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4871Y1 - 휘호대 - Google Patents

휘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4871Y1
KR200224871Y1 KR2019990009262U KR19990009262U KR200224871Y1 KR 200224871 Y1 KR200224871 Y1 KR 200224871Y1 KR 2019990009262 U KR2019990009262 U KR 2019990009262U KR 19990009262 U KR19990009262 U KR 19990009262U KR 200224871 Y1 KR200224871 Y1 KR 2002248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fixing member
frame
roller
drawing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92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5037U (ko
Inventor
최배근
Original Assignee
최배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배근 filed Critical 최배근
Priority to KR20199900092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4871Y1/ko
Publication of KR199900350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50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48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4871Y1/ko

Links

Landscapes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휘호대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에 장착되어 정역회전하는 정역모터(110)와; 상기 프레임(100)에 지지되고, 상기 정역모터(110)에 의해 구동되는 전방롤러(120)와; 상기 프레임(100)에 지지되는 후방롤러(130)와; 상기 프레임(100)의 후방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후방롤러(130)를 전,후방이동 시키는 볼트(104)와; 상기 전,후방롤러(120)(130)를 감싸고 전방롤러 (120)의 구동력에 의해 이송되는 패드(150)와; 상기 전방롤러(120)의 후방측에 고정되고 상기 패드(150)의 일측하면에 수평면으로 설치되는 소정크기의 받침판(140)과; 상기 패드(150)상에 놓이는 화선지를 고정하기 위해 패드(150)면에 형성되는 고정부재(161)와 상기 고정부재(161)와 결합분리되는 결합부재로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자력 화선지고정부재(160)로 구성되어; 상기 자력 화선지고정부재(160)에 의해 패드(150)상에 밀착 고정된 화선지(170)가 상기 패드와 동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이송되는 휘호대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화선지를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로 이동시켜 서예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일반 서예작업시 발생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되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휘호대{calligraphic paper transfer device}
본 고안은 휘호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형 서예 작업시, 작업도중 화선지를 수작업으로 수회 이동시키켜야 하는 바, 상기 불편함을 해소시키기 위해 화선지가 자동으로 이동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서예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휘호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예 작업시 문방사우라고 하여 네가지 재료가 필요하다. 즉 붓, 종이, 벼루, 먹이 상기 문방사우를 구성한다. 서예 작업을 위해서는 상기 문방사우 중 하나인 종이를 바닥에 펼치고, 상기 종이위에 붓으로 글씨를 쓰게된다. 상기 종이는 화선지가 주로 이용된다. 상기 화선지의 규격은 통상 반절지, 전지, 27지 등이 사용된다. 그 중 27지는 세로가 2m이고, 가로가 70cm이다. 따라서 상기 종이가 소형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종이위에 문진(화선지 고정용 기구)으로 화선지를 고정시킨 다음, 한번에 글을 완성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화선지가 대형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한번에 글을 완성하지 못한다. 즉 화선지 작업도중에 사용중이던 붓을 내려놓고 상기 문진을 제거한 다음, 다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문진으로 화선지를 고정하여 서예 작업이 진행된다. 여기서, 다시 작업을 재개하는 방법으로는, 사용자가 글을 쓰고자 하는 위치로 직접 이동하는 방법과, 상기 화선지를 사용자의 위치로 이동시켜 작업하는 방법 중 하나의 방법이 이용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방법을 반복함으로써 하나의 서예 작업이 완성된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은,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문진을 직접 이동시켜야 하고, 작업 도중에 붓을 내려놓으므로 이전 작업과의 먹물 농도가 달라지고, 서예작업의 연속성이 보장되지 않는 등 불편함이 존재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위해, 상기 화선지를 자동으로 이동시켜 서예작업을 완성하는 휘호대가 개발되었다.
상기 종래기술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휘호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화선지지지부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휘호대는 크게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1)와, 상기 모터(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전,후방롤러(2)(3)와, 마찰력이 큰 천에 비닐을 코팅하여 표면전체에 구궁선(5)을 갖추고 전,후방롤러(2)(3)와 함께 회전하는 패드(4)와, 상기 모터(1)의 구동과 동시에 작동되는 솔레노이드(6)에 의해 전후로 유동하는 레버(7), 그리고 상기 레버(7)의 유동에 따라 상승하강하는 연결봉(8), 절첩봉(9), 지지바(10)로 구성된다.
상기 후방롤러(3)는 화선지 받침판(11)의 후면에 연설한 연결판(12)에 장착되고, 상기 전방롤러(2)는 화선지 받침판(11)의 전면부에 천공된 롤러 장착공(13)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롤러(3)는 상기 모터(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구동 할 수 있도록 베벨기어(14)로 교점 연결된다. 상기 롤러 장착공(13)에는 압축 스 프링(15)이 설치되어 상기 전방롤러(2)가 (a) 방향의 힘을 받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화선지 받침판(11)의 후면부에는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1)가 장착되었다. 여기서 상기 전방롤러(2)와 후방롤러(3)에는 상기 전,후방롤러(2)(3)와 함께 회전하는 패드(4)가 씌워져 상기 압축스프링(15)의 작용에 의해 (a) 방향의 힘을 받아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패드(4)는 천으로 구성되고 표면에 비닐이 코팅된다.
그리고 상기 화선지 받침판(11)의 일측에는 상기 모터의 정역회전을 제어하는 정역회전 스위치(16)가 부착된다. 또한 상기 화선지 받침판(11)의 일측 후단에는 레버(7)가 부설된다. 상기 레버(7)의 일측에는 상기 모터(1)의 작동과 동시에 동작하는 솔레노이드(6)가 장착되고, 레버(7)의 타측에는 연결봉(8)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7)의 단부에는 압축스프링(17)이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압축스프링(17)의 타측은 화선지 받침판(11)의 타측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연결봉(8)에는 상하 유동가능한 절첩봉(9)이 연결되고, 상기 절첩봉(9)단부에는 천이나 스폰지로 감싼 금속제 지지바(10)가 부착된다. 상기 절첩봉(9)과 연결봉(8)의 걸림턱(18) 사이에는 압축스프링(20)이 설치되어 절첩봉(9)이 항상 하측으로 힘을 받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걸림턱(18)은 상기 절첩봉(9)이 일정각 이상 하강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작용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사용자가 화선지를 패드(4)위에 올려놓고 정회전 스위치를 ON 시키면, 모터 (1)가 작동되어 상기 후방롤러(3)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모터(1)의 구동에 의해 상기 솔레노이드(6)가 작동하여 도 2의 (b)와 같이 레버(7)를 잡아당기게 된다. 이에따라 상기 패드(4)가 (b)방향으로 서서히 이동하여 상기 패드(4)의 상면에 부착된 화선지를 이동시킨다. 이때 연결봉(8)과 절첩봉(9) 및 지지바(10)는 위로 상승하여 화선지의 전송이 원할하게 이루어 지며, 상기 전방롤러(2)는 상기 후방롤러(3)의 회전력을 패드(4)를 통해 전발받아 회전한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화선지가 원하는 위치에 오게되면, 정회전 스위치를 OFF 시킨다. 정회전 스위치가 OFF 되면, 모터(1)가 작동을 멈추고 화선지의 이송이 중단된다. 이와 동시에 솔레노이드(6)의 구동이 멈추게되고, 상기 레버(7)는 압축스프링(17)의 복원력에 의해 도 3의 (a)와 같이 처음의 상태로 돌아가고, 연결봉(8)과 절첩봉(9)은 하강하여 지지바(10)가 화선지를 눌러 고정시킨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반대로 화선지를 이송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역회전 스위치를 ON 시키면, 상기 모터(1)의 작동에 의해 후방롤러(3)가 역회전을 하게되어 상기 패드(4)가 (b)의 반대 방향으로 동작되어 상기 화선지를 이송시킨다. 이때 솔레노이드(6)는 상기 정회전때와 동일한 동작을 반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화선지를 고정시킨다.
그러나, 상기의 휘호대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첫째, 상기 화선지가 전,후로 이송되는 동안에는 상기 패드와 화선지의 마찰력만으로 상기 화선지를 상기 패드에 고정시키는 방법을 택하므로써, 상기 화선지가 외부의 영향에 의해 상기 패드로 부터 분리될 수가 있다.
둘째, 상기 패드를 팽팽하게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압축스프링을 사용하였으나, 상기 압축스프링의 장기 사용시 탄성계수의 약화로 탄력이 줄어들어 상기 패드를 팽팽하게 유지하기가 어렵다.
셋째, 상기 화선지의 이송은 여러 과정을 거쳐 달성되는바, 구조가 복잡하고 상기 복잡한 구조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재료가 필요하게 되므로 제작원가가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후방롤러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패드에 화선지가 밀착되어 회전함으로써, 화선지의 요동없이 서예 작업을 가능케 하는 휘호대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그리고 패드가 설치되는 전후방 구동롤러는 상기 패드를 팽팽하게 유지하면서 회전하여야 하는바, 상기 후방 구동롤러에 이동장치가 구비되어 상기 패드를 팽팽하게 유지시키고, 상기 패드 하부면에 받침판이 설치되어 서예작업시 안정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휘호대를 제공하는 것이 또 다른 목적이다.
제1도 - 종래의 휘호대의 사시도.
제2도 - 종래의 화선지지지부의 동작 상태도.
제3도 - 본 고안에 따른 휘호대의 사시도.
제4도 - 본 고안에 따른 후방롤러의 결합단면도.
제5도 - 지지대에 결합되는 후방롤러의 결합사시도.
제6도 - 자력 화선지고정부재의 결합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프레임 101 : 지지대
102 : 결합바 103 : 결합공
104 : 볼트 105 : 후방롤러 장착공
110 : 정역모터 111 : 모터스위치
120 : 전방롤러 130 : 후방롤러
131 : 결합돌기 132 : 베어링부
133 : 돌출돌기 134 : 관통공
135 : 암나사산 136 : 회전자
140 : 받침판 150 : 패드
151 : 방안선 152 : 투입공
160 : 자력 화선지고정부재 161 : 고정부재
162 : 결합부재 170 : 화선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되어 정역회전하는 정역모터와;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고, 상기 정역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전방롤러와;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는 후방롤러와; 상기 프레임의 후방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후방롤러를 전,후방이동 시키는 볼트와; 상기 전,후방롤러를 감싸고 전방롤러의 구동력에 의해 이송되는 패드와; 상기 전방롤러의 후방측 에 고정되고 상기 패드의 일측하면에 수평면으로 설치되는 소정크기의 받침판과; 상기 패드상에 놓이는 화선지를 고정하기 위해 패드면에 형성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와 결합분리되는 결합부재로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자력 화선지고정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자력 화선지고정부재에 의해 패드상에 밀착 고정된 화선지가 상기 패드와 동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이송되는 휘호대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자력 화선지고정부재는, 고정부재인 철심과; 결합부재인 자석;으로 구성되어 화선지를 패드에 밀착 고정시킴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력 화선지고정부재는, 고정부재로 상기 패드의 내주면에 도포된 액체자석과; 결합부재인 철편;으로 구성되어 화선지를 패드에 밀착 고정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후방롤러는,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 양측단부에 결합되는 베어링부와; 상기 베어링부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 그리고 상기 관통공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산으로 구성되어; 볼트를 상기 관통공에 결합하여 조임에 의해 후방롤러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패드를 팽팽하게 유지시키고, 볼트를 풀므로써 상기 후방롤러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패드가 상기 프레임으로 부터 용이하게 탈착되도록 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이에따라, 화선지가 놓여지는 패드를 팽팽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화선지를 패드에 밀착 고정시키고, 롤러를 구동시켜 원하는 부위로 이송하여 받침판 부위에서 서예작업이 가능하므로 안정된 서예 작업을 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휘호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후방롤러의 단면도이고, 도 5는 지지대에 결합되는 후방롤러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6은 자력 화선지고정부재의 결합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휘호대는 크게 프레임(100)과, 정역모터(110)와, 전방롤러 (120)와, 후방롤러(130)와, 받침판(140)과, 패드(150) 그리고 자력 화선지고정부재 (160)로 구성된다.
도 3에서, 상기 프레임(100)은 한쌍의 지지대(101)와 한쌍의 결합바(102)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대(101)를 결합바(102)가 고정시키는 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101)의 후방단부에는 결합공(103)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103)으로 볼트(104))가 삽입되어 후술하는 후방롤러(130)와 결합되어 후방롤러(130)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지지한다.
상기 정역모터(110)는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에 부착되어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후술하는 전방롤러(120)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정역모터(110)는 정역모터(110)를 구동시키는 모터스위치(11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모터스위치 (111)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정역모터(110)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하게 된다.
상기 전방롤러(120)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되고 양측 단부가 상기 지지대(101)에 형성된 롤러장착공(미도시)에 결합되어 상기 정역모터(11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그리고 후술하는 패드(150)에의해 후방롤러(130)에 동력을 전달시켜 후방롤러(130)및 패드(150)를 회전시킨다.
상기 후방롤러(130)는 상기 전방롤러(120)의 후면에 전방롤러(120)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지지대(101)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롤러 장착공(105)은 상기 후방롤러(130)가 전후로 움직일 수 있도록 일정공간이 형성된다. 도 4 또는 5에서, 상기 후방롤러(130)는 회전자(136)의 양측 단부에 결합돌기(131)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131)와 결합하는 베어링부(132)가 구비되어 상기 결합돌기(131)가 베어링부(132)에 삽입되어 회전자(136)가 회전한다. 그리고 베어링부(132) 단부에는 돌출돌기(133)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돌기(133)에는 관통공(13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관통공(134)에는 암나사산(135)이 구비된다. 상기 베어링부(132)가 상기 후방롤러 장착공(105)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대(101)의 후방단부 일측에 구비된 결합공(103)을 통하여 삽입된 볼트(104)와 상기 베어링부(132) 돌출돌기 (133)의 관통공(134)에 형성된 암나사산(135)이 결합하여 상기 볼트(104)를 풀거나 조임에 의해 상기 후방롤러(130)가 전,후방으로 이동하여 후술하는 패드(150)의 장력이 조절된다.
여기서 상기 패드(150)는 서예작업시 팽팽함을 유지하여야 하는바, 상기 볼트(104)를 조임에 의해 상기 후방롤러(130)가 후방롤러 장착공(105) 내에서 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패드(150)는 팽팽하게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패드(150)를 프레임(100)으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볼트(104)를 푼다. 상기 볼트 (104)가 풀리면 후방롤러(130)는 전방으로 이동되어 프레임(100) 자체를 분해하지 않고도 상기 패드(104)를 프레임(100)으로 부터 분리 할 수 있다.
상기 받침판(140)은, 상기 전방롤러(120)의 후방에 전방롤러(120)와 소정간 격 이격되어 상기 지지대(101)와 결합바(102)에 부착 설치된다. 그리고 받침판 (140)은 얇은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후술하는 패드(150)의 일측하면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받침판(140) 상면의 높이는 상기 전,후방롤러(120)(13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패드(150)를 지지하고 상기 받침판 (140) 부위에서 서예작업이 이루어진다.
상기 패드(150)는, 상기 전,후방롤러(120)(130)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전방롤러(120)의 회전력을 후방롤러(130)에 전달하는 동시에 상기 전,후방롤러(120)(13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패드(150)는 얇은 천으로 구성되며, 상기 패드(150)의 외주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방안선(미도시)이 그어져, 상기 패드(150)에 화선지가 고정부착되어 서예작업이 수행될시, 상기 화선지를 통하여 상기 패드(150)에 형성된 방안선(미도시)이 글자간 간격의 기준선으로 이용된다. 또한 상기 패드(150)의 일측에는 후술하는 다수개의 고정부재(161)가 부착 설치되어 후술하는 결합부재(162)와 결합함으로써 화선지가 패드(150)에 고정되어, 패드(150)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상기 화선지도 회전한다. 즉 상기 화선지는 패드 (150)의 외주면에 밀착 부착되어 회전한다.
도 6에서, 상기 자력 화선지고정부재(160)는 고정부재(161)와 결합부재(162)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161)는 패드(150)상에 다수개 형성되고, 결합부재 (162)는 상기 고정부재(161)와 결합하여 화선지(170)를 고정시킨다. 일실시예로 도 6의 (Ⅰ)에서, 패드(150)의 일측에 직선상의 투입공(152)이 형성되어, 상기 투입공(152)에 고정부재(161)인 얇은 박막상의 철심을 삽입한다. 상기 철심은 자성 체에 부착되는 재질이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패드(150)위에 화선지(170)를 부착 설치한다음, 상기 패드(150)상의 철심이 존재하는 부위의 화선지(170)상면에 결합부재(162)인 자석을 놓으면 상기 철심과 상기 자석은 인력이 작용하여 화선지(170)는 패드(150)에 밀착되어 이탈이 방지된다. 이때 투입공(152)은 상기 패드(150)상에 다수개가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로 도 6의 (Ⅱ)에서, 상기 패드(150)의 내주면 일측에 고정부재 (161)인 액체자석을 도포시킨다. 다음 패드(150)상에 화선지(170)를 놓고 상기 패드(150) 내주면 액체자석 도포부위의 화선지(170)상면에 결합부재(162)인 자석이나, 자석에 부착되는 성질을 가진 철편을 놓으므로써 상기 화선지(170)를 패드 (150)면상에 밀착시켜 서예작업을 한다. 여기서 상기 액체자석 도포부분은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작동효과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사용자가 패드(150)상에 원하는 화선지(170)를 올려 놓은 다음, 상기 패드(150)상의 고정부재(161) 존재부위의 화선지 상면에 결합부재(162)를 올려놓으면 상기 화선지는 패드(150)의 외주면에 밀착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 스위치 (111)를 켜면 전방롤러(120)가 구동되고 패드(150)가 회전하여 패드(150)에 밀착 부착된 화선지도 이동된다. 사용자가 서예작업을 하고자 하는 화선지부위가 받침판(140) 위치에 오면 사용자는 모터 스위치(111)를 끈다. 다음, 일정한 서예작업을 하고 다시 모터 스위치(111)를 켜서 화선지(170)를 이동시켜 서예작업을 하는 방식으로 화선지를 조금씩 이동시키면서 서예작업을 한다. 그리고 패드(150)외주 면에 형성된 방안선(미도시)이 화선지(170)를 통하여 사용자가 식별가능 하므로, 글자간 간격을 방안선을 가준으로 조절하면서 서예작업을 한다. 상기 서예작업은 통상 세로로 이루어지며, 세로 한줄의 서예 작업이 완료되면 정역모터(110)를 역회전 시켜 최초의 서예 작업위치로 화선지를 이송시킨 다음, 다른 세로줄의 서예 작업이 수행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어 서예작업은 완료 된다. 서예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화선지 상면의 결합부재(162)를 제거하면 화선지(170)를 상기 패드(150)로 부터 분리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가 이동하는 대신에 고정된 위치에서 화선지를 이송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에 서예 작업이 이루어 지므로 번거로움이 해소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자력 화선지고정부재를 이용하여 화선지를 패드의 외주면에 밀착부착하여 상기 화선지를 패드와 같이 회전시키므로 화선지의 이탈 및 요동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후방롤러가 볼트의 조임에 의해 후방으로 당겨져 패드가 팽팽하게 유지되고 패드 하부면 일측에 설치된 받침판 부위에서 서예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서예작업시 화선지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하방 장력을 받침판이 받쳐 주므로 안정된 서예작업이 가능한 효과가 또한 있다.

Claims (4)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되어 정역회전하는 정역모터와;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고, 상기 정역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전방롤러와;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는 후방롤러와;
    상기 프레임의 후방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후방롤러를 전,후방이동 시키는 볼트와;
    상기 전,후방롤러를 감싸고 전방롤러의 구동력에 의해 이송되는 패드와;
    상기 전방롤러의 후방측에 고정되고 상기 패드의 일측하면에 수평면으로 설치되는 소정크기의 받침판과;
    상기 패드상에 놓이는 화선지를 고정하기 위해 패드면에 형성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와 결합분리되는 결합부재로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자력 화선지고정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자력 화선지고정부재에 의해 패드상에 밀착 고정된 화선지가 상기 패드와 동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호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 화선지고정부재는,
    고정부재인 철심과;
    결합부재인 자석;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휘호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 화선지고정부재는,
    고정부재로 상기 패드의 내주면에 도포된 액체자석과;
    결합부재인 철편;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휘호대.
  4. 제 1항 내지 3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롤러는,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 양측단부에 결합되는 베어링부와;
    상기 베어링부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 그리고 상기 관통공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산으로 구성되어; 볼트를 상기 관통공에 결합하여 조임에 의해 후방롤러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패드를 팽팽하게 유지시키고, 볼트를 풀므로써 상기 후방롤러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패드가 상기 프레임으로 부터 용이하게 탈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휘호대.
KR2019990009262U 1999-05-28 1999-05-28 휘호대 KR2002248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9262U KR200224871Y1 (ko) 1999-05-28 1999-05-28 휘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9262U KR200224871Y1 (ko) 1999-05-28 1999-05-28 휘호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037U KR19990035037U (ko) 1999-09-06
KR200224871Y1 true KR200224871Y1 (ko) 2001-05-15

Family

ID=54757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9262U KR200224871Y1 (ko) 1999-05-28 1999-05-28 휘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487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037U (ko) 199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7178A (ko) 스크린 인쇄 장치
CA2080722A1 (en) Sheet Metal Drawing Equipment
JP2000296463A5 (ko)
US4528906A (en) System for retaining stencil printing master on printing drum
KR200224871Y1 (ko) 휘호대
EP1016523A3 (en) Device for cleaning the outer surface or printing cylinders
BR0215944A (pt) Dispositivo de desenrolamento para carretéis de material em tela com mecanismo de acionamento duplo e método de desenrolamento relacionado
CN210295500U (zh) 一种仿影书法临摹设备
KR200148165Y1 (ko) 서지 이송장치
JP2896863B2 (ja) シート状分割塗板
JP2506408Y2 (ja) 製図台装置
JP3037651B2 (ja) プリンターのリボン駆動装置
DE60300291D1 (de) Abgabevorrichtung für Substanzen zum landwirtschaftlichen Gebrauch
JP3351626B2 (ja) 電子黒板
JP2001296822A (ja) 広告装置
JP2001122233A (ja) ラベル貼付機のラベル供給装置
JPS6092886A (ja) 熱転写型印刷装置
JPS5926281A (ja) プリンタのペ−パ−トラクタ
JPH07315350A (ja) ラベル貼着方法及び装置
JPH05162494A (ja) エンドレス形黒板の消去方法、および、同消去装置
JPH052517Y2 (ko)
JPH0433837Y2 (ko)
JPS62174173A (ja) プリンタ用給紙装置
JPH0528645U (ja) テープ印字装置
JP2554358Y2 (ja) 記録計のロール記録紙装着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