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4422Y1 - 오징어 할복 및 다리절단 장치 - Google Patents

오징어 할복 및 다리절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4422Y1
KR200224422Y1 KR2020000037027U KR20000037027U KR200224422Y1 KR 200224422 Y1 KR200224422 Y1 KR 200224422Y1 KR 2020000037027 U KR2020000037027 U KR 2020000037027U KR 20000037027 U KR20000037027 U KR 20000037027U KR 200224422 Y1 KR200224422 Y1 KR 2002244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quid
leg
guide
cutter
deploy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70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치우
Original Assignee
이치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치우 filed Critical 이치우
Priority to KR20200000370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44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44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4422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생 오징어를 가공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오징어 몸체의 중앙부를 정확히 할복하며 내장제거가 용이하도록 할복된 몸체를 편평하게 전개시킴과 동시에 내장을 중앙에 모이도록 하며, 다리부를 절단하여 몸체와 분리시키는 오징어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한 목적달성을 위해, 상기 콘베이어(100)의 상면으로 부터 이격되고 오징어의 귀(910)부위가 끼어 이송될 수 있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두 부분으로 분리되어 설치되는 지지판(200)과; 상기 오징어 몸체(900)가 좌우대칭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오징어정렬부(300)와; 상기 오징어정렬부(300)에 의해 유도된 오징어 몸체(900)를 할복하고 상기 오징어 몸체(900)의 두께에 따라 상하위치가 조정되는 할복커터(400)와; 센서의 감지로 자동 하강하고 중앙부에 형성된 돌출부가 오징어 몸체(900)의 할복선과 접촉되면서 상기 오징어 몸체(900)를 벌어지게 함과 동시에 벌어진 오징어 몸체(900)를 하면으로 유도하여 상기 오징어 몸체(900)의 일부를 전개시키는 평판상의 전개가이드(500)와; 상기 전개가이드(500)와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전개가이드(500)에 의해 일부전개되어 편평하게 된 오징어 몸체(900)는 하면으로 유입되고 전개되지 않은 부위는 터널입구 좌우측에 형성된 전개날(610)에 의해 벌어져 상기 하면으로 유입되어 편평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오징어 몸체(900)의 상면에 위치되는 내장(930)과 다리(920)는 터널로 유입되어 흩어지지 않도록 하는 내장유도기(600)와; 센서에 의해 하강되어 다리를 절단시키는 다리절단커터(700)와; 상기 내장유도기(600)와 다리절단커터(700)의 사이에 설치되어 잘려진 다리를 배출시키는 배출기(8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일련의 공정으로 오징어를 활복하며 다리부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징어 가공장치로서, 수작업에 의한 가공을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공정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오징어를 전개시킴과 동시에 내장을 모아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오징어 가공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오징어 할복 및 다리절단 장치{cutting apparatus of a cuttlefish body longitudinally and leg removal}
본 고안은 선상이나 가공공장에서 생 오징어를 저장 혹은 건조를 위해 가공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오징어의 몸체를 할복하고 편평하게 전개시키며, 이와 동시에 내장을 중앙부로 모아 처리가 용이하고 흩어지지 않도록 하며, 다리를 절단하여 몸체와 분리시키는 일련의 오징어 가공장치이다.
오징어는 그 부위에 따라 육질이 다르며, 이에 따라 식용으로 사용시 각 부위별로 분리하여 처리해야 한다. 혹은 내장만을 제거하고 건조시켜 마른 오징어로서 소비자에게 판매되고 있다.
산업의 발달과 경제의 성장으로 소비자들이 양질의 식품을 원하는 경향속에서 오징어를 보다 상품화시키고 상기한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부위별로 분리하여 최종 식품으로 가공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신선한 상태로 유지,보관하기 위해서는 오징어를 어획 후 신속한 처리로 냉동보관하거나 건조시켜야 하는 바, 종래와 같은 수작업에 의한 작업으로는 상기한 요구를 충족시키기에는 부족하며 능률도 떨어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필요에 의해 종래기술로 오징어 가공장치가 다수 고안되었었으며, 그 일예로서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10-0244684호의 오징어 할복 및 내장제거장치가 등록된 바 있다.
이하에서는 종래기술에 따른 오징어 할복 및 내장제거장치에 대해 살펴봄과 동시에 그 문제점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종래기술에 의한 오징어 가공장치는, 오징어의 내장(102)을 다치지 아니하면서 할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내장막을 포함한 내장의 완벽한 제거, 그리고 다리(104)부분 절단방지 및 눈의 효과적인 제거를 목적으로 하는 장치로서 그 구성은 아래와 같다. 그리고 첨부된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오징어 할복 및 내장제거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오징어 할복부, 내장제거부등을 확대한 발췌도를 나타낸다.
제 1 - 제 6 콘베이어(1 ∼ 6)로 구성되고, 탄성철심(11)을 갖는 오징어안내편(10)과 일단의 구동축에 벨트로 연동되는 할복회전날(20)과, 2개 1조로된 제 1 및 제 2 협지롤(30,40) 및 구동기어(50)를 벨트로 연동하고, 또 그 구동축상의 베어링집을 이용하여 연결간(31) 및 지지간(41)을 연결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협지롤(30,40)의 축상부를 일단의 인장스프링(S1,S2)으로 연결된 2개 1조의 연결막대 (32,42)로 연동한 일련의 할복부(A)와, 중앙에 내장제거날(61)이 형성된 몸체확개편(60)을 수직탄발스프링(53)으로 탄력설치한 내장제거부(B), 그리고 수직가이드 (72)와 다리절단날(70) 및 받침롤(90)이 순차 구성되고 방사상의 예각돌부(82)를 갖는 눈제거날(80)을 구비한 다리절단 및 눈제거부(C)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종래기술은 그 구성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6개의 독립된 콘베이어로 구성되고, 그 역할을 달리함에 따라 장치가 복잡하게 되고 유지,보수에도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2개 1조로 구성되는 한쌍의 협지롤은 오징어를 할복하기 위해 오징어 몸체를 볼록하게 형성시킴에 있어, 상기 한쌍의 협지롤은 서로 연계되어 작동됨에 따라 오징어 몸체가 할복된 후 편평하게 전개되는데 불필요한 힘이 가해지게 되므로서, 다음 공정으로의 원활한 진입에 방해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그 구조자체가 복잡할 뿐 아니라 상기 협지롤중 어느 하나의 작동이 원활치 못할 경우에는 오징어의 몸체는 정확한 센터부에서 할복이 이루어지지 않게되어 상품으로서의 가치를 하락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생 오징어 가공장치는 다량의 수분에 노출되어 있으며, 또한 오징어 찌꺼기와 같은 이물발생으로 가공기의 작동부에 부착되어 원활한 기계동작을 방해하게 되는 바, 상기한 종래기술에 의한 오징어 할복 및 내장제거장치는 지속적이고 장기간에 걸친 사용에서는 상기한 문제점에 취약한 구조를 지니고 있다.
한편, 오징어 다리부를 몸체와 완전 분리시키지 않고 가지런히 정열만을 시키도록 하는 구조로서, 부위별로 분리가공하는데에 한계를 가지고 있는 문제점도 있으며, 내장을 제거하는 구조에 있어서도 오징어 몸체로부터 분리된 후 즉시 배출이 되는 구조가 아니라 그 다음 오징어에서 분리된 내장의 진행에 의해 밀려 낙하되는 방식으로 상기 내장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내장의 원활한 배출에는 한계가 있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기술에 따른 오징어 할복 및 내장제거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오징어 할복 전 단계로서, 오징어 몸체를 중앙부로 유도하는 오징어정렬부를 간단한 구조로 형성하여 고장발생등의 문제점을 감소시킬 수 있는 오징어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오징어가 할복된 후 몸체가 확실히 편평하게 전개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내장이 중앙으로 모이도록 함과 동시에 흩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서 처리가 간편한 오징어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오징어 몸체와 다리를 절단하여 분리함으로서 부위별로 최종 제품으로 가공할 수 있는 오징어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 종래기술에 의한 오징어 할복 및 내장제거장치의 구성도.
도 2 - 종래기술에 의한 오징어 할복부, 내장제거부등을 확대한 발췌도.
도 3 -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4 -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징어 정렬부 상세도.
도 5 -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할복커터의 상세도.
도 6 -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개가이드와 내장유도기의 사시도.
도 7 - 도 6에 있어서의 내장유도기에 의한 내장의 분리모습도.
도 8 -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출기의 구성도.
도 9 -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리절단커터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콘베이어 200 : 지지판
300 : 오징어정렬부 310 : 고정가이드
311 : 유도판 312 : 측면지지대
320 : 회전롤가이드 321 : 가변기어
322 : 연결부재 323 : 고정축
324 : 탄성부재 330 : 고정치구
400 : 할복커터 410 : 핸들
420 : 벨트 500 : 전개가이드
510 : 제 1 접촉센서 520 : 제 1 피스톤
521 : 가변스프링 530 : 제 2 피스톤
540 : 제 3 피스톤 600 : 내장유도기
610 : 전개날 620 : 상하조정스프링
700 : 다리절단커터 710 : 제 2 접촉센서
800 : 배출기 810 : 푸셔
811 : 메인플레이트 812 : 배출날
820 : 랙 830 : 피니언
835 : 피니언피스톤 836 : 가이드홀더
840 : 회전드럼 841 : 날개
900 : 오징어몸체 910 : 귀
920 : 다리 930 : 내장
상기한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콘베이어의 상면으로 부터 이격되고 오징어의 귀부위가 끼어 이송될 수 있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두 부분으로 분리되어 설치되는 지지판과; 오징어 몸체가 좌우대칭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오징어정렬부와;상기 오징어정렬부에 의해 유도된 오징어의 몸체를 할복하고 상기 오징어의 몸체의 두께에 따라 상하위치가 조정되는 회전커터와; 센서의 감지로 자동 하강하고 중앙부에 형성된 돌출부가 오징어 몸체의 할복선과 접촉되면서 상기 오징어 몸체를 벌어지게 함과 동시에 벌어진 몸체를 하면으로 유도하여 상기 오징어 몸체의 일부를 전개시키는 평판상의 전개가이드와; 상기 전개가이드와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전개가이드에 의해 일부전개되어 편평하게 된 몸체는 하면으로 유입되고 전개되지 않은 부위는 터널입구 좌우측에 형성된 전개날에 의해 벌어져 상기 하면으로 유입되어 편평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몸체의 상면에 위치되는 내장과 다리는 터널로 유입되어 흩어지지 않도록 하는 내장유도기와; 센서에 의해 하강되어 다리를 절단시키는 다리절단커터와; 상기 내장유도기와 다리절단커터의 사이에 설치되어 잘려진 다리를 배출시키는 배출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는 오징어 할복 및 다리절단장치이다.
본 고안에 의한 오징어 가공장치는, 오징어의 크기에 따라 오징어 정렬부, 전개가이드, 내장유도기, 커터의 상하 높이 혹은 좌우 위치를 조절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오징어의 이송은 콘베이어와 지지판사이에 끼인 상기 오징어의 귀부분과의 마찰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콘베이어의 상면과 지지판과의 높이를 적절히 조절하여 오징어의 원활한 이송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센서에 의한 감지로 작동되는 전개 가이드와 커터에 의한 다리절단에 있어서는, 오징어의 길이에 따라서 적합한 타임딜레이를 셋팅해야 함이 또한 중요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징어 할복 및 다리절단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간략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지지판(200), 오징어 정렬부(300), 회전커터(400), 전개가이드(500), 내장유도기 (600), 다리절단커터(700)와 배출기(800)로 구성되어, 오징어의 귀(910)부위가 콘베이어(100)와 그 상측에 공간을 두고 설치되는 지지판(200)의 사이에 끼어 이송되면서 오징어 몸체(900)가 할복되고 또한, 편평하게 전개됨과 동시에 내장(930)이 흩어지지않도록 중앙부로 모이도록 하며 다리절단커터(700)의 하강으로 다리(920)는 오징어몸체(900)로 부터 절단되어 분리됨과 동시에 배출기(800)에 의해서 배출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징어 할복 및 다리절단장치의 보다 상세한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콘베이어(100)의 상측에는 이격되어 두 부분으로 분리 설치된 지지판(200)이 형성되며, 상기 두 부분으로 분리된 지지판(200)의 사이에 오징어 몸체(900)와 귀(910)의 연결부가 끼어지고 상기 오징어 몸체(900)는 상기 지지판(200)의 상면에 위치되고 상기 귀(910)부위는 콘베이어(100)와 접하게 됨으로서 오징어의 이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오징어정렬부(300)는 크게 오징어 몸체(900)를 좌우대칭으로 형성시키는 고정가이드(310)와, 상기 오징어의 크기에 따라 그 폭이 가변되면서 오징어 몸체를 상하로 볼록한 형상으로 유도하는 중앙부가 오목한 장구형의 한쌍의 회전롤가이드(32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고정가이드(310)는 판상의 유도판(311)과 상기 유도판(311)의 상면에 설치되는 좌우 한쌍의 측면지지대(3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오징어정렬부(300)는 오징어의 할복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할복 전에, 상기 오징어몸체(900)를 중앙에 위치되도록 하는 기능을 하며, 오징어의 연속적인 이송을 위해 콘베이어(100)의 상면과 그 직상에 위치되는 유도판(311)과의 갭(gap)은 오징어 귀(910)의 두께에 따라 적절히 조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오징어정렬부 (300)에 대한 상세한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유도판(311)의 최선단부는 오징어의 귀(910)부분이 쉽게 유입되도록 부드러운 곡선을 이루도록 하며 상부로 굽어진 형상을 이루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유도판(311)의 상면에는 오징어 몸체(900)를 수용하는 측면지지대(312)가 설치된다.
상기 측면지지대(312)는 좌우에 하나씩 설치되며 전체적으로 U 자형을 이루고 있고, 고정치구(330)와 체결되어 가공중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치구(330)는 최초 셋팅시 볼트, 너트에 의한 상하 및 좌우 조정으로 그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유도판(311)에 연결되어 상기 콘베이어(100)의 상면에 형성되는 지지판(200)에 있어서, 상기 유도판(311)과의 체결은 힌지기구(미도시)와 같은 회전이 가능한 부재로 형성하여 상기 고정치구(330)의 상하 혹은 좌우 위치조정에 따라 가변될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회전롤 가이드(32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며, 그 형상은 중앙부가 오목한 장구형의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고정가이드(310)를 거친 오징어 몸체(900)를 수용하여 상하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이루도록 함과 동시에 정확한 좌우대칭을 이루도록 함으로서 후술할 할복커터(400)에 의한 오징어 몸체(800) 할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상기 회전롤 가이드(320)를 회전하게 하고 오징어의 크기에 따라 위치가 가변되는 상세한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회전롤 가이드(320)의 동작은 기본적으로 한쌍의 기어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하 상기 기어를 가변기어(321)라 부르기로 한다.
상기 가변기어(321)는 고정축에 대해 베어링과 같은 회전부재에 의해 체결되어 있고, 상기 가변기어(321)의 저면에는 연결부재(322)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322)는 상기 회전롤 가이드(320)의 상면 센터축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롤 가이드(320)와 연결부재(322)의 결합은 상기 회전롤 가이드(320)가 회전가능토록 베어링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좌우측의 연결부재(322)는 탄성부재(324)로 연결시켜 상기 회전롤 가이드(320)가 오징어의 유입에 따라 가변되었다가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징어 몸체(900)를 할복하는 할복커터(4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할복커터(400)는 핸들(410)의 조작에 따라 상하 이동이 가능한 구조이며, 할복커터(400)의 좌우측에 상기 할복커터(40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벨트(420)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서, 하나의 동력축에 의한 좌우측 벨트(420)의 구동으로 상기 할복커터(400)는 과부하등에 의해 편심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술한 할복커터(400)는 공지된 기술인 바,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할복커터(400)에 의해 할복된 오징어는 상기 콘베이어(100)와 오징어 귀(910) 부위와의 접촉에 의한 연속적인 이송으로 전개가이드(500)로 유도된다.
상기 오징어가 이송됨에 따라 상기 할복커터(400)와 전개가이드(500)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 1접촉센서의(510) 작동으로 상기 전개가이드(500)는 하강하게 되어 상기 할복된 오징어 몸체(900)의 할복선을 따라 전개가 이루어지고 전개된 오징어몸체(900)는 상기 전개가이드(500)의 하면으로 유입되어 편평하게 펴지게 된다.
보다 구체적인 상기 전개가이드(500)의 형상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전개가이드(500)는 판상이며 뾰족한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해 그 폭이 넓어지는 형상이고 상기 뾰족한 일측의 단부에는 상부로 향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 1접촉센서(510)의 감지에 의해 상기 지지판(200)와 셋팅된 갭(gap)을 형성하도록 하강되고, 상하이동에 관계되는 피스톤이 상기 전개가이드(500)의 상면에 형성된다.
상기 전개가이드(500)의 일측 단부 상면에 형성되는 제 1피스톤에(520)는 가변 스프링(521)이 형성되어 오징어가 전개되어 상기 전개가이드(500))의 하면으로 이동시 상기 가변스프링(521)에 의해 발생되는 미소변위에 의해 원활한 이송이 가능토록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전개가이드(500)의 타측에는 좌우한쌍의 피스톤(이하 제 2 피스톤(530), 제 3 피스톤(540)이라 함)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피스톤(520)과 달리 오징 몸체(900)의 전개를 위해 하강된 상태에서는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 1접촉센서(510)의 감지로 하강되어 오징어 몸체(900)가 편평하게 전개되도록 유도하여 오징어 몸체(900)가 상기 전개가이드(500)의 하면으로 들어가게 되면 상기 제 1접촉센서(510)에 의한 타임딜레이(time delay)에 의해 대략 오징어 몸체(900)의 삼분의 일(1/3)정도가 전개되면 상기 전개가이드(500)는 원위치로 상승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개가이드(500)는 할복되어 이송된 오징어 몸체(900)가 전개되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하며, 완전히 상기 오징어 몸체(900)를 편평하게 전개하는 것은 후술할 내장유도기(600)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내장유도기(600)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내장유도기(600)의 중앙부에는 평판인 하면에 대해 상부로 절곡성형되어 터널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개가이드(500)와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지지판(200)과 일정한 갭(gap)을 이루며 고정되어 오징어 몸체(900)가 상기 평판아래로 이송되면서 편평하게 전개됨과 동시에 내장(930) 및 다리(920)는 상기 터널내부에 모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내장유도기(600)의 입구 단부의 수직면에는 상기 전개가이드(500)에 의해 부분적으로 전개된 오징어 몸체(900)를 완전히 전개시켜주기 위한 바깥쪽으로 굽어진 전개날(61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내장유도기 (600)의 출구측 일측 평판에는 후술할 다리절단커터(700)와 배출기(8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 2접촉센서(710)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접촉센서(710)의 작동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내장유도기(600)의 터널상면에는 상하조정스프링(620)이 설치되어 오징어의 크기에 따라 상기 내장유도기(600)과 상기 지지판(200)과의 간격을 임의로 조정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내장유도기(600)의 전개날(610)에 의해 오징어 몸체(900)가 전개됨에 따라 상기 오징어의 내장(930)은 이송과 함께 상기 내장유도기(600)의 중앙부로 모이게 되며, 이로인해 주변을 지저분하게 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내장(930)을 제거시 손쉽게 오징어몸체(900)로 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내장유도기(600)에 의한 오징어몸체(900)의 전개와 동시에 내장(930)이 오징어몸체(900)의 중앙부에 모인 후, 상기 오징어는 콘베이어(100)와 귀(910)의 접촉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동되며, 상기 전개된 오징어 몸체(900) 끝단이 상기 제 2접촉센서(710)를 통과하게 됨으로서 다음 공정인 다리절단과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 2 접촉센서(710)에 의한 다리절단과 배출은 셋팅된 타임딜레이(time delay)에 의해 미소한 시간간격을 두고 작동하게 된다.
상기 내장유도기(600)에 이어서 절단된 다리(920)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기(800)가 설치되고, 다음으로 다리절단커터(700)가 배치되어 오징어 다리(920)부위가 다리절단커터(700)의 하부에 왔을때 상기 다리절단커터(700)가 하강하여 오징어몸체(900)와 다리(920)를 절단 분리케 되도록 하며, 상기 푸셔(810)는 전진하여 절단된 다리(920)를 배출구로 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배출구에는 절단되어 이송된 다리(920)를 저장조로 보내기 위한 회전드럼(84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드럼(840)에는 적정탄성을 가진 연질의 날개(841)가 형성되어 원활한 배출이 가능토록 하고 있다.
상기 푸셔(pusher)(810)는 절단된 오징어 다리(920)를 배출하는 기능을 하며, 그 구성은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고,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랙(820)과 피니언(830)기구에 의해 작동되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지만, 공지된 다양한 이송수단이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며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첨부된 도 8은 상기 배출기(800)의 구성도이며,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배출기(800)는 크게 메인플레이트(811)와 상기 메인플레이트 (811)의 단부에 설치되어 직접 오징어 다리(920)와 접하면서 배출시키는 플라스틱과 같은 연질의 배출날(812)로 이루어지는 푸셔(810)와 기계본체에 고정되는 랙(820)과 상기 랙을 따라 회전되는 피니언(830)과 상기 피니언을 이동시키는 피니언피스톤 (835)과 상기 메인플레이트(811)와 피니언(830)을 연결시키는 가이드홀더(836)로 구성된다.
상기 배출기(800)의 작동은 공지된 기술의 조합에 의해 구동되는 바,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에서는 다리절단 커터(7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리절단 커터(700)는 그 단부가 예각으로 형성되어 하강됨으로서 다리(920)와 오징어몸체(900)를 절단하여 분리시키게 되며, 커터날의 일면은 직선을 이루고 타면은 경사를 이루고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다리절단커터(700)의 상하이동은 유압 혹은 공압에 의한 피스톤의 이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상 본 고안에 의한 오징어 가공장치의 주요부분에 대한 그 구조에 대해 설명했으며, 이하에서는 전체적인 작동관계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오징어 할복 및 다리절단장치의 이송기구는 콘베이어(100)에 의하며, 오징어의 이송은 상기 오징어 귀(910) 부위과 콘베이어(100)와의 마찰에 의해 이루어지며, 오징어 몸체(900)에는 직접적인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오징어는 어획되는 장소등에 따라 그 크기가 상이하며 가공전 어획된 오징어의 크기에 따라 오징어정렬부(300), 할복커터(400), 전개가이드(500), 내장유도기(600) 및 다리절단커터(700)의 상하위치를 적합하게 조정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징어 정렬부(300)의 유도판(311)을 통해 오징어 귀(910) 부분을 상기 콘베이어(100)의 상면과 접촉되게 하여 투입시키게 되면, 오징어 몸체(900)와 다리(920)는 콘베이어(100)와 직접접촉없이 고정가이드(310), 회전롤가이드(320)를 거치며 할복커터(400)에 의한 할복이 용이하도록 좌우대칭으로 배치되면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할복커터(400)에 의해 할복된 오징어는 전개가이드(500)에 의해 몸체가 전개되어 상기 전개가이드(500)의 하면으로 유도되며, 대략 오징어 몸체의 삼분의 일(1/3)정도가 전개된 후 상기 전개가이드(500)는 상승하게 되며 이미 전개된 몸체는 내장유도기(600)의 평판하면으로 이송되며 전개되지 않은 부위는 오징어의 이송과 함께 상기 내장유도기(600)에 형성된 전개날(610)에 의해 완전히 전개되며, 동시에 내장(930)은 상기 내장유도기(600)의 터널내부로 모이게 된다.
할복되고 편평하게 전개된 오징어는 계속적으로 이송되어 푸셔(810)와 다리절단커터(700)로 이동되며 제 2 접촉센서(710)의 감지와 셋팅된 타임딜레이(time delay)에 의해 다리(920)가 오징어몸체(900)로 부터 절단되고, 이어서 푸셔(810)에 의해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는 공정으로 오징어를 할복하며 다리절단 및 내장을 제거하기에 용이하게 중앙으로 모이도록 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오징어 가공장치는 전체적인 이송을 하나의 콘베이어로 행하도록 함으로서 고장발생을 줄이고 제작 또한 용이하게 하여 저렴한 오징어 가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소재정열부를 단순화 시키고 정확하게 오징어 몸체를 좌우대칭으로 형성시킬 수 있도록 가운데가 오목하게 형성된 장구형상의 회전롤가이드로서 상기 오징어를 회전커터로 유도하게 함으로서 정확하고 원활한 할복이 가능하게 되어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오징어의 이송은 상기 콘베이어와 상기 오징어 귀부분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몸체에 손상을 발생시키지 않음으로서 양질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한편, 오징어 몸체가 전개됨과 동시에 내장이 중앙부위로 모이는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내장제거작업을 용이하게 하며, 다리와 몸체를 절단하여 분리시킴에 따라 상기 오징어를 부위별로 판매가능토록 하여 차별화된 제품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오징어 가공장치는, 오징어 투입을 제외한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 지는 관계로 높은 인건비로 인해 야기되는 가격경쟁력 저하의 문제를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2)

  1. 콘베이어와 오징어 귀부위의 접촉에 의한 이송으로 순차적으로 생 오징어를 가공하는 오징어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콘베이어의 상면으로 부터 이격되고 오징어의 귀부위가 끼어 이송될 수 있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두 부분으로 분리되어 설치되는 지지판과;
    상기 오징어 몸체가 좌우대칭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오징어정렬부와;
    상기 오징어정렬부에 의해 유도된 오징어의 몸체를 할복하고 상기 오징어의 몸체의 두께에 따라 상하위치가 조정되는 할복커터와;
    센서의 감지로 자동 하강하고 중앙부에 형성된 돌출부가 오징어 몸체의 할복선과 접촉되면서 상기 오징어 몸체를 벌어지게 함과 동시에 벌어진 몸체를 하면으로 유도하여 상기 오징어 몸체의 일부를 전개시키는 평판상의 전개가이드와;
    상기 전개가이드와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전개가이드에 의해 일부전개되어 편평하게 된 몸체는 하면으로 유입되고 전개되지 않은 부위는 터널입구 좌우측에 형성된 전개날에 의해 벌어져 상기 하면으로 유입되어 편평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몸체의 상면에 위치되는 내장과 다리는 터널로 유입되어 흩어지지 않도록 하는 내장유도기와;
    센서에 의해 하강되어 다리를 절단시키는 다리절단커터와;
    상기 내장유도기와 다리절단커터의 사이에 설치되어 잘려진 다리를 배출시키는 배출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징어 할복 및 다리절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기는,
    랙과 피니언 기구에 의해 전진되어 잘려진 다리를 밀어내는 푸셔(pusher)와;
    상기 푸셔(pusher)에 의해 이송된 다리를 저장용기로 보내도록 회전하는 날개가 형성된 회전드럼;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징어 할복 및 다리절단장치.
KR2020000037027U 2000-12-29 2000-12-29 오징어 할복 및 다리절단 장치 KR2002244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7027U KR200224422Y1 (ko) 2000-12-29 2000-12-29 오징어 할복 및 다리절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7027U KR200224422Y1 (ko) 2000-12-29 2000-12-29 오징어 할복 및 다리절단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5219A Division KR100367171B1 (ko) 2000-12-29 2000-12-29 오징어 할복 및 다리절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4422Y1 true KR200224422Y1 (ko) 2001-05-15

Family

ID=73094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7027U KR200224422Y1 (ko) 2000-12-29 2000-12-29 오징어 할복 및 다리절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442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69681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a cluster of organs from a slaughtered animal
JPH08228669A (ja) 魚おろし方法及び装置
KR20090125735A (ko) 오징어 가공기
US6264542B1 (en) Apparatus for skinning pieces of poultry product
MX2014006067A (es) Dispositivo de corte y separacion de aguacate.
US4019224A (en) Removal of meat from crustaceans
KR100367171B1 (ko) 오징어 할복 및 다리절단 장치
KR100367173B1 (ko) 오징어 가공장치
KR200224422Y1 (ko) 오징어 할복 및 다리절단 장치
US4928352A (en) Crawfish peeling apparatus
KR200224424Y1 (ko) 오징어 가공장치
EP074301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eling shrimp
US9730461B1 (en) Multiple-level skinning apparatus
KR20030062695A (ko) 오징어 할복 및 내장 적출장치
KR100509172B1 (ko) 오징어 가공기
US4976011A (en) Apparatus for collecting roe and fish body processing machine using the same
JP2554022B2 (ja) 中骨抜き尾付き開き魚の卸し装置
KR19990036043U (ko) 오징어 할복 및 내장 제거장치
KR100367172B1 (ko) 오징어 내장제거 및 귀 절단장치
KR100244684B1 (ko) 오징어 할복 및 내장제거장치
JP3106175B2 (ja) イカの処理装置
US20220408743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extract crawfish tail meat
KR100713580B1 (ko) 오징어 내장/다리 분리장치
JP2010239885A (ja) 紐状繋ぎ部を有する連鎖状食品の紐状繋ぎ部除去装置
KR200224423Y1 (ko) 오징어 내장제거 및 귀 절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