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4190Y1 - 하수관의 가지관 접합구조 - Google Patents

하수관의 가지관 접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4190Y1
KR200224190Y1 KR2020000034339U KR20000034339U KR200224190Y1 KR 200224190 Y1 KR200224190 Y1 KR 200224190Y1 KR 2020000034339 U KR2020000034339 U KR 2020000034339U KR 20000034339 U KR20000034339 U KR 20000034339U KR 200224190 Y1 KR200224190 Y1 KR 2002241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main pipe
branch pipe
main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43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우대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우대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우대기술단
Priority to KR20200000343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41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41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4190Y1/ko

Links

Landscapes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수관의 가지관 접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지관 추가 연결작업이 간편하고 공기가 단축되며, 이 가지관으로 인해 하수관 내부에 이물질 퇴적량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하수관의 가지관 접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주벽에 연결공(7)이 관통형성되는 주관(5)과, 이 주관(5)의 연결공(7)에 삽입설치되는 가지관(10)을 포함하여 구성된 하수관 구조에 있어서, 그 일단부가 가지관(1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주관(5)의 연결공(7)에 삽입설치되는 연결관(20)과, 이 연결관(20)의 둘레부에 구비되어 상기 주관(5)의 연결공(7) 둘레면에 밀착되는 소정 형태로 된 플랜지(25)와, 이 플랜지(25)의 끝단부에 중첩되도록 주관(5)에 감겨져 플랜지(25)를 주관(5)의 둘레면에 밀착되도록 가압고정하는 고정벨트(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의 가지관 접합구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하수관의 가지관 접합구조{branch pipe connection structure of wastewater pipe}
본 고안은 하수관의 가지관 접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지관 추가 연결작업이 간편하고 공기가 단축되며, 이 가지관으로 인해 하수관 내부에 이물질 퇴적량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하수관의 가지관 접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빗물이 흐르는 우수관과 음식물 찌꺼기 등과 물이 섞여 흐르는 오수관을 포함하는 하수관은 지상으로 노출될 경우, 교통에 불편을 줄 뿐만 아니라 파손 등의 우려가 있으므로 지중에 매설된다. 이러한 하수관은 다수개의 관체가 연속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주관과, 이 주관에 대략 직각방향으로 연결되어 빗물 또는 가정의 오폐수 등을 주관으로 유도하는 가지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종래의 관접합 방법은 계획된 공사일 경우 일측면에 연결공이 관통형성된 가지접합관을 상기 주관에 연결설치하고, 이 연결공에 가지관을 삽입한 후, 가지관과 주관의 이음새를 수밀벨트나 콘크리트 또는 몰탈을 이용하여 마무리하게 된다. 이처럼, 주관 시공시 가지관을 접합하게 되면 부실시공의 우려가 적고 시공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런데, 하수관 사용 중 하수관 시공지역의 하수량이 늘어나거나, 도로가 확장되거나, 배수의 위치를 변경해야 하는 등과 같이 하수관 매설 지역의 제반 조건이 변화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가지관(10)을 이미 설치된 주관(5)에 접합할 필요가 발생된다. 이처럼 새로운 가지관(10)을 접합시키는 경우, 주관(5)의 일측에 연결공(7)을 뚫어 이 연결공(7)을 통해 가지관(10)의 단부를 주관(5)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삽입하여 콘크리트 또는 몰탈 등으로 마무리하게 된다. 이때, 주관(5)의 일측에 연결공(7)을 뚫을 경우, 접합될 가지관(10)의 직경보다 연결공(7)의 직경이 크게 뚫리게 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에 따라 가지관(10)을 연결공(7)에 삽입한 후, 가지관(10)의 외주면과 연결공(7) 사이를 콘크리트나 모르타르 등의 마감재(8)로 채워 마무리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처럼 가지관(10) 연결부위에 마감재(8)를 충진시켜 마감처리하기 위해서는, 가지관(10)을 연결공(7)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시켜 상기 마감재(8)가 경화되도록 하여야 하므로, 별도의 버팀목 등이 필요하고 마감재(8)가 경화될 때까지 소정 시간을 기다려야 하므로, 시공상 번거롭고 전체적으로 공기가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가지관(10)의 단부가 주관(5) 내부로 돌출되도록 연결될 경우, 주관(5) 내부로 오물이 흐르다가 이 돌출부위에 걸려 주관(5) 내부에 퇴적됨으로써, 하수의 흐름을 방해하고 더 나아가 수로를 차단하여 물이 흐르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과, 주관(5)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비의 출입에 방해가 되어 하수관의 이물질 제거 작업에 곤란을 초래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가지관 추가 연결작업이 간편하고 공기가 단축되며, 이 가지관으로 인해 하수관 내부에 이물질 퇴적량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하수관의 가지관 접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a는 종래의 주관과 가지관이 접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1b는 도 1a의 A-A 단면도
도 2a는 본 고안에 의한 하수관의 가지관 접합구조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2b는 도 2a의 B-B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분해측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연결관 25. 플랜지
30. 고정벨트
본 고안에 따르면, 주벽에 연결공(7)이 관통형성되는 주관(5)과, 이 주관(5)의 연결공(7)에 삽입설치되는 가지관(10)을 포함하여 구성된 하수관 구조에 있어서, 그 일단부가 가지관(1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주관(5)의 연결공(7)에 삽입설치되는 연결관(20)과, 이 연결관(20)의 둘레부에 구비되어 상기 주관(5)의 연결공(7) 둘레면에 밀착되는 소정 형태로 된 플랜지(25)와, 이 플랜지(25)의 끝단부에 중첩되도록 주관(5)에 감겨져 플랜지(25)를 주관(5)의 둘레면에 밀착되도록 가압고정하는 고정벨트(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의 가지관 접합구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플랜지(25)는 주관(5)의 연결공(7)에 삽입되는 연결관(20)의 단부면으로부터 대략 주관(5) 두께의 내측에 구비되어, 주관(5)과 결합시 이 연결관(20)의 단부면이 주관(5)의 내벽면과 대략 일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의 가지관 접합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하수관의 가지관 접합구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하수관의 가지관 접합구조는 일측 외주면에 플랜지(25)가 구비되어 주관(5)과 가지관(10)을 연결하는 연결관(20)과, 이 연결관(20)의 플랜지(25)를 주관(5)의 외벽에 밀착시켜 고정하는 고정벨트(30)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관(20)은 그 일단부가 가지관(1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주관(5)의 일측면에 형성된 연결공(7)에 결합되어 주관(5)과 가지관(10)을 연결하게 된다. 특히, 상기 연결관(20)은 주관(5)의 연결공(7)에 삽입되는 단부면이 주관(5) 내벽면의 곡률반경과 일치되도록 만곡되며, 이 단부면으로부터 대략 주관(5) 두께의 내측에 상기 플랜지(25)가 구비되어, 주관(5)의 연결공(7)에 삽입되었을 때 주관(5)의 내벽면과 대략 일치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누수가 일어나지 않도록 상기 연결관(20)의 외주면과 연결공(7) 사이에 오링과 같은 실링부재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플랜지(25)는 연결관(20)의 일측 외주면에 고정설치되며 판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주관(5)의 연결공(7) 둘레면에 밀착설치되는 것으로, 이 연결관(20)과 주관(5)의 연결부를 밀봉함과 동시에 연결관(20)의 단부가 주관(5) 내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플랜지(25)는 상기 주관(5)의 외부 곡선과 동일한 모양으로 제작되고, 주관(5)의 연결공(7)을 충분히 감쌀 수 있는 넓이로 제작되며, 상기 주관(5)의 외벽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주관(5)의 외주면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새들 형태로 성형된다.
상기 고정벨트(30)는 그 양단부에 ㄴ자 형태의 고정쇠(27)가 각각 부착된 것으로, 상기 플랜지(25)의 양단부에 중첩되도록 주관(5)에 감겨져 설치됨으로써, 상기 플랜지(25)를 주관(5)의 외벽면에 가압밀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벨트(30)에 의해 직접 가압되지 않는 플랜지(25)의 상하단에는 수밀을 기하기 위해, 그 중앙부가 주관을 향해 만곡된 수밀용 철판(33)을 덧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된 상기 하수관의 가지관 접합구조는 플랜지(25)가 구비된 연결관(20)을 주관(5)의 연결공(7)에 삽입하고, 수밀용 철판(33)을 플랜지(25)의 상하단에 덧대고, 상기 플랜지(25)의 양단부에 중첩되도록 주관(5)의 둘레에 고정벨트(30)를 감아서 플랜지(25)가 연결공(7)의 둘레부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한 다음, 고정벨트(30) 양단부의 고정쇠(27)를 볼트(28)와 너트(29)로 체결하여 조여주게 되면 주관(5)에 견고하게 고정설치된다. 이어서, 연결관(20)에 가지관(10)을 연결하게 되면, 가지관(10) 연결부에 별도의 마감재(8)를 충진하지 않고도 가지관(10)을 주관(5)에 신속하면서도 밀폐되도록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수관의 가지관 접합구조는 주관(5)의 연결공(7)에 연결관(20)을 삽입설치한 후 곧바로 가지관(10)을 연결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가지관(10) 연결부에 콘크리트 등의 마감재(8)로 채워 경화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등이 시공상의 불편함과 공기의 지연 등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주관(5)의 연결공(7)에 삽입된 가지관(10)의 단부가 주관(5)의 내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주관(5) 내부의 오물이 걸릴 염려가 없으므로 하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며, 주관(5) 내부에 퇴적된 오물을 제거하는 장비의 진입에 방해되는 일이 없으므로 하수관의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이때, 상기 하수관의 가지관 접합구조는 주관(5)에 연결될 가지관(10)의 크기에 따라 여러 사이즈의 표준화된 제품으로 제작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연결관(20)과 플랜지(25)의 재질은 FRP와 같이 강성을 가지며 부식되지 않는 재질이면 어떠한 것이든지 이용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하수관의 가지관 접합구조는 관 연결부에 마감재를 채워 경화될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으므로, 시공이 간편하고 공기가 현저히 단축되며, 가지관의 단부가 주관의 내부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하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주관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비의 진입에 방해되는 일이 없으므로, 유지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주벽에 연결공(7)이 관통형성되는 주관(5)과, 이 주관(5)의 연결공(7)에 삽입설치되는 가지관(10)을 포함하여 구성된 하수관 구조에 있어서, 그 일단부가 가지관(1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주관(5)의 연결공(7)에 삽입설치되는 연결관(20)과, 이 연결관(20)의 둘레부에 구비되어 상기 주관(5)의 연결공(7) 둘레면에 밀착되는 소정 형태로 된 플랜지(25)와, 이 플랜지(25)의 끝단부에 중첩되도록 주관(5)에 감겨져 플랜지(25)를 주관(5)의 둘레면에 밀착되도록 가압고정하는 고정벨트(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의 가지관 접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25)는 주관(5)의 연결공(7)에 삽입되는 연결관(20)의 단부면으로부터 대략 주관(5) 두께의 내측에 구비되어, 주관(5)과 결합시 이 연결관(20)의 단부면이 주관(5)의 내벽면과 대략 일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의 가지관 접합구조.
KR2020000034339U 2000-12-07 2000-12-07 하수관의 가지관 접합구조 KR2002241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339U KR200224190Y1 (ko) 2000-12-07 2000-12-07 하수관의 가지관 접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339U KR200224190Y1 (ko) 2000-12-07 2000-12-07 하수관의 가지관 접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4190Y1 true KR200224190Y1 (ko) 2001-05-15

Family

ID=73092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4339U KR200224190Y1 (ko) 2000-12-07 2000-12-07 하수관의 가지관 접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419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83431C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upling pipe with angled coupling mechanism
JP2001311387A (ja) 既設管路の補修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補修材並びに管路
US5645367A (en) Drainage system having an embedded conduit connector
US7882856B2 (en) Separated sanitary and storm sewer system
KR101902536B1 (ko) 각도조절가능한 자바라를 구비한 빗물받이 및, 이 빗물받이를 이용한 우수관거 시공방법
KR200413252Y1 (ko) 하수도, 도로, 하천, 환경시설공사 등에 사용되는 맨홀누수방지구조
KR200224190Y1 (ko) 하수관의 가지관 접합구조
KR200445491Y1 (ko) 맨홀용 배수관
KR200402713Y1 (ko) 맨홀용 지수단관의 연결구조
KR100398788B1 (ko) 관 이음 플랜지
KR200216512Y1 (ko) 조립식 관로구
KR100522142B1 (ko) 지중 하수관 및 가지관의 결속구조
KR200211157Y1 (ko) 지중관체 보수장치
JP2006161329A (ja) マンホールの更正方法
KR100372316B1 (ko) 방수용 조립식 지중 전력관로 이음장치
KR100497536B1 (ko) 경사면에 설치되는 하수관의 이탈 방지장치
CA2204716A1 (en) Pre-cast manhole basin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a pipe thereto
CA1079993A (en) Manhole seal and method of installation therefor
JPH0239105Y2 (ko)
KR101960698B1 (ko) 지하 공동구 이음 구조
KR200242733Y1 (ko) 배수관 연결소켓
JP2578342Y2 (ja) 下水道管における既設管との接続装置
KR100683925B1 (ko) 공동주택 단지의 경사부에 설치되는 하수관의 연결장치
KR101046543B1 (ko) 지중맨홀의 관로구에 이음관의 결합구조
KR20080030812A (ko) 맨홀용 고무 커넥터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