부에서 다수로 분기된 제1 지지발을 갖는 제1 지지 수단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붐 조립체는 각기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 하부의 제1 및 제2 몸체 그리고 제1 및 제2 몸체 하부에서 다수로 분기된 제1 및 제2 지지발을 갖는 제2 및 제2 지지 수단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상기 제2 엘보우의 타측에는 제3 콘크리트 배송관의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3 콘크리트 배송관의 타측은 상기 제3 엘보우에 연결되며, 상기 제3 엘보우의 타측에는 제4 콘크리트 배송관이 연결되고, 상기 제4 콘크리트 배송관의 타측은 제4 엘보우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4 엘보우에는 상기 제4 엘보우를 개폐하는 제2 밸브가 장착되고, 상기 제4 엘보우의 타측에는 제5 콘크리트 배송관이 연결되며, 상기 제2 배송관의 타측 및 상기 제5 콘크리트 배송관의 타측으로는 콘크리트가 토출되며, 상기 제2 콘크리트 분배기는 제4 지지 플레이트, 제4 몸체 및 다수의 제4 지지발을 갖는 제4 지지 수단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2 콘크리트 배송관의 타측은 상기 제4 지지 수단과 제5 지지 플레이트, 제5 몸체 및 다수의 제5 지지발을 갖는 제5 지지 수단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콘크리트 배송관의 타측은 T자형의 구조를 갖는 제5 엘보우에 연결되고, 상기 제3 콘크리트 배송관의 일측은 상기 제2 엘보우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기 제3 콘크리트 배송관의 타측으로는 콘크리트가 토출된다. 이 때, 상기 제5 엘보우의 중앙부는 제6 콘크리트 배송관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6 콘크리트 배송관의 타측은 십자형의 구조를 갖는 상기 제3 엘보우의 중앙부에 연결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제1 및 제2 콘크리트 분배기를 구비하기 때문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시간 및 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하여 효율적으로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중앙부에 하나 이상의 통로가 제공된 엘보우를 적용하여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는 동시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건축물에 따라 적절한 T자형 또는 십자형 등과 같이 다양한 구조를 갖는 엘보우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타설 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다. 더욱이,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장치는 레일을 이용한 이동식이 아니라 다수의 지지 부재들을 사용한 고정식이므로, 인력에 의해 이동하는 레일 방식의 콘크리트 타설기에 비하여 크레인을 사용하여 이동시키게 되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고안이 하기의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장치(200)(로보텍(robotec))는 제1 콘크리트 분배기(210) 및 제2 콘크리트 분배기(220)를 구비한다.
제1 콘크리트 분배기(210)는 내부에 제1 밸브(260)가 장착된 제1 엘보우(250), 제1 엘보우(230) 상부의 제2 엘보우(330), 제2 엘보우(330)를 중심으로 배치되는 붐 조립체(320) 그리고 제2 엘보우(330)를 회전시키는 제1 회전판(240)을 구비한다.
펌프카(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콘크리트가 이송되는 제1 콘크리트 배송관(230)은 'T'자의 형상을 갖는 제1 엘보우(250)의 일측에 연결되며, 제1 엘보우(250)의 타측은 수평하게 배치된 제2 배송관(350)에 연결된다. 또한, 제1 엘보우(250)의 중앙 상부는 제2 엘보우(330)에 연결된다. 건축물의 슬라브 상에서 이러한 제1 엘보우(250)를 지지하기 위하여 제1 엘보우(250)의 하부에는 제1 지지 부재(270)가 설치된다.
제1 지지 부재(270)는 소정의 면적을 갖고 수평하게 배치된 제1 지지 플레이트(273), 다수로 분기되어 제1 지지 플레이트(273)의 하부에서 제1 지지 플레이트(273)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발(277) 그리고 지지발(277)과 제1 지지 플레이트(273)를 연결하는 제1 몸체(275)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밸브(260)는 상기 T자형 제1 엘보우(250)의 타측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 밸브(260)의 개폐에 따라 제1 콘크리트 배송관(230)을 통과하는 콘크리트의 유동이 조절된다. 즉, 제1 밸브(260)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위치에 위치시키면, 제1 밸브(260)가 T자형 제1 엘보우(250)의 타측 통로를 폐쇄하면서 제1 콘크리트 배송관(230)을 통과하는 콘크리트가 제1 엘보우(250) 및 제2 엘보우(330)를 지나 제3 콘크리트 배송관(340)을 향하여 이동한다. 이에 비하여, 제1 밸브(260)를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상방으로 회전시키면 제1 밸브(260)의 중앙부 통로가 폐쇄되면서 제1 콘크리트 배송관(230)을 지나는 콘크리트가 제2 콘크리트 배송관(350)을 향하게 된다. 또한, 제1 밸브(260)를 중립의 위치에 위치시키면 제1 콘크리트 배송관(230)을 통과한 콘크리트가 각기 제1 엘보우(260)의 중앙부 통로 및 타측 통로를 지나 제2 엘보우(330)와 제2 배송관(350)으로 흐르게 된다. 따라서, 제1 밸브(260)의 조작을 통하여 제1 엘보우(250)를 지나는 콘크리트의 유동 방향 및 유동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일측이 제1 엘보우(250)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결되며, 타측이 수평하게 굴곡된 제2 엘보우(330)에는 제1 회전판(240)이 체결되어 제2 엘보우(330)의 타측에 연결된 제3 콘크리트 배송관(340)은 360°회전할 수 있게 된다. 제1 회전판(240)은 아웃 트리거(325)에 체결되며, 아웃 트리거(325)는 제2 및 제3 지지 부재(280, 290)에 의해 슬라브 상에 지지된다. 또한, 제2 및 제3 지지 부재(280, 290)는 각기 제1 콘크리트 배송관(230)과 제2 콘크리트 배송관(350)의 일측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제2 및 제3 지지 부재(280, 290)는 전술한 제1 지지 부재(270)와 마찬가지로 각기 상부의 제2 및 제3 지지 플레이트(283, 293), 제2 및 제3 지지 플레이트(283, 293) 하부의 제2 및 제3 몸체(285, 295) 그리고 다수로 분기되어 제2 및 제3 몸체(285, 295)를 지지하는 제2 및 제3 지지발(287, 297)을 포함한다.
상기 붐 조립체(320)는 붐(400), 붐(400)을 중심으로 일측에 설치된 밸런스 웨이트(410) 및 타측에 설치된 제2 밸브(390)를 구비한다. 붐(400)은 제2 엘보우(330)에 연결되며, 밸런스 웨이트(330)를 통하여 제1 콘크리트 타설기(210)의 회전을 조정한다.
제2 콘크리트 분배기(220)는 제3 엘보우(370), 제2 회전판(360) 및 제4지지 부재(300)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엘보우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3 엘보우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3 엘보우(370)는 'T'자형 또는 십자형의 구조를 가지며, 제3 엘보우(370)의 일측은 제2 엘보우(330)로부터 연장되는 제3 콘크리트 배송관(340)과 연결되며, 제3 엘보우(370)의 타측은 제4 콘크리트 배송관(345)에 연결된다. 상기 제3 엘보우(370)가 T자형의 구조를 가질 경우에는, 중앙부의 통로에는 다른 콘크리트 배송관을 연결하여 펌프카로부터 이송되는 콘크리트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한쪽 방향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타설 장치(200)가 설치된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도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아파트 또는 연립 주택과 같이 바닥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건축물의 시공 시에는 콘크리트 타설 시간 및 타설 작업의 편리성을 고려할 때 중앙 통로에 다른 콘크리트 배송관을 연결할 수 있는 T자형의 구조를 갖는 제3 엘보우(370)를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장이나 컨벤션 홀 또는 대형 빌딩과 같이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건축물의 면적이 넓을 경우에는 다수의 중앙 통로가 형성되어 여기에 다수의 콘크리트 배송관들을 연결할 수 있는 십자형의 구조를 갖는 제3 엘보우(370)를 사용하는 것이 콘크리트 타설 시간 및 비용적인 면에서 보다 우수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제3 엘보우(370)는 하부에 설치된 제2 회전판(360)에 의해 360°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 회전판(360)은 그 하부의 제4 지지 부재(300)에 의해 지지된다. 제4 지지 부재(300)는 제4 지지 플레이트(303), 제4 몸체(305) 및 다수의 제4 지지발(307)을 구비하며, 제4 지지 플레이트(303)는 제1 엘보우(250)로부터 연장되는 제2 콘크리트 배송관(350)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술한 종래의 콘크리트 타설기에 있어서는, 타설기의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범위가 제한되기 때문에 슬라브 상에 레일과 같은 이송 장치를 설치한 다음, 콘크리트 타설기를 이동시키면서 배송관으로부터 콘크리트를 토출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르면 제1 및 제2 콘크리트 분배기(210, 220)를 설치하고, 다수의 제1 내지 제5 지지 부재들(280, 290, 300, 310)을 통하여 제1 및 제2 콘크리트 분배기(210, 220)와 제3 콘크리트 배송관(350)을 지지하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타설을 위하여 별도의 레일과 같은 추가적인 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콘크리트의 타설 시간 및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제3 엘보우(370)의 타측에는 제4 콘크리트 배송관(345)의 일측이 연결되며, 제4 콘크리트 배송관(345)의 타측은 원하는 위치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하여 수직 하방으로 절곡된 제4 엘보우(380)에 연결된다. 제4 엘보우(390)의 양측부는 수직하게 형성된 중앙부로부터 각기 수평하게 굴곡되며, 제4 엘보우(390)의 일측은 제4 콘크리트 배송관(345)에 연결되며, 제4 엘보우(390)의 타측은 제5 배송관(415)에 연결된다. 제4 엘보우(380)에는 제5 콘크리트 배송관(415)을 통해 토출되는 콘크리트를 조절하기 위하여 개폐 가능한 제2 밸브(390)가 설치된다. 따라서, 펌프카로부터 이송되는 콘크리트는 최종적으로 제5 콘크리트 배송관(415)을 통해 원하는 위치에 토출된다. 이와 동시에 제3 콘크리트 배송관(350)을 통해 이송된 콘크리트도 타설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경우에 비하여 콘크리트의 타설 시간이 현저하게 짧아진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장치를 사용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에 있어서 도 3과 동일한 부재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장치(200)에서는 제3 콘크리트 배송관(340)이 제3 엘보우(370)에 연결되지 않고 개방된 상태에서 슬라브 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또한, 제2 콘크리트 분배기(220)는 제3 엘보우(370)외에도 그 아래의 제5 엘보우(430)를 구비한다.
제5 엘보우(430)는 'T'자형의 구조를 가지며 제5 엘보우(430)의 일측에는 제2 콘크리트 배송관(350)이 연결된다. 제5 엘보우(430)의 중앙 통로에는 제6 콘크리트 배송관(420)의 일측이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제5 엘보우(430)의 내부에는 전술한 제1 엘보우(250)와 동일한 밸브를 설치하여 제5 엘보우(430)의 타측 통로에 또 다른 콘크리트 배송관을 연결할 수 있다.
제6 콘크리트 배송관(420)의 타측은 제3 엘보우(370)의 중앙 통로에 연결되며, 이 경우 제3 엘보우(370)는 다른 통로에 또 다른 콘크리트 배송관을 연결할 수 있도록 십자형의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부재들 이외에 다른 부재들은 도 3에 도시한 장치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3 콘크리트 배송관(340)을 통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는 동시에 제5 배송관(415)을 통해서도 콘크리트를 토출할 수 있으므로 넓은 면적을 갖는 건축물의 콘크리트 시공 시에 보다 유리한 장점을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장치는, 다수의 엘보우가 설치된 제1 및 제2 콘크리트 분배기를 구비하기 때문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시간 및 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하여 효율적으로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중앙부에 하나 이상의 통로가 제공된 엘보우를 적용하여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는 동시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건축물에 따라 적절한 T자형 또는 십자형 등과 같이 다양한 구조를 갖는 엘보우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타설 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지지 부재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타설 장치를 지지하기 때문에 슬라브 시공 시 스페이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골재가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를 타설하면서 곧바로 미장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의 기포 발생 현상 및 수분 탈수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종래의 콘크리트 타설기의 문제점이었던 콘크리트 타설 중의 장치의 심한 진동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타설에 따른 슬라브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장치는 레일을 이용한 이동식이 아니라 다수의 지지 부재들을 사용한 고정식이므로, 인력에 의해 이동하는 레일 방식의 콘크리트 타설기에 비하여 크레인을 사용하여 이동시키게 되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건축물의 축조를 위하여 슬라브 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회동 가능한 제1 밸브가 장착된 제1 엘보우, 상기 제1 엘보우 상부에 위치한 제2 엘보우, 상기 제2 엘보우를 중심으로 배치되는 붐 조립체 및 제2 엘보우 회전시키는 제1 회전판을 구비하는 제1 콘크리트 분배기; 그리고
    상기 제1 콘크리트 분배기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제2 엘보우에 연결되는 제3 엘보우 및 상기 제3 엘보우를 회전시키는 제2 회전판을 구비하는 제2 콘크리트 분배기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타설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엘보우는 T자형의 구조 또는 십자형의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엘보우는 T자형의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 엘보우의 일측은 제1 콘크리트 배송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엘보우의 중앙부는 상기 제2 엘보우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엘보우의 타측은 제2 콘크리트 배송관의 일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엘보우는 제1 지지 플레이트, 제1 지지 플레이트 하부의 제1 몸체 및 제1 몸체 하부에서 다수로 분기된 제1 지지발을 갖는 제1 지지 수단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붐 조립체는 각기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 하부의 제1 및 제2 몸체 그리고 제1 및 제2 몸체 하부에서 다수로 분기된 제1 및 제2 지지발을 갖는 제2 및 제2 지지 수단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엘보우의 타측에는 제3 콘크리트 배송관의 일측이 연결되며, 상기 제3 콘크리트 배송관의 타측은 상기 제3 엘보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엘보우의 타측에는 제4 콘크리트 배송관이 연결되며, 상기 제4 콘크리트 배송관의 타측은 제4 엘보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엘보우에는 상기 제4 엘보우를 개폐하는 제2 밸브가 장착되고, 상기 제4 엘보우의 타측에는 제5 콘크리트 배송관이 연결되며, 상기 제2 배송관의 타측 및 상기 제5 콘크리트 배송관의 타측으로는 콘크리트가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콘크리트 분배기는 제4 지지 플레이트, 제4 몸체 및 다수의 제4 지지발을 갖는 제4 지지 수단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2 콘크리트 배송관의 타측은 상기 제4 지지 수단과 제5 지지 플레이트, 제5 몸체 및 다수의 제5 지지발을 갖는 제5 지지 수단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콘크리트 배송관의 타측은 T자형의 구조를 갖는 제5 엘보우에 연결되고, 상기 제3 콘크리트 배송관의 일측은 상기 제2 엘보우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기 제3 콘크리트 배송관의 타측으로는 콘크리트가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엘보우의 중앙부는 제6 콘크리트 배송관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6 콘크리트 배송관의 타측은 십자형의 구조를 갖는 상기 제3 엘보우의 중앙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장치.
KR2020000036808U 2000-12-28 2000-12-28 콘크리트 타설 장치 KR2002266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808U KR200226641Y1 (ko) 2000-12-28 2000-12-28 콘크리트 타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808U KR200226641Y1 (ko) 2000-12-28 2000-12-28 콘크리트 타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6641Y1 true KR200226641Y1 (ko) 2001-06-15

Family

ID=73094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6808U KR200226641Y1 (ko) 2000-12-28 2000-12-28 콘크리트 타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664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78838A (zh) 组合式"v"形钢管混凝土柱施工方法
CN107700533A (zh) 一种箱型快速组装拆卸模管廊施工工艺
SG187296A1 (en) A multi-storey building with prefabricated members and a semi-prefabricating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10565962A (zh) 工具式溜管及施工方法
CN108661313A (zh) 一种工具式混凝土叠合板现浇连接段模板支撑装置
CN107988918A (zh) 混凝土卷模施工装置
CN101492907A (zh) 一种t型桥梁翼缘板现浇施工工法
KR101957099B1 (ko) 콘크리트 분배기
KR200226641Y1 (ko) 콘크리트 타설 장치
CN110093948A (zh) 适用于快速施工的变截面管廊结构及其施工方法
CN109944478A (zh) 一种双曲线冷却塔施工方法
KR102103467B1 (ko) 콘크리트 분배기
CN211647357U (zh) 工具式溜管
KR200398831Y1 (ko) 콘크리트분배기 회전장치
KR100387987B1 (ko) 직교 주행이 가능한 원형 타설기
CN209119674U (zh) 用于安装二次配管的固定结构
CN207392760U (zh) 混凝土浇筑管固定装置
CN112832530A (zh) 可实现大面积布料的便捷组装式布料装置及其组装方法
KR100829062B1 (ko) 콘크리트 압송파이프 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사장교 주탑시공방법
JP4748755B2 (ja) コンクリート型枠施工方法
CN110126063A (zh) 一种塔吊配重制作装置
JP2885636B2 (ja) 分岐弁によるノズル切換配管打設工法
KR19990073070A (ko) 원형타설기및콘크리트배송관의맥동감소장치
CN214834859U (zh) 可实现大面积布料的便捷组装式布料装置
KR200409469Y1 (ko) 콘크리트 타설용 게이트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