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4743Y1 - 조립식 전시장 프레임의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조립식 전시장 프레임의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4743Y1
KR200224743Y1 KR2020000034866U KR20000034866U KR200224743Y1 KR 200224743 Y1 KR200224743 Y1 KR 200224743Y1 KR 2020000034866 U KR2020000034866 U KR 2020000034866U KR 20000034866 U KR20000034866 U KR 20000034866U KR 200224743 Y1 KR200224743 Y1 KR 2002247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am
groove
fixtur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48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호성
Original Assignee
최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호성 filed Critical 최호성
Priority to KR20200000348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47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47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47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72Exhibition st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전시장 프레임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각종 전시장이나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체와 그 고정체에 삽입 안착되는 탄성부재 및 프레임 고정구 그리고 프레임과 고정체를 일 측면에서 관통하며 체결되고 상기프레임 고정구를 이동시키는 캠 및 그 캠을 안전하게 고정해주는 캠고정구에 의해 수직 및 수평방향의 프레임을 필요에 따라 간편하고 용이하게 분해결합 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본 고안의 조립식 전시장 프레임 조립장치는 수직 및 수평방향에 위치하는 프레임 중 어느 일 측에 위치하는 프레임에 설치되어 타 측의 프레임을 필요에 따라 분해결합 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전시장 프레임의 조립장치에 있어서,
수직 및 수평방향에 위치하는 프레임 중 어느 일 측의 프레임에 삽입 안착되고 내부에는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밀폐된 장홈이 형성되고 일 측에는 상기 홈과 통하는 고정구멍이 형성된 고정체; 상기 고정체의 홈에 삽입되어 그 홈의 하부에 위치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가 삽입 안착된 홈에 삽입되어 탄성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는 로드가 형성되고 그 로드의 중앙부에는 평자형의 홈이 형성되며 상기 로드의 상단에는 목과 걸림부가 순차적으로 형성된 프레임 고정구; 상기 프레임과 고정체의 고정구멍을 관통하며 삽입되고 선단은 프레임 고정구의 평자형 홈에 위치하는 원형판이 형성되며 그 원형판의 일 측면 일 측에는 전방을 향하는 면에 수공구삽입 홈을 갖는 원통형의 돌출부가 형성된 캠; 상기 프레임과 고정체의 고정구멍을 관통하며 고정되고 캠의 돌출부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캠 고정구;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조립식 전시장 프레임의 조립장치{Construction device of booth frame}
본 고안은 조립식 전시장 프레임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전시장이나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체와 그 고정체에 삽입 안착되는 탄성부재 및 프레임 고정구 그리고 프레임과 고정체를 일 측면에서 관통하며 체결되고 상기프레임 고정구를 이동시키는 캠 및 그 캠을 안전하게 고정해주는 캠고정구에 의해 수직 및 수평방향의 프레임을 필요에 따라 간편하고 용이하게 분해결합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조립식 전시장 프레임 조립장치는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 및 수평프레임(60,60a)에 삽입 안착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본체(70)의 양 측면에 통공(71)을 형성되고 그 통공(71)에는 일 측면는 나사(75)가 결합되는 나사공(72)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삽입공(73)이 관통된 안내블럭(74)이 삽입 설치된다.
또 상기 본체(70)의 중공에는 스프링(76)과 조임봉(77)을 순차적으로 삽입하되, 상기 조입봉(77)은 안내블럭(74)의 삽입공(73)을 관통하며 설치되고 그 삽입공(73)을 관통하며 설치되는 조임봉(77)의 상단에는 턱(78)이 형성되고 일 측에는 캠홈(79)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안내블럭(74)의 나사공(72)에 결합되는 나사(75)는 선단이 조임봉(77)의 캠홈(79)에 위치하여 상기 나사(75)의 조임 정도에 따라 조입봉(77)이 이동하게 되어있고 상기 조임봉(77)의 이동에 따라 스프링(76)이 압축 및 복원되면서 조임봉(77)을 안내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조립식 전시장 프레임 조립장치는 안내블럭(74)에 조임봉(77)이 관통되는 삽입공(73)을 형성시켜야 하고 또 나사(75)가 삽입되는 나사공(72)를 형성시켜야 함으로 그에 따른 정밀가공이 이루어져야 함으로 제조작업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 상기 조임봉(77)은 나사(75)의 선단부와 접촉되는 경사각을 갖는 캠홈(79)을 형성시켜야 함으로 그에 따른 정밀가공이 이루어져야 함으로 상기 안내블럭(74)과 마찬가지로 제조작업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조립식 전시장 프레임 조립장치는 조임봉(77)과 삽입공(73)이 원형이고 캠홈(79)이 조임봉(77)의 일 측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 조립시 캠홈(79)을 나사(3)와 일치시켜야 하는데, 상기 조임봉(77)이 원형으로 되어 있어 회전이 이루어짐으로 상당한 노력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 도 1a 및 도 1b와 다른 상태의 종래 조립식 전시장 프레임 조립장치 는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70)와 안내블럭(74) 및 조임봉(77)은 상기 도 1a 및 도 1b의 구조는 동일하나 스프링을 탄성편(76a)으로 하여 조임봉(77)의 저부를 받쳐주도록 프레임에 설치하였으나, 이는 상기 탄성편(76a)을 설치작업이 매우 어렵고 난해하며 설치 후에도 고정력이 떨어져 탈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고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조립식 전시장을 형성하는 수평 및 수평방향의 프레임을 필요에 따라 간편하고 용이하며 분해결합 할 수 잇도록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체와 그 고정체에 삽입 안착되는 탄성부재 및 프레임 고정구 그리고 프레임과 고정체를 일 측면에서 관통하며 체결되고 상기프레임 고정구를 이동시키는 캠 및 그 캠을 안전하게 고정해주는 캠고정구로 이루어진 조립식 전시장 프레임 조립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조립식 전시장 프레임 조립장치 실시예도,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조립식 전시장 프레임 조립장치 실시예도,
도 3은 본 고안의 조립식 전시장 프레임 조립장치 분해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프레임 고정구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캠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조립식 전시장 프레임 조립장치 결합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의 조립식 전시장 프레임 조립장치를 이용한 조립 전 및 조립 후 상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고정체 11 : 장홈
12 : 고정구멍 13 : 스크류
20 : 탄성부재 30 : 프레임고정구
31 : 로드 32 : 평자형홈
33 : 목 34 : 걸림부
35 : 키 36 : 키홈
37 : 상부단턱 38 : 하부단턱
40 : 캠 41 : 원형판
42 : 돌출부 43 : 수공구삽입홈
44 : 연장부 45: 키
46 : 키홈 47 : 평면부
50 : 캠고정구 51 : 관통공
52,53 : 스크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조립식 전시장 프레임 조립장치에 대한 특징적인 기술적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조립식 전시장 프레임 조립장치는 수직 및 수평방향에 위치하는 프레임 중 어느 일 측에 위치하는 프레임에 설치되어 타 측의 프레임을 필요에 따라 분해결합 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전시장 프레임의 조립장치에 있어서,
수직 및 수평방향에 위치하는 프레임 중 어느 일 측의 프레임에 삽입 안착되 고 내부에는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밀폐된 장홈이 형성되고 일 측에는 상기 홈과 통하는 고정구멍이 형성된 고정체;
상기 고정체의 홈에 삽입되어 그 홈의 하부에 위치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가 삽입 안착된 홈에 삽입되어 탄성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는 로드가 형성되고 그 로드의 중앙부에는 평자형의 홈이 형성되며 상기 로드의 상단에는 목과 걸림부가 순차적으로 형성된 프레임 고정구;
상기 프레임과 고정체의 고정구멍을 관통하며 삽입되고 선단은 프레임 고정구의 평자형 홈에 위치하는 원형판이 형성되며 그 원형판의 일 측면 일 측에는 전방을 향하는 면에 수공구삽입 홈을 갖는 원통형의 돌출부가 형성된 캠;
상기 프레임과 고정체의 고정구멍을 관통하며 고정되고 캠의 돌출부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캠 고정구;를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체의 장홈과 그 장홈에 삽압 안착되는 로드는 적어도 3각 이상의 각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프레임 고정구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부가 형성된 목은 로드의 상단으로부터 분해결합 가능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프레임과 고정체의 고정구멍을 관통하며 삽입되는 캠의 원형판과 돌출부는 분해결합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캠의 돌출부에 형성된 수공구삽입 홈은 'ㅡ'자형 또는 '+'자형 및 육각홈 임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캠의 원형판 일 측에는 평면부를 형성시켜 프레임고정구의 평자형 홈 상/하부단턱에 면 접촉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캠고정구의 외부와 고정체의 고정구멍에는 각각의 스크류를 형성시켜 상기 캠고정구와 고정체가 스크류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조립식 전시장 프레임 조립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조립식 전시장 프레임 조립장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프레임 고정구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캠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조립식 전시장 프레임 조립장치 결합 사시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의 조립식 전시장 프레임 조립장치를 이용한 조립 전 및 조립 후 상태의 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먼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된 고정체 삽입부(61)에 고정체(10)를 끼워 맞춤하고 그 끼워 맞춤 된 고정체(10)의 장홈(11)에 탄성부재(20)인 스프링과 프레임고정구(30)을 순차적으로 삽입 안착시킨다. 단 상기 고정체(10)의 일 측에 형성된 고정구멍(12)은 프레임의 구멍(63)과 일치하게 삽입한다.
이와 같이 고정체(10)의 장홈(11)에 탄성부재(20)인 스프링과 프레임고정구(30)가 삽입 안착되면 그 삽입 안착된 프레임고정구(30)의 로드(31)는 고정체(10)의 장홈(11)에 삽입된 상태에서 하단부가 탄성부재(20)인 스프링의 상부에 얹혀지게된다.
그리고 상기 로드(31)의 상부에 형성된 목(33)과 걸림부(34)는 고정체(10)의 상부 즉 프레임의 단부 외측으로 노출되고 로드(31)에 형성된 평자형의 홈(32)은 고정체(10)의 고정구멍(12)에 일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가 되면 캠(40)을 프레임의 구멍(63)과 고정체(10)의 고정구멍(12)을 관통하며 삽입시키는데, 이때 상기 캠(40)의 원형판(41)은 로드(31)의 평자형 홈(32)에 위치하게 하고 수공구삽입홈(43)이 형성된 돌출부(42)는 프레임의 구멍(63)과 고정체(10)의 고정구멍(12)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캠(40)의 삽입과정이 완료되면 그 다음에는 캠고정구(50)를 이용하여 캠(40)의 유동 및 위치이탈을 방지하도록 고정하는데, 이때 캠고정구(50)의 고정은 캠고정구(50)의 외부에 형성된 스크류(52)가 고정체(10)의 고정구멍(12)에 형성된 스크류(13)에 고정됨과 동시에 캠(40)의 돌출부(42)가 캠고정구(50)의 관통공(5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상과 같은 과정이 완료되면 본 고안의 조립식 전시장 프레임 조립장치가 프레임에 설치완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조립식 전시장 프레임 조립장치 중 프레임 고정구(30)는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부(34)와 목(33) 및 로드(32)가 일체로 형성된 것도 있고,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단에 걸림부(34)가 형성된 목(33)의 하단에 키(35)나 나사를 형성시키고 로드(31)의 상부에 키홈(36)이나 나사공을 형성시켜 그들을 상호 결합하는 방법도 있다.
상기 걸림부(34)와 목(33) 및 로드(32)가 일체로 형성된 프레임 고정구(30)는 단일 품이라는 장점이 있고, 상단에 걸림부(34)가 형성된 목(33)을 로드(31)로부터 분해결합 할 수 있도록 프레임 고정구(30)는 어느 일 부품이 마모 및 훼손되었을 때 그 마모 및 훼손된 부품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본 고안의 로드(31)는 원통형 또는 적어도 3각 이상의 각형으로 형성시키고 그 로드(31)가 삽입 안착되는 고정체(10)의 장홈(11)도 상기 로드(31)의 형성과 준하게 형성시키는데, 상기 3각 이상의 각형을 형성하는 로드(31) 및 고정체(10)의 장홈(11)은 4각형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드(31)의 4각형 및 고정체(10)의 4각형의 형성하는 장홈(11)구조는 로드(31)를 고정체(10)의 장홈(11)에 삽입한 후 상기 로드(31)의 평자형 홈(32)을 고정체(10)의 고정구멍(12)에 일치시키기가 편하고, 또 로드(31)의 원통형 및 고정체(10)의 원형 장홈(11)구조는 로드(31) 및 장홈(11)의 형성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조립식 전시장 프레임 조립장치 중 캠(40)은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형판(41)과 돌출부(42)가 일체로 형성된 것도 있고,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형판(41)과 돌출부(42)가 분해결합 가능하게 상기 원형판(41)에 키홈(46)이나 나사공을 형성시키고 돌출부(42)에 키(45)나 나사를 형성시켜 그들을 상호 결합하는 방법도 있다.
상기 원형판(41)과 돌출부(42)가 일체로 형성된 캠(40)은 단일 품이라는 장점이 있고, 상기 원형판(41)과 돌출부(42)가 분해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캠(40)은 어느 일 부품이 마모 및 훼손되었을 때 그 마모 및 훼손된 부품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의 조립식 전시장 프레임 조립장치를 이용한 프레임 조립 실시예를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평방향의 프레임(60)에 설치된 프레임고정구(30)에 형성된 걸림부(34)를 수직방향에 위치한 프레임(60a)의 걸림부고정부(62)에 삽입한 다음 돌출부(42)에 형성된 수공구삽입홈(43)에 수공구를 삽입하고 그 수공구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돌출부(42)가 캠고정구(50)의 관통공(51)에서 회전되면서 원형판(41)이 회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원형판(41)의 회전과 함께 연장부(41a)가 로드(31)의 평자형 홈(32) 하부단턱(38)을 탄성부재(20)인 스프링 방향으로 이동시켜 로드(31)를 상기 탄성부재(20)인 스프링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 그와 동시에 탄성부재(20)인 스프링은 압축되고 걸림부(34)는 수직방향의 프레임(60a)을 당겨주게 된다.
이와 같이하여 상기 걸림부(34)가 수직방향의 프레임(60a)을 당겨주게 되면 수평방향의 프레임(60)과 수직방향의 프레임(60a)은 긴밀하게 접촉되고 그 긴밀한 접촉은 견고한 체결력을 유지하게되는 것이다.
단 상기 돌출부(42)의 회전에 의해 원형판(41)의 회전 량은 연장부(44)의 상단에 형성된 평면부(47)가 로드(31)의 평자형 홈(32) 하부단턱(38)에 접촉될 때까지인 바, 상기 평면부(47)가 하부단턱(38)에 접촉되면 수평 및 수직프레임(60,60a)의 접촉이 완전히 끝난 상태로서 더 이상의 당김력이 발휘되지 않는다.
또 상기 평면부(47)와 하부단턱(38)이 면 접촉되면 인위적인 힘을 가하지 않는 한 원형판(41)은 물론, 돌출부(42)가 회전되지 않아(캠(40)이 회전되지 않음) 수평 및 수직프레임(60,60a)의 체결력이 이완되지 않음으로 상기 수평 및 수직프레임(60,60a)의 안전하고 견고한 체결력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안전하고 견고하게 체결된 수평 및 수직프레임(60,60a)을 분해하고자 할 때에는 수공구를 이용하여 돌출부(42)를 화살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원형판(41)이 회전하면서 평면부(47)와 하부단턱(38)의 면 접촉은 해제되고 그와 동시에 압축되어 있던 탄성부재(20)인 스프링이 복원되면서 로드(31)를 상기 탄성부재(20)인 스프링의 반대방향으로 밀어낸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34)는 밀려나가고 그와 동시에 수평 및 수직프레임(60,60a)의 면 접촉은 이완된다. 이와 같이 상기 수평 및 수직프레임(60,60a)이 이완되면 조립식 전시장 프레임의 조립장치가 설치된 수평프레임(60)을 90°회전시켜 걸림부(34)가 걸림부고정부(62)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게 만든 다음 수평 및 수직프레임(60,60a)을 분해하면 된다.
한편 수평프레임(60)에 끼워진 고정체(10)는 캠고정구(50)가 수평프레임(60)과 고정체(10)의 고정구멍(12)을 관통하며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부(34)에 의한 로드(31)에 당김력이 발생해도 수평프레임(60)으로부터 빠져나가지 않고 안전하게 위치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또 본 고안의 조립식 전시장 프레임의 조립장치를 프레임으로부터 해체시키고자 할 때에는 조립의 역순인 캠고정구(50)와 캠(40)을 고정체(10)의 고정구멍(12) 및 로드(31)의 평자형 홈(32)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빼낸 다음 로드(31)와 탄성부재(20)를 고정체(10)의 장홈(11)으로부터 빼내고 또 마지막으로 고정체(10)를 프레임으로부터 빼내면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조립식 전시장의 프레임을 조립함에 있어서,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체와 그 고정체에 삽입 안착되는 탄성부재 및 프레임 고정구 그리고 프레임과 고정체를 일 측면에서 관통하며 체결되고 상기프레임 고정구를 이동시키는 캠 및 그 캠을 안전하게 고정해주는 캠고정구에 의해 수직 및 수평방향의 프레임을 필요에 따라 간편하고 용이하게 분해결합 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수직 및 수평방향에 위치하는 프레임 중 어느 일 측에 위치하는 프레임에 설치되어 타 측의 프레임을 필요에 따라 분해결합 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전시장 프레임의 조립장치에 있어서,
    수직 및 수평방향에 위치하는 프레임(60,60a) 중 어느 일 측의 프레임에 삽입 안착되고 내부에는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밀폐된 장홈(11)이 형성되고 일 측에는 상기 홈과 통하는 고정구멍(12)이 형성된 고정체(10);
    상기 고정체의 홈에 삽입되어 그 홈의 하부에 위치하는 탄성부재(20); 및
    상기 탄성부재가 삽입 안착된 홈에 삽입되어 탄성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는 로드(31)가 형성되고 그 로드의 중앙부에는 평자형의 홈(32)이 형성되며 상기 로드의 상단에는 목(33)과 걸림부(34)가 순차적으로 형성된 프레임 고정구(30);
    상기 프레임과 고정체의 고정구멍을 관통하며 삽입되고 선단은 프레임 고정구의 평자형 홈에 위치하는 원형판(41)이 형성되며 그 원형판의 일 측면 일 측에는 전방을 향하는 면에 수공구삽입 홈(43)을 갖는 원통형의 돌출부(42)가 형성된 캠(40);
    상기 프레임과 고정체의 고정구멍을 관통하며 고정되고 캠의 돌출부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관통공(51)이 형성된 캠 고정구(50);를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전시장 프레임의 조립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10)의 장홈(11)과 그 장홈(11)에 삽입 안착되는 로드(31)는 적어도 3각 이상의 각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전시장 프레임의 조립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고정구(30)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부(34)가 형성된 목(33)은 로드(31)의 상단으로부터 분해결합 가능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전시장 프레임의 조립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60)과 고정체(10)의 고정구멍(12)을 관통하며 삽입되는 캠(40)의 원형판(41)과 돌출부(42)는 분해결합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전시장 프레임의 조립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캠(40)의 돌출부(42)에 형성된 수공구삽입 홈(43)은 'ㅡ'자형 또는 '+'자형 및 육각홈 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전시장 프레임의 조립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캠(40)의 원형판(41) 일 측에는 평면부(47)를 형성시켜 프레임고정구(30)의 평자형 홈(32) 상/하부단턱(37,38)에 면 접촉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전시장 프레임의 조립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캠고정구(50)의 외부와 고정체(10)의 고정구멍(12)에는 각각의 스크류(52,13)를 형성시켜 상기 캠고정구(50)와 고정체(10)가 스크류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전시장 프레임의 조립장치.
KR2020000034866U 2000-12-13 2000-12-13 조립식 전시장 프레임의 조립장치 KR2002247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866U KR200224743Y1 (ko) 2000-12-13 2000-12-13 조립식 전시장 프레임의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866U KR200224743Y1 (ko) 2000-12-13 2000-12-13 조립식 전시장 프레임의 조립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5845A Division KR100394431B1 (ko) 2000-12-13 2000-12-13 조립식 전시장 프레임의 조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4743Y1 true KR200224743Y1 (ko) 2001-05-15

Family

ID=73093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4866U KR200224743Y1 (ko) 2000-12-13 2000-12-13 조립식 전시장 프레임의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474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018Y1 (ko) 2008-01-28 2010-08-30 김유근 조립식 전시장치
KR20180024559A (ko) * 2016-08-30 2018-03-08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형 가구
KR20210081144A (ko) * 2019-12-23 2021-07-0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듈러 건축물 조립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018Y1 (ko) 2008-01-28 2010-08-30 김유근 조립식 전시장치
KR20180024559A (ko) * 2016-08-30 2018-03-08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형 가구
KR101864365B1 (ko) * 2016-08-30 2018-06-04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형 가구
KR20210081144A (ko) * 2019-12-23 2021-07-0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듈러 건축물 조립콘
KR102305016B1 (ko) * 2019-12-23 2021-09-2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듈러 건축물 조립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38801A (en) Device for connecting parts on walls and ceilings
US20140247612A1 (en) Video display module support assembly
KR910001195A (ko) 빌딩 인클로우즈 방법 및 시스템
JPH0579505A (ja) 2つのプロフイル部品を着脱可能に結合するためのクランプ装置
KR200224743Y1 (ko) 조립식 전시장 프레임의 조립장치
JPS61229044A (ja) 展示区域、居住区域ないしその他の目的に使う区域に架設するための構造要素の一集合体
KR101047111B1 (ko) 무대장치 조립구조
KR100394431B1 (ko) 조립식 전시장 프레임의 조립장치
KR20230133646A (ko) 전시장 프레임의 조립장치
CN215488559U (zh) 一种固定锁及地梁支架
KR101969058B1 (ko) 임시구조물조립장치
JP3034471B2 (ja) 物干竿支持装置
SE1950288A1 (en) Lamp mount assembly, and lamp assembly comprising lamp mount assembly
DK1679420T3 (en) Mounting device for adjustable mounting of frame parts on a wall or in a wall opening, which enables position adjustment of frame parts in several directions
JPS6212090Y2 (ko)
KR200259290Y1 (ko) 칠판용 조명등기구
JP4095517B2 (ja) 物品支持システム及び軸部材固定具
JP3110749U (ja) 家具類の固定具
KR200327466Y1 (ko) 강화유리도어의 실외측잠금장치
KR20040005737A (ko) 파티션 연결장치
EP1217225A1 (en) Fixing block
JPH0725450Y2 (ja) 締着具
JP2588332B2 (ja) 家屋ユニットの据付け調整治具
JP4381065B2 (ja) 可動重量物の固定具
JPH0737051Y2 (ja) やぐらの脚取付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