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5350Y1 - 자동차 방진구의 브라켓 제조용 단관 - Google Patents

자동차 방진구의 브라켓 제조용 단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5350Y1
KR200225350Y1 KR2019990007480U KR19990007480U KR200225350Y1 KR 200225350 Y1 KR200225350 Y1 KR 200225350Y1 KR 2019990007480 U KR2019990007480 U KR 2019990007480U KR 19990007480 U KR19990007480 U KR 19990007480U KR 200225350 Y1 KR200225350 Y1 KR 2002253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contact surface
bending
present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74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0376U (ko
Inventor
황찬우
Original Assignee
황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찬우 filed Critical 황찬우
Priority to KR20199900074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5350Y1/ko
Publication of KR200000203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03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53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5350Y1/ko

Links

Landscapes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방진구용 브라켓의 제조시 이용되는 단관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철판을 직사각으로 프레싱 가공형성하여 벤딩가공시 단순히 면과면이 접촉되게 하므로서 프레스벤딩시에나 또는 고정편과의 용접시 강한 용접열에 의해 서로 어긋나거나 또는 벌어지게 되는 등 불량발생율이 매우 높은 문제점들이 지적되고 있는 바 본 고안은 철판의 프레싱가공시 일측 접촉면(2)에는 결합돌부(6)를 형성하고 타측 접촉면(4)에는 결합홈(8)을 형성하여 벤딩 가공시 억지 끼워맞춤이나 또는 장부맞춤에 의해 서로 긴밀히 밀착 고정되게 하므로서 벤딩 가공시에나 용접가공시 불량발생을 없애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방진구의 브라켓 제조용 단관{Monotube for manufacturing bracket of car steady}
본 고안은 자동차 방진구용 브라켓의 제조시 방진구와의 결합수단을 갖게 하기 위하여 고정편에 용접 고정되는 단관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프레스벤딩으로 제조되는 단관에 있어 고정편과의 용접고정시 접촉부위가 서로 어긋나거나 벌어짐에 의한 불량발생을 없애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건 출원인은 인발가공된 파이프를 컷팅 및 면취가공하여 단관을 얻도록 한 종래에 자동차 방진구용 브라켓의 제조방법을 개량하여 철판을 프레스 벤딩가공 형성하여 단관을 얻도록 한 특허등록제 196321호를 발명한 바 있고 이는 업계에서도 상당한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이 또한 제조과정에서 볼 때 철판을 프레스 벤딩 가공형성하여 단관을 얻도록 함에 있어 상기 단관을 전개해 보면 도6에서와 같이 직사각형태로서 벤딩시 양단부의 면과면이 서로 접하게 하므로서 양 접촉부가 서로 어긋나거나 또는 철판자체의 탄성으로 인하여 벌어진 상태로 용접되는 경우가 빈번하고 심지어는 서로 어긋나거나 벌어짐 없이 긴밀히 밀착된다하더라도 고정편과의 용접시 강한 용접열이 발생되면 그 접촉면이 변형되면서 서로 어긋나거나 벌어지게 되므로 방진구와의 결합수단을 갖는 단관의 직경 및 형태변화로 인하여 불량 발생율이 매우 높고 또 불량발생시에는 전량 폐기처분될 수 밖에 없어 제조단가의 상승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들이 따르게 되는 것이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에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단관을 얻기 위한 철판의 프레스가공시 일측 접촉면에는 결합돌부를 돌출 형성하고 타측 접촉면에는 이와 대응하는 결합홈을 형성하여 벤딩가공시 양접촉면이 결합돌부와 결합홈의 결합으로 서로 어긋남없이 긴밀히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 있어 접촉면의 결합돌부와 결합홈은 그 갯수에 관계없이 결합시 상하로 서로 어긋남없이 일치할 수 있는 구성이면 만족하며 더 나아가 결합돌부와 결합홈은 단순한 결합이 아닌 억지끼워 맞춤이나 또는 토목공사에서의 장부맞춤이 이루어지게 하면 결합이 더욱 견고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고안 결합돌부와 결합홈의 결합은 장고맞춤 여부와 관계없이 프레스가공 후 벤딩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결합되므로 결합을 위한 별도의 공정이 추가될 필요는 전혀없다.
도 1 :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 : 본 고안의 전개도.
도 3 : 본 고안 결합부의 정면구성도.
도 4 :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정면구성도.
도 5 : 본 고안의 사용상태 일부단면구성도.
도 6 : 종래 고안의 전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4)--접촉면 (6)--결합돌부
(8)--결합홈 (10)--단관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기술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미리 주어진 길이와 직경에 따라 철판을 프레싱가공형성하여 벤딩시 서로간에 접촉되는 좌우 접촉면(2))(4)중 일측 접촉면(2)에는 한 개이상의 결합돌부(6)를 형성하고 타측 접촉면(4)에는 이와 대응하는 결합홈(8)을 형성하여 단관(10)을 얻기위한 벤딩가공시 결합돌부(6)와 결합홈(8)이 서로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미 설명부호 (12)는 고정편, (14)는 방진구, (16)은 브라켓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이 벤딩 가공후 미리 제작된 고정편(12)에 용접 고정한 뒤 단관(10)의 내경을 통하여 방진구(14)를 강제 삽입하여 자동차 프레임과 기관본체의 연결수단으로 이용되며 기관본체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제진흡수 하게 된다.
그러나 본 고안은 단관(10)의 제조시 접촉면(2)(4)에 결합돌부(6)와 결합홈(8)을 형성하여 벤딩 가공시 일측 접촉면(2)의 결합돌부(6)와 타측 접촉면(4)의 결합홈(8)이 억지끼워맞춤이나 또는 장부맞춤에 의해 결합되게 하면 양접촉면(2)(4)이 상하 서로 어긋나거나 벌어짐 없이 긴밀히 밀착 고정된다.
또한 본 고안은 미리 제작된 고정편(12)과의 용접시 양접촉면(2)(4)에 강한 용접열이 발생되더라도 결합돌부(6)와 결합홈(8)의 결합력으로 양접촉면이 어긋나거나 벌어짐에 의한 형태 변화없이 견고히 용접 고정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단관(10)의 프레싱가공시 일측 접촉면(2)에는 결합돌부(6)를 돌출 형성하고 타측 접촉면(4)에는 이와 대응하는 결합홈(8)을 형성하여 벤딩가공시 서로 견고히 결합될 수 있게 하므로서 벤딩가공시에는 물론 고정편(12)과의 용접 고정시 양접촉면(2)(4)이 서로 어긋나거나 벌어질 우려가 전혀 없어 이로 인한 불량발생을 없애줄 수가 있고 또 정상적인 제조단가로 제품의 경쟁력을 높여줄 수가 있는 등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철판을 프레스벤딩하여 미리 제작된 고정편과 용접구성되는 자동차 방진구의 브라켓 제조용 단관에 있어서 단관(10)의 일측 접촉면(2)에는 결합돌부(6)를 돌출형성하고, 타측 접촉면(4)에는 이와 대응하는 결합홈(8)을 요입형성하여 벤딩 가공시 상기 결합돌부(6)와 결합홈(8)의 결합으로 양접촉면(2)(4)이 서로 긴밀히 밀착 고정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방진구의 브라켓 제조용 단관
KR2019990007480U 1999-05-04 1999-05-04 자동차 방진구의 브라켓 제조용 단관 KR2002253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7480U KR200225350Y1 (ko) 1999-05-04 1999-05-04 자동차 방진구의 브라켓 제조용 단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7480U KR200225350Y1 (ko) 1999-05-04 1999-05-04 자동차 방진구의 브라켓 제조용 단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376U KR20000020376U (ko) 2000-12-05
KR200225350Y1 true KR200225350Y1 (ko) 2001-06-01

Family

ID=54762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7480U KR200225350Y1 (ko) 1999-05-04 1999-05-04 자동차 방진구의 브라켓 제조용 단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535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376U (ko) 2000-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1958B1 (ko) 아이조인트와 세경금속관의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
JP4970642B2 (ja) 軸受ケース内への軸受の固定方法と軸受装置
US20110204620A1 (en) Apparatus, method for connecting pip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jaw of holder-jaw
JP5606775B2 (ja) 嵌合部材
CA2401058A1 (en) Arcuate double-layer pipe, and method of assembling an arcuate double-layer pipe
CN103842676A (zh) 用于将转向柱连接到转向齿轮箱的设备
CN101932985B (zh) 车辆用操作踏板装置
JP2010505055A (ja) シール装置
US4913386A (en) Fixing apparatus for fixing tubular members allowing fluid to pass therethrough
US6773040B2 (en) Spacer-less type pipe joint and packing ring used for the same
US4832377A (en) Arrangement for fixing end of thin-walled pipe to flange coupling
KR200225350Y1 (ko) 자동차 방진구의 브라켓 제조용 단관
EP0955448A1 (en) Joining construction
EP1224411B1 (en) A chain joint assembly and a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CN106460991B (zh) 用于将振动阻尼器的振动阻尼管连接至模块化管的法兰
WO2001058745A1 (fr) Structure de fixation entre les elements de liaison et les axes d&#39;une chenille
KR930009057B1 (ko) 강 아이죠인트
JP2002147512A (ja) 弾性ブッシュ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229784A (ja) 構築部材の継ぎ手金具
JPH1137168A (ja) ボス付きプレート及びボス付きプレートの製造方法
JPH06280889A (ja) ジョイント用ヨーク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227546A (ja) 防振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493835B2 (ja) コルゲートクリップ
JP2005291367A (ja) ブーツリング
KR200257783Y1 (ko) 자동차의열교환기용유니온솔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10827

Effective date: 2003072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