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7477B1 - 배전반용 프레임 구조체 - Google Patents

배전반용 프레임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7477B1
KR102617477B1 KR1020210090159A KR20210090159A KR102617477B1 KR 102617477 B1 KR102617477 B1 KR 102617477B1 KR 1020210090159 A KR1020210090159 A KR 1020210090159A KR 20210090159 A KR20210090159 A KR 20210090159A KR 102617477 B1 KR102617477 B1 KR 102617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frame
vertical frame
horizontal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0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9586A (ko
Inventor
이기원
강병익
Original Assignee
동양산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산전(주) filed Critical 동양산전(주)
Priority to KR1020210090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7477B1/ko
Publication of KR20230009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9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7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7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Frameworks
    • H02B1/012Details of mechanical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Frameworks
    • H02B1/014Corner connections for frame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수직체결홈이 형성된 제1삽입연결부가 절곡상태로 마련되며, 복수의 제2수직체결홈이 형성된 제1가로연결판이 마련된 한 쌍의 제1수직프레임, 제3수직체결홈이 형성된 제2삽입연결부가 절곡상태로 마련되며, 복수의 제4수직체결홈이 형성된 제2가로연결판이 마련된 한 쌍의 제2수직프레임, 제1수직프레임의 상단 및 하단을 연결하도록 길이방향 양측에는 제1삽입연결부를 삽입되게 하는 제1삽입홈부가 마련되고, 길이방향 양측에는 제1세로체결홈이 형성된 한 쌍의 제1세로프레임, 제2수직프레임의 상단 및 하단을 연결하도록 길이방향 양측에는 제2삽입연결부를 삽입되게 하는 제2삽입홈부가 마련되고, 길이방향 양측에는 제2세로체결홈이 형성된 한 쌍의 제2세로프레임, 제1수직프레임 상단과 제2수직프레임 상단 사이에 배치되며,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제1세로연결판이 연장 형성되고, 제1세로연결판에는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제1가로체결홈이 형성된 한 쌍의 제1가로프레임, 제1수직프레임 하단과 제2수직프레임 하단 사이에 배치되며,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제2세로연결판이 연장 형성되고, 제2세로연결판에는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제2가로체결홈이 형성된 한 쌍의 제2가로프레임;을 포함하는 배전반용 프레임 구조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배전반용 프레임 구조체{Frame structure for switchboard}
본 발명은, 배전반의 각종 전기기기들을 보호상태로 설치할 수 있게 하는 배전반용 프레임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은 옥외의 발전소, 변전소 또는 전기시설이 되어 있는 장소에 장치를 한 반(盤)으로서, 안전장치, 계기, 표시등, 계전기 등을 배치하여 전로의 개폐나 기기의 제어를 쉽게 할 수 있게 한다. 즉 전기계통의 감시, 제어, 보호를 행하는 기기이며, 계기, 계전기 및 개폐장치 등의 기구류와 이를 부착하는 지지물, 그리고 기구 간을 접속하는 전선 등으로 이루어진 집합체이다.
이러한, 배전반은 복수의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으로 육면체 형태를 가지는 프레임 구조체에 설치되어, 각종 전기기기들을 보호할 수 있게 한다.
이때, 배전반용 프레임 구조체는 복수의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을 용접고정방식에 의해 결합할 경우 조립성이 떨어지는 바, 근래에는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을 연결하는 모서리 부분에 별도의 프레임연결구를 배치한 상태로 체결볼트 및 너트로 조립하여 전체적인 틀을 형성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배전반용 프레임 구조체는 별도의 프레임연결구를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의 연결 부분에 추가적으로 배치한 후, 체결볼트 및 너트를 이용한 체결이 이루어짐으로써, 조립작업이 번거로움과 더불어 프레임연결구가 배전반과의 간섭을 유발하면서 배전반 설치시 공간활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같은, 배전판 프레임에 대한 관련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9-0022722호(1999.07.05)에 제시된다.
본 발명은, 조립작업을 쉽게 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배전반의 설치시 공간활용성을 최대화할 수 있게 하는 배전반용 프레임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후방향에 상호 이격상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단 및 하단에는 제1수직체결홈이 형성된 제1삽입연결부가 절곡상태로 마련되며, 일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의 제2수직체결홈이 형성된 제1가로연결판이 마련된 한 쌍의 제1수직프레임, 한 쌍의 상기 제1수직프레임에 대칭되게 배치되며, 상단 및 하단에는 제3수직체결홈이 형성된 제2삽입연결부가 절곡상태로 마련되며, 일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의 제4수직체결홈이 형성된 제2가로연결판이 마련된 한 쌍의 제2수직프레임, 한 쌍의 상기 제1수직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제1수직프레임의 상단 및 하단을 연결하도록 길이방향 양측에는 제1삽입연결부를 삽입되게 하는 제1삽입홈부가 마련되고, 길이방향 양측에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된 체결부재를 통해 제1수직프레임과 체결되도록 제1수직체결홈에 대칭되는 위치에 제1세로체결홈이 형성된 한 쌍의 제1세로프레임, 한 쌍의 상기 제2수직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제2수직프레임의 상단 및 하단을 연결하도록 길이방향 양측에는 제2삽입연결부를 삽입되게 하는 제2삽입홈부가 마련되고, 길이방향 양측에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된 체결부재를 통해 제2수직프레임과 체결되도록 제2수직체결홈에 대칭되는 위치에 제2세로체결홈이 형성된 한 쌍의 제2세로프레임, 상기 제1수직프레임 상단과 제2수직프레임 상단 사이에 배치되며,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제1세로연결판이 연장 형성되고, 제1세로연결판에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된 체결부재를 통해 제1수직프레임 상단의 제1수직체결홈 및 제2수직프레임 상단의 제4수직체결홈에 체결되도록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제1가로체결홈이 형성된 한 쌍의 제1가로프레임, 상기 제1수직프레임 하단과 제2수직프레임 하단 사이에 배치되며,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제2세로연결판이 연장 형성되고, 제2세로연결판에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된 체결부재를 통해 제1수직프레임 하단의 제1수직체결홈 및 제2수직프레임 하단의 제4수직체결홈에 체결되도록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제2가로체결홈이 형성된 한 쌍의 제2가로프레임;을 포함하는 배전반용 프레임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세로프레임 및 제2세로프레임은 제1삽입연결부 및 제2삽입연결부가 형성되도록 내측에 공간부가 마련된 각관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1세로프레임의 길이방향 양단 및 제2세로프레임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제1수직프레임의 상단면 및 하단면과 제2수직프레임의 상단면 및 하단면에 밀착되도록 연장밀착면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가로프레임과 제2가로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길이방향으로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된 체결부재를 통해 제1가로프레임의 제1가로체결홈 및 제2가로프레임의 제2가로체결홈에 체결되도록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보강수직체결홈이 형성된 보강수직프레임, 상기 보강수직프레임과 제1수직프레임 사이나 상기 보강수직프레임과 제2수직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길이방향으로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된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보강수직프레임의 보강수직체결홈 및 제1수직프레임의 제1수직체결홈 또는 제1수직프레임의 제1수직체결홈에 체결되도록 보강가로체결홈이 형성된 보강가로프레임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용 프레임 구조체는, 제1수직프레임의 제1삽입연결부와 제2수직프레임의 제2삽입연결부를 제1세로프레임의 제1삽입홈부 및 제2세로프레임의 제2삽입홈부에 각각 삽입 배치하고, 제1가로프레임 및 제2가로프레임을 제1수직프레임과 제2수직프레임 사이에 연결되게 배치한 후,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되게 하는 바, 조립작업을 쉽게 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제1수직프레임 및 제2수직프레임에 제1세로프레임과 제2세로프레임과 제1가로프레임 및 제2가로프레임을 결합시 추가적인 브라켓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아 배전반의 설치공간을 최대화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용 프레임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용 프레임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용 프레임 구조체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용 프레임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배전반용 프레임 구조체는, 제1수직프레임(100), 제2수직프레임(200), 제1세로프레임(300), 제2세로프레임(400), 제1가로프레임(500), 제2가로프레임(600)을 구비한 상태로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1수직프레임(100) 및 제2수직프레임(200)은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는 배전반용 프레임 구조체의 측면 모서리 부분을 구성하도록 직립상태로 배치되는 직선 형태의 프레임이다. 이러한, 제1수직프레임(100) 및 제2수직프레임(200)은 상호 대칭되게 배치된다. 여기서, 제1수직프레임(100)과 제2수직프레임(200)은 사각형 단면 또는 'n'자형 단면을 가지는 각관 구조를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1수직프레임(100)은 전후방향에 상호 이격상태로 마주보게 한 쌍을 배치한다. 여기서, 각각의 제1수직프레임(100) 상단 및 하단에는 이후 설명될 제1세로프레임(300)과 연결되도록 제1삽입연결부(110)가 절곡상태로 마련된다. 이러한, 제1삽입연결부(110)에는 제1세로프레임(300)과 볼트 및 너트로 구성된 체결부재(900)를 통해 연결상태로 결합되도록 볼트가 삽입되게 하는 제1수직체결홈(1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수직프레임(100)의 일측에는 제1수직프레임(100)의 길이방향 일단에서 타단으로 연장되게 제1가로연결판(120)이 마련된다. 여기서, 제1가로연결판(120)에는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의 제2수직체결홈(121)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2수직체결홈(121)은 이후 설명될 제1가로프레임(500) 및 제2가로프레임(600)을 볼트 및 너트로 구성된 체결부재(900) 중 볼트가 삽입되면서 연결상태로 결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2수직프레임(200)은 한 쌍의 제1수직프레임(100)에 각각 대칭되게 배치되도록 전후방향에 상호 이격상태로 마주보게 한 쌍을 구비한다. 여기서, 각각의 제2수직프레임(200) 상단 및 하단에는 이후 설명될 제2세로프레임(400)과 연결되도록 제2삽입연결부(210)가 절곡상태로 마련된다. 이러한, 제2삽입연결부(210)에는 제2세로프레임(400)과 볼트 및 너트로 구성된 체결부재(900)를 통해 연결상태로 결합되도록 볼트가 삽입되게 하는 제3수직체결홈(2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수직프레임(200)의 일측에는 제2수직프레임(100)의 길이방향 일단에서 타단으로 연장되게 제2가로연결판(220)이 마련된다. 여기서, 제2가로연결판(220)에는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의 제4수직체결홈(121)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4수직체결홈(221)은 이후 설명될 제1가로프레임(500) 및 제2가로프레임(600)을 볼트 및 너트로 구성된 체결부재(900) 중 볼트가 삽입되면서 연결상태로 결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1세로프레임(300)과 제2세로프레임(400)과 제1가로프레임(500) 및 제2가로프레임(600)은 제1수직프레임(100)과 제2수직프레임(200)의 상단 및 하단을 연결되게 하면서 육면체 형태를 틀로 형성되게 하는 프레임이다.
상기 제1세로프레임(300)은 한 쌍의 제1수직프레임(100) 상단 및 하단을 연결하는 직선 형태의 프레임이다. 즉, 제1세로프레임(300)은 한 쌍의 제1수직프레임(100) 사이에 배치되며, 제1세로프레임(300)의 길이방향 양측은 제1수직프레임(100)에 연결상태로 결합된다. 이러한, 제1세로프레임(300)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제1수직프레임(100)의 제1삽입연결부(110)를 삽입 배치할 수 있도록 제1삽입홈부(310)가 마련된다. 이때, 제1세로프레임(300)은 제1삽입홈부(310)를 마련되게 하도록 내측에 공간부가 마련된 사각 단면의 각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세로프레임(300)의 제1삽입홈부(310)가 형성된 제1세로프레임(300)의 길이방향 양측 부분에는 제1수직프레임(100)의 제1수직체결홈(111)에 대칭되는 위치에 제1세로체결홈(320)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세로체결홈(320)은 제1수직체결홈(111)과 함께 체결부재(900)의 볼트를 삽입 체결되게 하면서 체결부재(900)가 제1세로프레임(300)을 제1수직프레임(100)과 결합되게 한다.
또한, 상기 제1세로프레임(300)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제1수직프레임(100)의 상단면 및 하단면을 각각 밀착상태로 지지하는 연장밀착면(330)이 연장 형성된다. 이같이, 연장밀착면(330)은 상기 제1세로프레임(300)과 제1수직프레임(100)의 접촉면을 증대시켜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2세로프레임(400)은 한 쌍의 제2수직프레임(200) 상단 및 하단을 연결하는 직선 형태의 프레임이다. 즉, 제2세로프레임(400)은 한 쌍의 제2수직프레임(200) 사이에 배치되며, 제2세로프레임(400)의 길이방향 양측은 제2수직프레임(200)에 연결상태로 결합된다. 이러한, 제2세로프레임(400)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제2수직프레임(200)의 제2삽입연결부(210)를 삽입 배치할 수 있도록 제2삽입홈부(410)가 마련된다. 이때, 제2세로프레임(400)은 제2삽입홈부(410)를 마련되게 하도록 내측에 공간부가 마련된 사각 단면의 각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세로프레임(400)의 제2삽입홈부(410)가 형성된 제2세로프레임(400)의 길이방향 양측 부분에는 제2수직프레임(200)의 제3수직체결홈(211)에 대칭되는 위치에 제2세로체결홈(420)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2세로체결홈(420)은 제3수직체결홈(211)과 함께 체결부재(900)의 볼트를 삽입 체결되게 하면서 체결부재(900)가 제2세로프레임(400)을 제2수직프레임(200)과 결합되게 한다.
또한, 상기 제2세로프레임(400)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제2수직프레임(200)의 상단면 및 하단면을 각각 밀착상태로 지지하는 연장밀착면(430)이 연장 형성된다. 이같이, 연장밀착면(430)은 상기 제2세로프레임(400)과 제2수직프레임(200)의 접촉면을 증대시켜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1가로프레임(500)과 제2가로프레임(600)은 제1수직프레임(100)과 제2수직프레임(200)의 상단 및 하단을 연결하는 직선 형태의 프레임이다. 이때, 상기 제1가로프레임(500)과 제2가로프레임(600)은 내측에 공간부가 마련된 사각단면 형태의 각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제1가로프레임(500)은 제1수직프레임(100) 상단 및 제2수직프레임(200) 상단을 연결한다. 즉, 제1가로프레임(500)은 제1수직프레임(100)의 상단 및 제2수직프레임(200)의 상단 사이에 배치되며, 제1가로프레임(500)의 길이방향 양측은 제1수직프레임(100) 상단 및 제2수직프레임(200) 상단에 연결상태로 결합된다. 이러한, 제1가로프레임(500)의 일측에는 제1가로프레임(500)의 길이방향 일단 가장자리에서 길이방향 타단 가장자리로 연장되게 제1세로연결판(5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세로연결판(510)에는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제1가로체결홈(520)이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제1가로체결홈(520)은 제2수직체결홈(211) 및 제4수직체결홈(221)과 함께 체결부재(900)의 볼트를 삽입 체결되게 하면서 체결부재(900)가 제1가로프레임(500)을 제1수직프레임(100)의 상단 및 제2수직프레임(200)의 상단과 결합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2가로프레임(600)은 제1수직프레임(100) 하단 및 제2수직프레임(200) 하단을 연결한다. 즉, 제2가로프레임(600)은 제1수직프레임(100)의 하단 및 제2수직프레임(200)의 하단 사이에 배치되며, 제2가로프레임(600)의 길이방향 양측은 제1수직프레임(100) 하단 및 제2수직프레임(200) 하단에 연결상태로 결합된다. 이러한, 제2가로프레임(600)의 일측에는 제2가로프레임(600)의 길이방향 일단 가장자리에서 길이방향 타단 가장자리로 연장되게 제2세로연결판(6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가로연결판(610)에는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제2가로체결홈(620)이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제2가로체결홈(620)은 제2수직체결홈(211) 및 제4수직체결홈(221)과 함께 체결부재(900)의 볼트를 삽입 체결되게 하면서 체결부재(900)가 제2가로프레임(500)을 제1수직프레임(100)의 하단 및 제2수직프레임(200)의 하단과 결합되게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용 프레임 구조체에는, 배전반의 결합 설치를 안정적으로 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배전반용 프레임 구조체의 구조 강도를 보강할 수 있게 하는 보강수직프레임(700)과 보강 가로프레임(800)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보강수직프레임(700)은 제1가로프레임(500)과 제2가로프레임(600)을 연결한다. 즉, 보강수직프레임(700)의 길이방향 일단은 제1가로프레임(500)의 일측에 결합되고, 보강수직프레임(700)의 길이방향 타단은 제2가로프레임(600)의 일측에 결합된다. 이러한, 보강수직프레임(700)은 'H' 단면형태의 빔 구조로 형성되며, 보강수직프레임(700)의 길이방향으로는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보강수직체결홈(710)이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보강수직체결홈(710)은 제1가로프레임(500)의 제1가로체결홈(520) 및 제2가로프레임(600)의 제2가로체결홈(620)과 함께 체결부재(900)의 볼트를 삽입 체결되게 하는 바, 체결부재(900)가 보강수직프레임(700)의 상단을 제1가로프레임(500)에 결합되게 하고, 보강수직프레임(700)의 하단을 제2가로프레임(600)에 결합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보강 가로프레임(800)은 보강수직프레임(700)과 제1수직프레임(100) 사이 또는 보강수직프레임(700)과 제2수직프레임(200) 사이를 연결되게 설치한다. 여기서, 보강 가로프레임(800)은 'n'자형 단면형상을 가지며, 보강 가로프레임(800)의 길이방향으로는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보강가로체결홈(810)이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보강가로체결홈(810)은 보강수직프레임(700)의 보강수직체결홈(710) 및, 제1수직프레임(100)의 제2수직체결홈(121) 또는 제2수직프레임(200)의 제4수직체결홈(221)과 함께 체결부재(900)의 볼트를 삽입 체결되게 하는 바, 체결부재(900)가 보강 가로프레임(800)의 일단을 보강수직프레임(700)에 결합되게 하고, 보강 가로프레임(800)의 타단은 제1수직프레임(100) 또는 제2수직프레임(200)에 결합되게 한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용 프레임 구조체는, 제1수직프레임(110)의 제1삽입연결부(110)와 제2수직프레임(200)의 제2삽입연결부(210)를 제1세로프레임(300)의 제1삽입홈부(310) 및 제2세로프레임(400)의 제2삽입홈부(410)에 각각 삽입 배치하고, 제1가로프레임(500) 및 제2가로프레임(800)을 제1수직프레임(100)과 제2수직프레임(200) 사이에 연결되게 배치한 후, 체결부재(900)를 통해 결합되게 하는 바, 조립작업을 쉽게 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제1수직프레임(100) 및 제2수직프레임(200)에 제1세로프레임(300)과 제2세로프레임(400)과 제1가로프레임(500) 및 제2가로프레임(600)을 결합시 추가적인 브라켓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아 배전반의 설치공간을 최대화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제1수직프레임 110: 제1삽입연결부
120: 제1가로연결판 200: 제2수직프레임
210: 제2삽입연결부 220: 제2가로연결판
300: 제1세로프레임 310: 제1삽입홈부
400: 제2세로프레임 410: 제2삽입홈부
500: 제1가로프레임 510: 제1세로연결판
600: 제2가로프레임 610: 제2세로연결판
700: 보강수직프레임 800: 보강 가로프레임
900: 체결부재

Claims (3)

  1. 전후방향에 상호 이격상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단 및 하단에는 제1수직체결홈이 형성된 제1삽입연결부가 절곡상태로 마련되며, 일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의 제2수직체결홈이 형성된 제1가로연결판이 마련된 한 쌍의 제1수직프레임;
    한 쌍의 상기 제1수직프레임에 대칭되게 배치되며, 상단 및 하단에는 제3수직체결홈이 형성된 제2삽입연결부가 절곡상태로 마련되며, 일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의 제4수직체결홈이 형성된 제2가로연결판이 마련된 한 쌍의 제2수직프레임;
    한 쌍의 상기 제1수직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제1수직프레임의 상단 및 하단을 연결하도록 길이방향 양측에는 제1삽입연결부를 삽입되게 하는 제1삽입홈부가 마련되고, 길이방향 양측에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된 체결부재를 통해 제1수직프레임과 체결되도록 제1수직체결홈에 대칭되는 위치에 제1세로체결홈이 형성된 한 쌍의 제1세로프레임;
    한 쌍의 상기 제2수직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제2수직프레임의 상단 및 하단을 연결하도록 길이방향 양측에는 제2삽입연결부를 삽입되게 하는 제2삽입홈부가 마련되고, 길이방향 양측에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된 체결부재를 통해 제2수직프레임과 체결되도록 제2수직체결홈에 대칭되는 위치에 제2세로체결홈이 형성된 한 쌍의 제2세로프레임;
    상기 제1수직프레임 상단과 제2수직프레임 상단 사이에 배치되며,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제1세로연결판이 연장 형성되고, 제1세로연결판에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된 체결부재를 통해 제1수직프레임 상단의 제1수직체결홈 및 제2수직프레임 상단의 제4수직체결홈에 체결되도록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제1가로체결홈이 형성된 한 쌍의 제1가로프레임;
    상기 제1수직프레임 하단과 제2수직프레임 하단 사이에 배치되며,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제2세로연결판이 연장 형성되고, 제2세로연결판에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된 체결부재를 통해 제1수직프레임 하단의 제1수직체결홈 및 제2수직프레임 하단의 제4수직체결홈에 체결되도록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제2가로체결홈이 형성된 한 쌍의 제2가로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세로프레임 및 제2세로프레임은 제1삽입연결부 및 제2삽입연결부가 형성되도록 내측에 공간부가 마련된 각관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1세로프레임의 길이방향 양단 및 제2세로프레임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제1수직프레임의 상단면 및 하단면과 제2수직프레임의 상단면 및 하단면을 밀착상태로 지지하는 연장밀착면이 더 형성된 배전반용 프레임 구조체.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가로프레임과 제2가로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길이방향으로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된 체결부재를 통해 제1가로프레임의 제1가로체결홈 및 제2가로프레임의 제2가로체결홈에 체결되도록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보강수직체결홈이 형성된 보강수직프레임,
    상기 보강수직프레임과 제1수직프레임 사이나 상기 보강수직프레임과 제2수직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길이방향으로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된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보강수직프레임의 보강수직체결홈 및 제1수직프레임의 제1수직체결홈 또는 제1수직프레임의 제1수직체결홈에 체결되도록 보강가로체결홈이 형성된 보강가로프레임을 더 구비하는 배전반용 프레임 구조체.
KR1020210090159A 2021-07-09 2021-07-09 배전반용 프레임 구조체 KR102617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0159A KR102617477B1 (ko) 2021-07-09 2021-07-09 배전반용 프레임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0159A KR102617477B1 (ko) 2021-07-09 2021-07-09 배전반용 프레임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9586A KR20230009586A (ko) 2023-01-17
KR102617477B1 true KR102617477B1 (ko) 2023-12-27

Family

ID=85111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0159A KR102617477B1 (ko) 2021-07-09 2021-07-09 배전반용 프레임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747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014Y1 (ko) 2000-12-08 2001-06-01 엘지산전주식회사 전동기반 및 제어반용 외함 설치 구조
KR101332197B1 (ko) 2012-07-30 2013-11-25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컨트롤 캐비닛용 골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117393A1 (de) * 2016-09-15 2018-03-15 Rittal Gmbh & Co. Kg Schaltschrank mit einem Rahmengestell und einer Innenausbaukomponente und eine entsprechende Schaltschrankanordnung sowie eine entsprechende Innenausbaukomponente
KR102004830B1 (ko) * 2017-09-05 2019-10-01 주식회사 서광시스템 통신기기용 내진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014Y1 (ko) 2000-12-08 2001-06-01 엘지산전주식회사 전동기반 및 제어반용 외함 설치 구조
KR101332197B1 (ko) 2012-07-30 2013-11-25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컨트롤 캐비닛용 골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9586A (ko) 2023-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0556B1 (ko) 다중 절곡 방식에 의하여 형상화된 외함구조 보강형 배전반
KR102146064B1 (ko) 분전반용 연결 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분전반
KR102617477B1 (ko) 배전반용 프레임 구조체
CN211629156U (zh) 电池插箱及具有其的储能设备
KR101175255B1 (ko) 조립식 분전반
KR101751651B1 (ko) 이중 및 대칭구조 3축 코너편을 적용한 볼팅구조 내진 배전반
KR100811055B1 (ko) 방수형 부스 덕트 및 부스 덕트 시스템
KR101371679B1 (ko) 투명 배전함
KR101771977B1 (ko) 대칭형 k-형 프레임을 적용한 내진 배전반
CN210957681U (zh) 多功能复合型异形线槽
CN210273188U (zh) 一种变压器拆卸型电缆箱装置
CN210494970U (zh) 一种便于搬运的消防箱
US20100186985A1 (en) Wind turbine wiring enclosure cabinet
JP4582691B2 (ja) 配電盤
CN217882635U (zh) 一种斜向电缆漏电互感器固定结构
KR101716246B1 (ko) 배전반용 내진 외함의 구조
KR102586018B1 (ko) 케이블 트레이
JP2598256Y2 (ja) 配電盤用枠組体および配電盤
CN217692561U (zh) 一种母线桥箱
CN214036402U (zh) 一种新型低压柜二通连接支架
CN214673461U (zh) 一种顶部出线结构及机房配电柜
CN209767136U (zh) 插接式的高压电缆分接箱
CN217087249U (zh) 一种框架式配电插箱
CN112993785B (zh) 一种开关柜柜体及开关柜
JP2020070675A (ja) モジュール設置具及び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設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