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491Y1 - 맨홀용 배수관 - Google Patents

맨홀용 배수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491Y1
KR200445491Y1 KR2020070015814U KR20070015814U KR200445491Y1 KR 200445491 Y1 KR200445491 Y1 KR 200445491Y1 KR 2020070015814 U KR2020070015814 U KR 2020070015814U KR 20070015814 U KR20070015814 U KR 20070015814U KR 200445491 Y1 KR200445491 Y1 KR 2004454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flange
corrugated steel
steel pip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58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3033U (ko
Inventor
고용배
Original Assignee
(주)그린파이프
고용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그린파이프, 고용배 filed Critical (주)그린파이프
Priority to KR20200700158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491Y1/ko
Publication of KR200900030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0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4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49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03F5/021Connection of sewer pipes to manhole shaf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03F2005/028Sealing joints between manhole seg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맨홀 내부에 모인 물이 맨홀의 내부 벽과 배수관 사이의 틈새를 통해 맨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맨홀용 배수관(맨홀용 지수단관, 맨홀용 파형강관)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맨홀용 배수관(제1 실시예의 맨홀용 지수단관, 제2 실시예의 맨홀용 파형강관)이 맨홀에 보다 견고한 상태로 고정되며, 콘크리트 맨홀의 변형이나 외부 충격에 대해서도 맨홀용 배수관이 수밀을 유지하여 맨홀과 맨홀용 배수관 사이의 누수현상을 차단할 수 있다.
맨홀, 지수단관, 파형강관, 고무 부재, 플렌지

Description

맨홀용 배수관{The Manhole Drain Pipe}
본 고안은 맨홀용 배수관(맨홀용 지수단관, 맨홀용 파형강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맨홀과 하수관 접합부 사이에서 발생하는 누수를 차단하여 콘크리트 맨홀의 하자를 예방하며, 맨홀에 모인 하수물이 외부로 누수되어 발생되는 수질 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맨홀용 배수관(맨홀용 지수단관, 맨홀용 파형강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상에서 발생되는 빗물이나 하수도로 공급되는 물은 일단 맨홀에 모인 후에, 맨홀의 측벽에 설치된 하수관을 통하여 하천으로 흘러가거나 정화시설로 공급되어 물이 정화된 상태로 하천으로 흘러가게 된다. 한편, 지수단관은 맨홀에 고정설치되어 맨홀로부터 유출되는 물이 누수되지 않고 하수관에 전달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연결관이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의한 콘크리트 맨홀을 나타낸 구조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콘크리트 맨홀과 지수단관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1a 및 1b를 참조하면, 맨홀(102)의 상측 중앙에 덮개(101)가 형성되며, 맨홀(102)의 양측에 일정길이를 갖는 지수단관(103)이 고정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맨홀(102)의 지수단관 삽입부(102a)는 맨홀(102)의 다른 측벽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형성된다. 이후, 현장에서 지수단관 삽입부(102a)를 제거하면, 지수단관(103)을 용이하게 맨홀(102)의 지수단관 삽입부(102a)에 삽입하여 연결할 수 있다. 이후, 지수단관(103)의 타측 선단에 파이프 연결구(104)를 이용하여 하수관(105)을 연결한다.
하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102)의 지수단관 삽입부(102a)를 제거할 때, 지수단관(103)과 맞닿는 부분이 매끄럽게 제거되지 않아서 콘크리트 맨홀(102)과 지수단관(103) 사이에 틈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외부 충격에 의해 지수단관(103)이 파손될 우려가 있고, 콘크리트 맨홀(102)과 지수단관(103) 사이의 틈으로 인해, 맨홀(102)과 지수단관(103)이 수밀을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맨홀(102)의 하수가 누수되거나 하수관(105)으로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기도 하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의 제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맨홀과 지수단관이 수밀을 유지하면서 보다 견고하게 고정설치되어, 맨홀과 지수단관 사이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맨홀용 배수관(맨홀용 지수단관)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맨홀과 파형강관이 수밀을 유지하면서 보다 견고하게 고정설치되어, 맨홀과 파형강관 사이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맨홀용 배수관(맨홀용 파형강관)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는, 맨홀용 배수관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은 'T'(티)자 구조의 지수단관(210)이며, 상기 맨홀(230)의 지수단관 삽입부의 내측 벽에 'T'자 구조로 형성된 지수단관 몸체의 일단(304)이 위치되게 장착되고, 상기 지수단관 몸체의 일단(304)과 상기 맨홀(230)의 지수단관 삽입부의 내측 벽 사이에 고무 부재(212)가 밀착 개재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316)이 형성된 플렌지(314)가 상기 맨홀(230)의 외부에 위치한 상기 지수단관 몸체의 타측 외주면에 고정되게 장착되고, 여기서 상기 플렌지(314)의 관통홀(316) 내부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렌지(314)는 그 외주면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체결 홈에 볼트(319) 및 너트(320)가 체결되어 상기 지수단관 몸체의 타측 외주면에 고정되게 장착되고, 나사(216)가 상기 플렌지(314)의 관통홀(316) 내부의 나사선을 따라 회전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맨홀의 외측 벽에 이 나사(216)가 밀착되게 장착되어, 상기 플렌지(314)가 상기 맨홀의 외측 벽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지수단관 몸체 일단(304), 상기 고무 부재(212) 및 상기 맨홀의 지수단관 삽입부의 내측 벽이 상호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용 배수관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서 상기 플렌지(314)에는 세 개의 관통홀(316)이 형성되며, 상기 세 개의 관통홀(316)에 세 개의 나사(216)가 각각 삽입되며, 상기 세 개의 관통홀(316)은 상기 플렌지(314) 둘레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떨어져 형성된다.
한편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는, 맨홀용 배수관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은 '一'(일)자 구조의 파형강관(410)이며, 상기 맨홀(430)의 파형강관 삽입부의 내측 벽에 파형강관 몸체의 일단이 위치되게 장착되고, 상기 파형강관 몸체의 타측 단부에 다른 파형강관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맨홀(430)의 파형강관 삽입부에 삽입된 파형강관 몸체의 일단 외주면에 환형 고정부(411)가 고정되게 장착되고, 상기 파형강관 몸체의 일단 외주면에 장착된 환형 고정부(411)와 상기 맨홀(430)의 파형강관 삽입부의 내측 벽 사이에 고무 부재(412)가 밀착 개재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416)이 형성된 플렌지(414)가 상기 맨홀(430)의 외부에 위치한 상기 파형강관 몸체의 타측 외주면에 고정되게 장착되고, 여기서 상기 플렌지(414)의 관통홀(416) 내부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렌지(414)는 그 외주면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체결 홈에 볼트(419) 및 너트(420)가 체결되어 상기 파형강관 몸체의 타측 외주면에 고정되게 장착되고, 나사(416)가 상기 플렌지(414)의 관통홀(416) 내부의 나사선을 따라 회전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맨홀의 외측 벽에 이 나사(416)가 밀착되게 장착되어, 상기 플렌지(414)가 상기 맨홀의 외측 벽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파형강관 몸체 일단, 상기 고무 부재(412) 및 상기 맨홀의 파형강관 삽입부의 내측 벽이 상호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용 배수관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서 상기 플렌지(414)에는 세 개의 관통홀(416)이 형성되며, 상기 세 개의 관통홀(416)에 세 개의 나사(416)가 각각 삽입되며, 상기 세 개의 관통홀(416)은 상기 플렌지(414) 둘레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떨어져 형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지수단관이 맨홀에 보다 견고한 상태로 고정되며, 콘크리트 맨홀의 변형이나 외부 충격에 대해서도 지수단관이 수밀을 유지할 수 있으며, 맨홀의 누수현상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파형강관이 맨홀에 보다 견고한 상태로 고정되며, 콘크리트 맨홀의 변형이나 외부 충격에 대해서도 파형강관이 수밀을 유지할 수 있으며, 맨홀의 누수현상을 차단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실 시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맨홀용 지수단관과 맨홀의 연결구조를 예시한 상세도이다.
본 실시예의 맨홀용 지수단관(210)은 지수단관(210) 몸체, 고무 부재(212), 플렌지(214) 및 체결부(216)를 포함한다. 여기서, 맨홀(230)은 실질적으로 육면체 형상이며, 그 폭은 실질적으로 1m 이고, 맨홀(230)의 측벽 두께는 실질적으로 20cm 인 것이 일반적이기는 하나, 이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맨홀용 지수단관(210) 몸체의 일단은 맨홀(230)의 일측 또는 양측 벽부에 일정길이로 삽입고정되고, 맨홀용 지수단관(210) 몸체의 타측 단부는 하수관에 연결된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지수단관(210)은 맨홀(230)에 단차를 갖도록 설치되어 맨홀(230)의 일측 및 타측 측벽에 동일한 하수 흐름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맨홀(230) 내부에 삽입된 지수단관(210) 몸체의 일단은 맨홀(230)의 지수단관(210) 삽입부 내측 벽 방향, 즉 지수단관(210) 몸체의 외주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고무 부재(212), 예컨대 고무 패킹은 맨홀(230)의 지수단관(210) 삽입부의 내측 벽과 지수단관(210) 몸체의 연장된 일단 사이에 밀착 개재된다. 여기서, 고무 부재(212)는 실질적으로 지수단관(210) 몸체의 일단을 에워싸는 형상인 바람직하다.
플렌지(214)는 지수단관(210) 몸체의 타측 외주면에 고정설치되며, 플렌 지(214) 둘레에는 지수단관(210) 몸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된다. 또한, 관통홀 내부 측면에는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216), 예컨대 나사가 관통홀 내부 측면에 형성된 나사선(미도시)을 따라 플렌지(214)에 형성된 관통홀에 회전삽입되면, 나사의 일단이 맨홀(230)의 지수단관(210) 삽입부 외측 벽에 맞닿아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플렌지(214)에 형성된 관통홀에 대한 나사의 회전삽입에 의해서, 지수단관(210) 몸체 타단 외주면에 밀착고정된 플렌지(214)가 맨홀(230) 외측 벽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지수단관(210) 몸체 일단의 연장부, 지수단관(210) 삽입부의 내측 벽, 및 그 사이에 개재된 고무 부재(212)가 상호 밀착된다. 결과적으로, 맨홀(230) 내의 하수물이 맨홀(230) 외부로 누수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도 3a는 도 2의 지수단관의 연장된 일측 단부를 예시한 사시도이며, 도 3b는 도 2의 지수단관의 타측 외주면에 고정설치되는 플렌지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3a 및 3b를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의 내측 벽에 삽입고정되는 지수단관(302) 몸체의 일측 단부(304)는, 지수단관(302) 몸체의 외주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연장된 지수단관(302) 몸체의 일측 단부(304)로 인해, 지수단관(302)은 맨홀 외부로 손실되지 않는다.
플렌지(314)에는 외주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양측 단부(318)에 체결 홈이 형성되며, 이 체결 홈에 체결부, 예컨대 볼트(319)와 너트(320)가 결합되어 체결되면 플렌지(314)는 지수단관(302) 몸체의 타측 외주면에 압착되어 고정설치된다. 여기서, 플렌지(314)의 양측 단부(318) 사이는 일정거리만큼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따라, 플렌지(314)가 지수단관(302) 몸체의 타측 외주면에 강하게 압착될 수 있다.
또한, 맨홀의 외측 벽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플렌지(314) 둘레의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316), 예컨대 세 개의 관통홀(316)이 형성될 수 있다. 세 개의 관통홀(316)은 플렌지(314) 둘레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떨어져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 개의 관통홀(316)에 세 개의 체결부, 예컨대 나사가 각각 회전삽입되어 맨홀 외측 벽에 밀착 고정된다. 한편, 플렌지(314) 둘레의 측면에 세 개의 관통홀(316)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지수단관(302) 몸체의 타측 단부에는 하수관이 연결되어, 맨홀의 하수물이 지수단관(302)을 거쳐서 하수관으로 흐르게 된다.
도 4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맨홀용 파형강관과 맨홀의 연결구조를 예시한 상세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맨홀용 파형강관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2의 실시예의 맨홀용 지수단관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맨홀용 파형강관(410)은 파형강관(410) 몸체, 환형 고정부(411), 고무 부재(412), 플렌지(414) 및 체결부(416)를 포함한다.
파형강관(410) 몸체의 외측면에는 나선형으로 요철부가 형성되는데, 파형강관의 양단부는 나선형이 아닌, 도시된 바와 같이, 파형강관(410) 몸체 방향과 수직 인 방향으로 요철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파형강관(410) 몸체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수직 요철부는 다섯 곳의 골과 다섯 골의 마루가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맨홀용 파형강관(410) 몸체의 일단은 맨홀(430)의 일측 벽부에 일정길이로 삽입고정되고, 맨홀용 파형강관(410) 몸체의 타측 단부는 다른 맨홀용 파형강관(410)에 연결된다.
환형 고정부(411)는 맨홀(430)의 파형강관 삽입부에 삽입된 파형강관(410)의 일단 외주면에 고정설치된다. 환형 고정부(411)를 외주면 고정설치하는 방법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고무 부재(412), 예컨대 고무 패킹은 맨홀(430)의 파형강관(410) 삽입부의 내측 벽과 파형강관(410) 일단에 고정설치된 환형 고정부(411) 사이에 밀착 개재된다. 여기서, 고무 부재(412)는 실질적으로 파형강관(410) 몸체의 일단을 에워싸는 형상인 바람직하다.
플렌지(414)는 파형강관(410) 몸체의 타측 외주면에 고정설치되며, 플렌지(414) 둘레에는 파형강관(410) 몸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된다. 또한, 관통홀 내부 측면에는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2의 실시예의 플렌지와는 지수단관 접합부의 형상으로 인해 그 형상이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이를 제외한 구성, 목적 및 효과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체결부(416), 예컨대 나사가 관통홀 내부 측면에 형성된 나사선(미도시)을 따라 플렌지(414)에 형성된 관통홀에 회전삽입되면, 나사의 일단이 맨홀(430)의 파 형강관(410) 삽입부 외측 벽에 맞닿아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플렌지(414)에 형성된 관통홀에 대한 나사의 회전삽입에 의해서, 파형강관(410) 몸체 타단 외주면에 밀착고정된 플렌지(414)가 맨홀(430) 외측 벽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파형강관(410) 몸체 일단의 외주면에 고정설치된 환형 고정부(411), 맨홀(430)의 파형강관(410) 삽입부의 내측 벽, 및 그 사이에 개재된 고무 부재(412)가 상호 밀착된다. 결과적으로, 맨홀(430) 내의 하수물이 맨홀(430) 외부로 누수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전술한 본 고안에 따른 맨홀용 지수단관 및 파형강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에 속한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의한 콘크리트 맨홀을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콘크리트 맨홀과 지수단관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맨홀용 지수단관과 맨홀의 연결구조를 예시한 상세도이다.
도 3a 도 2의 지수단관의 일측 단부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2의 지수단관의 타측 외주면에 고정설치되는 플렌지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맨홀용 파형강관과 맨홀의 연결구조를 예시한 상세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맨홀용 파형강관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Claims (12)

  1. 맨홀용 배수관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은 'T'(티)자 구조의 지수단관(210)이며,
    상기 맨홀(230)의 지수단관 삽입부의 내측 벽에 'T'자 구조로 형성된 지수단관 몸체의 일단(304)이 위치되게 장착되고,
    상기 지수단관 몸체의 일단(304)과 상기 맨홀(230)의 지수단관 삽입부의 내측 벽 사이에 고무 부재(212)가 밀착 개재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316)이 형성된 플렌지(314)가 상기 맨홀(230)의 외부에 위치한 상기 지수단관 몸체의 타측 외주면에 고정되게 장착되고, 여기서 상기 플렌지(314)의 관통홀(316) 내부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렌지(314)는 그 외주면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체결 홈에 볼트(319) 및 너트(320)가 체결되어 상기 지수단관 몸체의 타측 외주면에 고정되게 장착되고,
    나사(216)가 상기 플렌지(314)의 관통홀(316) 내부의 나사선을 따라 회전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맨홀의 외측 벽에 이 나사(216)가 밀착되게 장착되어, 상기 플렌지(314)가 상기 맨홀의 외측 벽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지수단관 몸체 일단(304), 상기 고무 부재(212) 및 상기 맨홀의 지수단관 삽입부의 내측 벽이 상호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용 배수관.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렌지(314)에는 세 개의 관통홀(316)이 형성되며, 상기 세 개의 관통홀(316)에 세 개의 나사(216)가 각각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용 배수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세 개의 관통홀(316)은 상기 플렌지(314) 둘레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떨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용 배수관.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맨홀용 배수관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은 '一'(일)자 구조의 파형강관(410)이며,
    상기 맨홀(430)의 파형강관 삽입부의 내측 벽에 파형강관 몸체의 일단이 위치되게 장착되고, 상기 파형강관 몸체의 타측 단부에 다른 파형강관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맨홀(430)의 파형강관 삽입부에 삽입된 파형강관 몸체의 일단 외주면에 환형 고정부(411)가 고정되게 장착되고,
    상기 파형강관 몸체의 일단 외주면에 장착된 환형 고정부(411)와 상기 맨홀(430)의 파형강관 삽입부의 내측 벽 사이에 고무 부재(412)가 밀착 개재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416)이 형성된 플렌지(414)가 상기 맨홀(430)의 외부에 위치한 상기 파형강관 몸체의 타측 외주면에 고정되게 장착되고, 여기서 상기 플렌지(414)의 관통홀(416) 내부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렌지(414)는 그 외주면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체결 홈에 볼트(419) 및 너트(420)가 체결되어 상기 파형강관 몸체의 타측 외주면에 고정되게 장착되고,
    나사(416)가 상기 플렌지(414)의 관통홀(416) 내부의 나사선을 따라 회전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맨홀의 외측 벽에 이 나사(416)가 밀착되게 장착되어, 상기 플렌지(414)가 상기 맨홀의 외측 벽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파형강관 몸체 일단, 상기 고무 부재(412) 및 상기 맨홀의 파형강관 삽입부의 내측 벽이 상호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용 배수관.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렌지(414)에는 세 개의 관통홀(416)이 형성되며, 상기 세 개의 관통홀(416)에 세 개의 나사(416)가 각각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용 배수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세 개의 관통홀(416)은 상기 플렌지(414) 둘레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떨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용 배수관.
  12. 삭제
KR2020070015814U 2007-09-21 2007-09-21 맨홀용 배수관 KR2004454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5814U KR200445491Y1 (ko) 2007-09-21 2007-09-21 맨홀용 배수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5814U KR200445491Y1 (ko) 2007-09-21 2007-09-21 맨홀용 배수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033U KR20090003033U (ko) 2009-03-25
KR200445491Y1 true KR200445491Y1 (ko) 2009-08-04

Family

ID=41352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5814U KR200445491Y1 (ko) 2007-09-21 2007-09-21 맨홀용 배수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49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596B1 (ko) * 2010-05-24 2011-02-14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블록형 우수 저류조
KR101326801B1 (ko) 2012-04-20 2013-11-20 화이버텍(주) 실링이 향상되고 파손 가능성이 경감된 사이드 포트 타입 멤브레인 하우징용 연결관
KR102273215B1 (ko) * 2021-05-03 2021-07-05 주식회사 선도기술 이동 가능한 이동판을 갖는 밸브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224Y1 (ko) * 2012-02-15 2013-06-07 허점수 수도꼭지용 호스 연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5471U (ko) * 1996-09-10 1998-06-25 이상흥 주유배관 연결구조체
KR20040075500A (ko) * 2003-02-21 2004-08-30 대한강관 주식회사 나선관 연결장치
KR100698887B1 (ko) * 2006-08-31 2007-03-26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상수도 맨홀 누수방지를 위한 지수막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5471U (ko) * 1996-09-10 1998-06-25 이상흥 주유배관 연결구조체
KR20040075500A (ko) * 2003-02-21 2004-08-30 대한강관 주식회사 나선관 연결장치
KR100698887B1 (ko) * 2006-08-31 2007-03-26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상수도 맨홀 누수방지를 위한 지수막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596B1 (ko) * 2010-05-24 2011-02-14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블록형 우수 저류조
KR101326801B1 (ko) 2012-04-20 2013-11-20 화이버텍(주) 실링이 향상되고 파손 가능성이 경감된 사이드 포트 타입 멤브레인 하우징용 연결관
KR102273215B1 (ko) * 2021-05-03 2021-07-05 주식회사 선도기술 이동 가능한 이동판을 갖는 밸브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033U (ko) 200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2632B1 (en) Push-in closet flange
KR200445491Y1 (ko) 맨홀용 배수관
KR100820860B1 (ko) 플랜지 형태의 수밀용 파형강관 연결장치
US973940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upling pipe with angled coupling mechanism
KR102058301B1 (ko) 원형수로관
KR20100038949A (ko) 매립형 배수 트렌치 유닛 및 그 설치방법
KR101226849B1 (ko) 맨홀관로의 이형관로 연결장치
KR101311589B1 (ko) 현장 설치용 추가관로 형성 및 연결장치
KR100933823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200440352Y1 (ko) 조립식 맨홀 블록 구조체
KR100772683B1 (ko) 연결소켓 및 방향전환용 조립식 pc맨홀
KR200403877Y1 (ko) 맨홀의 관접속장치
KR200402713Y1 (ko) 맨홀용 지수단관의 연결구조
KR200452242Y1 (ko) 맨홀관로의 이형관로 연결장치
JP4327026B2 (ja) コンクリ−ト製ますの補修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70036101A (ko) 지수단관 일체형 맨홀
KR101069882B1 (ko) 침하 및 수밀방지용 연결부를 갖는 맨홀
KR200352987Y1 (ko) 맨홀용 지수단관의 실링패킹
KR101960698B1 (ko) 지하 공동구 이음 구조
KR100497536B1 (ko) 경사면에 설치되는 하수관의 이탈 방지장치
KR200415417Y1 (ko) 지중매설관의 연결장치
KR20030060559A (ko) 관 이음 플랜지
JP2007100410A (ja) 内副管用継手
KR20170075077A (ko) 도로 배수 시스템
KR20080030812A (ko) 맨홀용 고무 커넥터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