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4470A - 조립 블록체 - Google Patents
조립 블록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24470A KR20170024470A KR1020150119796A KR20150119796A KR20170024470A KR 20170024470 A KR20170024470 A KR 20170024470A KR 1020150119796 A KR1020150119796 A KR 1020150119796A KR 20150119796 A KR20150119796 A KR 20150119796A KR 20170024470 A KR20170024470 A KR 2017002447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hole
- fastening
- connection
- mai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7—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using screws, bolts, nails, rivets, clamp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4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comprising magnetic interaction means, e.g. holding together by magnetic attraction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2—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using elastic deform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rotation, e.g. of bayonet typ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hole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과 재활용품 간의 체결 방식을 구비하여 블록 사용자의 창작 활동을 폭넓고 구체적으로 지원해 주어 창작자의 창작 활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조립 블록체에 관한 것으로서, 메인 블록, 연결 블록 및 체결 블록을 포함하는 조립 블록체로서, 상기 메인 블록은, 육면체 형상을 가지고, 각 면에 수평홀 또는 상기 수평홀과 수직홀이 중첩되는 십자 형태의 연결홀이 적어도 하나 형성되며, 각 면의 중심에 나선홈을 가지는 원 형태의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홀의 상기 수평홀 또는 수직홀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연결 블록이 삽입되며, 상기 체결홀에 상기 체결 블록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립 블록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블록과 재활용품 간의 체결 방식을 구비하여 블록 사용자의 창작 활동을 폭넓고 구체적으로 지원해 주어 창작자의 창작 활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조립 블록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 블록체는, 상부에는 돌출 돌기가 나와 있고 하부에는 돌출 돌기를 수용할 수 있는 홈이 파여져 있으며 상하 조립식으로 부품을 결합하여 모양을 만들어 가는 방식이다.
이러한 조립 블록체의 종래 기술로 유명한 LEGO가 존재한다. LEGO 제품은 다양한 모형을 LEGO 자체만으로 표현이 가능하다. 하지만 상하 결합식의 제한적인 결합 방식과 LEGO 블록을 가지고는 재활용품등의 외부 물품과 상호적인 작용을 할 수 없어 블록 사용자가 창의적 공학 설계를 이용한 독창적인 설계를 하는 데에는 그 한계점이 존재하였다.
이에, 창의적 공학 설계를 위한 종래의 제품으로는 MAKEDO가 존재한다. MAKEDO 제품은 경첩형태의 블록과, 고정할 수 있는 줄과 그 줄을 고정하는 클립 3가지 도구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 도구의 조합으로 재활용품을 이용하여 창작자의 상상력에 의존되는 창의적 공학 설계를 자유로이 제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창의적 공학 설계를 위한 조립 블록체는, 재활용품의 부자재가 없이 제품 자체적으로는 독립된 창작물을 만들 수 없으며, 단순히 재활용품의 연결 부재의 역할만을 하여 제품의 견고함을 오로지 재활용품에 의지해야하며, 그로 인하여 발생된 창작물의 견고함에 대한 문제는 창작자의 의도와 관계없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블록의 사용 목적과 같이, 링크 블록을 이용해 블록과 블록을 서로 연결해주는 블록 결합 방식과, 일반적으로는 적용되지 않는 재활용품 고정 부재를 이용해 블록과 재활용 종이 박스 등을 서로 연결 해주는 두 가지의 복합적 결합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창작자가 도구를 이용한 창의적 공학 설계를 함에 있어 블록으로만, 또는 재활용품으로만 구성할 수 있는 블록의 표현 요소의 경계를 허물고 복합적인 창작품을 만들 수 있는 조립 블록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조립 블록체가 제공된다. 상기 조립 블록체는, 메인 블록, 연결 블록 및 체결 블록을 포함하는 조립 블록체로서, 상기 메인 블록은, 육면체 형상을 가지고, 각 면에 수평홀, 수직홀 또는 상기 수평홀과 수직홀이 중첩되는 십자 형태의 연결홀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각 면의 중심에 나선홈을 가지는 원 형태의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홀의 상기 수평홀 또는 수직홀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연결 블록이 삽입되며, 상기 체결홀에 상기 체결 블록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조립 블록체에서, 상기 체결 블록은, 상기 체결홀의 상기 나선홈에 대응하는 나사선이 형성된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의 상단에 연결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나사부; 상기 나사부 사이가 이격되게 하는 스페이서부; 및 상기 나사부의 상단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는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조립 블록체에서, 상기 연결부는,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태로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의 외주면 상에 고리 형태의 회전부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조립 블록체에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돌출부를 관통하는 관통구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조립 블록체에서, 상기 체결 블록은, 상기 스페이서부에 탄성체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조립 블록체에서, 상기 연결 블록은, 상기 수평홀 또는 상기 수직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연결 블록의 양 측면에는 한 쌍의 원통 돌기가 적층된 상태로 연결되며, 상기 원통 돌기는 내부에 연통홈이 형성되고, 외주면의 소정 부분이 절삭된 형태를 가지며, 대칭을 이루어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조립 블록체에서, 상기 메인 블록은, 상기 수평홀 및 상기 수직홀의 양측면에 한 쌍의 상기 원통 돌기의 접촉 영역에 끼워지는 고정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조립 블록체에서, 상기 연통홈은, 상기 원통 돌기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조립 블록체에서, 상기 메인 블록은,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에 자석 수용홈을 형성하고, 상기 자석 수용홈에 자석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조립 블록체에서, 상기 메인 블록은, 적어도 일측을 관통하는 확장 체결구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조립 블록체에서, 회전 블록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 블록은, 대향하게 배치된 한 쌍의 상기 연결 블록의 중간에 회전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과 블록, 블록과 재활용품 두 가지 결합 방식을 사용하여, 단편 일률적인 블록 창작품을 만들 수 밖에 없었던 한계점을 극복하고, 다양한 방식과 표현의 블록 창작물의 구성이 가능해 짐으로써 블록 사용자의 창의적 공학적 설계 능력을 제한 없이 발휘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블록 조립체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체의 메인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메인 블록을 타나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체의 메인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체의 메인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체의 메인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체의 연결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도 6의 연결 블록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체의 회전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체의 체결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체결 블록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체의 체결 블록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체의 공구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공구 블록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체의 조립이 완성된 모양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2는 도 1의 메인 블록을 타나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체의 메인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체의 메인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체의 메인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체의 연결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도 6의 연결 블록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체의 회전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체의 체결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체결 블록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체의 체결 블록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체의 공구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공구 블록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체의 조립이 완성된 모양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체의 메인 블록(1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메인 블록(10)을 타나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체의 메인 블록(10)은, 육면체 형상을 가지고, 각 면에 수평홀(11), 수직홀(12) 또는 수평홀(11)과 수직홀(12)이 중첩되는 십자 형태의 연결홀(13)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각 면의 중심에 나선홈(14a)을 가지는 원 형태의 체결홀(14)이 형성되고, 연결홀(13)의 수평홀(11) 또는 수직홀(12)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 블록(20)이 삽입되며, 체결홀(14)에 체결 블록(30)이 삽입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블록(10)은, 정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각면에 수평홀(11)과 수직홀(12)이 중첩되는 십자 형태의 연결홀(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수평홀(11) 및 수직홀(12)의 양측면에 고정 돌출부(f)가 형성되어, 연결 블록(20)의 양 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원통 돌기(21)의 접촉 영역에 끼워질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고정 돌출부(f)는 삼각쐐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고정 돌출부(f)의 삼각쐐기 형상이, 메인 블록(10)의 외표면에 가까운 고정 돌출부(f)의 일측보다 메인 블록(10)의 중심부에 가까운 고정 돌출부(f)의 타측이 작게 2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 돌출부(f)가 2단 형상의 삼각쐐기로 형성되어, 연결 블록(20)의 원통 돌기(21)가 완전히 삽입 되었을 때 딸각 소리가 나며 고정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블록(10)은, 연결 블록(20) 및 체결 블록(30)을 다양한 형태로 확장 조립이 가능하여 여러 형상의 블록 창작물을 자유롭게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블록(10)과 연결 블록(20)의 체결부 사이 또는 메인 블록(10)과 체결 블록(30)의 체결부 사이에 재활용품 상자 등을 다양한 모양으로 오려서 함께 조립하여 더욱 다양한 블록 창작물을 구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체의 메인 블록(5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블록(50)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면과 후면은 수평홀(11)과 수직홀(12)이 중첩되는 십자 형태의 연결홀(1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면과 하면은 수평홀(11)이 형성되고, 좌측면과 우측면은 수직홀(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수평홀(11) 및 수직홀(12)의 양측면에 고정 돌출부(f)가 형성되어, 연결 블록(20)의 양 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원통 돌기(21)의 접촉 영역에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인 블록(50)은, 연결 블록(20)과 또 다른 메인 블록(50)을 다양한 형태로 확장 조립이 가능하여 여러 형상의 블록 창작물을 자유롭게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블록(50)과 연결 블록(20)의 체결부 사이 또는 메인 블록(50)과 또 다른 메인 블록(50)의 체결부 사이에 재활용품 상자 등을 다양한 모양으로 오려서 함께 조립하여 더욱 다양한 블록 창작물을 구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체의 메인 블록(6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블록(60)은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에 자석 수용홈(15)을 형성하고, 자석 수용홈(15)에 자석(M)을 배치할 수 있다. 예컨대, 정육면체 형상의 메인 블록(60)의 각 모서리별로 사각 형상의 홈을 내어 자석(M)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써, 블록 창작물을 구성하는데 금속물질을 부착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체의 메인 블록(60)은, 메인 블록(60)에 자석(M)이 삽입되어 금속물질을 메인 블록(60)에 부착 하는데 사용하거나, 냉장고 또는 화이트보드 등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여, 더욱 다양한 형상의 블록 창작물을 구현하는데 활용이 가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체의 메인 블록(7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블록(70)은 적어도 일측을 관통하는 확장 체결구(16)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가로로 긴 직육면체 형상의 메인 블록(70)에 다수개의 수평홀(11)이나 수직홀(12) 또는 체결홀(13)이 형성되어 한 개의 메인 블록(70)에 다수개의 연결 블록(20) 또는 체결 블록(30)의 조립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수평홀(11)이나 수직홀(12) 또는 체결홀(13) 사이사이에 확장 체결구(16)를 추가로 형성하여 끈 종류의 재활용품도 결합하여 블록 창작물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체의 메인 블록(70)은, 다수개의 수평홀(11)이나 수직홀(12) 또는 체결홀(13)이 형성되고, 수평홀(11)이나 수직홀(12) 또는 체결홀(13) 사이사이에 끈 종류의 재활용품도 결합할 수 있는 확장 체결구(16)가 추가로 형성되어, 조립 블록체를 다루는 사용자가 좀 더 여러 구조물을 만들어 볼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체의 연결 블록(2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도 6의 연결 블록(20)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블록(20)은, 수평홀(11) 또는 수직홀(12)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연결 블록(20)의 양 측면에는 한 쌍의 원통 돌기(21)가 적층된 상태로 연결되며, 원통 돌기(21)는 내부에 연통홈(21a)이 형성되고, 외주면의 소정 부분이 절삭된 형태를 가지며, 대칭을 이루어 적층될 수 있다.
예컨대, 연결 블록(20)을 메인 블록(10)의 수평홀(11) 또는 수직홀(12)에 삽입 시, 연결 블록(20)의 한 쌍의 원통 돌기(21)가 메인 블록(10)의 고정 돌출부(f)와 접촉되면서 상방과 하방 양 갈래로 벌어지게 되어, 메인 블록(10)의 고정 돌출부(f)를 꽉 잡아주면서 삽입되므로 억지끼움의 형태로 연결 블록(20)의 조립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돌기(21) 내부의 연통홈(21a)은, 원통 돌기(21)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연통홈(21a)이 원통 돌기(21)의 바깥쪽 측면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이 되어, 원통 돌기(21)의 두께가 바깥쪽 측면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두꺼워지게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체의 연결 블록(20)은, 원통 돌기(21)의 두께가 바깥쪽 측면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두꺼워지게 형성되어, 원통 돌기(21)의 바깥쪽 부분은 상대적으로 그 두께가 얇아서 잘 휘어지고, 원통 돌기(21)의 안쪽 부분은 상대적으로 그 두께가 두꺼워서 잘 휘어지지 않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연결 블록(20)을 메인 블록(10)의 수평홀(11) 또는 수직홀(12)에 삽입할 시, 원통 돌기(21)의 두께가 얇은 부분부터 고정 돌출부(f)와 접촉이 되어 한쌍의 원통 돌기(21) 사이가 쉽게 벌어지고, 원통 돌기(21)를 일정 깊이 이상 삽입하면 원통 돌기(21)의 두께가 두꺼워져서 고정 돌출부(f)를 더욱 강하게 조여 줄 수 있으므로, 연결 블록(20)을 메인 블록(10)에 쉽게 삽입하고, 삽입 후에는 강하게 고정이 되어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체의 회전 블록(4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블록(40)은, 대향하게 배치된 한 쌍의 연결 블록(20)의 중간에 회전부(4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회전 블록(40)의 중간에 회전부(41)가 구비되어 대향하게 배치된 한 쌍의 연결 블록(20)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회전부(41)의 내측에는 톱니구조의 캠산(41c)과 캠산(41c)을 타고 이동하는 캠(41b)이 형성되어, 한 쌍의 회전 블록(20)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일정각도씩 균일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때, 회전부(41)의 캠(41b)측과 캠산(41c)측에 자석(41a)이 삽입되어, 캠(41b)이 캠산(41c)과 지속적으로 접촉하여 캠산(41c)을 타고 넘을 수 있도록 인력을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체의 회전 블록(40)은, 대향하게 배치된 한 쌍의 연결 블록(20) 사이에 회전부(41)가 형성되어, 한 쌍의 연결 블록(20)이 서로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므로, 메인 블록(10), 체결 블록(30) 및 재활용품 등을 결합하여 움직이는 동작이 가능한 블록 창작물을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체의 체결 블록(3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체결 블록(30)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블록(30)은, 체결홀(14)의 나선홈(14a)에 대응하는 나사선이 형성된 체결부(31) 및 체결부(31)의 상단에 연결되는 몸체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31)는, 상호 대향하는 한쌍의 나사부(31a)와, 나사부(31a) 사이가 이격되게 하는 스페이서부(31b) 및 나사부(31a)의 상단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31c)를 포함하고, 몸체부(32)의 상부에는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돌출부(32a)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체결 블록(30)을 메인 블록(10)의 체결홀(14)에 삽입 시, 한 쌍의 나사부(31a) 사이에 형성된 스페이서부(31b)에 의해 한 쌍의 나사부(31a)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오므라들어, 체결 블록(30)이 체결홀(14)로 쉽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체결 블록(30)이 체결홀(14)의 삽입 후 나사부(31a)에 형성된 나사산과 체결홀(14)의 나선홈(14a)이 서로 걸려서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아울러, 나사부(31a)에 형성된 나사산과 체결홀(14)의 나선홈(14a)으로 인하여, 체결 블록(30)을 체결홀(14)로 부터 분리 시, 체결 블록(30)을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돌리는 동작으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31c)는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태로 몸체부(32)와 연결되며, 연결부(31c)의 외주면 상에 고리 형태의 회전부재(22)가 삽입될 수 있다.
예컨대, 체결 블록(30)을 이용하여 재활용품을 메인 블록(10)에 장착시켰을 때, 상기 재활용품을 체결 블록(30)이 메인 블록(10)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시킬 경우, 체결 블록(30)이 상기 재활용품의 회전에 의해 같이 회전을 하여 체결 블록(30)이 메인 블록(10)으로부터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돌출부(32a)는, 한 쌍의 돌출부(32a)를 관통하는 관통구(32b)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돌출부(32a)의 관통구(32b)를 통하여 실이나 철사 등의 연성 물체들을 끼워 넣고 블록을 고정하거나 추가적인 창의 제품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체의 체결 블록(30)은, 메인 블록(10)에 다양한 형태 및 종류의 재활용품을 조립할 수 있도록 메인 블록(10)에 삽입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재활용품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블록 창작물을 구현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체의 체결 블록(30)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블록(30)은 스페이서부(31b)에 탄성체(S)가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체결 블록(30)의 스페이서부(31b)에 고무나 스프링 같은 탄성체(S)가 결합되어, 상호 대향하는 한쌍의 나사부(31a)가 항상 벌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체의 체결 블록(30)은, 상호 대향하는 한쌍의 나사부(31a)가 스페이서부(31b)에 결합된 탄성체(S)에 의해 항상 벌어지려는 힘을 받고 있으므로, 체결 블록(30)이 메인 블록(10)에 조립된 이후에도 체결 블록(30)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체의 공구 블록(7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공구 블록(70)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구 블록(70)은 재활용품을 쉽게 제단 할 수 있도록 일측에 칼날부(71) 및 재활용품에 쉽게 홀 가공을 할 수 있도록 타측에 송곳부(7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 블록(20) 또는 체결 블록(30)을 메인 블록(10)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후크형상의 블록 분리 후크(72) 및 체결 블록(30)을 쉽게 회전 시켜 분리할 수 있도록, 체결 블록(30)의 한 쌍의 돌출부(32a)사이에 삽입되어 체결 블록(30)을 회전시킬 수 있는 체결 돌기(75)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체의 공구 블록(70)은, 칼날부(71) 및 송곳부(73)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재활용품을 가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블록 분리 후크(72) 및 체결 돌기(75)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블록 창작물을 분해 또는 수정 시 손쉽게 블록 및 재활용품을 분리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공구 블록(70)의 중간부에 평평한 형상의 손잡이부(74)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재활용품 가공 또는 블록의 분리 시 공구 블록(70)을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체(100)의 조립이 완성된 모양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된 메인 블록(10), 연결 블록(20), 체결 블록(30) 및 재활용품 등을 이용하여 블록과 블록, 블록과 재활용품 두 가지 결합 방식을 사용하여, 단편 일률적인 블록 창작품을 만들 수 밖에 없었던 한계점을 극복하고, 다양한 방식과 표현의 블록 창작물의 구성이 가능해 짐으로써 블록 사용자의 창의적 공학적 설계 능력을 제한 없이 발휘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블록 조립체(100)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50, 60, 70: 메인 블록
20: 연결 블록
30: 체결 블록
40: 회전 블록
70: 공구 블록
100: 조립 블록체
20: 연결 블록
30: 체결 블록
40: 회전 블록
70: 공구 블록
100: 조립 블록체
Claims (11)
- 메인 블록, 연결 블록 및 체결 블록을 포함하는 조립 블록체로서,
상기 메인 블록은,
육면체 형상을 가지고, 각 면에 수평홀, 수직홀 또는 상기 수평홀과 수직홀이 중첩되는 십자 형태의 연결홀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각 면의 중심에 나선홈을 가지는 원 형태의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홀의 상기 수평홀 또는 상기 수직홀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연결 블록이 삽입되며, 상기 체결홀에 상기 체결 블록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블록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블록은,
상기 체결홀의 상기 나선홈에 대응하는 나사선이 형성된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의 상단에 연결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호 대향하는 한쌍의 나사부;
상기 나사부 사이가 이격되게 하는 스페이서부; 및
상기 나사부의 상단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는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블록체.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태로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의 외주면 상에 고리 형태의 회전부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블록체.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돌출부를 관통하는 관통구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블록체.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블록은,
상기 스페이서부에 탄성체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블록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블록은,
상기 수평홀 또는 상기 수직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연결 블록의 양 측면에는 한 쌍의 원통 돌기가 적층된 상태로 연결되며,
상기 원통 돌기는 내부에 연통홈이 형성되고, 외주면의 소정 부분이 절삭된 형태를 가지며, 대칭을 이루어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블록체.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블록은,
상기 수평홀 및 상기 수직홀의 양측면에 한 쌍의 상기 원통 돌기의 접촉 영역에 끼워지는 고정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블록체.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홈은,
상기 원통 돌기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블록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블록은,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에 자석 수용홈을 형성하고, 상기 자석 수용홈에 자석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블록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블록은,
적어도 일측을 관통하는 확장 체결구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블록체. - 제 1 항에 있어서,
회전 블록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 블록은,
대향하게 배치된 한 쌍의 상기 연결 블록의 중간에 회전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블록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19796A KR20170024470A (ko) | 2015-08-25 | 2015-08-25 | 조립 블록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19796A KR20170024470A (ko) | 2015-08-25 | 2015-08-25 | 조립 블록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24470A true KR20170024470A (ko) | 2017-03-07 |
Family
ID=58411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19796A KR20170024470A (ko) | 2015-08-25 | 2015-08-25 | 조립 블록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24470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23517A (ko) | 2020-04-03 | 2021-10-14 | 주식회사리소프트 | 메인 블록과 연결 블록을 포함하는 조립식 블록 시스템 |
-
2015
- 2015-08-25 KR KR1020150119796A patent/KR20170024470A/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23517A (ko) | 2020-04-03 | 2021-10-14 | 주식회사리소프트 | 메인 블록과 연결 블록을 포함하는 조립식 블록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D813723S1 (en) | Drone | |
USD824862S1 (en) | Male electrical connector with locking tabs | |
USD801649S1 (en) | Insertable adaptors and adjustable cushioning shoe heel | |
USD760324S1 (en) | Toy block | |
JP2006132762A (ja) | 組立てブロック | |
USD832788S1 (en) | Micro power connector | |
JP6657409B2 (ja) | マジックキューブ | |
US9829022B2 (en) | Universal joint system | |
USD865679S1 (en) | Connector | |
JP3210884U (ja) | チェーンブロック組立玩具用輪 | |
KR20170024470A (ko) | 조립 블록체 | |
JP3203036U (ja) | 収納ボックス | |
USD784285S1 (en) | Telephone | |
US20170151506A1 (en) | Large assembly block for toys | |
KR20160128798A (ko) | 조립용 교구 | |
USD860950S1 (en) | Multi-gang switch socket | |
CN105311843A (zh) | 连接积木 | |
JP3166704U (ja) | 紙製の中空立体ジグソーパズル | |
USD949979S1 (en) | Connector device for promoting building skills | |
CN208752824U (zh) | 一种应用于科学机器人的拼装结构 | |
KR20180024559A (ko) | 블록형 가구 | |
CN202920995U (zh) | 一种拼装玩具 | |
KR101770639B1 (ko) | 조립식 수납함 | |
JP2017006605A (ja) | 組立ブロックおもちゃ用ジョイント | |
KR101916180B1 (ko) | 블록 커플링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