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4365B1 - 블록형 가구 - Google Patents

블록형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4365B1
KR101864365B1 KR1020160110984A KR20160110984A KR101864365B1 KR 101864365 B1 KR101864365 B1 KR 101864365B1 KR 1020160110984 A KR1020160110984 A KR 1020160110984A KR 20160110984 A KR20160110984 A KR 20160110984A KR 101864365 B1 KR101864365 B1 KR 101864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block
hooks
pair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0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4559A (ko
Inventor
김종화
지태우
이의준
정다은
신승연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10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365B1/ko
Publication of KR20180024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4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Landscapes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형 가구에 관한 것으로, 일측에 돌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타측에 함몰 형성된 하나 이상의 오목부가 마련되는 복수 개의 블록유닛과, 일면과 타면을 관통하여 상기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삽입공이 마련되는 보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블록유닛 중 어느 하나의 돌출부가 다른 하나의 오목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블록유닛들이 상호 조립된 블록구조체를 형성하며, 상기 보드유닛은 둘 이상의 상기 블록구조체의 돌출부에 각각 결합되어, 복수 개의 블록구조체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가구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블록형 가구 {BLOCK TYPE FURNITURE}
본 발명은 블록형 가구에 관한 것으로, 복수 개로 구성된 단위블록을 사용자가 용도와 취향에 맞게 조립함으로써, 다양한 형태 및 색상이 구현된 맞춤형 가구를 제작할 수 있는 블록형 가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가구라 함은 장롱을 비롯한 수납장, 책상 및 테이블 따위의 집안 살림에 사용되는 기구를 일컫는다.
이러한 가구의 경우 비교적 크기가 큰 제품이 주를 이뤘고, 주로 규격화된 완성품을 소비자가 선택 구매하여 사용하는 것이 통상적이었다.
그러나, 최근 DIY(do it yourself) 제품의 인기와 함께 맞물려, 가구 또한 소비자의 입맛에 맞게 직접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제품화되어 출시되고 있는 추세이다.
다만, 종래 조립형 가구의 경우 조립을 통해 표현할 수 있는 가구의 형태가 정해져 있는 것이 대부분이었고, 조립을 위한 부품이 많아 별도의 사용설명서 또는 조립안내도 없이는 조립에 어려움이 따랐다.
또한, 조립과정에서 부품의 결합 및 고정을 위한 나사, 볼트 따위를 조이기 위한 시간소요와 수고로움이 뒤따랐다.
따라서, 나사 및 볼트와 같은 부속자재를 통한 결합 없이도 안전하게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조립을 통해 누구나 다양한 형태 및 색상을 구현할 수 있는 맞춤형 가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수 개로 구성된 단위블록을 사용자가 용도와 취향에 맞게 조립함으로써, 다양한 형태 및 색상이 구현된 맞춤형 가구를 제작할 수 있는 블록형 가구를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가구는, 일측에 돌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타측에 함몰 형성된 하나 이상의 오목부가 마련되는 복수 개의 블록유닛; 및 일면과 타면을 관통하여 상기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삽입공이 마련되는 보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블록유닛 중 어느 하나의 돌출부는 다른 하나의 오목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블록유닛들이 상호 조립된 블록구조체를 형성하며, 상기 보드유닛은 둘 이상의 상기 블록구조체의 돌출부에 각각 결합되어, 복수 개의 블록구조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블록유닛은, 상기 돌출부가 외력에 의해 내측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블록유닛은, 상기 돌출부에 외력이 작용될 때 상기 돌출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마련된 수용홈; 상기 돌출부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상기 돌출부가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를 밀어내는 탄성부재; 상기 복수 개의 블록유닛 중 다른 하나의 오목부에 어느 하나의 돌출부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돌출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오목부가 형성된 상기 블록유닛의 내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후크; 및 일단이 상기 돌출부와 연결되고 상기 수용홈의 일면을 관통하여, 타단이 상기 한 쌍의 후크가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회전축과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연결바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오목부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한 쌍의 후크가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양 측면에 한 쌍으로 형성된 걸림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블록유닛은, 상기 돌출부에 외력이 작용하여 상기 돌출부가 상기 수용홈 내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한 쌍의 후크의 회전축과 연결된 상기 연결바의 타단이 함께 이동하여 상기 오목부에 삽입된 다른 블록유닛의 돌출부를 밀어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돌출부는, 상기 연결바의 타단에 의해 밀어내질 때, 상기 한 쌍의 후크가 상기 걸림홈에 대한 고정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에 의해 연결된 상기 한 쌍의 후크의 연결지점이 접촉되는 일부분이 미리 설정된 각도로 음각되어, 상기 한 쌍의 후크의 회전 방향을 유도하는 가이드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블록형 가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복수 개로 구성된 단위블록을 사용자가 용도와 취향에 맞게 조립함으로써, 다양한 형태 및 색상이 구현된 맞춤형 가구를 제작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나사 및 볼트와 같은 부속자재의 사용 없이 간단하고 안전하게 조립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가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유닛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가구를 이용하여 조립된 맞춤형 가구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상세한 설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을 명시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가구는 블록유닛(100) 및 보드유닛(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블록유닛(100)은 일측에 돌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110)가 마련되고, 타측에는 돌출부(11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함몰 형성된 하나 이상의 오목부(12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블록유닛(100)은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블록유닛(100)에 마련된 돌출부(110) 및 오목부(120)는 일종의 요부(凹部) 및 철부(凸部)로서, 돌출부(110)가 오목부(120)에 삽입되어 블록유닛(100)들이 서로 결합 및 고정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1과 같이 복수 개의 블록유닛(100) 중 어느 하나의 블록유닛(100a)의 돌출부(110a)가 다른 하나의 블록유닛(100)의 오목부(120)에 삽입됨으로써, 복수 개의 블록유닛(100)들은 상호 조립된 블록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유닛(100)의 경우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사각블록의 형태가 아닌 얼마든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면을 통해 도시된 형태는 일종의 예시일 뿐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그 재질 또한 목재, 합성수지재 및 일부 금속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 및 용도에 따라 얼마든지 다양한 소재와 색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보드유닛(200)은 일면과 타면을 관통하여 블록유닛(100)의 돌출부(1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삽입공(210)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보드유닛(200)은 위와 같은 삽입공(210)을 통해 블록유닛(100)들과 결합될 수 있으며, 앞서 언급했던 블록유닛(100)들의 결합을 통해 형성된 블록구조체들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보드유닛(200)은 둘 이상의 상기 블록구조체의 돌출부(110)에 각각 결합되어 복수 개의 블록구조체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조립과정을 통해 테이블 또는 선반 역할을 수행하는 가구를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보드유닛(200)의 경우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그 크기 및 형태뿐만 아니라 삽입공(210)의 수와 배치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어, 보다 다양한 형태의 조립형 가구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유닛(100)은 돌출부(110)가 외력에 의해 내측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유닛(100)은 돌출부(110)가 형성된 위치에 돌출부(110)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이 마련되고, 이와 같은 수용홈을 통해 돌출부(110)는 외력에 의해 눌려져 블록유닛(100)의 표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수용될 수 있다.
아울러, 블록유닛(100)은 돌출부(110)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돌출부(110)가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돌출부(110)를 밀어내는 탄성부재(S)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재(S)는 도면을 통해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스프링 외에도 돌출부(110)에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는 부재라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S)를 통해 돌출부(110)는 통상 시, 즉 블록유닛(100)간의 조립이 이루어질 때에는 블록유닛(10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유닛(100)은 복수 개의 블록유닛(100) 중 다른 하나의 오목부(120)에 어느 하나의 돌출부(110)가 삽입되었을 때, 돌출부(11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오목부(120)가 형성된 블록유닛(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후크(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후크(116)는 한 쌍이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축을 통해 연결되며, 연결바(118)에 의해 돌출부(110)와 이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바(118)는 일단이 돌출부(110)와 연결되고 앞서 언급했던 수용홈의 일면을 관통하며, 타단이 한 쌍의 후크(116)가 연결된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실시에에 따른 블록유닛(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10)에 외력이 작용하여 돌출부(110)가 수용홈 내로 이동하게 되면, 한 쌍의 후크(116)의 회전축과 연결된 연결바(118)의 타단이 함께 이동하여 오목부(120)에 삽입된 다른 블록유닛(100)의 돌출부(110)를 밀어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블록구조체로부터 블록유닛(100)을 낱개로 분리시킬 때 보다 용이하게 분리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유닛(100)은 결합의 견고함 및 안정성, 그리고 분리작업의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돌출부(110)에 형성되는 걸림홈(112) 및 가이드홈(1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걸림홈(112)은 오목부(120)에 돌출부(110)가 삽입되었을 때, 돌출부(110)가 한 쌍의 후크에 의 해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돌출부(110)의 양 측면에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홈(114)은 연결바(118)의 타단에 의해 돌출부(110)가 밀어내질 때, 회전축에 의해 연결된 한 쌍의 후크(116)의 연결지점이 접촉되는 돌출부(110)의 일부분에 미리 설정된 각도로 음각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홈(114)은 복수 개의 블록유닛(100) 중 어느 하나의 돌출부(110)가 다른 하나의 오목부(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블록유닛(110)의 돌출부(110)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오목부(120)로부터 밀어내질 때, 한 쌍의 후크(116)가 앞서 언급했던 걸림홈(112)에 대한 고정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 쌍의 후크(116)의 회전 방향을 유도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가구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로 구성된 블록유닛(100)을 사용자가 용도와 취향에 맞게 조립함으로써, 다양한 형태 및 색상이 구현된 맞춤형 가구를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사 및 볼트와 같은 부속자재의 사용 없이 간단하고 안전하게 조립할 수 있다는 이점이 존재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블록유닛
110: 돌출부
120: 오목부
112: 걸림홈
114: 가이드홈
116: 후크
118: 연결바
200: 보더유닛
210: 삽입공

Claims (6)

  1. 일측에 돌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타측에 함몰 형성된 하나 이상의 오목부가 마련되는 복수 개의 블록유닛; 및
    일면과 타면을 관통하여 상기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삽입공이 마련되는 보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블록유닛 중 어느 하나의 돌출부가 다른 하나의 오목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블록유닛들이 상호 조립된 블록구조체를 형성하며,
    상기 보드유닛은 둘 이상의 상기 블록구조체의 돌출부에 각각 결합되어, 복수 개의 블록구조체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블록유닛은,
    상기 돌출부가 외력에 의해 내측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블록유닛은,
    상기 돌출부에 외력이 작용될 때 상기 돌출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마련된 수용홈;
    상기 돌출부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상기 돌출부가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를 밀어내는 탄성부재;
    상기 복수 개의 블록유닛 중 다른 하나의 오목부에 어느 하나의 돌출부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돌출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오목부가 형성된 상기 블록유닛의 내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후크; 및
    일단이 상기 돌출부와 연결되고 상기 수용홈의 일면을 관통하여, 타단이 상기 한 쌍의 후크가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회전축과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연결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가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오목부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한 쌍의 후크가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양 측면에 한 쌍으로 형성된 걸림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가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유닛은,
    상기 돌출부에 외력이 작용하여 상기 돌출부가 상기 수용홈 내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한 쌍의 후크의 회전축과 연결된 상기 연결바의 타단이 함께 이동하여 상기 오목부에 삽입된 다른 블록유닛의 돌출부를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가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연결바의 타단에 의해 밀어내질 때, 상기 한 쌍의 후크가 상기 걸림홈에 대한 고정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에 의해 연결된 상기 한 쌍의 후크의 연결지점이 접촉되는 일부분이 미리 설정된 각도로 음각되어, 상기 한 쌍의 후크의 회전 방향을 유도하는 가이드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가구.
KR1020160110984A 2016-08-30 2016-08-30 블록형 가구 KR101864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984A KR101864365B1 (ko) 2016-08-30 2016-08-30 블록형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984A KR101864365B1 (ko) 2016-08-30 2016-08-30 블록형 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559A KR20180024559A (ko) 2018-03-08
KR101864365B1 true KR101864365B1 (ko) 2018-06-04

Family

ID=61726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0984A KR101864365B1 (ko) 2016-08-30 2016-08-30 블록형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43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2161B1 (ko) 2018-08-28 2019-08-16 이승길 가구 제작용 단위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9485B1 (ko) 2019-12-16 2022-03-28 (주)휘플 모듈형 조립가구 및 이의 조립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5839U (ko) * 1984-09-18 1986-04-15
KR200224743Y1 (ko) * 2000-12-13 2001-05-15 최호성 조립식 전시장 프레임의 조립장치
JP3150406U (ja) * 2008-10-29 2009-05-21 有限会社デザインみぶ デイスプレイ用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5839U (ko) * 1984-09-18 1986-04-15
KR200224743Y1 (ko) * 2000-12-13 2001-05-15 최호성 조립식 전시장 프레임의 조립장치
JP3150406U (ja) * 2008-10-29 2009-05-21 有限会社デザインみぶ デイスプレイ用具。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실용신안등록 제 3150406호(2009.05.21.) 1부.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2161B1 (ko) 2018-08-28 2019-08-16 이승길 가구 제작용 단위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559A (ko)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61874B1 (en) A product of the group comprising cabinets, bookshelves or other storage systems, comprising a device for facilitating assembly of said product
US4027987A (en) Joining device for connecting tubes
US9363921B1 (en) Fixing member of rack server
KR101864365B1 (ko) 블록형 가구
TWI517886B (zh) Clamped buckle groups and combinations thereof
US20150024654A1 (en) Assembly and toy to be assembled using same
US9086087B1 (en) Multi-force resistant mechanical joint
JP6058197B1 (ja) 連結器具および連結器具を用いた組立構成物
JP6297995B2 (ja) シングルホイールキャスター
US9926945B2 (en) Snap-together stand for a fan
US20090163080A1 (en) Power plug adapter structure
TW201707613A (zh) 用於家具的可組裝抽屜以及組裝抽屜的方法
KR200488588Y1 (ko) 블럭용 힌지 구조물
CN107668845B (zh) 一种四合扣
JP2019044342A (ja) スライドヒンジ並びにキャビネット
KR101545708B1 (ko) 조립 어셈블리
KR101495638B1 (ko) 가구 조립 셋트
KR200408893Y1 (ko) 조립식 박스용 클립
KR102091361B1 (ko) 선반용 고정 장치
TWM471339U (zh) 替換式扳手結構
TWI764729B (zh) 模組套件傢俱
KR20170024470A (ko) 조립 블록체
KR20190072857A (ko) 결합 조립체, 결합 조립체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및 결합 조립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KR101770639B1 (ko) 조립식 수납함
JP5730158B2 (ja) 締結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