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5234Y1 - 보일러 - Google Patents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5234Y1
KR200225234Y1 KR2020010000515U KR20010000515U KR200225234Y1 KR 200225234 Y1 KR200225234 Y1 KR 200225234Y1 KR 2020010000515 U KR2020010000515 U KR 2020010000515U KR 20010000515 U KR20010000515 U KR 20010000515U KR 200225234 Y1 KR200225234 Y1 KR 2002252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stall
rostol
combustion chamber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05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덕표
Original Assignee
이덕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덕표 filed Critical 이덕표
Priority to KR20200100005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52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52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5234Y1/ko

Links

Landscapes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연소실의 로스톨이 회동되게 구성하여 연소된 연료 또는 코크스 등과 같은 고체연료의 재를 원활하게 배출시키며, 연소실로 연료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내부 중앙에 로스톨(20)이 구비된 연소실(11)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 배기통로(12)가 형성되며, 상기 배기통로(12)의 주위에 난방수통로(13)가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연소실(11)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장치와, 연소된 재를 받아 배출시키는 재받이부(15)로 구성된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11)에 구비되는 로스톨(20)은 상호 치합되며 각기 독립적으로 축지되어서 연동하여 회동되는 다수의 로스톨부재(21)로 구성하고, 상기 로스톨(20)의 로스톨부재(21)를 회동시키는 로스톨회동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연료공급장치는 스크류회동장치에 의하여 회동되는 스크류콘베어(45)와 연료를 연소실(11)로 가이드하는 연료가이드판(46)으로 구성하고, 상기 연소실(11)에서 배기가스를 배출시키는 배기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로스톨회동장치와 연료공급장치등을 제어하는 컨트롤러(60)를 구비하여서된 것이다.

Description

보일러{A boiler}
본 고안은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소실의 로스톨이 회동되게 구성하여 연소된 석탄 또는 코크스등과 같은 고체 연료의 재를 원활하게 배출시키며, 연소실로 연료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을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탄 또는 코크스 등과 같은 고체연료를 주연료로하는 보일러는 연소실에서 연료를 연소시켜 난방수를 가열하는 것으로 이때, 공급되는 석탄 또는 코크스등과 같은 고체연료는 원활한 연소를 위하여 작은 알갱이 상태로 제조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종래의 보일러는 통상의 컨트롤러에 의하여 제어되는 연료공급장치에 의하여 일정 주기로 연료가 공급되고, 연료공급장치에 의하여 공급되는 연료에 의하여 연소된 연료의 재가 강제로 밀려 배출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보일러는 연소가 완료된 고체 연료의 배출이 연료공급장치에 의하여 공급되는 연료에 의하여 밀려 배출되게 이루어져 있어 완전히 연소되지 않은 연료까지 배출이 이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체연료를 작은 알갱이 상태로 형성하였어도 연료의 연소과정에 있어 연료 알갱이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재로인하여 내부까지 완전히 연소가 이루어지지 않고, 연소과정에 발생한 재가 연료와 연료 사이의 통기성을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로스톨의 회동에 의한 재떨이 구조를 구비하여 연료 알갱이 외주연에 연소된 재를 떨어줌과 더불어 연료와 연료 사이의 통기성을 확보하며, 연료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인 측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석탄공급장치를 보인 상세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석탄공급장치의 랫치아암을 보인 측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로스톨회동장치의 상세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로스톨회동장치의 작동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1 : 연소실 12 : 배기통로 12a: 뚜껑
13 : 난방수통로
14 : 배기구 15 : 재받이부 16 : 공기흡입구
20 : 로스톨
21 : 로스톨부재 21a: 치합돌기 21b: 힌지
21c: 로스톨아암
31 : 로스톨구동모터 32 : 로스톨회전캠 33 : 로스톨연결바
34 : 로스톨회동아암 35 : 로스톨구동아암 36 : 로스톨링크
41 : 스크류구동모터 42 : 스크류회전캠 43 : 스크류연결바
44 : 랫치아암 44b: 랫치
45 : 스크류콘베어 45a: 스크류축 45b: 랫치휠
46 : 연료가이드판
47 : 스크레이퍼 48 : 힌지턱
51 : 송풍모터 52 : 배기유도관
60 : 컨트롤러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로스톨을 일정 주기로 회동시켜 연소된 연료의 재를 털어주어서 연료와 연료 사이에 원활한 공기를 공급하여 연료의 완전연소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내부 중앙에 로스톨(20)이 구비된 연소실(11)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 배기통로(12)가 형성되며, 상기 배기통로(12)의 주위에 난방수통로(13)가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연소실(11)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장치와, 연소된 재를 받아 배출시키는 재받이부(15)로 구성된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11)에 구비되는 로스톨(20)은 상호 치합되며 각기 독립적으로 축지되어서 연동하여 회동되는 다수의 로스톨부재(21)로 구성하고, 상기 로스톨(20)의 로스톨부재(21)를 회동시키는 로스톨회동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연료공급장치는 스크류회동장치에 의하여 회동되어 연료를 연소실(11)로 공급하는 스크류콘베어(45)와 상기 스크류콘베어(45)를 통하여 공급된 연료를 연소실(11)로 가이드하는 연료가이드판(46)으로 구성하고, 상기 연소실(11)에서 연소된 배기가스를 강제 배출시키는 배기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로스톨회동장치와 연료공급장치를 등을 제어하는 컨트롤러(60)를 구비하여서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로스톨(20)은 로스톨부재(21)의 회동과정에 있어 연소된 연료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연료공급장치를 통하여 공급되는 연료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한 것으로, 상기 로스톨부재(21)는 양측에 교대로 돌출되는 치합돌기(21a)를 형성하고, 양단에는 연소실(11)의 축지부에 축지되는 힌지(21b)를 형성하며, 중앙하부에는 로스톨링크(36)를 매개로 로스톨회동장치에 구속되는 로스톨아암(21c)을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로스톨회동장치는 로스톨구동모터(31)에 의하여 회동되는 로스톨회전캠(31)에 결속된 로스톨연결바(33)와, 상기 로스톨연결바(33)와 결속되며 로스톨(20)의 회동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상기 로스톨연결바(33)와의 결속을 위한 다수의 결속공(34a)을 형성한 로스톨회동아암(34)과, 상기 로스톨회동아암(34)과 축으로 결속되어 로스톨링크(36)를 매개로 로스톨부재(21)와 결속되는 로스톨구동아암(35)으로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연료공급장치의 스크류회동장치는 스크류구동모터(41)에 의하여 회동되는 스크류회전캠(42)에 결속되는 스크류연결바(43)와 상기 스크류연결바(43)와 결속되며 스크류축(45a)과 랫치 결합구조에 의하여 결속되고 스크류회전캠(42)의 회동에 따른 스크류콘베어(45)의 회동량을 조절할 수 있게 상기 스크류연결바(43)의 결속을 위한 다수의 결속공(44a)을 형성한 랫치아암(44)으로 구성하며, 연료가이드판(46)은 스크류콘베어(45)에 의하여 공급된 연료가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고, 양측에는 공급되는 연료의 측면 누설방지를 위한 측면가이드(46a)가 구비되며, 연료의 원활한 공급을 위하여 로스톨(20)의 회동에 따라 유동되게 전단이 로스톨(20)의 최후단 로스톨부재(21)에 앉착되며 후단은 몸체(10)의 힌지턱(48)에 축지되게 형성하며, 상기 연료가이드판(46)의 상부에 연소실로 연료가 골고루 퍼져 공급되게 하는 스크레이퍼(47)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랫치결합구조는 스크류축(45a)의 외측에 랫치휠(45b)을 구비하고, 상기 스크류축(45a)에 축지되는 랫치아암(44)에 상기 랫치휠(45b)을 일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게 치접되는 랫치(44b)를 구비한 것이다.
또한, 배기장치는 부압에 의하여 연소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게 배기구(14)의 배기방향으로 공기가 압송되게 형성한 배기유도관(52)과, 상기 배기유도관(52)으로 공기를 압송하는 송풍기(51)로 구성하되, 재받이부(15)에 구비된 공기흡입구(16)에는 상기 송풍기(51)의 작동에 의한 배기시만 개방되게 체크밸브로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연소실(11) 상부에 형성되는 배기통로(12)는 배기관을 지그재그로 형성하여 실시한 것이며, 배기관의 양측 단부측에는 상기 배기관의 청소를 위한 뚜껑(12a)을 구비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석탄 또는 코크스등과 같은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통상의 보일러에 있어서 연료 재의 원활한 배출을 위하여 로스톨(20)이 회동되게 구성하고, 연료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연료공급장치를 구성하며, 부압에 의하여 배기가스의 배출이 이루어진 배기장치를 구성한 본 고안은 구비된 통상의 컨트롤러(60)를 조작하여 연료공급장치를 작동시켜 연료를 공급한 후 점화시켜 작동시키게 되면, 공급된 연료가 일정량 연소되는 시점에서 컨트롤러(60)가 로스톨회동장치의 로스톨구동모터(31)를 제어하여 동작시킨다.
이상과 같이 로스톨구동모터(31)가 동작하게 되면, 상기 로스톨구동모터(31)에 의하여 로스톨회전캠(31)이 회전되어 로스톨연결바(33)를 직선 운동시키고, 상기 로스톨연결바(33)의 직선 운동에 의하여 로스톨회동아암(34)이 회동되며, 상기 로스톨회동아암(34)의 회동력이 로스톨구동아암(35)과 로스톨아암(21c)을 통하여 로스톨부재(21)의 로스톨아암(21c)에 전달되어서 로스톨(20)의 로스톨부재(21)가 서로 치합된 치합돌기(21a)가 엇갈리게 회동되므로 연소된 연료의 재가 하부 재받이부(15)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로스톨(20)이 전면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있어 연소된 연료가 전면으로 이동되어 연료공급장치를 통하여 공급되는 연료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연료공급장치에 의한 연료의 공급은 컨트롤러(60)에 의하여 스크류구동모터(41)가 회동되면 상기 스크류구동모터(41)에 의하여 스크류회전캠(42)이 회동되고, 상기 스크류회전캠(42)의 회동에 의하여 스크류연결바(43)가 직선운동하게 되고, 상기 스크류연결바(43)의 직선운동에 의하여 스크류축(45a)에 랫치 결합된 랫치아암(44)이 회동되는데 상기 랫치아암(44)의 전진 회동시만 스크류축(45a)이 회동되어 스크류콘베어(45)가 작동하므로서 연료가 연소실(11)로 공급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스크류콘베어(45)를 통하여 연소실로 공급된 연료는 경사지게 형성된 연료가이드판(46)에 의하여 연소실(11)로 공급되는데, 상기 연료가이드판(46)의 상부에 별도 구비된 스크레이퍼(47)에 의하여 넓게 퍼져 공급되며, 로스톨(20)의 회동과정에 상기 로스톨(20)의 최후단 로스톨부재(21)에 앉착되어 있는 연료가이드판(46)의 상하 유동에 의하여 연료의 공급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배기장치에 의한 연소가스의 배기는 컨트롤러(60)에 의하여 송풍기(51)가 동작되면, 상기 송풍기(51)에서 송풍된 공기가 배기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한 배기유도관(52)을 통하여 배기구(14)로 압송되어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과정에 배기통로(12)에 부압이 작용되어 연소 가스가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고체연료의 연소과정에 로스톨을 회동시켜서 연소된 재를 떨어주어 연료와 연료 사이의 통기성을 확보하므로서 연료의 원활한 연소와 완전연소가 유도되는 것이며, 로스톨의 회동과정에 연료공급장치의 연료가이드판을 유동시키고 상기 로스톨이 경사지게 설치되므로서 연료공급장치에 의하여 연소실로 공급되는 연료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연소가스의 배출이 재받이부에서의 송풍에 의한 것이 아니라 배기구에서의 부압발생에 의하여 이루어지므로 배기가스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5)

  1. 내부 중앙에 로스톨이 구비된 연소실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 배기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배기통로의 주위에 난방수통로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연소실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장치와, 연소된 재를 받아 배출시키는 재받이부로 구성된 종래의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11)에 구비되는 로스톨(20)은 상호 치합되며 각기 독립적으로 축지되어서 연동하여 회동되는 다수의 로스톨부재(21)로 구성하고;
    상기 로스톨(20)의 로스톨부재(21)를 회동시키는 로스톨회동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연료공급장치는 스크류회동장치에 의하여 회동되어 연료를 연소실(11)로 공급하는 스크류콘베어(45)와 상기 스크류콘베어(45)를 통하여 공급된 연료를 연소실(11)로 가이드하는 연료가이드판(46)으로 구성하고;
    상기 연소실(11)에서 연소된 배기가스를 강제 배출시키는 배기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로스톨회동장치와 연료공급장치를 등을 제어하는 컨트롤러(60)를 구비하여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스톨(20)의 로스톨부재(21)는 양측에 교대로 돌출되는 치합돌기(21a)를 형성하고, 양단에는 연소실(11)의 축지부에 축지되는 힌지(21b)를 형성하며, 중앙하부에는 로스톨링크(36)를 매개로 로스톨회동장치에 구속되는 로스톨아암(21c)을 형성하고;
    상기 로스톨회동장치는 로스톨구동모터(31)에 의하여 회동되는 로스톨회전캠(31)에 결속된 로스톨연결바(33)와 상기 로스톨연결바(33)와 결속되며 로스톨(20)의 회동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상기 로스톨연결바(33)와의 결속을 위한 다수의 결속공(34a)을 형성한 로스톨회동아암(34)과, 상기 로스톨회동아암(34)과 축으로 결속되어 로스톨링크(36)를 매개로 로스톨부재(21)와 결속되는 로스톨구동아암(35)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스톨(20)은 로스톨부재(21)의 회동과정에 있어 연소된 연료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연료공급장치를 통하여 공급되는 연료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공급장치의 스크류회동장치는 스크류구동모터(41)에 의하여 회동되는 스크류회전캠(42)에 결속되는 스크류연결바(43)와 상기 스크류연결바(43)와 결속되며 스크류축(45a)과 랫치 결합구조에 의하여 결속되고 스크류회전캠(42)의 회동에 따른 스크류콘베어(45)의 회동량을 조절할 수 있게 상기 스크류연결바(43)의 결속을 위한 다수의 결속공(44a)을 형성한 랫치아암(44)으로 구성하며,
    연료가이드판(46)은 스크류콘베어(45)에 의하여 공급된 연료가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고, 양측에는 공급되는 연료의 측면 누설방지를 위한 측면가이드(46a)가 구비되며, 연료의 원활한 공급을 위하여 로스톨(20)의 회동에 따라 유동되게 전단이 로스톨(20)의 최후단 로스톨부재(21)에 앉착되며 후단은 몸체(10)의 힌지턱(48)에 축지되게 형성하며, 상기 연료가이드판(46)의 상부에 연소실로 연료가 골고루 퍼져 공급되게 하는 스크레이퍼(47)가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장치는 부압에 의하여 연소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게 배기구(14)의 배기방향으로 공기가 압송되게 형성한 배기유도관(52)과, 상기 배기유도관(52)으로 공기를 압송하는 송풍기(51)로 구성하되,
    재받이부(15)에 구비된 공기흡입구(16)에는 상기 송풍기(51)의 작동에 의한 배기시만 개방되게 체크밸브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KR2020010000515U 2001-01-09 2001-01-09 보일러 KR2002252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515U KR200225234Y1 (ko) 2001-01-09 2001-01-09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515U KR200225234Y1 (ko) 2001-01-09 2001-01-09 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5234Y1 true KR200225234Y1 (ko) 2001-05-15

Family

ID=73094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0515U KR200225234Y1 (ko) 2001-01-09 2001-01-09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523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767B1 (ko) 2010-08-03 2011-02-14 주식회사 이레에너지 폐수지 펠릿 연료 보일러 시스템
KR101155332B1 (ko) * 2008-12-09 2012-06-19 이장백 고체연료 연소장치
KR101310927B1 (ko) * 2011-12-29 2013-09-25 대림로얄이앤피(주) 목재 펠릿 횡형보일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332B1 (ko) * 2008-12-09 2012-06-19 이장백 고체연료 연소장치
KR101014767B1 (ko) 2010-08-03 2011-02-14 주식회사 이레에너지 폐수지 펠릿 연료 보일러 시스템
KR101310927B1 (ko) * 2011-12-29 2013-09-25 대림로얄이앤피(주) 목재 펠릿 횡형보일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25234Y1 (ko) 보일러
JP6905242B1 (ja) 有機物の無機物化装置
JP4391667B2 (ja) 炭化炉
JP6822653B2 (ja) 燃焼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熱供給システム
KR200279787Y1 (ko) 보일러
KR200352799Y1 (ko) 고체연료용 온풍기
CN214496188U (zh) 一种新型自热平衡炭化炉
CN211575128U (zh) 垃圾焚烧炉的推排装置
CN208398105U (zh) 一种锅炉烟道除灰装置
CN108851005B (zh) 一种竹盐加工设备
KR200216193Y1 (ko) 온수보일러
CN112413623B (zh) 烟道排烟系统
CN108775589A (zh) 一种固体废物焚烧炉
CN108692328A (zh) 一种采用精确控制的稀薄燃烧装置
CN220981572U (zh) 一种生物质链排式热风炉
CN215489742U (zh) 一种脱硫节能用具有预热功能的焚烧炉
CN112013378B (zh) 一种方便上料的生物质燃料热风炉
CN209202063U (zh) 一种竹盐加工设备
US6589315B1 (en) Method for thermally regenerating the heat exchanger material of a regenerative post-combustion device
KR101461572B1 (ko) 오븐
KR20030073442A (ko) 보일러
JP2002005418A (ja) 生ごみ炭化処理装置
KR20040031753A (ko) 고체연료용 온풍기
JP2611930B2 (ja) 完全燃焼促進装置及び同装置を備えた焼却炉
KR100531765B1 (ko)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숯 제조장치용 연속 건류식 탄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