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4693Y1 - 습식 재생골재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습식 재생골재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4693Y1
KR200224693Y1 KR2020000032427U KR20000032427U KR200224693Y1 KR 200224693 Y1 KR200224693 Y1 KR 200224693Y1 KR 2020000032427 U KR2020000032427 U KR 2020000032427U KR 20000032427 U KR20000032427 U KR 20000032427U KR 200224693 Y1 KR200224693 Y1 KR 2002246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wet
sorting
recycled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24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길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해솔산업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해솔산업개발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해솔산업개발
Priority to KR20200000324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46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46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4693Y1/ko

Links

Landscapes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습식 재생골재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조와, 상기 수조에 회동가능하도록 장착되며 내주면에 다수개의 버킷이 설치된 드럼과, 상기 드럼에 파쇄 건축 폐기물을 투입하는 투입부와, 상기 드럼에 의해 선별된 재생골재를 배출하는 배출부와, 상기 수조에 장착되어 부유물질을 걸러 외부로 배출하는 부유물질걸름부를 갖는 습식 재생골재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호퍼형이며; 상기 드럼의 원주면 및/또는 버킷에 뚫려있는 직경 5~50mm의 선별공과; 상기 수조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호퍼의 하부에 침전되는 슬러지와 물을 배출하는 슬러지배출수단과; 상기 슬러지배출수단을 통하여 배출되는 혼합물을 선별하는 스크린;을 포함하도록 구성하므로써 재생자갈과 재생모래를 재생골재로부터 손쉽게 선별하는 효과가 있는 습식 재생골재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재생자갈과 재생모래를 재생골재로부터 손쉽게 선별하여 재활용할 수 있으며, 선별과정에서 분진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습식 재생골재 선별장치{WET RECLAIMING APPARATUS FOR SORTING OUT STONES}
본 고안은 습식 재생골재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조와, 상기 수조에 회동가능하도록 장착되며 내주면에 다수개의 버킷이 설치된 드럼과, 상기 드럼에 파쇄 건축 폐기물을 투입하는 투입부와, 상기 드럼에 의해 선별된 재생골재를 배출하는 배출부와, 상기 수조에 장착되어 부유물질을 걸러 외부로 배출하는 부유물질걸름부를 갖는 습식 재생골재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호퍼형이며; 상기 드럼의 원주면 및/또는 버킷에 뚫려있는 직경 5~50mm의 선별공과; 상기 수조의 하부에 연결된 슬러지배출수단과; 상기 슬러지배출수단을 통하여 배출되는 혼합물을 선별하는 스크린;을 포함하도록 구성하므로써 재생자갈과 재생모래를 재생골재로부터 손쉽게 선별하는 효과가 있는 습식 재생골재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폐기물은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물을 철거할 경우 생성되는 일종의 폐건축자재를 뜻하는 것으로 이는 철근류와 시멘트덩이 및 자갈, 종이류, 비닐류, 나무조각, 흙더미, 그리고 기타 오물등이 뒤섞인 혼합상태를 취하고 있기 마련이다.
이러한 건축폐기물은 대개는 합법적인 절차를 거쳐 간척사업장등의 매립지에 매립되기도 하지만, 일반 도로변이나 후미진곳 혹은 인근 공터에 무단으로 투기되게 됨으로써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비록, 건축폐기물을 매립지등에 합법적으로 매립한다 하더라도 환경오염의 근본 대비책이 될 수는 없다. 이유인즉, 매립되는 건축폐기물 중에는 철근류와 시멘트덩이 및 돌, 종이, 나무조각, 흙더미뿐만 아니라 잘 썩지않는 물질 예컨데 비닐류 라든가 플라스틱과 같은 유기화합물등의 여러 환경오염 촉발물질이 혼합되어 있는바, 이같은 여러 오염물질이 뒤섞인 건축폐기물이 분리되지 않은채 그대로 매립되어지고 있음으로 말미암아 시간경과와 더불어 심한 악취는 물론 토양의 심각한 오염이 촉발되게 되는 문제점이 따른다.
뿐만아니라, 자원 재활용 차원에서 볼 때 철근류라든가 돌(자갈)등의 재활용 가능물질이 그대로 버려지게 (매립)됨으로써 막대한 자원낭비를 초래하고 있는 실정인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종합적으로 해결키 위한 것으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96-611호에는 본체의 수조 후방측 상부에 스크린 세퍼레이터(screen separator)로부터 연장설치되는 건축폐기물 이송공급용 컨베어(conveyor)가 설치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상부 소정위치(수면상)에 부유물질 걸름용 스크린 컨베어(screen conveyor)를 횡방향으로 설치구성하되 이의 양측 상,하부에 부유물질 차단부재를 각각 설치하고, 수조의 후방벽체에는 수면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그 토출구가 전방을 향하여 하향 경사각을 갖는 블로워(blower)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수조의 후방측 하부로부터 전방측 상부에 걸쳐 버킷 컨베어(bucket conveyor)를 상향 경사설치하여, 건축폐기물 이송공급용 컨베어(conveyor)를 통하여 본체에 낙하공급되는 건축폐기물이 수조내에 담수된 물에 의해 중량체(매립 대상물)은 가라앉아 버킷 컨베어(bucket conveyor)에 실려 분리됨과 아울러 상대적으로 무게가 가벼운 부유물질(소각 대상물)은 부유물질 걸름용 스크린 컨베어(screenconveyor)에 의하여 선별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폐기물 선별 분리시스템(system)의 습식 선별 장치가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98-25251호에는 건축폐기물 선별 분리시스템 (system)의 습식 선별장치가 개시되어 있는 바, 도1과 도2에는 이에 대한 개략적인 형상을 도시하였다. 상기 공개실용신안 제1998-25251호는 수조(11) 내측에 일측이 개구되고 내주연에 등간격의 버킷( bucket )(22)들이 횡방향으로 다수개 설치 구성된 드럼(2)을 회동가능토록 설치하되 수조(1)의 내부 저면에 고정 설치된 롤러(11)(11')에 그 외주면 양측에 구성된 가이더( guider )(21)(21')가 안치 구동될 수 있도록 구성하며, 드럼(2)의 일측면 중앙의 회동축(23)에 설치된 스프로킷(sprocket )(24)이 구동모터(8)의 동력을 감속시킬 수 있는 감속기 (9)의 스프로킷(sprocket)(91)에 체인(chain)(10)으로연결되어 구동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드럼(2)의 양측면부 일측은 수조(1)의 상응부에 설치된 롤러(12)(12')에 지지되어가동중의 드럼(2)이 어느 일측으로 기울거나 쓰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한편 ; 수조(1)의 곡면 (13)상부에 부유물질 걸름부(6)를 설치하되 그 축(62)에 일체화로 구성된 다수개의 홀더(holder) (63)들에 각각 탄성체의 걸름부재(64)를 교체 가능토록 구성하여 모터(61)의 구동력 전달용 체인(도시생략)이 구비된 동력전달부(65)와 연설시켜시계방향으로 회전토록 설치 구성하고, 부유물질 걸름부(6)의 양측방과 우방의 3방향에 걸쳐 둘러쳐진 형태로 송풍관(5)을 설치하되 블로워(blower)(53)에서 송출되는 송풍기 송풍관(5)들의 상호 내측을 향해 토출될 수 있도록 토출공(51)들을다수개 횡으로 천공 구성하며, 송풍관(5) 상,하로 판상체의 부유물질 차단부재(52)를 일체화로 연설 구성하는 한편 ; 수조(1)의 저면 중앙선상에는 수조(1)내의 앙금이 모이도록 침전부(71)를 구성하되 그 끝단부에 밸브(72)가 구비되어 이를 열었을시 침전부(71)에 침전된 앙금들이 일시에 배출될 수 있도록 한 드레인 관(7)을 구성하여; 건축폐기물 이송공급용골재투입부(3)를 통하여 수조(1)에 낙하 공급되는 건축폐기물이 수조(1)내에 담수된 물에 의해 중량체(매립 대상물)는 가라앉아 드럼(2)의 버킷 (bucket)(22)에 실려 분리됨과 아울러 상대적으로 무게가 가벼운 부유물질(소각대상물)은 부유물질 걸름부 (6)에 의하여 선별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폐기물 선별 분리시스템(system)의 습식 선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96-611호의 기술은 많은 부지를 점유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기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98-25251호는 선별부분을 드럼으로 구성하여 부지 점유율은 낮출 수 있었으나, 상기 전자와 후자 공히 파쇄한 건축폐기물을 부유물과 중량체(매립 대상물)로만 선별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호퍼형의 수조와, 상기 수조에 잠기는 드럼의 원주면 및/또는 버킷에 직경 5~50mm의 선별공을 뚫고, 상기 수조의 하부에 연결된 슬러지배출수단을 통하여 배출되는 혼합물을 선별하는 스크린을 설치하여 재생자갈과 재생모래를 재생골재로부터 손쉽게 선별하는 습식 재생골재 선별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1은 종래기술에 있어서, 정면도.
도2는 종래기술에 있어서, 측면도.
도3은 종래기술에 있어서, 평면도.
도4는 종래기술에 있어서, 매립대상물의 선별 분리상태 설명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0. 수조 110. 드럼 112. 버킷
114. 선별공 120. 슬러지 배출수단 130. 스크류
200. 투입부 300. 배출부 400. 스크린
본 고안에 의한 습식 재생골재 선별장치는,
수조와, 상기 수조에 회동가능하도록 장착되며 내주면에 다수개의 버킷이 설치된 드럼과, 상기 드럼에 파쇄 건축 폐기물을 투입하는 투입부와, 상기 드럼에 의 해 선별된 재생골재를 배출하는 배출부와, 상기 수조에 장착되어 부유물질을 걸러 외부로 배출하는 부유물질걸름부를 갖는 습식 재생골재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호퍼형이며; 상기 드럼의 원주면 및/또는 버킷에 뚫려있는 직경 5~50mm의 선별공과; 상기 수조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수조의 하부에 침전되는 슬러지와 물을 배출하는 슬러지배출수단과; 상기 슬러지배출수단을 통하여 배출되는 혼합물을 선별하는 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조의 하부에는 상기 슬러지배출수단 방향으로 슬러지를 이동시켜주는 스크류가 추가로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도 하며,
상기 슬러지배출수단은 자동으로 여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도 하며,
상기 선별공은 직경 8~1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기도 하며,
상기 스크린은 직경 5mm이상의 재생골재를 선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도 하며,
상기 선별공이 직경 12~15mm인 경우, 상기 스크린은 직경 5~10mm의 재생골재와 직경 10mm이상의 재생골재로 선별할 수 있도록 이중 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기도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1 내지 도4는 종래기술(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98-25251호)에 관한 도면들이다.
도5는 본 고안에 있어서,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모터, 베어링, 축 등의 요소는 본 고안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것을 제외하고는 생략하였다. 또한 도1 내지 도3에 기재되어 있는 송풍관(5), 토출공(51), 부유물질차단부재(52), 블로워(53), 부유물질걸름부(6), 모터(61), 축(62) 등 본 고안에서 부유물질걸름부라고 통칭되는 부분들은 도시를 생략하였다. 또한, 상기 부유물질걸름부(6)의 일측에 콘베어를 추가로 설치하여 원하는 위치에 부유물질을 적재시킬 수도 있으며,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부유물질을 제거할 수도 있다.
부유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는 상기 종래기술의 내용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사용하거나, 통상의 부유물질 제거방법을 이용할 것이므로 당업자에게는 생략하여도 무방하다.
도5를 살펴보면, 본 고안에 의한 습식 재생골재 선별장치는,
수조(100), 드럼(110), 슬러지배출수단(120), 스크류(130), 부유물질걸름부(미도시), 투입부(200), 배출부(300), 스크린(400)으로 구성된다.
수조(100)는 호퍼형이다. 상기 수조(100)는 도면과 같이 구성할 수도 있지만, 역피라미드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역피라미드형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크류(130)는 필요없을 수도 있다.
투입부(200)로는 파쇄된 건축폐자재 또는 이에 준하는 물질이 투입되어 드럼(110)의 내부로 떨어진다. 여기서, 이에 준하는 물질이란 자갈과 모래와 진흙과 비닐등의 혼합물 또는 레미콘 부산물 등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드럼(110)의 내부에는 버킷(112)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드럼(110)과 버킷(112)에는 선별공(114)이 뚫려있다. 상기 드럼(110)은 외부동력에 의하여 회전을 하며, 상기 회전에 따라 상기 선별공(114)은 상기 선별공(114)의 직경보다 작은 모래, 진흙, 물 등을 통과시킨다. 따라서 수조(100)의 하부에는 상기 선별공(114)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의 모래나 진흙이 쌓이게 된다. 한편, 드럼(110)안의 물에는 상기 파쇄된 건축자재에 포함된 물보다 비중이 작은 물질이 부유하며, 이 부유물질은 드럼(110)내부에 설치된 부유물질걸름부(미도시)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드럼(110)은 재생모래의 굵기 또는 재생자갈의 굵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선별공(114)의 크기를 변경할 수도 있으며, 다양한 작업조건을 제시하기 위하여 드럼을 교체할 수도 있다. 도5에서 드럼(110)은 철판 또는 이에 준하는 판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이 판에 선별공(114)이 뚫려있는 형상을 하고 있으나, 이 판을 철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선별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드럼(110)이 진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버킷(112)에 의해 건져 올려진 선별공(114)보다 직경이 큰 재생자갈은 드럼(110)의 내부에 장착된 배출부(300)로 낙하하며, 배출부(300)를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배출부(300)는 경우에 따라 진동을 하거나, 콘베어벨트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바닥에 5~10mm의 타공으로 재생자갈에 부착된 수분이 제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수조(100)의 하부에는 스크류(120)가 지속적으로 회전하여 수조(100)의 하부에 침전된 슬러지를 지속적으로 슬러지배출수단(120)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 기 슬러지배출수단(120)이 주기적 또는 간헐적으로 개폐되어 상기 침전된 슬러지를 배출시킨다. 상기 슬러지배출수단(120)은 파쇄 건축자재의 투입주기, 스크린(400)의 처리용량, 수조(100)의 하부에 침전된 슬러지의 양, 스크류(130)의 부하 중 어느하나 또는 하나이상을 고려하여 자동으로 개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출된 슬러지는 상기 수조(100)의 밑에 개별적으로 또는 일체형으로 설치된 스크린(400)으로 투입되며, 상기 스크린(400)은 재생모래와 기타물질(진흙+물)로 분리시킨다. 상기 기타물질(진흙+물)은 또다른 스크린을 이용하여 다시 분리할 수도 있으며, 상기 스크린(400)을 이중으로 만들수도 있다.
상기 수조(100)에는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기 위한 자동 물공급장치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린(400)을 통과하여 집수장에 모인 상기 기타물질 중 진흙은 침전되며, 상등수는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상기 수조(100)으로 재공급할 수도 있다.
상기 스크린(400)은 재생모래의 굵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메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스크린(400)은 진동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크린(400)은 다른 것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예를들면, 상기와 같은 수조(100)와 드럼(110)등을 설치하고 선별공(114)의 크기를 더 작게 만들어 상기 스크린(400)에 대체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드럼(110)을 철망(메쉬)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는 본 고안을 표현하는 하나의 고안일뿐, 본 방명이 상기 실시예 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호퍼형의 수조와, 상기 수조에 잠기는 드럼의 원주면 및/또는 버킷에 직경 5~50mm의 선별공을 뚫고, 상기 수조의 하부에 연결된 슬러지배출수단을 통하여 배출되는 혼합물을 선별하는 스크린을 설치하므로써, 설치면적이 적으며, 재생자갈과 재생모래를 재생골재로부터 손쉽게 선별하여 재활용할 수 있으며, 선별과정에서 분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수조와, 상기 수조에 회동가능하도록 장착되며 내주면에 다수개의 버킷이 설치된 드럼과, 상기 드럼에 파쇄 건축 폐기물을 투입하는 투입부와, 상기 드럼에 의해 선별된 재생골재를 배출하는 배출부와, 상기 수조에 장착되어 부유물질을 걸러 외부로 배출하는 부유물질걸름부를 갖는 습식 재생골재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호퍼형이며;
    상기 드럼의 원주면 및/또는 버킷에 뚫려있는 직경 5~50mm의 선별공과;
    상기 수조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호퍼의 하부에 침전되는 슬러지와 물을 배출하는 슬러지배출수단과;
    상기 슬러지배출수단을 통하여 배출되는 혼합물을 선별하는 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재생골재 선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하부에는 상기 슬러지배출수단 방향으로 슬러지를 이동시켜주는 스크류가 추가로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재생골재 선별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공은 직경 8~1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재생골재 선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배출수단은 자동으로 여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재생골재 선별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직경 5mm이상의 재생골재를 선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재생골재 선별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공이 직경 12~15mm인 경우,
    상기 스크린은 직경 5~10mm의 재생골재와 직경 10mm이상의 재생골재로 선별할 수 있도록 이중 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재생골재 선별장치.
KR2020000032427U 2000-11-20 2000-11-20 습식 재생골재 선별장치 KR2002246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427U KR200224693Y1 (ko) 2000-11-20 2000-11-20 습식 재생골재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427U KR200224693Y1 (ko) 2000-11-20 2000-11-20 습식 재생골재 선별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9033A Division KR100400197B1 (ko) 2000-11-20 2000-11-20 습식 재생골재 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4693Y1 true KR200224693Y1 (ko) 2001-05-15

Family

ID=73091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2427U KR200224693Y1 (ko) 2000-11-20 2000-11-20 습식 재생골재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469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5132B1 (ko) * 2001-09-26 2003-08-21 주식회사 진흥중공업 재생골재 선별기
KR100422340B1 (ko) * 2001-12-26 2004-03-11 (주)거산기계 건축폐기물 습식 분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5132B1 (ko) * 2001-09-26 2003-08-21 주식회사 진흥중공업 재생골재 선별기
KR100422340B1 (ko) * 2001-12-26 2004-03-11 (주)거산기계 건축폐기물 습식 분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3975B1 (ko) 건설폐기물 내 부유물의 다단 선별 및 순환골재 회수 시스템
KR100850762B1 (ko) 진동스크린의 변형구조를 이용한 이물질 분리방법 및 그장치
KR100650509B1 (ko) 침강저류조를 포함하여 제공되는 진동스크린 분리방법 및그 장치
KR100756420B1 (ko) 건설폐기물에서 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및 그 방법
KR100981949B1 (ko) 폐토사의 재생장치
JP4322896B2 (ja) 建設廃棄物選別処理システム
KR100870648B1 (ko) 토사 및 골재에 포함된 이물질을 선별하는 선별장치
KR100374162B1 (ko) 매립쓰레기 선별장치
KR100400197B1 (ko) 습식 재생골재 선별장치
KR100849521B1 (ko) 준설토 선별 분리기
KR100436545B1 (ko) 건설폐기물에서의 재생골재 선별장치
KR100453932B1 (ko) 건설폐기물의 수조식 골재선별 처리장치
KR200224693Y1 (ko) 습식 재생골재 선별장치
KR100850372B1 (ko) 재생 골재용 분리 세척 수조장치
KR0152297B1 (ko) 건축 폐기물의 선별 분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0440197B1 (ko) 준설토의 모래선별 및 세척수 정수시스템
KR0118267Y1 (ko) 건축폐기물 선별 분리시스템(system)의 습식 선별장치
KR100834710B1 (ko) 회전식 스크린을 이용한 건설폐기물 토사 처리방법 및 그장치
KR100616525B1 (ko) 골재 세척장치
KR100751838B1 (ko) 건축 폐기물의 분리장치
KR100687797B1 (ko) 순환골재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0853413B1 (ko) 고온고압 스팀방식의 버블와류형 이물질 미립분 제거장치및 이에 의하여 생산된 콘크리트용 순환잔골재
KR100557493B1 (ko) 파분쇄된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KR100654250B1 (ko) 골재재생용 이물질 분리 세척 수조 장치
KR100428498B1 (ko) 이물질 분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