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5109Y1 - 판부채 - Google Patents

판부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5109Y1
KR200225109Y1 KR2020000035360U KR20000035360U KR200225109Y1 KR 200225109 Y1 KR200225109 Y1 KR 200225109Y1 KR 2020000035360 U KR2020000035360 U KR 2020000035360U KR 20000035360 U KR20000035360 U KR 20000035360U KR 200225109 Y1 KR200225109 Y1 KR 2002251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refraction
plate
fastening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53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영
Original Assignee
이원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영 filed Critical 이원영
Priority to KR20200000353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51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51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5109Y1/ko

Links

Landscapes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판재를 재단하여 형성하는 단판형 선면판과 막대형 손잡이를 결합하여 제조하는 통칭 판부채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도5,6과 같이 선면판과 막대형 손잡이를 결합함에 있어서, 별도의 결합편(상부지지대)(54,74)을 사용하거나, 도4에서와 같이 손잡이 상단부의 일측면을 반분 굴삭하여 단층의 장착홈(16)을 형설한 후, 선면판 에 천공하는 사각 구멍(10)에 삽입 장착시킴으로서, 제조비용이 증가되며, 손잡이(1)의 지지력과 강도가 격감되는 결함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결점들을 해소 하고자 안출한 것 으로서, 도 2
에서와 같이 손잡이(1)의 상단부에, 체결돌기(4)와 역지돌기(7)를 구비
하는 전,후 2개의 몸체(2)를 격리시켜 대향 형설하여, 선면판(21)에 천공
하는 체결공(22)과 장착공(23)들이 수직 삽입의 간단한 공정으로 견실하게
장착 체결되도록 하며, 손잡이(1)와 몸체(2) 사이에는 굴절홈(14)과 굴절
공간(13)이 형성된 신축성의 굴절부(12)를 형설하여, 반복되는 전,후 굴절
에 의한 국부적인 피로도를 흡수 분산 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판부채{PLATE FAN}
본 고안은 판재를 재단하여 형성하는 단판형 선면판(21)과 막대형 손잡이 (1)를 결합하여 제조하는 통칭 판부채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부채의 손잡이와 선면판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8-0027163호의 도 4에서와 같이, 몸체(10) 에 사각구멍(10) 과 홈(16)을 천공하고, 손잡이(20)에 형설하는 요홈부 (28,30,34)와 돌기부(22,23)들을 형설하여 조립 하므로서, 별도의 결합편 을 사용하지 않고 결합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손잡이(20)의 상단부를 수직으로 반분하여 한쪽 면을 절삭하는 한편, 요홈부(28,30,34)들을 굴삭하여야 하는 관계로, 손잡이(20)나 자루 (24)의 강도가 반감될 뿐만 아니라, 한쪽 면만 굴삭되는 연결부(32)의 굴 절강도와 탄성이 극심하게 빈약하여지나, 자루(24)나 손잡이(20,50,70)의 어느 부분에도 굴절운동에 의한 피로도를 분산시킬 수 있는 신축장치가 배제되어 있으므로, 부채를 사용 할 때에, 선면판(1)이 전,후로 반복되며 굴절되는 피로도가 가장 취약한 연결부(32)에 집중되는 관계로, 소재가 균열되며 절곡선이 형성 되어, 복원불능으로 절곡되거나 절단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손잡이(50,70)의 상단을 반분하여 절삭 형성시키 는 하부 지지대(52)의 내면에 복수개의 돌기부(56)를 형성하고, 상응하는 구멍(58,76)이 천공되어 있는 상부 지지부(54,74)를 힌지(60)로 연계시켜 성형하고 있으나, 이 안 에서 인용되고 있는 힌지(60)의 역할은 본체(하부 지지대)(52)와의 연결 성형과 조립공정간의 신속 정교한 합치가 목적이므로 인용되는 절곡선(힌지)(60)은 비교적 유연하여, 도 4 에서와 같은 취약점 들을 보정할 수 없는 단점이 잔류되고 있으며,
도 6 의 고안에서는 상부지지부(74)를 별도 성형한 후, 몸체(10)를 하부지지부의 돌기부(5)에 삽입하고, 상부 지지부(54,74)를 중첩시켜 결합 시키도록 하고 있으나, 이 안 역시 도 4 에서와 같이 손잡이(50,70)를 반분하여 절삭 형성하는 하부 지지부(52,72)의 취약한 강도와 피로도의 국부적인 집중이 해소되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부속품(상부 지지부)(54,74)의 관리와 조립공정이 증가되는 결함이 가중되고 있다.
본 고안의 과제는 위와 같은 결함을 해소시켜, 몸체의 강도와 지지력을 증강시키며, 국부적으로 집중되는 피로도를 흡수 분산시켜 파,마손을 방지
하는 한편 용이하며 견실하게 조립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 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 가 - 가'의 측단면 부분 확대도
도 4는 종래 1예의 설명도
도 5는 종래 2예의 설명도
도 6은 종래 3예의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손잡이 2 : 몸체 4 : 체결돌기5 : 체결턱 6 : 체결홈 7 : 역지돌기8 : 걸림턱 9 : 내공동 10 : 외공동12 : 굴절부 13 : 굴절공동 14 : 굴절홈21 : 선면판 22 : 체결공 23 : 장착공
* 종래의 설명도는 도면에 기재된 해당부호 참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고안은, 굴절부(12)의 상단부에
전,후 2개로 반분하여 구성하는 몸체(2)를 소정의 간격으로 격리시켜 대향
으로 형설한 후, 일측의 몸체(2)내면에는 최상단으로부터 체결을 위한체결돌기(4)들을 하나 이상 씩 돌출 형설하고, 탄성을 갖는 역지돌기(7)를역시 하나 이상씩 돌출 형설하되, 각각의 내측에는 내공동(9)들을 굴삭형성하여 역지돌기(7)의 진퇴에 지장이 없도록 하며, 타측의 몸체(2) 내면에도 일측에 돌출 형설한 역지돌기(7)의 진퇴에 지장이 없도록 각각의돌기들과 대향하여 외공동(10)을 굴삭 형설한다.
이때에, 돌출 형설되는 역지돌기(7)를 비롯하여 각각의 대향으로타측면에 굴삭 형설되는 외공동(10)들을 일률적인 방향으로 형설하지 않고도 3에서와 같이 대향 격간으로 형설하므로서
선면판(21)과의 체결력은 양방향에서 상합되는 반면, 몸체(2)의 피로도는
양분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체결돌기(4)의 말단에는 체결턱
(5)을 형성시켜 타측에 형설하는 체결홈(6)과 결합되도록 하여, 선면판 뿐 만 아니라 전,후 2개로 분리 형설된 몸체(2)들 까지도 역향 격간으로 삽지 결합되어 선면판(21)과 몸체(2)들이 일체로 형성된 것과 같은 강도를 갖도록 하는것이 크거나 무거운 선면판(21)에 있어서는 더욱 효율적이다.
또한, 무작위의 방향으로 임의 굴절되는 원주형 막대식 손잡이(1)의 가장 큰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몸체(2)와 손잡이(1)사이에는 굴절홈 (14)과 굴절공동(13)을 구비하는 복선식 굴절부(12)를 형설하되, 선면판 (21)의 횡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설하여 전,후로만 굴절되도록 구성 함 으로서, 선면판(21)의 예리한 절단면에 의하여 발생될 사용중의 위험 요소를 해소시키며, 내,외 공동(9,10)들의 굴삭으로 인하여 강도가 취약 해진 몸체(2)의 결합부로 집중되는 전,후 굴절에 의한 피로도를 흡수 분산 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 으로서,
이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 하면, 도 1부터 도 3까지는 본 고안의 구성도 이며, 도 4부터 도 6
까지는 종래 고안들의 설명도 인 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면판(21)의 하단에 체결돌기(4)의 체결 공(22) 과 역지돌기(7)의 장착공(23)을 천공하며,
선면판(21)이 장착될 전,후 2개의 몸체(2) 내면에는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굴절부(12)의 상단부에 전,후 2개로 반분하여 구성하는 몸체 (2)를 선면판(21)의 두께와 유사한 소정의 간격으로 격리 형설하여,
선면판(21)과의 조립시에 전,후 2개 몸체(2)의 격리된 간격을 미세하게 확장시키며 수직 삽입의 단일공정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한 후,
일측의 몸체(2)내면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하단면을 걸림턱(8)으로 형성한역지돌기(7)로 하여금, 선면판(21)이 삽입 장착 되는 공정간에 있어서,몸체(2) 내측면에 굴삭 형성한 내공동(9)으로 밀려들어 갔다가 장착공(23) 과 합치되는 위치까지 삽입이 진행되면 자체의 반발탄성에 의하여 정위치로 환원되면서 선면판(21)에 천공한 장착공(23)에 삽지되어, 선면판(21)의 역탈과 상,하,좌,우로의 유동을 방지 하도록 한다.
또한 체결돌기(4)와 역지돌기(7)의 신축 팽창에 따르는 전,후 이동 에 지장이 없도록, 대향하는 타측의 몸체(2) 내면에도 각각의 돌기들과 대치되는 지점에 외공동(10)들을 굴삭 형성한다.
한편, 체결돌기(4)와 역지돌기(7)는 물론 각각의 대향으로 타측면에 굴삭 형설하는 외공동(10)들을 1개 이상씩 형설하되, 일률적인 방향으로 형설하지 않고, 도 3 에서와 같이 대향 격간으로 형설 함 으로서, 선면 판(21)과의 결합력은 양방향에서 상합되어 중첩되는 반면, 몸체(2)의 피로 도는 양분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체결돌기(4)의 말단에는 체결턱(5)을 형성시켜 타측에 형설하는 체 결홈(6)과 결합시키도록 하여, 선면판(21)뿐 만 아니라 전,후 2개로 분리 형설된 몸체(2)들 까지도 역향 격간으로 결합되어 선면판(21)과 몸체(2) 들이 일체로 성형된 것과 같은 강도를 갖도록 보강하는것이 더욱 효율적 이다.
또한, 종래의 원주형 막대식 손잡이(1)의 가장 큰 단점인 무작위의 방향으로 임의 굴절되며 손 안에서 회전되는 현상을 해소하기 위하여, 몸체(2)와 손잡이(1) 사이에는 굴절공동(13)과 굴절홈(14)을 구비하는 복 선식 굴절부(12)를 형설하되, 굴절공동(13)의 천공방향을 선면판(21)의 좌, 우 횡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설하여 굴절부(12)가 전,후의 방향으로만 굴절되도록 구조화 시킴으로서, 선면판(21)의 예리한 절단면에 의하여 발생 될 사용중의 위험요소를 해소시키며, 내,외 공동(9,10)들의 굴삭으로 인하 여 강도가 취약해진 몸체(2)와 결합부로 집중되는 전,후 굴절에 의한 피로 도를 분할 흡수하여 분산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막대형 굴절식 손잡이(1)의 판부채는, 선면판 (21)을 전,후 2개의 몸체(2)사이에 수직 하향으로 완전히 삽입장착한 후, 전,후 2개의 몸체(2)를 손으로 압착하여, 체결돌기 말단의 체결턱(5)을 대향하고 있는 타측의 체결홈(6)에 장착 결합시킴으로서, 전,후 2개의 몸 체(2)는 소정의 정위치에서 견실하게 체결되게 된다.
또한 선면판(21)의 삽입이 진행되어 역지돌기(7)에 도달하게 되면, 역지돌기(7)는 선면판(21)에 밀려 내공동(9)으로 굴절되며, 선면판(21)이 끝까지 삽입되어 선면판(21)의 장착공(23)과 합치되면, 역지돌기(7)는 내공동(9)으로 밀리면서 발생된 반발탄성의 작용으로 탄발하여 삽지 장착 됨과 동시에 장착공(23)의 하단면은 역지돌기(7)의 하단 걸림턱(8)에 치합 되어 역탈되지 않는 것이다.
한편 걸림턱(8)의 말단부는 대향의 몸체(2) 내면에 굴삭 형성한 외공동(10)까지 원상대로 복원 지입되면서, 몸체(2) 내면의 수직선과 직각 복층 형상의 단층이 형성되어 선면판(21)의 역탈을 강제할 뿐 만 아니라,삽입 장착되어 있는 선면판(21)의 장착공(23) 부분을 지속적인 탄성으로 몸체(2)의 내면 벽으로 밀착시켜, 부채 사용시의 극심한 요동에도 걸림턱 (8)으로부터의 이탈이나 유격의 발생을 완벽하게 방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중앙을 수직으로 굴삭 천공하여 형성하는 굴절공동(13)의 내면에 굴절홈(14)들을 구비시켜 몸체(2)와 손잡이(1) 사이에 복선으로 형설하는 굴절부(12)는, 부채의 사용시 반복되는 선면판(21)의 전,후 굴절 로 발생되는 지속적인 피로도가, 내공(9)과 외공(10)의 굴삭으로 강도가 약화된 몸체(2)와, 선면판(21)이 체결된 부분에 집중되는 현상을 손잡이 (1)로부터 몸체(2) 사이에서 흡수 분산시키는 효과를 갖으며,
또한 도 3 에서와 같이, 굴절공동(13)의 천공방향을 선면판(21)의 횡방향과 동일하게 좌,우로 관통시켜 복선의 형상으로 형설 하므로서,
굴절부(12)는 굴절공동(13)의 천공으로 인하여 굴절에 대한 저항력이 반감 된 전,후의 일 방향으로만 굴절이 되므로, 사용중에 무작위의 방향으로 굴절되는 일이 없으며, 무의식중에 부채 손잡이(1)의 방향을 잘못 잡고 사용하여도, 선면판(21)의 중량과 풍압에 의하여 발생되는 저항력은,
손으로 잡고 있는 손잡이(1)로 하여금, 굴절강도가 반감되어 전,후의 방 향으로만 용이하게 굴절되는 절곡부(12)의 운동 방향으로 자동 회전되도록 하여, 원주형 막대식 손잡이(1)의 가장 큰 단점인, 사용중에 손으로 잡고 있는 손잡이(1)가 무작위의 방향으로 임의 굴절되며 회전함으로, 예리하게 절단 방치되는 선면판(21)의 외주에 의한 상해의 발생 소지를 십분 해소 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형 굴절식 손잡이의 판부채인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단일공정인 수직 삽입의 장착 작업으로 선면판
(21)과 손잡이(1)의 조립이 종결되며, 삽입 장착과 동시에 체결돌기(4)와
역지편(7)에 의하여 역탈의 현상이 없이 견실하게 체결되어 손잡이(1)의
몸체(2)와 선면판(21)이 일체로 성형된 것과 같은 기능을 발휘할 뿐만 아
니라, 손잡이(1)와 몸체(2)사이에 형설되는 굴절부(12)는 부채를 사용 할
때에 전,후 굴절로 인하여 발생되는 피로도를 흡수 분산시켜 줌 으로서,
부채의 굴절감이 유연하며, 손잡이의 몸체(2)와 선면판(21)이 체결된
주변부가 국부적으로 집중되는 피로도에 의하여 절곡이나 절단되는 폐단이
해소되고, 단일공정의 조립과 간단한 구조의 자동화가 가능한 경제성을
제공한다.

Claims (3)

  1. 막대형 손잡이(1)와 선면판(21)을 조합하여 제조하는 판부채에 있어서,
    손잡이(1)와 연계하여 형설하는 굴절부(12)의 상단부에, 전,후 2개로 반 분하여 구성하는 몸체(2)를 소정의 간격으로 격리시켜 대향으로 형설한 후, 양측의 몸체(2)내면에는 체결을 위한 체결돌기(4)와, 탄성을 갖는 구조의 역지돌기(7)들을 각각의 대향 격간으로 하나 이상씩 형설하며,
    역지돌기(7)들의 내측에는 내공동(9)들을 굴삭 형성하여 진퇴에 지장이
    없도록 하하므로서, 선면판(21)과의 결합력은 양방향에서 상합되는 반면, 몸체(2)의 피로도는 양분되도록 하고, 체결돌기(4)의 말단에는 체결턱(5) 을 형성시켜 타측에 형설하는 체결홈(6)과 결합시켜 선면판(21)과 전,후 2개로 분리 형설된 몸체(2)들이 역향 격간으로 삽지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 된 것과 같은 강도를 갖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형 굴절식 손잡이의 판부채.
  2. 제 1항에 있어서, 몸체(2)와 손잡이(1)사이에 부채의 형상과 규격에 비례 하여 설정하는 임의의 모양과 갯수의 굴절공동(13)을 구비하는 복선형의 굴 절부(12)를 형설하여, 굴절부(12)가 전,후의 방향으로만 굴절되도록 하며, 국부적으로 집중되는 피로도를 흡수 분산시키도록 구성 함 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형 굴절식 손잡이의 판부채.
  3. 제 2항에 있어서, 굴절부(12)의 외면이나 굴절공동(13)의 내면에, 부위별 의 굴절강도와 굴절각의 조화를 위하여 소정의 굴절홈(14)들을 형설 함 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형 굴절식 손잡이의 판부채.
KR2020000035360U 2000-12-18 2000-12-18 판부채 KR2002251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360U KR200225109Y1 (ko) 2000-12-18 2000-12-18 판부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360U KR200225109Y1 (ko) 2000-12-18 2000-12-18 판부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5109Y1 true KR200225109Y1 (ko) 2001-05-15

Family

ID=73093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5360U KR200225109Y1 (ko) 2000-12-18 2000-12-18 판부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510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8392B2 (en) Spring fastener with highly improved lever/angle pulling force
RU2363512C2 (ru) Блок игрушечного конструктора
US20040083582A1 (en) Fastener with ergonomic removal to insertion force ration
US4657426A (en) Expansion clamp for the connection of coinciding ends of hollow components of reticular structures and the like
US20130340216A1 (en) Spring fastener with highly improved lever/angle pulling force
AU771176B2 (en) Fastening device for interconnecting two parts
US4449842A (en) Sleeve bracket
US5918999A (en) Geometric spacial frame assembly
KR200225109Y1 (ko) 판부채
DE20021428U1 (de) Kupplungselement für Gitterkonstruktionen
KR20160128798A (ko) 조립용 교구
KR100476568B1 (ko) 알루미늄 도어 모서리 결합구
EP2093434A1 (de) Knotenverbinder
ES2237875T3 (es) Estructura de interconexion para miembros multiples.
KR970020318A (ko) 자동차 부품 조립용 지그의 고정구조
JPH0545693Y2 (ko)
KR200220415Y1 (ko) 부채 손잡이
JPS6035601Y2 (ja) 道路伸縮継手
KR200222418Y1 (ko) 옹벽용 힌지 블록세트
JP2736595B2 (ja) 組立式の下地材
KR19980024964U (ko) 건구용 코너 이음매
JP2787567B2 (ja) 棚受け金具
JP3400624B2 (ja) 格子材の結合装置
JP3511533B2 (ja) ドアの操作部材と角軸の結合機構
KR200281175Y1 (ko) 현관도어의 조립식 스텐레즈 스틸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