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3925B1 - 공동주택 단지의 경사부에 설치되는 하수관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단지의 경사부에 설치되는 하수관의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3925B1
KR100683925B1 KR1020060083717A KR20060083717A KR100683925B1 KR 100683925 B1 KR100683925 B1 KR 100683925B1 KR 1020060083717 A KR1020060083717 A KR 1020060083717A KR 20060083717 A KR20060083717 A KR 20060083717A KR 100683925 B1 KR100683925 B1 KR 100683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ortion
connection member
connecting member
connection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3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우
Original Assignee
(주)휴먼텍코리아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먼텍코리아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휴먼텍코리아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60083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39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3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3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 F16L27/1017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 F16L27/107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the ends of the pipe being interconnected by a flexible sleeve
    • F16L27/11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the ends of the pipe being interconnected by a flexible sleeve the sleeve having the form of a bellows with multiple corrug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단지 내에 경사진 곳에 설치된 하수관과 하수관을 플렉시블하게 연결시 킬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 단지의 경사부에 설치되는 하수관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자바라 형상의 원형본체와, 원형본체의 양측 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플랜지로 구성되는 탄성재질의 플렉시블관과; 반구형상의 본체와, 반구형상의 본체의 상단부에 형성되되, 몸체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볼트공을 구비하고, 몸체의 하부에 삽입공을 갖는 상 밀착부와, 반구형상의 본체의 하단부에 형성되되, 몸체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볼트공을 구비하고, 몸체의 상부에 삽입공을 갖는 하 밀착부와, 하 밀착부와 연결되어 지면과 접촉하는 지지부와, 반구형상의 본체의 측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되, 탄성재질의 플렉시블관의 플랜지에 억지끼움되어 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연결플랜지와, 반구형상의 본체의 중부에 형성되어 하수관을 삽입고정시키는 하수관삽입홈을 갖는 제1연결부재와; 반구형상의 본체와, 반구형상의 본체의 상단부에 형성되되, 몸체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볼트공을 구비하고, 몸체의 하부에 삽입공을 갖는 상 밀착부와, 반구형상의 본체의 하단부에 형성되되, 몸체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볼트공을 구비하고, 몸체의 상부에 삽입공을 갖는 하 밀착부와, 하 밀착부와 연결되어 지면과 접촉하는 지지부와, 반구형상의 본체의 측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되, 탄성재질의 플렉시블관의 플랜지에 억지끼움되어 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연결플랜지와, 반구형상의 본체의 중부에 형성되어 하수관을 삽입고정시키는 하수관삽입홈으로 구성된다.
하수관, 플랜지, 탄성재질의 플렉시블관, 볼트, 연결부재

Description

공동주택 단지의 경사부에 설치되는 하수관의 연결장치{A connecting apparatus of a swear pipe established a part of inclination on common-hous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단지의 경사부에 설치되는 하수관의 연결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단지의 경사부에 설치되는 하수관의 연결장치를 길이방향으로 중앙에서 절단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요부를 확대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단지의 경사부에 설치되는 하수관의 연결장치의 분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단지의 경사부에 설치되는 하수관의 연결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플랜지 12 : 탄성재질의 플렉시블관
14 : 볼트 16 : 연결수단
16-1 : 제1연결부재 16-2 : 제2연결부재
20 : 원형본체 30, 50 : 반구형상의 본체
32, 38, 52, 58 : 볼트공 34, 54 : 삽입공
36, 56 : 상 밀착부 40 : 삽입공
42, 60 : 하 밀착부 44, 64 : 지지부
46, 66 : 연결플랜지 48 : 하수관삽입홈
100 : 제1보조밀착부 102 : 제2보조밀착부
104 : 연결지지부 106 : 타이밴드
108 : 삽입홈 200 : 하수관
본 발명은 하수관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의 단지 내에 경사진 곳에 설치된 하수관과 하수관을 탄성재질의 플렉시블하게 연결시 킬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 단지의 경사부에 설치되는 하수관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하수관은 콘크리트관 또는 합성 수지관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합성 수지관은 외부에 보강 리브가 형성된 2중 관체로 제작되므로 내구성과 시공 작업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근래에 들어 많이 시공되고 있는 것이 현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용도로 제작 설치되는 종래의 하수관은 가정, 공동주택 단지 및 공장 등에서 버려지는 폐수의 배수 및 빗물의 배수를 위해 다수의 분기 하수관을 서로 연결시켜 오수 및 빗물을 배출하는데, 종래에는 적당한 하수관과 하수관을 연결하는 시공에 있어서 특별한 연결 부재 없이 그 둘레를 접착제 또는 시멘트 몰탈을 덮어 씌워 접착한 후 하수관을 연결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하수관과 하수관의 연결방법은 하수관과 하수관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기가 힘들며, 기밀유지가 약한 부위에 현장에서 작업자가 일일이 고무링을 하수관에 결합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공동주택의 단지 내에 경사진 곳에 설치된 하수관과 하수관을 연결할 경우에는 작업시간이 아주 많이 소요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동주택의 단지 내에 경사진 곳에 설치된 하수관과 하수관을 플렉시블하게 연결시 킬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 단지의 경사부에 설치되는 하수관의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단지의 경사부에 설치되는 하수관의 연결장치의 특징은,
자바라 형상의 원형본체(20)와, 상기 원형본체(20)의 양측 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플랜지(10)로 구성되는 탄성재질의 플렉시블관(12)과;
반구형상의 본체(30)와, 상기 반구형상의 본체(30)의 상단부에 형성되되, 몸체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볼트공(32)을 구비하고, 몸체의 하부에 삽입공(34)을 갖는 상 밀착부(36)와, 상기 반구형상의 본체(30)의 하단부에 형성되되, 몸체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볼트공(38)을 구비하고, 몸체의 상부에 삽입공(40)을 갖는 하 밀착부(42)와, 상기 하 밀착부(42)와 연결되어 지면과 접촉하는 지지부(44)와, 상기 반구형상의 본체(30)의 측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탄성재질의 플렉시블관(12)의 플랜지(10)에 억지끼움되어 볼트(14)에 의해 고정되는 연결플랜지(46)와, 상기 반구형상의 본체(30)의 중부에 형성되어 하수관(200)을 삽입고정시키는 하수관삽입홈(48)을 갖는 제1연결부재(16-1)와;
반구형상의 본체(50)와, 상기 반구형상의 본체(50)의 상단부에 형성되되, 몸체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볼트공(52)을 구비하고, 몸체의 하부에 삽입공(54)을 갖는 상 밀착부(56)와, 상기 반구형상의 본체(50)의 하단부에 형성되되, 몸체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볼트공(58)을 구비하고, 몸체의 상부에 삽입공을 갖는 하 밀착부(60)와, 상기 하 밀착부(60)와 연결되어 지면과 접촉하는 지지부(64)와, 상기 반구형상의 본체(50)의 측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탄성재질의 플렉시블관(12)의 플랜지(10)에 억지끼움되어 볼트(14)에 의해 고정되는 연결플랜지(66)와, 상기 반구형상의 본체(50)의 중부에 형성되어 하수관(200)을 삽입고정시키는 하수관삽입홈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단지의 경사부에 설치되는 하수관의 연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단지의 경사부에 설치되는 하수관의 연결장 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단지의 경사부에 설치되는 하수관의 연결장치를 길이방향으로 중앙에서 절단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요부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단지의 경사부에 설치되는 하수관의 연결장치의 분해도이며,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단지의 경사부에 설치되는 하수관의 연결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단지의 경사부에 설치되는 하수관의 연결장치는 양측 단부에 돌출된 플랜지(10)를 구비한 탄성재질의 플렉시블관(12)과; 상기 탄성재질의 플렉시블관(12)의 플랜지(10)에 억지끼움되어 볼트(14)에 의해 고정되는 연결수단(16)으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단지의 경사부에 설치되는 하수관의 연결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탄성재질의 플렉시블관(12)은, 자바라 형상의 원형본체(20)와; 상기 원형본체(20)의 양측 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플랜지(10)로 구성된다.
그리고, 연결수단(16)는, 제1연결부재(16-1)와 제2연결부재(16-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연결부재(16-1)는 반구형상의 본체(30)와; 상기 반구형상의 본체(30)의 상단부에 형성되되, 몸체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볼트공(32)을 구비하고, 몸체의 하부에 삽입공(34)을 갖는 상 밀착부(36)와; 상기 반구형상의 본체(30)의 하단부에 형성되되, 몸체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볼트공(38)을 구비하고, 몸체의 상부에 삽입공(40)을 갖는 하 밀착부(42)와; 상기 하 밀착부(42)와 연결되어 지면과 접촉하여 상기 제1연결부재(16-1)를 지지해 주는 지지부(44)와; 상기 반구형상의 본체(30)의 측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탄성재질의 플렉시블관(12)의 플랜지(10)에 억지끼움되어 볼트(14)에 의해 고정되는 연결플랜지(46)와; 상기 반구형상의 본체(30)의 중부에 형성되어 하수관(200)을 삽입고정시키는 하수관삽입홈(48)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연결부재(16-2)는 반구형상의 본체(50)와; 상기 반구형상의 본체(50)의 상단부에 형성되되, 몸체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볼트공(52)을 구비하고, 몸체의 하부에 삽입공(54)을 갖는 상 밀착부(56)와; 상기 반구형상의 본체(50)의 하단부에 형성되되, 몸체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볼트공(58)을 구비하고, 몸체의 상부에 삽입공(도시는 생략함)을 갖는 하 밀착부(60)와; 상기 하 밀착부(60)와 연결되어 지면과 접촉하여 상기 연결부재(16-2)를 지지해 주는 지지부(64)와; 상기 반구형상의 본체(50)의 측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탄성재질의 플렉시블관(12)의 플랜지(10)에 억지끼움되어 볼트(14)에 의해 고정되는 연결플랜지(66)와; 상기 반구형상의 본체(50)의 중부에 형성되어 하수관(200)을 삽입고정시키는 하수관삽입홈(도시는 생략함)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부재(16-1)와 제2연결부재(16-2)가 밀착되었을 때, 상기 제1연결부재(16-1)의 볼트공(32)과 제2연결부재(16-2)의 볼트공(52)에 삽입되어 상기 제1연결부재(16-1)와 제2연결부재(16-2)를 다시 한번 밀착시켜 주는 제1보조밀착부(100)가 더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1연결부재(16-1)와 제2연결부재(16-2)가 밀착되었을 때, 상기 제1연결부재(16-1)와 제2연결부재(16-2)를 강하게 다시 한번 더 밀착시켜 주는 제2보조밀착부(102)가 더 구비된다.
다른 한편, 상기 연결장치가 경사진 하수관을 연결할 경우, 제2보조밀착부(102)와 제2보조밀착부(102) 사이에 연결되어 탄성재질의 플렉시블관(12)을 지지해 주는 연결지지부(104)가 더 구비된다. 제2보조밀착부(102)는 도 1,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 바의 외측면에 다수개의 고리가 형성되고, 내측면이 제1연결부재(16-1)와 제2연결부재(16-2)의 연결플랜지(46)(66)에 볼트로 고정된다. 탄성재질의 플렉시블관(12)에 의해 연결되는 각각의 제1연결부재(16-1)와 제2연결부재(16-2)에 고정된 제2보조밀착부(102)의 고리에 중앙이 외측으로 휘어지게 형성된 연결지지부(104)의 양단이 고정된다.
도 7에는 탄성재질의 플렉시블관(12)의 휘어짐에 따라 연결지지부(104)의 변형상태가 잘 도시되어 있다.
또 다른 한편, 상기 제1연결부재(16-1)와 제2연결부재(16-2)가 밀착되었을 때, 상기 제1연결부재(16-1)의 상 밀착부(36)와 제2연결부재(16-2)의 하 밀착부(60)의 삽입공로 삽입되어 상기 제1연결부재(16-1)와 제2연결부재(16-2)를 밀착시켜 주는 타이밴드(106)가 더 구비된다.
삭제
그리고, 상기 제1연결부재(16-1)와 제2연결부재(16-2)의 외주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상기 타이밴드(106)가 수용되어 밀착될 수 있도록 삽입홈(108)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단지의 경사부에 설치되는 하수관의 연결장치의 설치과정 및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수관(200)이 위치된 지하에 플랜지(10)를 구비한 탄성재질의 플렉시블관(12)을 위치시킨 후, 제1연결부재(16-1)와 제2연결부재(16-2)로 구성된 연결수단(16)을 위치시킨다.
그런후에, 상기 탄성재질의 플렉시블관(12)의 플랜지(10)에 제1연결부재(16-1)의 연결플랜지(46)를 억지끼움 시킨 후, 볼트(14)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부재(16-1)의 하수관삽입홈(48)으로 하수관(200)을 삽 입시킨다.
그런후에, 탄성재질의 플렉시블관(12)의 플랜지(10)에 제2연결부재(16-2)의 연결플랜지(66)를 억지끼움 시킨 후, 볼트(14)를 고정시킨다. 이에 따라, 하수관(200)이 상기 제2연결부재(16-1)의 하수관삽입홈(도시는 생략함)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부재(16-1)와 제2연결부재(16-2)가 밀착되었을 때, 제1보조밀착부(100)를 제1연결부재(16-1)의 상 밀착부(36)와 제2연결부재(16-2)의 하 밀착부960)의 볼트공(32)(60)으로 삽입시킨 후, 너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1보조밀착부(100)를 밀착시킨다. 제1보조밀착부(100)는 직사각형 판체의 일측면에 다수개의 볼트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사용하여 너트로 체결한다.
또한, 상기 제1연결부재(16-1)와 제2연결부재(16-2)가 밀착되었을 때, 타이밴드(106)를 제1연결부재(16-1)의 상 밀착부(36)와 제2연결부재(16-2)의 하 밀착부(60)의 삽입공(34)으로 삽입시킴과 아울러 삽입홈(108)으로 억지 끼움시킨 후, 다시 한번 상기 타이밴드(106)를 잡아 당긴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연결부재(16-1)와 제2연결부재(16-2)가 다시 한번 더 강하게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부재(16-1)와 제2연결부재(16-2)가 밀착되었을 때, 제2보조밀착부(102)를 제1연결부재(16-1)의 제2연결부재(16-2)에 밀착시킨후, 제2보조밀착부(102)와 제2보조밀착부(102) 사이에 연결지지부(104)를 연결시킨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경사진 곳에 설치된 하수관과 하수관을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외부의 진동 충격으로부터 하수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분리된 두 개의 하수관을 연결할 때 결합부위가 기밀성을 유지하여 누수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연결 상태가 견고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자바라 형상의 중공의 원형본체(20)의 양측 단부에 돌출되게 플랜지(10)가 형성되고, 플랜지(10)가 제1연결부재(16-1)와 제2연결부재(16-2)의 연결플랜지(46)(66)와 결합되는 탄성재질의 플렉시블관(12);
    반구형상의 본체(30)의 상단부에 상밀착부(36)가 형성되고, 상밀착부(36)에일정간격 이격되게 볼트공(32)이 형성되며, 상밀착부(36)의 하부에 삽입공(34)이 형성되어 타이밴드(106)가 삽입되고, 반구형상의 본체(30)의 하단부에 하 밀착부(42)가 형성되며, 하 밀착부(42)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볼트공(38)이 형성되고, 하 밀착부(42)의 상부에 삽입공(40)이 형성되어 타이밴드(106)가 삽입되며, 하 밀착부(42)와 일체로 지지부(44)가 형성되어 지면과 접촉하고, 연결플랜지(46)가 반구형상의 본체(30)의 측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탄성재질의 플렉시블관(12)의 플랜지(10)에 억지끼움되어 볼트(14)에 의해 고정되며, 반구형상의 본체(30)의 중부에 하수관삽입홈(48)이 형성되어 하수관(200)이 삽입고정되는 제1연결부재(16-1);
    제1연결부재(16-1)와 대칭되게 형성되도록 반구형상의 본체(50) 상단부에 상 밀착부(56)가 형성되고, 상밀착부(56)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볼트공(52)이 형성되어 제1보조밀착부(100)와 너트로 제1연결부재(16-1)의 볼트공(32)에 고정되며, 상 밀착부(56)의 하부에 삽입공(54)이 형성되고, 반구형상의 본체(50)의 하단부에 하 밀착부(60)가 형성되어 일정간격 이격되게 볼트공(58)이 형성되며, 하 밀착부(60)의 상부에 삽입공이 형성되어 타이밴드(106)가 삽입되고, 하 밀착부(60)와 일체로 지지부(64)가 형성되어 지면과 접촉하며, 반구형상의 본체(50)의 측단부에 연결플랜지(66)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탄성재질의 플렉시블관(12)의 플랜지(10)에 억지끼움되어 볼트(14)에 의해 고정되고, 반구형상의 본체(50)의 중부에 하수관삽입홈이 형성되어 하수관(200)을 삽입고정되는 제2연결부재(16-2);
    반원형 바의 외측면에 다수개의 고리가 형성되고, 내측면이 제1연결부재(16-1)와 제2연결부재(16-2)의 연결플랜지(46)(66)에 볼트로 고정되는 제2보조밀착부(102);
    탄성재질의 플렉시블관(12)에 의해 연결되는 각각의 제1연결부재(16-1)와 제2연결부재(16-2)에 고정된 제2보조밀착부(102)의 고리에 양단이 고정되고, 중앙이 외측으로 휘어지게 형성된 연결지지부(10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단지의 경사부에 설치되는 하수관의 연결장치.
KR1020060083717A 2006-08-31 2006-08-31 공동주택 단지의 경사부에 설치되는 하수관의 연결장치 KR100683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3717A KR100683925B1 (ko) 2006-08-31 2006-08-31 공동주택 단지의 경사부에 설치되는 하수관의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3717A KR100683925B1 (ko) 2006-08-31 2006-08-31 공동주택 단지의 경사부에 설치되는 하수관의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3925B1 true KR100683925B1 (ko) 2007-02-16

Family

ID=38103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3717A KR100683925B1 (ko) 2006-08-31 2006-08-31 공동주택 단지의 경사부에 설치되는 하수관의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392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2667U (ko) * 1989-09-28 1991-05-22
US5934334A (en) 1996-01-18 1999-08-10 Ford Meter Box Company, Inc. Casing spacers
KR200203763Y1 (ko) 2000-05-29 2000-11-15 주식회사삼양발브종합메이커 익스펜션 조인트
JP2001304468A (ja) * 2000-04-20 2001-10-31 Token Ri 非鉄金属管の連結構造
JP2005337403A (ja) * 2004-05-27 2005-12-08 Sankei Giken:Kk 管継手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2667U (ko) * 1989-09-28 1991-05-22
US5934334A (en) 1996-01-18 1999-08-10 Ford Meter Box Company, Inc. Casing spacers
JP2001304468A (ja) * 2000-04-20 2001-10-31 Token Ri 非鉄金属管の連結構造
KR200203763Y1 (ko) 2000-05-29 2000-11-15 주식회사삼양발브종합메이커 익스펜션 조인트
JP2005337403A (ja) * 2004-05-27 2005-12-08 Sankei Giken:Kk 管継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3925B1 (ko) 공동주택 단지의 경사부에 설치되는 하수관의 연결장치
WO2004007849A1 (ja) マンホール構造,マンホール構造用止水可とう継手及びマンホール構造の施工方法
KR100933823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100838630B1 (ko) 연결소켓 일체형 콘크리트 맨홀
JP3497151B2 (ja) マンホールと下水本管との接続構造
KR100772683B1 (ko) 연결소켓 및 방향전환용 조립식 pc맨홀
KR100764873B1 (ko) 연결관의 결합이 용이한 맨홀
KR100521061B1 (ko) 배관 분기용 연결장치
KR200195784Y1 (ko) 주하수관에 분기 하수관 결합구
KR200261920Y1 (ko) 오폐수 하수관로
KR20070070335A (ko) 파이프연결구
KR100497536B1 (ko) 경사면에 설치되는 하수관의 이탈 방지장치
KR100477145B1 (ko) 배수관 연결소켓 조립방법
KR100240206B1 (ko) 주하수관과 분기하수관의 연결부재
KR100522142B1 (ko) 지중 하수관 및 가지관의 결속구조
KR200301978Y1 (ko) 분기관 결합구조
KR20090027912A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100623930B1 (ko) 긴밀한 결합을 갖는 하수도관 연결구조
KR20080030812A (ko) 맨홀용 고무 커넥터 및 그 시공방법
KR20020094841A (ko) 관 이음 플랜지
KR200242733Y1 (ko) 배수관 연결소켓
KR100736709B1 (ko) 분기관 연결구
KR100635484B1 (ko)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연결거푸집
JP2003129507A (ja) マンホールと下水本管との接続構造
KR200224190Y1 (ko) 하수관의 가지관 접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