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3873Y1 - 파일박스로 재활용되는 쌀통박스 - Google Patents

파일박스로 재활용되는 쌀통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3873Y1
KR200223873Y1 KR2019990005939U KR19990005939U KR200223873Y1 KR 200223873 Y1 KR200223873 Y1 KR 200223873Y1 KR 2019990005939 U KR2019990005939 U KR 2019990005939U KR 19990005939 U KR19990005939 U KR 19990005939U KR 200223873 Y1 KR200223873 Y1 KR 2002238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rice
opening
sol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59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3346U (ko
Inventor
정정일
Original Assignee
정정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정일 filed Critical 정정일
Priority to KR20199900059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3873Y1/ko
Publication of KR199900333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33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38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3873Y1/ko

Links

Landscapes

  • Carton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쌀을 담은 상태로 판매되어 쌀통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 보관된 쌀을 모두 소비한 후 파일 박스로 사용이 가능토록 한 쌀 박스에 관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에 쌀은 비닐이나 합성수지류 등의 봉지에 담아 밀봉된 상태로 유통되어 왔고 최근에는 비닐 봉지에 담져진 상태에서 휴대나 광고효과를 위하여 사각 박스 내부에 또다시 포장된 상태로 판매되었기 때문에 상기의 박스는 단지 상품광고나 휴대가 용이토록 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빈 박스는 재활용이 불가능하여 자원낭비의 원인이 되었던 것이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고안에서는 박스의 내부에 직접 쌀을 담아 판매토록 한 후 사용시에는 박스의 상단에 형성된 절첩판을 개폐토록 하면서 박스에 담겨진 상태에서 쌀통으로 사용이 가능토록 하고, 사용 후 빈 박스는 박스의 상면을 절취하여 문구용의 파일 박스로 사용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쌀 박스

Description

파일박스로 재활용되는 쌀통 박스{A box of rise}
본 고안은 쌀을 담은 상태로 판매되어 쌀통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 보관된 쌀을 모두 소비한 후 파일 박스로 사용이 가능토록 한 쌀 박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쌀은 비닐등의 합성수지류나 지제류의 포대에 담아 밀봉된 상태로 판매되었고 최근에는 쌀의 생산자 확인을 위하여 포대에 다양한 인쇄를 하거나 나아가서는 이러한 포대를 수납토록 하는 박스형태의 포장수단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박스는 단지 휴대나 광고효과를 위하여 사각 박스 내부에 또다시 포장된 상태로 판매되었기 때문에 상기의 박스는 단지 상품광고나 휴대가 용이토록 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빈 박스는 재활용이 불가능하여 자원낭비의 원인이 되었던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박스의 내부에 직접 쌀을 담아 판매토록 한 후 사용시에는 박스의 상단에 형성된 절첩판을 개폐토록 하면서 박스에 담겨진 상태에서 쌀통으로 사용이 가능토록 하고, 사용 후 빈 박스는 박스의 상면을 절취하여 문구용의 파일 박스로 사용토록 함으로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박스의 전개도.
도 3은 박스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의하여 조립된 박스의 사시도.
도 5는 박스의 상단에 끈을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개구부와 개구부 덮개가 박스의 측면에 형성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개구부와 개구부 덮개의 형상을 달리한 박스의 사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경사면 2: 개구부
3: 개구부 덮개 4: 측면
5, 5a: 절첩면 6: 끈
7: 절취선 8: 절개부
10: 박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각각 대칭되는 부분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쌀 박스(10)는 상단면이 경사진 직육면체로 조립되는 종이(주로 두꺼운 포장용 마분지류)박스로 형성토록 하면서 상기 박스(10)의 경사면(1) 상측 선단부로부터 내측으로 반원형 각진형으로 일정폭과 길이로 절개하여 개구부(2)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2)는 절개시 일측면을 남겨 놓고 절개하여 개구부 덮개(3)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 덮개(3)는, 박스의 조립시 박스의 측면(4)내부로 접착되는 접착면(5)을 길게 연장토록 하여 개구부를 막아지게 하면서 개구부로 노출된 부분에는 벌크로파스너를 부착하여 개구부덮개의 탈.부착이 가능토록 하고 박스의 경사면(1)중심부에는 휴대가 용이토록 끈(6)이 형성된 구성이다.
이때 경사면(1)을 형성치 아니하고 사각체의 박스의 크기를 조절 할 경우에도 쌀박스와 파일 박스로의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파일박스로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박스의 경사면(1)하단으로는 경사지게 절취선(7)또는 절첩선을 표시하여 절취하거나 절첩토록 하여 쌀박스로의 사용이 완료된 후에 파일박스로의 사용이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개구부 덮개(3)가 박스의 조립시 박스의 측면 내부로 접착되는 접착면(5)에 탈부착 되도록 하기 위하여 박스의 측면 내부로 접착되는 접착면(5)과의 밀착되는 부위에 벌크로퍼스너 등의 고정수단으로 접착하기 위하여 접착면은 개구부(2)가 형성된 부분까지 연장되어야 하는 것이다.
또한 박스의 덮개를 형성하는 경사면(1)의 중심부에 끈(6)을 형성토록 하기 위하여 중심부를 끈(6) 규격보다 약간 크게 절개한 절개부(8)를 형성하고 일면의 절첩면(5a)에 끈(6)을 아이릿(9)으로 고정한 후 양면의 절첩면(5a)이 포개어져 일치되는 절개부(8)를 통하여 끈(6)이 돌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개구부덮개의 반복적인 절첩에 의하여도 개구부덮개의 손상방지를 위하여 개구부덮개의 절첩되는 부위에 테이프를 접착토록 함으로서 절첩되는 탄성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쌀 박스(10)는 개구부 덮개(3)를 열고 개구부(2)를 통하여 박스 내부에 보관된 쌀을 필요한 만큼 부어서 사용한 후 개구부 덮개(3)를 다시 접착면(5)에 접착함으로써 보관이 가능토록 되는 것이고, 개구부 덮개(3)의 절첩 부위에 테이프가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개구부 덮개(3)의 반복되는 개폐시에도 절첩 부위가 닳아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쌀을 모두 소비한 빈 박스는 박스의 경사면(1)을 따라 절취함으로써 파일 박스로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4) 상단부에 개구부(2)와 개구부 덮개(3)를 형성토록 하여 개구부(2)와 개구부 덮개(3)를 형성하는 절개면이 박스(10)의 측면(4) 상단부에 좌우로 절첩되게 하여 개구부 덮개(3)가 측면의 내부로 절첩되는 절첩면(5)에 탈부착 되도록 하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 덮개(3)를 형성하는 절개면이 경사면(1) 상측 선단으로 절첩되게 하여 개구부 덮개(3)가 경사면(1)에 탈부착 되도록 하여 본 고안의 박스(10)에 형성되는 개구부(2)와 개구부 덮개(3)의 위치 또는 모양을 달리하여도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상단면이 경사진 직육면체의 박스로 형성되면서 박스에 쌀이 배출되는 개구부가 형성토록 된 본 고안의 쌀 박스는 쌀을 보관하면서 일정 양만큼 덜어서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쌀통 대신 사용이 가능하고, 특히 여름철에 쌀통에 쌀을 저장할 경우에는 벌레의 발생 우려가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의 쌀 박스는 더욱 실용적이며, 여러 가지 도안이나 그림이 인쇄된 종이를 사용하여 박스를 제작하게 되면 주방내의 어느 장소에 비치하여도 주방의 분위기를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빈 박스는 절취선을 따라 박스 상단면을 절취하여 파일 박스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더욱 실용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직육면체로 조립되는 종이박스로 형성토록 되는 공지의 박스에 있어서, 박스(10)의 상면 선단부로부터 내측으로 개구부(2)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2)는 절개시 일측면을 남겨 놓고 절개하여 개구부 덮개(3)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 덮개(3)는, 박스의 조립시 박스의 측면(4)내부로 접착되는 접착면(5)을 길게 연장토록 하여 개구부를 막으면서 개구부로 노출된 부분에는 부착된 벌크로파스너에 의하여 탁.부착이 가능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쌀박스.
  2. 제 1항에 있어서, 박스체 상면을 일측으로 경사지게 경사면(1)이 형성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쌀 박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2)는 개구부 덮개(3)가 측면에서 절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쌀 박스.
  4. 제 1항에 있어서, 개구부를 측면에 형성하여 측면에서 절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쌀박스.
KR2019990005939U 1999-04-12 1999-04-12 파일박스로 재활용되는 쌀통박스 KR2002238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939U KR200223873Y1 (ko) 1999-04-12 1999-04-12 파일박스로 재활용되는 쌀통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939U KR200223873Y1 (ko) 1999-04-12 1999-04-12 파일박스로 재활용되는 쌀통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346U KR19990033346U (ko) 1999-08-05
KR200223873Y1 true KR200223873Y1 (ko) 2001-05-15

Family

ID=54756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5939U KR200223873Y1 (ko) 1999-04-12 1999-04-12 파일박스로 재활용되는 쌀통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387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346U (ko) 199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35506B2 (ja) 紙巻き煙草用ヒンジ蓋付きパック
US6889827B2 (en) Resealable cigarette package
RU2288153C2 (ru) Упаковка для одноразовых предметов
KR100660000B1 (ko) 화상 형성용 분체를 내포하는 변형하기 쉬운 성질의 용기수납 상자
CA2002244A1 (en) Flexible package having main compartment and ancillary compartment
MXPA06011509A (es) Despachadores de productos comestibles y metodos para elaborar y utilizar los mismos.
PL199624B1 (pl) Pudełko z pokrywą
KR200223873Y1 (ko) 파일박스로 재활용되는 쌀통박스
JPH0643800Y2 (ja) 包装用カートン
US9334080B2 (en) Display-cum-packaging box
JP2011079528A (ja) 流体の包装容器
US20050098464A1 (en) Dispenser for trash container liners
JPH09207933A (ja) 易開梱段ボールケース
JPH1149256A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用容器
JPS593975Y2 (ja) 内袋を有する防湿容器
JP2834536B2 (ja) 二つの素材からなる包装体
JP4062762B2 (ja) 把手付箱体
JP2005239253A (ja) 自動販売機用商品ケース
JPH08268471A (ja) バッグ・イン・ボックス
JP4003481B2 (ja) レトルトパウチ収納用容器
SK134894A3 (en) Packing with folds
JP5212855B2 (ja) 減容可能な包装用容器
US3338502A (en) Dispensing carton
KR200418380Y1 (ko) 포장상자
JPH11193066A (ja) 折り畳み式液体コンテ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