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6014Y1 - 전동기반 및 제어반용 외함 설치 구조 - Google Patents

전동기반 및 제어반용 외함 설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6014Y1
KR200226014Y1 KR2020000034409U KR20000034409U KR200226014Y1 KR 200226014 Y1 KR200226014 Y1 KR 200226014Y1 KR 2020000034409 U KR2020000034409 U KR 2020000034409U KR 20000034409 U KR20000034409 U KR 20000034409U KR 200226014 Y1 KR200226014 Y1 KR 2002260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enclosure
corner
control panel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44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덕룡
Original Assignee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344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60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60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6014Y1/ko

Links

Landscapes

  • Patch Board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동기반 및 제어반용 외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 프레임의 크기를 사용목적에 따라 정확한 치수로 가공할 수 있도록 하고, 설치된 프레임 및 코너 브라켓을 표준화시킴에 의해 표준화된 프레임으로 각종의 외함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외함의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전동기반 및 제어반이 수용되는 육면체구조의 외함(100)에 있어서; 상기 외함(100)의 각 코너부에는 폭(W), 깊이(D), 높이(H)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각 면상에 복수개의 고정홀(112)이 형성된 프레임 결합부(111)를 갖는 코너 브라켓(110)이 구비되고, 상기 각 코너 브라켓(110)의 각 프레임 결합부(111)상에는 대략 일측면이 개구된 'ㅁ'자형의 단면구조를 가지며 개구된 면상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개의 체결홀(122)이 구비된 프레임(120)이 각각 삽입되고, 상기 프레임(120)의 체결홀(122)과 코너 브라켓(110)의 고정홀(112)을 관통하여 체결부재(130)가 체결됨에 따라 각 코너 브라켓(110)과 프레임(120)이 상호 조립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반 및 제어반용 외함 설치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동기반 및 제어반용 외함 설치 구조{structure equipping frames in the motor control center and control panel}
본 고안은 전동기반 및 제어반용 외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함의 설치 구조를 개선하여 각 프레임의 크기를 사용목적에 따라 정확한 치수로 가공할 수 있도록 하고, 설치된 프레임 및 코너 브라켓을 표준화시킴에 의해 표준화된 프레임으로 다양한 형태의 외함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인 전동기반(motor control center : MCC) 및 제어반(control panel : CP)은 산업용 전기분야의 제품으로서, 내측에 설치된 각종 기기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철재 외함이 구비된다.
현재 산업용 전기기기를 수납하는 외함들은 각 회사별로 고유의 사이즈(size) 및 형태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종래의 전동기반 및 제어반용 외함들로는 대표적으로 H-TYPE 전동기반 외함, SOL-TYPE 전동기반 외함 등으로 나누어진다.
상기 H-TYPE 전동기반 외함은 폭:600 또는 700mm, 깊이:500,550 또는 700mm, 높이:2300mm으로 제작되어 주로 경제형으로 사용된다.
SOL-TYPE 전동기반 외함은 폭:1000mm, 깊이:650 또는 1000mm, 높이: 2300mm으로 제작되어 주로 다기능형으로 사용된다.
또한, H-TYPE 전동기반 외함에 사용되는 프레임은 주로 그 단면이 '낚시고리'형상 또는 'ㄷ'자의 일단부가 외측으로 수직되게 연장된 형상이고, 중간 보강용으로는 단면이 'ㄷ'형상을 하는 프레임들이 고정적으로 사용된다.
SOL-TYPE 전동기반 외함은 H-TYPE 전동기반 외함에 사용되는 각종 프레임의 단면보다 복잡한 단면을 갖는 프레임들을 사용한다.
이와 같이, 제작회사의 전동기반 외함에 따라 여러 가지 형상의 프레임이 적용되고, 각종 프레임이 다양하게 밴딩되어 적용된다.
가장 보편화된 외함의 제작 기기로서 NCT(numerical control turret punch press)는 입력된 값에 따라 각 철판을 프레스, 펀칭 및 절곡 가공을 수행한다.
이러한 작업에 의해 생산된 프레임은 작업자에 의해 설계된 치수로 밴딩가공 된다.
이 프레임을 설계에 따라 작업자가 용접에 의해 상호 연결하거나, 상기 프레임에 체결홀을 뚫어 볼트로 체결하는 방식으로 각각의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므로써 외함을 제작한다.
이와 같이 제작되는 전동기반 및 제어반용 외함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각 전동기용 외함에 따라 각각 다른 형상을 갖는 프레임을 적용하므로 해당 외함의 프레임을 제작하거나 변경시 각종 프레임을 각각 다르게 제작해야하는 어려운 점이 있다.
이에 따라, 현장에서 각종 프레임의 수급 및 관리가 어려워지게 된다.
또한, 상기 NCT에 의해 제작된 프레임을 현장의 작업자가 각 프레임의 길이에 맞게 밴딩함으로 인하여 밴딩된 부분에서 가공오차가 발생될 수 있다.
이렇게 제작된 프레임을 용접에 의해 연결하거나 볼트에 의해 조립하면 전체 사이즈에 있어 외함의 높이, 폭, 깊이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게다가, 다른 종류의 외함을 제작할 경우에 외함에 적용되는 각종 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해 NCT에 입력된 데이터를 완전히 다르게 변경하여야 하는 불편함으로 외함의 생산에 있어 생산성이 저하될 수도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표준화된 프레임과 코너 브라켓의 종류를 단순화시켜 각종 외함에 표준화된 프레임 등이 적용되도록 하고, 정확한 치수를 갖는 외함을 간편하게 제작하도록 하여 외함제작에 있어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동기반 외함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1의 'A' 부분인 외함 코너부의 각 프레임과 코너 브라켓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코너 브라켓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외함 전면에 위치하는 높이방향 및 폭방향 프레임의 Ⅰ-Ⅰ선을 따른 단면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2의 외함 전면에 위치하는 깊이방향 프레임의Ⅱ-Ⅱ선을 따른 단면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번호의 설명 *
100 : 외함 110 : 코너 브라켓
111 : 프레임 결합부 112 : 고정홀
113 : 제 1 절곡부 120 : 프레임
122 : 체결홀 123 : 제 2 절곡부
130 : 체결부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전동기반 및 제어반이 수용되는 육면체구조의 외함에 있어서; 상기 외함의 각 코너부에는 폭, 깊이, 높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각 면상에 복수개의 고정홀이 형성된 프레임 결합부를 갖는 코너 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각 코너 브라켓의 각 프레임 결합부상에는 대략 일측면이 개구된 'ㅁ'자형의 단면구조를 가지며 개구된 면상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개의 체결홀이 구비된 프레임이 각각 삽입되고, 상기 프레임의 체결홀과 코너 브라켓의 고정홀을 관통하여 체결부재가 체결됨에 따라 각 코너 브라켓과 프레임이 상호 조립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반 및 제어반용 외함 설치 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전동기반용 및 제어반용 외함 설치 구조에 관해 참조도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동기반 외함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1의 'A' 부분인 외함 코너부의 각 프레임과 코너 브라켓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동기반용 외함(100)은 각 모서리부에 코너 브라켓(110)이 위치하고, 상기 각 코너 브라켓(110)에 각각의 프레임(120)이 장착되어 직육면체형상을 갖는다.
상기 코너 브라켓(110)은 외함(100)에 대해 폭(W)방향, 깊이(D)방향, 높이(H)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진 각각의 프레임 결합부(111)가 형성되고, 각 프레임 결합부(111)에는 면상에 복수개의 고정홀(1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코너 브라켓(110)에 형성된 프레임 결합부(111)에는 각각의 프레임(120)이 삽입 장착되어 전동기반용 외함(100)의 깊이(D), 폭(W), 높이(H)를 각각 형성한다.
상기 각 프레임(120)은 대략 일측면이 개구된 'ㅁ'의 형상을 갖고, 상기 일측면의 개구된 부분은 각 프레임(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각 프레임(120)의 일측면상에 있어서 개구된 부분의 양측에 다수개의 체결홀(122)이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프레임(120)의 일측면상에서 개구된 부분을 중심으로 일측에 프레임(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1열을 이루도록 다수개의 체결홀(122)이 형성되고, 타측에 프레임(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1열을 이루도록 다수개의 체결홀(122)이 형성되어 서로 대응되도록 프레임(120)의 일측면상에 2열을 이루면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20)의 일측면상에 프레임(12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체결홀(122)이 1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다수개의 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각 프레임(12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체결홀(122)이 동일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함(100)의 제작자는 외함(100)의 치수에 따라 각 프레임(120)을 절단함에 있어 어느 곳을 절단하더라도 체결홀(122)이 형성된 끝단부가 형성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일측의 각 체결홀(122)과 타측의 각 체결홀(122)이 각각 지그재그로 엇갈려 형성될 수도 있다.
각 프레임 결합부(111)에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홀(112)과 이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각 프레임(120)의 끝단부에 형성된 체결홀(122)은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이는 상기 체결홀(122)과 고정홀(112)을 통과하도록 볼트를 체결함에 의해 각각의 프레임(120)을 각 코너 브라켓(110)에 고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의 체결방식을 이용하여 전동기반 및 제어반용 외함(100)을 제작할 경우, 각 프레임(120)에 형성된 체결홀(122)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각 프레임(120)의 양끝단부에서 코너 브라켓(110)과 체결되는 프레임(120) 양끝단부 체결홀(122)간의 거리를 계산함에 의해 쉽게 외함(100)의 사이즈를 계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코너 브라켓(110)에 형성된 고정홀(112)과 프레임(120)의 양끝단부 체결홀(122)을 볼트에 의해 체결하므로 외함(100)의 제작시 가공오차가 거의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일측과 타측의 일련의 체결홀(122)들은 각각 25mm의 피치 단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동기반용 외함(100)의 사이즈를 정함에 있어서, 상술한 대로 500, 550, 600 및 1000mm 등의 수치를 사용하므로 작업자가 홀의 개수에 의해 프레임의 길이를 계산하기 편리하고, 이로 인하여 현장의 작업자로 인한 가공오차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일반적으로 외함(100)의 제작시 발생되는 가공오차는 설계자에 의해 발생되는 것보다는 각종 작업기기 또는 작업자의 착오나 실수에 의해 발생되는 경우가 많다.
도 3은 도 2의 코너 브라켓의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상기 외함(100)에 설치되는 코너 브라켓(110) 중 외함(100) 전면의 높이방향과 폭방향의 각 프레임 결합부(111)에는 외함(100)의 전방측을 향하는 부분이 오목하게 함몰된 제 1 절곡부(113)가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반면, 상기 외함(100) 전면의 높이방향 및 폭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프레임 결합부(111)는 도 5와 같이 프레임(120)의 단면형상인 개구된 'ㅁ'자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외함(100)의 설치 구조에 적용되는 프레임(120)을 2종류로 한정하여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이는 프레임(120)의 종류를 단순화시켜 각종 작업공정을 단순화시키고, 다양한 프레임(120)의 관리에 대한 어려움을 해소하여 외함(100)의 제작에 있어 생산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프레임(120)을 2종류로 표준화시킴에 의해 각종 외함(100)의 설계에 따라 여러 가지 변경된 데이터를 NCT에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을 다소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는 외함 전면을 이루는 높이방향 및 폭방향 프레임의 단면을 나타낸 것으로 도 2의 Ⅰ-Ⅰ선을 따른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외함(100)의 전면측에 높이방향 및 폭방향 프레임(120)은 각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함몰된 제 2 절곡부(123)를 갖는다.
이는 외함(100) 전면에 커버 또는 도어를 설치할 경우, 설치되는 커버 또는 도어가 전면을 형성하는 각 프레임(120)에 대해 매립되어 외함(100)의 전면으로부터 커버 또는 도어의 전면이 돌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로 인하여 현장의 관리자가 외함의 커버 또는 도어를 개폐할 때에 회전축을 이루는 도어의 일측부와 프레임 사이에 손가락이 끼어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전동기반 외함(100)의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절곡부(113)가 형성된 각 프레임(120)에 삽입 장착되도록 제 2 절곡부(123)가 형성된 프레임 결합부(111)가 제 1 절곡부(113)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외함에 적용되는 프레임의 종류를 표준화함에 의해 각종 프레임 등의 관리를 합리화하며, 작업의 단순화로 외함의 생산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프레임 및 코너 브라켓의 표준화을 통하여 외함의 제작시 가공오차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Claims (2)

  1. 전동기반 및 제어반이 수용되는 육면체구조의 외함에 있어서;
    상기 외함의 각 코너부에는 폭(W), 깊이(D), 높이(H)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각 면상에 복수개의 고정홀이 형성된 프레임 결합부를 갖는 코너 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각 코너 브라켓의 각 프레임 결합부상에는 대략 일측면이 개구된 '한'자형의 단면구조를 가지며 개구된 면상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개의 체결홀이 구비된 프레임이 각각 삽입되고,
    상기 프레임의 체결홀과 코너 브라켓의 고정홀을 관통하여 체결부재가 체결됨에 따라 각 코너 브라켓과 프레임이 상호 조립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반 및 제어반용 외함 설치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코너 브라켓 중에서 외함 전면의 폭방향과 높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각 프레임 결합부에는 소정의 길이방향으로 제 1 절곡부가 구비되고,
    상기 각 프레임 중에서 외함 전면의 폭방향과 높이방향으로 설치된 각 프레임 결합부에 대응되는 각 프레임은 길이방향으로 제 2 절곡부가 각각 구비되어 외함 전면의 커버 또는 도어가 매립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반 및 제어반용 외함 설치 구조.
KR2020000034409U 2000-12-08 2000-12-08 전동기반 및 제어반용 외함 설치 구조 KR2002260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409U KR200226014Y1 (ko) 2000-12-08 2000-12-08 전동기반 및 제어반용 외함 설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409U KR200226014Y1 (ko) 2000-12-08 2000-12-08 전동기반 및 제어반용 외함 설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6014Y1 true KR200226014Y1 (ko) 2001-06-01

Family

ID=73061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4409U KR200226014Y1 (ko) 2000-12-08 2000-12-08 전동기반 및 제어반용 외함 설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601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175B1 (ko) 2010-07-12 2012-04-24 정승환 전력함
KR101200761B1 (ko) 2010-06-15 2012-11-13 오성기전주식회사 고저압 수배전반, 분전반 및 모터제어반을 위한 판넬 조립용 장치
KR20230009586A (ko) * 2021-07-09 2023-01-17 동양산전(주) 배전반용 프레임 구조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761B1 (ko) 2010-06-15 2012-11-13 오성기전주식회사 고저압 수배전반, 분전반 및 모터제어반을 위한 판넬 조립용 장치
KR101140175B1 (ko) 2010-07-12 2012-04-24 정승환 전력함
KR20230009586A (ko) * 2021-07-09 2023-01-17 동양산전(주) 배전반용 프레임 구조체
KR102617477B1 (ko) 2021-07-09 2023-12-27 동양산전(주) 배전반용 프레임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88352B (zh) 衣物处理装置以及制造用于衣物处理装置的前盖的方法
US5744213A (en) Enclosure panel with herringbone aperture pattern
KR100720931B1 (ko) 엘시디 모듈용 하우징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하우징
KR200226014Y1 (ko) 전동기반 및 제어반용 외함 설치 구조
EP1933098A1 (en) Air-conditioner unit and conveying the same
JPH0433723A (ja) 金属板製折曲げ加工品の制造方法
EP1164672B1 (en) Cabinet for electrical switchboard
KR102317578B1 (ko)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용 렁 및 이를 포함한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US7326853B2 (en) Terminal box for electrotechnical uses and corresponding method of manufacturing
EP1293272B1 (en) Sheet met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ree-dimensional structure from this sheet metal
CN217964190U (zh) 钣金折弯下模及折弯机
CN210985306U (zh) 面板元件和电流分配器
JP2003051680A (ja) 電装箱及び電装箱の製造方法
EP1815572B1 (en) A joining device for cable ducts
CN1166851C (zh) 整体拉伸、冲压成型分户防盗门及其制法
CN109428294B (zh) 电气接线箱
WO2006000889A1 (en) Cable system
KR200268834Y1 (ko) 스틸문짝 제조용 펀칭머신
JP4450377B2 (ja) 電子機器の筐体構造
KR100226521B1 (ko) 방화문의 제조방법
JP3436550B2 (ja) 箱曲げプレス機用櫛形パンチ
KR960015729B1 (ko) 철판을 절곡하여 제조되는 랙기어(rack gear)
KR200309575Y1 (ko) 배전함의 도어 프레임 구조
JP2501961B2 (ja) 電子回路パッケ―ジ実装用筐体の案内部材
JPH02108419A (ja) 段曲げ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0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